KR20200049598A - 실험실 동물용 케이지 및 이에 장착되는 뚜껑 - Google Patents

실험실 동물용 케이지 및 이에 장착되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598A
KR20200049598A KR1020190133509A KR20190133509A KR20200049598A KR 20200049598 A KR20200049598 A KR 20200049598A KR 1020190133509 A KR1020190133509 A KR 1020190133509A KR 20190133509 A KR20190133509 A KR 20190133509A KR 20200049598 A KR20200049598 A KR 2020004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ge
side edge
sheet
bottom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트로 베르나르디니
시몬 카세티
지오바니 말나티
Original Assignee
테크니플라스트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니플라스트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테크니플라스트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0004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실험 동물을 수용하는 케이지(10)에 관한 것으로서 이 케이지는 바닥통(11) 및 뚜껑(12)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뚜껑은 바닥통(11) 위에 위치하며 이 바닥통(11)에 의해 경계지어진 내부공간(14)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폐쇄위치와 상기 내부공간(14)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개방위치 사이에서 분리가능 및 교대가능하다.

Description

실험 동물용 케이지 및 이에 장착되는 뚜껑 {CAGE FOR LABORATORY ANIMALS AND RELATED LID}
본 발명은 실험동물을 수용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험동물을 수용하는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선된 개방구 및 접근 시스템, 및/또는 케이지 내부를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격리시키기 위한 개선된 폐쇄 시스템이 장착된 상술한 종류의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술한 종류의 케이지의 뚜껑을 취급 및 안착시키는 것 및/또는 케이지를 신속히 폐쇄 및 개방하는 시스템, 특히, 상기의 뚜껑 및/또는 케이지 내부를 격리하기 위한 개선된 개스킷을 구속 및 해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용되는 수많은 동물에 따라 또한 동물 자체를 제공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케이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예를 들어, 소형 설치류 등의 실험동물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통풍형" 케이지 - 즉, 주회로를 통해 강제 유동하는 공기가 순환되는 케이지 - 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수요 및/또는 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특징들을 차치하고, 공지된 형태의 케이지 혹은 적어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지는 배설물을 담기 위한 바닥통(basin)이나 바닥판(tray)과 뚜껑 (또한 이후로는 상판이라고도 함)을 포함하며; 또한 제3의 구성요소로서, 동물이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사료를 담아 사료가 배설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있는 사료통이 상기 바닥통에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물통이 케이지 내 혹은 외부의 뚜껑 위에 준비될 수 있다.
뚜껑 혹은 상판은 바닥통 위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클립, 손잡이 등 적절한 폐쇄 수단을 이용하여 바닥통에 고정되며) 또한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개스킷을 설치하여 바닥통-뚜껑 시스템이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특히, 사육자가 관리하는 동물 하우징으로부터 적절히 격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밀폐되고, 따라서 케이지 내측을 향하는 동물 하우징과 케이지 내부가 동물 하우징측 혹은 외부 환경을 향하는 경우의 양측 간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실제로, 다수의 경우 하우징은 "청결한" 동물 특히 "SPF"라고 하는 동물 (특정 병원체 부재 동물)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정화" 동물의 경우 케이지의 용적 및 내측면을 "청결"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되며 반면 케이지 외부의 모든 것, 케이지 자체의 외측면은 잠재적으로 "더러운" 및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
이에 반하여, 특히 미생물학적 측면에서 잠재적으로 오염된 동물이 있는 경우에 반대 개념을 적용하며, 이는 케이지 내부의 모든 것이 "더러운" 및 따라서 작업관리자를 포함한 외부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서든 양측 모두에서 1차적인 요구사항은 케이지 안에 제한된 것과 외부에 있는 것이 (특히 미생물학적 오염이) 서로 교환 및/또는 혼합되는 일을 피하여 무균 조건이라는 개념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케이지를 개방하는 것 및 특히 뚜껑을 분리하기 위한 모든 조작은 상술한 혼합 및 이에 따른 케이지와 주변 부속물 및 동물의 오염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 특히 작업자의 오염까지도 피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해야 함은 명백하다. 이러한 조작은 비제한적 예를 들어, 케이지를 교체하는 것 (배설물을 청소후 건조시키고 새로운 사료 및 때로은 신선한 물을 넣어둔 새로운 바닥통으로 동물을 옮기기 위해), 성별에 따라 및 생식가능한 성숙도에 도달하기 전 동물을 재배치하는 것 등을 포함하고 이때 뚜껑을 분리해야 하며, 또한 "처리 절차"시, 예컨대, 특정의 실험, 동물 체중 측정, 주사 및/또는 체액 수집, 진단, 의료검사, 수술 등의 경우로서 대부분의 일반적인 실행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조작은 변화하거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곳의 통제된 분위기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곳이란 케이지 교체시 등으로 보다 간결히 정의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배리어 기체 특히 차단 공기의 유동이 작업면과 수직으로 통과하고 또한 또다른 유동이 작업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통과하도록 된 작업면을 포함하며, 이 작업면은 고정된 칸막이에 의해 2개/3개의 측면이 폐쇄되고 수직 슬라이드 유리가 끼워진 나머지 1면으로부터 접근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작업면의 외측 말단을 따라 형성된 말단 슬릿을 통해 공급된 하나 이상의 배리어 유동의 보정 처리에 의해 동물, 케이지, 각 부속품 및/또는 작업자에 대한 상술한 오염을 피하고 원하는 보호 효과를 얻고자 한다. 실제로, 에어 커튼이 작업면 외부 물질이 내부 물질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내부의 물질 및 감재적으로는 오염된 물질이 층상 유동계를 탈출하여 자업자 및 외부 환경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공지 형태의 케이지는 상기 요약된 작업을 복잡하게 하며 그 효과 및/또는 신뢰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상술한 작업은 기본적으로 바닥통 위에 설치된 뚜껑을 분리하여 작업면 상에 놓는 (일반적으로는 바닥통 옆이나 후위에 위치하며, 내측면이 작업면이나 다른 기구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절차, 및 마지막에는 손으로 잡아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작업면의 위치로부터 바닥통 위의 제자리로 돌려놓은 다음 케이지를 다시 폐쇄하는 순서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뚜껑을 취급하는 일은 작업면 상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일련의 단점들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케이지 변경시 작업면 상에는 반드시 동물과 배설물이 들어있는 "더러운" 케이지와 멸균된 새로운 "청결한" 케이지가 함께 놓이게 되며, 따라서 "더러운" 부분과 "멸균" 부분이 우연하게 접촉할 위험이 크고 특히 더러운 뚜껑이 청결한 구성요소들과 접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성별 구분시 적어도 3개의 케이지가 작업면에 놓이게 되는데: 즉, 분비물이 들어있는 본래의 "더러운" 케이지, 및 양측에 각각 하나씩 적어도 2개의 "청결한" 케이지가 배치되며 이들 각각이 서로 다른 성별의 동물을 수용하게 된다. 여기서 더러운 부분과 청결한 부분, 특히 더러운 뚜껑과 청결한 구성요소들이 접촉할 위험은 작업면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증가할 것임은 확실하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지는 취급 혹은 관리시 수반되는 문제점이나 및/또는 결점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지의 뚜껑의 문제점 및/또는 결점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1) 케이지 내부의 부품들 및 결과적으로는 동물이 케이지 밖의 부품들 혹은 다른 물체와 접촉하여 오염되는 것;
2) 작업자의 오염 위험;
3) 층상류와 작업장 내부의 멸균 조건이 통합되는 것을 방해할 위험;
4) 반복 이동에 따른 인체공학적 위험;
5) 작업자에 대한 확실한 안내 지침 부재로 인한 인재의 위험.
