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191A -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191A
KR20200049191A KR1020180132153A KR20180132153A KR20200049191A KR 20200049191 A KR20200049191 A KR 20200049191A KR 1020180132153 A KR1020180132153 A KR 1020180132153A KR 20180132153 A KR20180132153 A KR 20180132153A KR 20200049191 A KR20200049191 A KR 2020004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olyurethane adhesive
reactor
eco
prop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을룡
유환규
이영주
손미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9191A/ko
Publication of KR2020004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77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and the nitrogen of primary or secondary amino groups
    • C08G18/678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and the nitrogen of primary or secondary amino groups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용매로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 친화적이며 기존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비교하여 물성의 변화가 없고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친환경적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어 유용하다.

Description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eco-friendly polyurethane using n-propyl acetate}
본 발명은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용매로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구성성분이 다양하고 반응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고분자 화합물 중에 우레탄그룹(-NHCOO)을 가지고 있다. 우레탄그룹은 활성 수산기(-OH)를 포함하고 있는 Polyol과 Isocyanate기(-NCO)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생성 반응을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반응이 잘 일어나고 말단기를 -OH 또는 -NCO 로 하는 Prepolymer를 만들고 경화제는 역으로 -NCO 또는 -OH 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Polyol과 Isocyanate 화합물의 종류와 배합비의 변경으로 접착제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Soft segment, Hard segment, Crosslinking 정도를 조절하여 경도, 열안정성, 접착력 등 물리적 특성의 변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접착성능, 저온특성, 유연성, 경화속도 변화가능 등의 장점으로 산업계에서의 수요는 계속 늘어가는 추세이다. 또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유리, 나무, 플라스틱, 가죽, 섬유, 고무, 세라믹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요즘 GHG emission 등의 환경규제와 인체에 무해한 고분자들이 주목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는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대신 무해한 용매로 대체하여 물성 변화 없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사용하는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대신에 무해한 용매인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물성 변화 없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용매인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물성 변화 없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용매로 이용하여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반응기에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를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33 내지 38℃가 되도록 냉각하는 단계; (b) 반응기에 용매 및 THOP(Tetraphenyl dipropyleneglycol diphosphite)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c) 반응기의 온도를 35 내지 40℃로 유지하면서 polypropylene glycol을 투입한 다음, 1,3-BG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d) 반응기에 TMP(Trimethylolpropane) 및 상기 용매를 투입하여 교반한 뒤, 반응기의 온도를 승온시켜 73 내지 75℃가 되면 2 내지 3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e) 상기 용매 및 촉매를 투입하여 반응기의 온도를 55 내지 65℃로 낮춘 후, benzoic acid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f) 상기 용매 및 촉매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 및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용매는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기존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유사한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를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에틸 아세테이트 용매 대신에 인체에 무해하고 저독성이며 환경 친화적 용매인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로 대체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합성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방법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는 안정하고 연소되기 어려운 장점이 있으나, 강한 냄새와 높은 휘발성으로 인해 폭넓게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한 친환경 용매인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규제에 적용되지 않고 인체에 거의 해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휘발성 및 용해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 친화적이며 기존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비교하여 물성의 변화가 없고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친환경적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어 유용하다.
도 1 및 2은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IR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UV-Vis 투명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점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비중 테스트 결과이다.
도 6은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고형분 테스트 결과이다.
도 7은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접착력 테스트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합성
반응기 온도를 30℃로 맞추고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103.25g)을 투입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확인한 뒤, 반응기 온도가 40