상기 1) 항목의 위험에 관련하여,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상술한 3가지의 취급 단계 각각에서 작업자의 손이 우연히 뚜껑 내부의 부품들에 닿을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더욱이, 뚜껑이 작업면 상에 놓일 경우, 내부 부품들이 케이지 자체의 외부 부품들, 층상류 내에 있는 작업면, 용기, 오염 가능성이 있는 시험관이나 실험병 같은 잠재적 오염 부분들에 닿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마찰 및 작업자 손의 감각을 떨어뜨리는 장갑을 착용해야 하는 의무 혹은 적어도 그런 기회 또한 안전이 확보되는 최소한의 공간 및 팔의 자유로운 동작을 어느 정도 제한하는 정면 안전유리 탓에 상기와 같은 조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2) 항목의 위험에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수용시의 위험은 작업자가 옮기는 병원체 혹은 이미 하우징 룸에 존재하는 병원체에 의해 동물이 오염되는 것에 연루하며, 상술한 것와 동일한 잠재적 문제가 숙주로서 미생물적 작용체를 가진 동물로부터 작업자 및 주변 환경으로의 오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3) 항목의 위험에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교체할 바닥통 외에도 작업에 필요한 일련의 모든 장비, 예컨대, 소독제 및/또는 사료통, 물통, 시험관, 미생물 분급용기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작업면의 제한된 면적이 가득 차는 경우가종종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러한 물체들은 멸균 영역 내에 신중히 배치해야 하며 이는, 취급시 잠시라도 밖에 두었다가 사용할 경우, 자체 오염되거나 외부를 오염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물체는 층상류 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해서는 안되는데 이는, 공기 흡수를 차단하여 멸균 유동 커튼에 의해 정상적으로 확보되는 보호기능을 무효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실수로 인한 위험이 크며 이로인해 필요한 멸균력이 손상될 수 있다.
4) 항목의`위험에 관련하여, 수백개의 케이지를 수용업체에서 한사람의 작업자가 교체하며, 수용 기술자의 주로 손목, 손가락, 팔꿈치 및 어깨가 반복적인 동작, 즉, 뚜껑을 열고, 대개 바닥통 옆의 작업면 상에 이 뚜껑을 놓고 이후 다시 뚜껑을 닫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제일 먼저 일방향으로 손목과 손이 약 180 도로 회전한 다음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는 점에 주목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동작 탓에 작업자는 수근골 증후군 같은 질환에 걸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5) 항목의 위험에 관련하여, 현재까지 사용되는 케이지의 체계 및 제품 브랜드에 관계없이, IVCs (개별 통기형 케이지)에 접근하는 확실한 방법은 없으며; 각 설비는 상술한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한 표준 조작법을 수행하나 공급자가 권고하는 최적화된 공정은 존재하지 않는데 이는 간소화된 유선형 및 위와 같은 조작을 보다 안전하게 반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술한 결점들을 극복하고 결과적으로 특히 1) 내지 5) 항목에 언급된 위험들을 낮추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최근에는 바닥통에서 케이지 뚜껑을 분리할 때 이 뚜껑(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탑 홀더" 라는 서포트 장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서포트는 특히 교체대의 작업면에 위치하며 뚜껑을 바닥통에서 분리할 때 여러개의 서포트 중 하나에 이 뚜껑을 올려놓는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뚜껑 놓을 곳을 알고있는 작업자의 과제를 지원하며; 더욱이, (더러운) 뚜껑 내측면이 청결한 구성요소와 접촉하는 위험을 제한하거나 및/또는 작업자의 손에 닿는 것을 막아준다.
하지만 이러한 서포트는 상술한 이유 때문에 주목할만 하나, 탑 홀더가 여러가지 결점을 안고 있으며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에 대하여 수긍할만한 및 완벽한 해결책은 제공하지 못한다.
실제로, 또한 시판 중인 탑 홀더는 이미 고정된 위치의 한정된 작업면 상에 올려놓아야 하므로 작업면의 일부를 차지하]여 케이지 취급에 장애가 된다.
더욱이, 케이지의 외부 후방의 양측면에 배치되므로, 이것 없이 실제로 사용하는 것과 대비하여, 개방 및 폐쇄시 작업자를 위한 더 큰 동작 공간이 요구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개별 통기성 케이지에서 뚜껑은 바닥통 위에 설치되며, 상기의 개스킷이 뚜껑과 바닥통 혹은 바닥판 사이에 위치하므로, 원하는 및/또는 요구되는 밀폐효과가 확보되며 상기 시스템은 동물이 수용된 케이지 내의 공기와 동물 수용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외부 환경 사이에 차단막(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지 형태의 시스템의 개스킷에 의한 밀폐효과는, 폐쇄위치로 전환시 개스킷이 압력을 받아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바닥통 말단부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손잡이를 사용하므로 문제가 없을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손잡이는 케이지 상판을 잡아 위로 들어올릴 경우 케이지에 상기 상판을 고정시킬 목적으로도 사용되며, 어떤 경우에서나 바닥통 및/또는 뚜껑 자체의 내측이 추후 돌발적으로 오염된 상태로 상기의 뚜껑이 부주의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를 조작하여 케이지에 접근하여 폐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는 여러가지 단점 및/또는 결점을 수반한다.
- 작업자의 인체공학적 측면에 관련한 문제로서, 작업자는 매일 손잡이 전환 조작을 수백번 반복해야 하므로 앞서 언급한 수근골 질환과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 가시성이 동물 수용 케이지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데,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동물의 건강을 매일 검사하기 위하여 매일 다수회 반복되는 조작시 상기의 손잡이가 케이지 내부의 가시성을 방해한다;
- 손잡이는 "점착성"이라 세정 제거하기 어려운 먼지 및 오염의 온상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깨지기 쉽고 바닥통 본체 혹은 상부 구조물의 일부가 아니어서 마모시 자주 교체해야 한다;
- 손잡이를 개방 및 폐쇄할 때 소음 방출 문제 때문에 동물에게 스트레스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지의 개스킷은 종종 노출되어 역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바닥통 상부의 뚜껑 위치를 결정하는 것 (예컨대, 예상치 않은 동작이나 변형 탓에) 및, 예컨대, 개스킷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 및 나아가서 뚜껑 분리시 과도한 저항성 탓에 개방 위치에서 뚜껑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모두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위에서 요약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오염의 위험이 없으면서 실험동물용 케이지의 뚜껑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신속하고 안전하며 간단한 실행 조작으로 뚜껑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멸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뚜껑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동시에, 원할때 및/또는 필요시 이를 분리하는 조작이 복잡하지 않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다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즉각적인 조작과 작업자에 대한 지침 사항이 지나치게 까다롭지 않은 방법으로, 바닥통에 뚜껑을 장착하거나 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 및/또는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폐쇄 및 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바닥통에 뚜껑을 장착 및 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 장애가 되지 않고 오히려 케이지 내부의 장착 및 분리 조작을 개선할 수 있는 형태 및 위치에 있는 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지 기술에 수반된 결점 및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제1 구현예에 따르면 실험동물을 수용하는 케이지(10)에 관한 것으로서, 이 케이지는 바닥통(11) 및, 이 바닥통(11)에 의해 경계지어진 내부공간(14)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폐쇄위치에서 상기 바닥통(11) 위에 안착하고 또한 상기 내부공간(14)에 대한 접근이 방해받지 않는 제2 개방위치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분리식 뚜껑(1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닥통(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가진 바닥벽(13) 및 상기 바닥벽(13)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어 내부공간(14)을 한정하는 다수의 측벽(16)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12)은 본체(17) 및 상호 연결되는 상응하는 다수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측면 결합 모서리(18)를 포함하되 이 각각의 측벽은 상기 본체(17)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측면 모서리(18)를 스커트나 앞치마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측면 모서리(18)가 상기 측벽(1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바닥통(11)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결합용 턱솔 ('턱솔'이라고 함) (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측면 모서리(18)나 바닥통(11)에 의해 한정되는 결합 시트 ('시트'라고 함) (140)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뚜껑(12)을 제1 폐쇄위치에서 바닥통(11)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턱솔(110)에 의해 상기 시트(140)가 자동으로 결합하며;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으로부터 이 바닥통(11)의 전체 주변 연장부를 따라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1 말단 리지(ridge)(125)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이나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을 각각 연결시키고; 및
상기 턱솔(110)은 제1 말단 리지(125)로부터 연장하며, 이 제1 리지(125)의 주변 연장부보다 작은 주변 연장부를 갖고; 및 상기 턱솔(110)은 또한 상기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는 상기 제1 리지(125)의 연장부보다 크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이 바닥통(11)의 외측 혹은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방향은 상기 바닥벽(13)의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과 뚜껑(1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면 형상이고 따라서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4개의 측벽(16)을 포함하며, 상기 턱솔(110)은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 각각의 4개의 측벽(16) 중에서 짧은 2개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이 측면 결합 모서리(18) 두께의 일부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 두께의 일부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 측벽(16)의 내측면에서 각각 블라인드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모서리(18) 두께 전체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11)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 두께 전체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 측벽(16)의 내측면을 통해 각각 개방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은 바닥통(11) 전체 주변을 따라 이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제1 말단 리지(125)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말단 리지(12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을 연결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말단 리지(126)가 제1 말단 리지(125)와 함께 실질적으로 U-형상의 횡단 구간을 갖는 수용 시트(130)을 한정하고; 또한 바닥통(11)의 외측이나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을 향하는 개구부(130A)를 포함하며, 여기서 밀봉 개스킷(131)이 상기의 수용 시트(130)에 수용되며 제1 폐쇄위치의 뚜껑(12)을 통해 내부 공간(14)을 확실하게 격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개스킷(131)은 상기 수용 시트(130)의 개구부(130A)를 통해 연장하는 부분(132)을 포함하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스킷(131)의 상기 부분(132)은 뚜껑(12)의 측면 모서리(18) 혹은 바닥통(11)에 대해 탄성 변형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을 결합 시트(140)로부터 탈착하려면 이를 상기 내부공간(14)쪽으로 누르면 되고 이러한 프레스 동작은 상기의 측벽(16) 상에서 수행되며, 이 측벽으로부터 상기 턱솔(110)이 연장되거나 혹은 이 측벽에 결합 시트(140)가 포함된다.
또한 본원은 실험동물 수용 케이지(10)에 대해 개시하며, 이 케이지는 바닥통(11) 및, 이 바닥통(11)에 의해 경계지어진 내부공간(14)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폐쇄위치에서 상기 바닥통(11) 위에 안착되고 또한 상기 내부공간(14)에 대한 접근이 방해받지 않는 제2 개방위치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분리식 뚜껑(1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닥통(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가진 바닥벽(13) 및 상기 바닥벽(13)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어 내부공간(14)을 한정하는 다수의 측벽(16)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12)은 본체(17) 및 상호 연결되는 상응하는 다수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측면 결합 모서리(18)를 포함하되 이 각각의 측벽은 상기 본체(17)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측면 모서리(18)를 스커트나 앞치마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측면 모서리(18)가 상기 측벽(1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바닥통(11)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턱솔(110)을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측면 모서리(18)나 바닥통(11)에 의해 한정되는 시트(140)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뚜껑(12)을 제1 폐쇄위치에서 바닥통(11)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턱솔(110)에 의해 상기 시트(140)가 자동으로 결합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이 바닥통(11)의 외측 혹은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방향은 상기 바닥벽(13)의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과 평행한 평면 상에 있다.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턱솔(110)의 연장부는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의 측벽(16)의 주변 연장부보다 작으며, 이 주변 연장부로부터 상기 턱솔(110)이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과 뚜껑(1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면 형태이고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4개의 측벽(16)을 포함하며, 상기 턱솔(110)은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 각각의 4개의 측벽(16) 중에서 짧은 2개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으로부터 이 바닥통(11)의 전체 주변 연장부를 따라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1 말단 리지(125)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이나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을 각각 연결시키고, 이때의 턱솔(110)은 상기 제1 말단 리지(125)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이 측면 결합 모서리(18) 두께의 일부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 두께의 일부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 측벽(16)의 내측면에서 각각 블라인드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모서리(18) 두께 전체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 두께 전체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내측면을 통해 각각 개방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닥통(11)은 바닥통(11) 전체 주변을 따라 이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제1 말단 리지(125)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말단 리지(12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18)을 연결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말단 리지(126)가 제1 말단 리지(125)와 함께 실질적으로 U-형상의 횡단 구간을 갖는 수용 시트(130)을 한정하고; 또한 바닥통(11)의 외측이나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을 향하는 개구부(130A)를 포함하며, 여기서 밀봉 개스킷(131)이 상기의 수용 시트(130)에 수용되며 제1 폐쇄위치의 뚜껑(12)을 통해 내부 공간(14)을 확실하게 격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개스킷(131)은 상기 수용 시트(130)의 개구부(130A)를 통해 연장하는 부분(132)을 포함하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스킷(131)의 상기 부분(132)은 뚜껑(12)의 측면 모서리(18) 혹은 바닥통(11)에 대해 탄성 변형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을 결합 시트(140)로부터 탈착하려면 이를 상기 내부공간(14)쪽으로 누르면 되고 이러한 프레스 동작은 상기의 측벽(16) 상에서 수행되며, 이 측벽으로부터 상기 턱솔(110)이 연장되거나 혹은 이 측벽에 상기 결합 시트(140)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동물 수용을 위한 케이지(10)에 관한 것으로서, 이 케이지는 바닥통(11) 및, 이 바닥통(11)에 의해 경계지어진 내부공간(14)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폐쇄위치에서 상기 바닥통(11) 위에 안착되고 또한 상기 내부공간(14)에 대한 접근이 방해받지 않는 제2 개방위치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분리식 뚜껑(1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닥통(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가진 바닥벽(13) 및 상기 바닥벽(13)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어 내부공간(14)을 한정하는 다수의 측벽(16)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12)은 본체(17) 및 상호 연결되는 상응하는 다수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측면 결합 모서리(18)를 포함하되 이 각각의 측벽은 상기 본체(17)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측면 모서리(18)를 스커트나 앞치마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면 모서리(18)가 상기 측벽(1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바닥통(11)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턱솔(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측면 모서리(18)나 바닥통(11)에 의해 한정되는 시트(140)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뚜껑(12)을 제1 폐쇄위치에서 바닥통(11)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턱솔(110)에 의해 상기 시트(140)가 자동으로 결합하며;
상기의 말단 수용 시트(130)는 실질적으로 U-형상의 횡단 구간을 갖고, 또한 개구부(130A)는 바닥통(11)이나 상기 말단 모서리(18)에 의해 한정되고; 및 밀봉 개스킷(131)이 상기의 수용 시트(130)에 수용되며 제1 폐쇄위치의 뚜껑(12)을 통해 내부공간(14)을 확실하게 격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밀봉 개스킷(131)은 상기 수용 시트(130)의 개구부(130A)를 통해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스킷(131)의 상기 부분(132)은 뚜껑(12)의 측면 모서리(18) 혹은 바닥통(11)에 대해 탄성 변형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용 시트(130)는, 바닥통(11)으로부터 이 바닥통(11)의 전체 주변 연장부를 따라 바닥통(11)의 외측을 향하여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말단 리지(125) 및 제2 말단 리지 (126)에 의해 한정되므로써, 바닥통(11)의 측벽(16) 혹은 측면 모서리(18)의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수용 시트(130)를 한정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의 연장 방향은 바닥벽(13)의 적어도 일부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 혹은 측면 모서리(18)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턱솔(110)의 연장부는 바닥통(11) 혹은 측면 모서리(18)의 측벽(16)의 주변 연장부보다 작고, 턱솔(110)은 이 측벽으로부터 연장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과 뚜껑(12)은 각각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면 형상이고 따라서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4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턱솔(110)은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 각각의 4개의 측벽(16) 중에서 짧은 2개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은 제1 말단 리지(125)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시트(140)는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이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측벽의 두께의 일부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 두께의 일부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이나 이 외측면에 대향하는 측벽(16)의 내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 측벽(16)의 내측면에서 각각 블라인드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모서리(18)의 측벽의 두께 전체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두께 전체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 측벽(16)의 내측면을 통해 각각 개방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을 결합 시트(140)로부터 탈착하려면 이를 상기 내부공간(14)쪽으로 누르면 되고 이러한 프레스 동작은 상기의 측벽(16)에서 수행되고, 이 측벽으로부터 상기 턱솔(110)이 연장되거나 혹은 이 측벽에 상기 결합 시트(140)가 포함된다.
또한 본원은 실험동물 수용 케이지(10)에 대해 개시하며, 이 케이지는 바닥통(11) 및, 이 바닥통(11)에 의해 경계지어진 내부공간(14)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폐쇄위치에서 상기 바닥통(11) 위에 안착되고 또한 상기 내부공간(14)에 대한 접근이 방해받지 않는 제2 개방위치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분리식 뚜껑(1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닥통(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가진 바닥벽(13) 및 상기 바닥벽(13)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어 내부공간(14)을 한정하는 다수의 측벽(16)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12)은 본체(17) 및 상호 연결되는 상응하는 다수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측면 결합 모서리(18)를 포함하되 이 각각의 측벽은 상기 본체(17)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측면 모서리(18)를 스커트나 앞치마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면 모서리(18)가 상기 측벽(1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바닥통(11)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턱솔(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측면 모서리(18)나 바닥통(11)에 의해 한정되는 결합 시트(140)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뚜껑(12)을 제1 폐쇄위치에서 바닥통(11)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턱솔(110)에 의해 상기 시트(140)가 자동으로 결합하며;
상기 뚜껑(12)은 구속수단(20)을 포함하고, 이 구속수단(20)은 상기 제2 개방위치에서 바닥통(11)의 일부와 결합하는 반면,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구속수단(20)은 바닥통(11)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으며; 및
상기 바닥통(11)에 대한 뚜껑(12)의 상기 제2 위치는 구속수단(20)과 바닥통(11)의 상기 부분 간의 상호결합에 의해 한정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20)은 뚜껑(12)이 제2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뚜껑(12)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통(11)의 측벽(1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및 뚜껑(12)은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20)은 뚜껑(12)이 제2 개방위치에 있고 바닥통(11)이 표면 상에 놓여있는 상태에서, 상기 뚜껑(12)이 상기 표면에 대해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20)은 뚜껑(12)에 견고히 구속되고 수용 및 결합 시트(22)를 한정하도록 하는 형상의 적어도 1개의 후크(21)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뚜껑(12)이 제2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속수단(20)에 의해 결합된 바닥통(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후크(21)에 의해 한정된 상기 수용 및 결합 시트(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후크(21)에 의해 한정된 수용 및 결합 시트(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바닥통(11)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일부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후크(21)에 의해 한정된 수용 및 결합 시트(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바닥통(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측벽(16)의 상단 모서리에 근접한 바닥통(11)의 측벽(16)의 말단 부분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후크(21)에 의해 한정된 수용 및 결합 시트(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바닥통(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측벽(16)으로부터 바닥통(11)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일부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후크(21)는 뚜껑(12)의 본체(17)의 내측면으로부터 이 뚜껑(12)이 제2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내측으로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후크(21)는 뚜껑(12)의 측면 결합 모서리(18)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20)은 상기 요약한 구현예들 중 하나에 따라 적어도 1개의 제2 후크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턱솔(110)의 연장부는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의 측벽(16)의 주변 연장부보다 작으며, 이 주변 연장부로부터 상기 턱솔(110)이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과 뚜껑(1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면 형상이고 따라서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4개의 측벽(16)을 포함하며, 상기 턱솔(110)은 상기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 각각의 4개의 측벽(16) 중에서 짧은 2개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0)는 바닥통(11)으로부터 이 바닥통(11)의 전체 주변 연장부를 따라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1 말단 리지(125)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이나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을 각각 연결시키고, 이때의 턱솔(110)은 상기 제1 말단 리지(125)로부터 연장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시트(140)는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이 측면 결합 모서리(18) 두께의 일부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 두께의 일부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내측면에서 각각 블라인드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두께 전체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두께 전체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내측면을 통해 각각 개방 상태가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은 바닥통(11) 전체 주변을 따라 이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말단 리지(125)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말단 리지(12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을 연결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말단 리지(126)는 제1 말단 리지(125)와 함께 실질적으로 U-형상의 횡단 구간을 갖는 수용 시트(130)을 한정하고; 바닥통(11)의 외측이나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을 향하는 개구부(130A)를 포함하며, 또한 밀봉 개스킷(131)이 상기의 수용 시트(130)에 수용되며 제1 폐쇄위치의 뚜껑(12)을 통해 내부 공간(14)을 확실하게 격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개스킷(131)은 상기 수용 시트(130)의 개구부(130A)를 통해 연장하는 부분(132)을 포함하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스킷(131)의 상기 부분(132)은 뚜껑(12)의 측면 모서리(18) 혹은 바닥통(11)에 대해 탄성 변형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을 결합 시트(140)로부터 탈착하려면 이를 상기 내부공간(14)쪽으로 누르면 되고 이러한 프레스 동작은 상기의 측벽(16)에서 수행되며, 이 측벽으로부터 상기 턱솔(110)이 연장되거나 혹은 이 측벽에 상기 결합 시트(14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가능한 또다른 구현예들은 특헝청구범위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가능한 구현예들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지며, 발명의 특징 및/또는 상응하는 혹은 균등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정의한다. 어떤 경우에서나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고 도면에서 예시한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유의하며, 반대로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 있어서 하기에서 기술하고 도면에서 예시한 구현예들의 변형 및/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점은 명확하고도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뚜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바닥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용 사료공급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뚜껑의 사시도;
도 6은 뚜껑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사시도
도 7은 뚜껑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뚜껑의 사시도, 및 뚜껑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의 바닥통 및 뚜껑의 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도 12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에서 수행되는 또다른 해결 방안의 단면도.
본 발명은 특히 실험동물의 수용 분야에 적용가능하며, 따라서 동물 수용 분야에 이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관련하여 하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본 발명을 적용 가능성은 하기에 기술된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어떤 경우에서나, 특히, 용기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대한 접근이 방지되는 제1 폐쇄위치와 이 본체 내부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거나 접근가능한 제2 개방위치 사이에서 전환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를 최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필수인 경우에 편리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지는, 도 1 내지 3에서 모두 부호(10)으로 정의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10)는 수용되는 동물의 배설물을 담는 바닥통(11) (그외의, 예컨대, 도 4의 사료공급기(30)와 같은 기타 부속품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을 포함하며, 여기서 바닥통(11)은 실질적으로 동물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10)는 도 1의 제1 폐쇄위치 (동물이 밖으로 나가거나 바닥통(11)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에서 바닥통(11) 위에 안치되도록 또한, 작업자가 바닥통(11) 내부에 접근할 필요가 있을 때 및/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배설물통 교체 및 유사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바닥통(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뚜껑(12)을 포함한다 (및 도면에는 없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바닥통에 고정될 수 있다), 세부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통(11)은 상자 형상 (및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로서 직사각형 등)이며,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면(13) 및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한편 서로에 연결되고 또한 바닥면(13)에 연결된 4개의 측벽(16)을 포함한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하기에서는 단일 측벽(16)이나 또는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4개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측벽(16)을 모두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12)은 본체인 덮개부(17)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벽 혹은 측면 모서리(18)가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구현예에서, 뚜껑(12)은 격자망, 액체 음용을 위한 용기를 수용 및 안치하기 위한 홈부, 및 강제 통풍 공기를 케이지(10)에 도입 및 이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공기 흡입부(19)를 포함한다. 격자망 및 상술한 홈부와 마찬가지로 공기 흡입부(19)는 어느 경우에서나 본 발명의 목적에 필수불가결한 것은 아니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결한 기술을 위해 생략한다.
도 4의 사료공급기(30)에 관련하여 이는 공지방법에 따른 것이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으며,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10)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동물에 필요한 사료를 담거나 이를 공급할 수 있는 형상, 특히, 사료가 배설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사료 공급기(30)도 역시 본 발명의 목적에 필수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는 뚜껑(12)의 취급을 최적화 하기 위한 특징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특징들은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여기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10)의 구성요소 및/또는 특징적인 부분들은 동일한 부호로 정의한다.
도 5의 참조부호(20)는 뚜껑(12)을 도 1의 폐쇄위치로부터 다양한 개방위치로 쉽게 안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속수단을 정의하며, 여기서 특히 케이지(10) 의 내부(14)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속수단(20)은 기본적으로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후크(21)를 포함하며 따라서 간결한 기술을 위해 1개의 후크(21)에 대한 세부설명만 하기에 제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21)는 덮개부(17)의 내측면 (도 1에서 뚜껑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바닥통(11)의 내부를 향하는)으로부터 연장하며, 실질적으로 상기의 덮개부(17)에 수직인 제1 연장부 및 연장 방향이 이 덮개부(17)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있는 말단 연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크(21)는 결합 및 수용 시트(22)를 한정하며 이의 기능을 기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양쪽 후크가 뚜껑(12)의 측면 모서리(18)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이 모서리로부터 예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뚜껑(12)이 도 1에서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 어떤 후크(21)도 바닥통(11)의 어느 부분과 결합하거나 이와 접촉되지 않는다는 점은 중요한 유의 사항이다. 따라서 후크(21)는 예를 들어 승강 동작에 의해 도 1의 폐쇄위치로부터 뚜껑(12)이 분리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며, 예컨대, 이 뚜껑(12)을 탈착 및 교체대의 작업면 위에 놓아 바닥통(11)으로부터 분리해야할 필요가 없다. 그러면서도 후크(21)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뚜껑(12)의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공기 흡입구(19)를 포함하는 말단의 반대편에 있고 따라서 후크(21)가 대면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뚜껑(12)의 말단을 들어올려 이를 바닥통(11)에 안착시키면, 후크(21) 특히 이의 말단이 바닥통(11)의 측벽(16)의 내측면과 (부딪쳐) 결합한다. 이때, 측벽(16)의 내측면과 후크(21)의 말단이 접촉하는 상태에서, 이 후크(21)는 뚜껑(12)을 회전시키면 (도 6에서의 시계방향) 측벽(16)의 상단 모서리에서 이 측벽(16)의 각 말단부와 점진적으로 결합하며,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16)의 상단 모서리에 근접한 측벽(16)의 각 말단부는 도 6의 최종 개방위치에서 각 후크(21)의 수용 및 결합 시트(22) 내에 수용된다. 후크(21)와 측벽(16)의 상호결합으로 도6의 개방위치에서 뚜껑(12)을 안정시키며, 여기서 뚜껑(12)은 돌발적으로 도 1의 폐쇄위치로 전환(복귀)되거나 바닥통(11)으로부터 탈착되는 위험이 없이, 예컨대, 교체대의 작업면으로 다시 떨어지는 위험 없이 바닥통(11) 내부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명백한 바와 같이, 도 6의 개방위치로부터 도 1의 폐쇄위치로 뚜껑(12)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하는 상술한 절차와 역순으로 수행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결함을 위해 생략한다.
더욱더, 본원에 기술된 시스템은 도 6의 개방위치에서 뚜껑(12)의 실제위치에 관한 장점을 이 뚜껑의 전환을 보다 손쉽게 하는 것에 관한 장점과 더불어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한 유의 사항이다. 우선, 뚜껑(12)의 모서리(18) 중 일부만 바닥통(11)의 외측면과 접촉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뚜껑(12)은 실질적으로 측벽(16)과 평행하며 따라서 도 6의 개방위치에서 후크(21)와 측벽(16)이 상호 결합하여 뚜껑(12)이 바닥통(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 예컨대, 교체대의 작업면 상에 놓이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반대로, 뚜껑을 들어올리기만 하면 되도록 후크(21)를 측벽(16)으로부터 해제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통(11)이 작업면(P) 상에 안착한 상태에서, 뚜껑(12)이 작업면(P) 위로 들어올려져 이 뚜껑(12)의 어느 부분도 상기 작업면(P)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10)의 또다른 구현예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여기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미 상술한 도 8 및 도 9에서의 구성요소 및/또는 특징적인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정의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구현예의 경우 후크(21)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상술한 구현예에 따른 후크(21)와 상응하며; 이 후크(21)는 실제로 각각 전체적으로, 예컨대, 도 5의 후크에 의해 한정된 것과 유사한 수용 및 결합 시트(22)를 한정한다. 그러나, 본 구현예에서는, 후크(21)의 위치가 전술한 구현예에 따른 후크와는 상이하다. 실제로, 이 후크(21)는 뚜껑(12)의 덮개부(17) 내측면으로부터가 아닌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연장하며, 각각의 후크는 실질적으로 모서리(18)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연장부를 한정한다. 따라서 후크(21)는 더 외측에 구비된다. 바닥통(11)에 있어서, 두 대향 측벽(16)은 각각 벽에서 바닥통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이 부분이 결합 슬롯(40)을 한정한다. 뚜껑(12)이 도 9의 개방위치일 때, 각 후크(21)는 이에 관련된 슬롯(40)에 결합하며 여기서 슬롯(40)의 일부는 후크(21)의 수용 및 결합 시트(22)에 수용된다.
뚜껑(12)을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및 그 역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도 9의 개방위치에서 바닥통(11)에 대한 뚜껑(12)의 배치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술한 내용에 상응하므로 간결함을 위해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현예는, 후크(21)의 "외부" 위치 탓에 뚜껑(12)의 전환시 후크(21)가 바닥통(11) 내부의 구성요소나 부속품에 장애가 될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며, 반면에 도 5 내지 도 7의 구현예에 따른 후크(21)의 배치는 이로인해 상기 부속품 예컨대 사료공급기(30)의 형상 및/또는 위치를 적절히 구성할 필요가 있게 된다. 더욱더, 또한 본 구현예의 경우 뚜껑(12)이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어느 부분도 후크(21)와 결합하거나 심지어 접촉조차 하지 않는다.
실험동물을 수용하는 케이지에서 본 발명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또다른 해결방안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여기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미 상술한 도 10 및 도 11에서의 구성요소 및/또는 특징적인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정의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통(11)은 상단 모서리에 2개의 말단 리지(125) 및 (126)을 포함하고 이는 바닥통(11)의 전체 주변부 (외주)에 걸쳐 하나가 다른 하나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바닥통(11)의 측벽을 연결시킨다. 더욱이, 턱솔(110)은 하부 리지(125) (바닥통(11)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가장 먼쪽의 리지)로부터 바닥통(11)의 외측으로 연장하며; 특히, 이 턱솔(110)은 측벽(16)에 따라 형성된 리지(125)의 주변 연장부보다 작은 주변 연장부를 갖는 한편 이 리지(125)의 경우보다 더 큰 외향 연장부를 갖는다.
특히, 턱솔은 단일 측벽의 주변 연장부보다 작은 주변 (외주) 연장부를 가지며 이 연장부로부터 상기 턱솔이 외측으로 연장한다. 또다시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위치에서 뚜껑(12)이 바닥통(11) 위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턱솔(110)의 모서리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측면 모서리(18)는 턱솔(110)에 의해 상술한 폐쇄위치의 뚜껑(12)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 시트(140)를 갖는다. 따라서 이 결합 시트(140)는 턱솔(110)의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큰 주변 연장부를 가지며 또한 시트의 폭 (주변 연장부의 폭에 대해 횡방향, 즉, 수직 방향의)은 턱솔(110)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턱솔(110) 및 관련된 결합 시트(140)의 구조에 대한 기술로부터, 뚜껑(12)의 최종 폐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바닥통(11) 위에 뚜껑(12)을 안착시키면 실제로 시트(140)는 어떤 경우에서나 작업자가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턱솔(110)에 의해 자동으로 결합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턱솔(110)에 의한 시트(140)의 결합으로 뚜껑(12)과 바닥통(11) 간의 상호구속이 이루어지고 예컨대 분리 방지되며 혹은, 뚜껑(12)이 돌발적으로 움직일 경우, 바닥통(11)과 뚜껑(12) 간의 구속 상태는 더이상 별도의 구속수단, 예컨대, 손잡이, 클립 등을 사용하여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바닥통(11)에서 뚜껑(12)을 해제하려면 단순하고 즉각적인 조작, 예를 들어, 턱솔(110)이 구비된 바닥통(11) 측벽(16) 상에서 턱솔(110)이 시트(140)로부터 해제될 때까지 (이탈하도록) 이 바닥통(11)의 내부(14) 쪽으로 압력을 가하면 된다. 따라서, 이 조작은 작업자가 손잡이, 클립 등의 별도의 구속수단을 사용할 때 요구되는 것보다 침입성이 훨씬 적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손잡이나 유사한 구속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바닥통(11)의 내부를 볼 수 있는 가시성이 높아지는 한편 이러한 손잡이나 유사한 구속수단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동물의 스트레스 문제도 피할 수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결합 턱솔(110)을 포함하는 단 1개의 측벽(16)만 구비한 바닥통(11)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상이한 구현예들 (도시되지 않은)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며, 예를 들어, 턱솔(110)은 1개를 초과하는 (즉 2개 이상의) 측벽(16)에 존재하거나 및/또는 1개 이상의 측벽(16)에 2개 이상의 턱솔을 포함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1개 이상의 턱솔(110)이 바닥통(11)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대신 측면 모서리(18)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구현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며, 여기서 이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시트(140)가 바닥통(11) 특히 바닥통(11)의 하나 이상의 측벽(16)에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 시트(140)에 있어서, 이는 모두 블라인드 상태 및 개방 상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모서리(18)나 측벽(16) 각각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 혹은 바닥통(11)의 모서리(18)나 측벽 각각의 두께와 동등한 두께를 갖는다.
더욱이, 도면에 도시하고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구현예에서 턱솔(110)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각각이 바닥통(11)의 바닥벽(13)의 편평부에 대해 평행한, 2개의 대향 말단면에 의해 두께 방향 (수직 방향)으로 한정되나, 턱솔(110)의 상기 양쪽 대향 말단면 중 하나의 방향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및/또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 및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턱솔(110)에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단면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의 상하 말단면 중 하나 혹은 양쪽 모두를 바닥벽(13)의 편평부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의 턱솔(110)은 하부 리지(125)가 아닌 상부 리지(126)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를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여기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미 상술한 도 12 내지 15에서의 구성요소 및/또는 특징적인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정의한다.
도 12 (및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말단 리지(125) 및 제2 말단 리지(126)는 말단 수용 시트(130)를 한정하고 (바닥통(11)의 전체 주변부 혹은 외주부에 걸쳐 연장하는), 여기에 수용되는 밀봉 개스킷(131)을 적절히 선택하여 폐쇄위치에서 상기 바닥통(11) 위에 안착한 뚜껑(12)에 의해 바닥통(11)/커버(12) 시스템의 내부를 확실하게 외부로부터 격리 및 그 반대로 외부를 이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실제로 개스킷(131)은 시트(130)에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개구부(130A)를 통해 연장하는 연장 콘트라스트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시트(130) (3개의 면과 가까운)가 외부와 소통하고 따라서 상기 연장 콘트라스트부(132)가 시트(130)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4의 구성으로부터 (뚜껑(12)이 바닥통(11)으로부터 해제된), 폐쇄위치 (턱솔(110)과 이에 상응하는 결합 시트(140) 간의 상호 결합이 가능한)에 도달할 때까지의 바닥통(11) 위에 뚜껑(12)이 안착함으로써, 개스킷(131)의 연장 콘트라스트부(132)와 뚜껑의 측면 모서리(18) 간의 콘트라스트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연장 콘트라스트부(132)의 탄성 변형시, 상기 연장 콘트라스트부(132)와 측면 모서리(18) 간의 탄성 콘트라스트를 통해 바닥통(11)/뚜껑(12) 시스템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연장 콘트라스트부(132)의 탄성 변형은 뚜껑(12)과 바닥통(11) 간의 구속력을 증가시키므로써 추가적인 구속수단, 또한 가능하게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턱솔(10) 및 이에 관련된 결합 시트(14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또다른 구속수단을 꼭 피해야 할 이유는 없으며, 유용하거나 및/또는 적절하다고 판단할 경우 이들을 사용하는 또다른 구현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서 부호(500)는 바닥통(11)에 연결한 평판형 래치를 정의한 것으로서, 이 평판은 만곡선(501) 및, 도 13의 이중 화살표로 나타낸 2개의 대향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이 평판을 바닥통(11)에 대해 회전 전환시킬 수 있는 작은 두께를 갖는다. 여기서 평판은 뚜껑(12)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뚜껑(12)의 측면 모서리(18)에 있는 슬롯(503)과 결합하는 돌출 후크(502)를 더 포함한다.
뚜껑(12)이 도 13의 폐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바닥통(11)에 안착되어 상기 평판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뒤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돌출 후크(502)가 슬롯(503)에 결속 혹은 결합하며 이에 뚜껑(12)과 바닥통(11)이 상호 구속된다.
마지막으로 도 15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시트(130)는 바닥통(11)에 구비되는 대신 뚜껑(12)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스킷(131)의 연장부(132)는 바닥통(11)에 의해 한정된 측면 모서리(18')에 대하여 탄성 변형된다.
그러므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관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기술에서 수반된 결점들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제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지의 경우 전혀 불가능한 뚜껑(12)의 전환 방법이 본 발명에서는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혁신적인 전환 방법을 통해, 뚜껑(12)을 바닥통(11)으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이 뚜껑(12)을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케이지를 개방할 수 있고, 또한 이 뚜껑(12)은 필요할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지에서 바닥통으로부터 뚜껑을 분리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따라 상기 바닥통(11)으로부터 물론 분리할 수도 있으며, 특히 뚜껑(12)은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양측 모두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뚜껑(12)이 폐쇄위치에 있는 케이지로부터 이 뚜껑(12)을 분리하기에 앞서서 뚜껑(12)을 반드시 개방위치로 전환할 필요가 없으며, 마찬가지로, 뚜껑(12)이 개방위치에 있는 바닥통(11)으로부터 이 뚜껑(12)을 분리하기에 앞서서 뚜껑(12)을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반드시 전환시킬 필요도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작업자에 대한 지침이 그다지 까다롭지 않은 간단하고 즉각적인 조작 방법을 통해 뚜껑을 바닥통에 구속 및 이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 등의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폐쇄 및 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바닥통에 대한 뚜껑의 구속과 이로부터의 해제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술한 구속 및 케이지 내부의 격리를 모두 개선할 수 있는 형상과 위치에 장착된 개스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구현예들의 상술한 설명에 따라 명확해졌으나, 본 발명이 이들 구현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에 반하여,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상기 기술된 구현예의 다양한 변형 및/또는 수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 명확하고 명백하다.
예를 들어, 후크(21) 및 턱솔(110)의 개수와 이들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및/또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크의 방향은 뚜껑이 개방위치일 때 후크(21)가 바닥통(11)의 측벽(16) 중 어느 것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적절힌 선택된다.
자성을 띤 구속수단, 예컨대, 뚜껑과 바닥통에 고정되는 자석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욱이, 뚜껑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을 어떤 종류의 뚜껑에서든, 예컨대, 비통풍형 케이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다양한 해결방안은 각각 독립적으로 및 서로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뚜껑(12)은 개스킷(131)이나 1개 이상의 후크(21) 및/또는 결합 시트(140)를, 가능할 경우 서로 조합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1개 이상의 턱솔(110)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다.

Claims (8)

  1. 실험동물의 수용을 위한 케이지(10)로서, 이 케이지는:
    바닥통(11) 및, 이 바닥통(11)에 의해 경계지어진 내부공간(14)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폐쇄위치에서 상기 바닥통(11) 위에 안착되고 또한 상기 내부공간(14)에 대한 접근이 방해받지 않는 제2 개방위치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분리식 뚜껑(1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닥통(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가진 바닥벽(13) 및 상기 바닥벽(13)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어 내부공간(14)을 한정하는 다수의 측벽(16)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12)은 본체(17) 및 상호 연결되는 상응하는 다수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측면 결합 모서리(18)를 포함하되 이 각각의 측벽은 상기 본체(17)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측면 모서리(18)를 스커트나 앞치마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측면 모서리(18)가 상기 측벽(1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중 하나로부터 바닥통(11)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결합용 턱솔 ('턱솔'이라고 함) (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측면 모서리(18)나 바닥통(11)에 의해 한정되는 결합 시트 ('시트'라고 함) (140)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뚜껑(12)을 제1 폐쇄위치에서 바닥통(11)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턱솔(110)에 의해 상기 시트(140)가 자동으로 결합하며;
    상기 케이지(10)는 상기 바닥통(11)으로부터 이 바닥통(11)의 전체 주변 연장부를 따라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이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1 말단 리지(ridge)(125)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이나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을 각각 연결시키고;
    한편 상기 턱솔(110)은 제1 말단 리지(125)로부터 연장하며, 이 제1 리지(125)의 주변 연장부보다 작은 주변 연장부를 갖고; 및 상기 턱솔(110)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이 연장부는 상기 제1 리지(125)의 연장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이 상기 바닥통(11)의 외측이나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방향은, 상기 바닥벽(13)의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3.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과 뚜껑(1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면 형상이고 따라서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4개의 측벽(16)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턱솔(110)은 바닥통(11)이나 측면 모서리(18) 각각의 4개의 측벽 중에서 짧은 2개의 측벽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이 측면 결합 모서리(18) 두께의 일부에 걸쳐, 혹은,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 두께의 일부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내측면에서 각각 블라인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40)는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통(11)의 측벽(16)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내측면으로부터 측면 결합 모서리(18)의 두께 전체에 걸쳐, 혹은, 상기 바닥통(11)의 외측면으로부터(11)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두께 전체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140)는, 상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18)의 외측면 혹은 시트(140)를 포함하는 바닥통(11)의 측벽(16)의 내측면을 통해 각각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통(11)은 바닥통(11) 전체 주변을 따라 이 바닥통(11)의 외측으로 혹은 측면 모서리(18)로부터 측면 모서리(18)의 전체 주변 연장부에 걸쳐서 및 이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으로 제1 말단 리지(125)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말단 리지(12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통(11)의 측벽(16) 혹은 상기 측면 모서리(18)의 측벽(18)을 연결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말단 리지(126)가 제1 말단 리지(125)와 함께 실질적으로 U-형상의 횡단 구간을 갖는 수용 시트(130)을 한정하고; 바닥통(11)의 외측이나 측면 모서리(18)의 내측을 향하는 개구부(130A)를 포함하며; 또한 밀봉 개스킷(131)이 상기의 수용 시트(130)에 수용되며 제1 폐쇄위치의 뚜껑(12)을 통해 내부 공간(14)을 확실하게 격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개스킷(131)은 상기 수용 시트(130)의 개구부(130A)를 통해 연장하는 부분(132)을 포함하며, 뚜껑(12)이 제1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스킷(131)의 상기 부분(132)은 투껑(12)의 측면 모서리(18) 혹은 바닥통(11)에 대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8.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턱솔(110)을 결합 시트(140)로부터 탈착하려면 이를 상기 내부공간(14)쪽으로 누르면 되고 이러한 프레스 동작은 상기 측벽(16) 상에서 수행되며, 이 측벽으로부터 상기 턱솔(110)이 연장되거나 혹은 이 측벽에 상기 결합 시트(1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KR1020190133509A 2018-10-26 2019-10-25 실험실 동물용 케이지 및 이에 장착되는 뚜껑 KR20200049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8000009835 2018-10-26
IT201800009835 2018-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598A true KR20200049598A (ko) 2020-05-08

Family

ID=6549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509A KR20200049598A (ko) 2018-10-26 2019-10-25 실험실 동물용 케이지 및 이에 장착되는 뚜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28783A1 (ko)
EP (1) EP3643166A1 (ko)
KR (1) KR20200049598A (ko)
CN (1) CN111096225A (ko)
DE (1) DE202019105857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6228B (zh) * 2020-01-15 2024-05-28 深圳市泓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ivc笼盖开合装置以及含该装置的笼盒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698A (en) * 1959-09-02 1962-03-07 Univ Southern Illinois Housing for animals
US3537428A (en) * 1968-03-19 1970-11-03 Mallinckrodt Chemical Works Ventilated cage particularly for pathogen-infected animals
US5572953A (en) * 1995-05-02 1996-11-12 Taconic Farms, Inc. Animal tote
GB9604808D0 (en) * 1996-03-07 1996-05-08 Ind Containers Ltd Pail and plastic lid
US6926165B2 (en) * 2003-04-14 2005-08-09 Plastican, Inc. Tamper-evident container
US7823736B1 (en) * 2005-03-30 2010-11-02 Rexam Closure Systems Inc. Plastic closure having mounting ring for containers
US20060219652A1 (en) * 2005-03-30 2006-10-05 Owens-Illinois Closure Inc. Plastic closure for containers
US8037847B2 (en) * 2005-05-13 2011-10-18 Tecniplast, S.p.A. Closure system for a cage containing laboratory animals and methods thereof
US8181819B2 (en) * 2006-02-23 2012-05-22 Bway Corporation Lid and container
WO2009070490A1 (en) * 2007-11-28 2009-06-04 The Glad Products Company Storage container
WO2013073069A1 (en) * 2011-11-16 2013-05-23 Eatron, Inc. Cage for breeding small animals
IT201700078916A1 (it) * 2017-07-13 2019-01-13 Tecniplast Spa Coperchio per gabbietta per animali da laboratorio e gabbietta per animali da laboratorio comprensiva del detto coperch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9105857U1 (de) 2019-12-23
EP3643166A1 (en) 2020-04-29
US20200128783A1 (en) 2020-04-30
CN111096225A (zh)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6888B2 (ja) 実験動物用ケージ用カバーおよびそのカバーを含む実験動物用ケージ
JP4555819B2 (ja) 分離可能なカバーを有する放射線防護設備
JP5963330B2 (ja) 小動物飼育用ケージ
KR20030090896A (ko) 병원체 전이방지용 완전 밀폐형 케이지시스템
KR20200049598A (ko) 실험실 동물용 케이지 및 이에 장착되는 뚜껑
JP6636626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およびアイソレータ
JP4846929B2 (ja) 動物飼育ケージ
US9572644B2 (en) Tray
WO2003009676A9 (en) Animal cage assembly and combination water bottle holder and feeder
US20240000535A1 (en) Sterilisation basket with fixing handle
JP3066887U (ja) 鉗子などの収納容器用カバ―
EP2399682A1 (en) Laminar flow cabin for research laboratories
US20230100294A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controlled and regulated equipment
BR102018014324B1 (pt) Cobertura para uma gaiola para animais de laboratório, e gaiola para animais de laboratório incluindo referida cobertura
JP4560327B2 (ja) 採血キット
Joiner Zoonoses and enclosed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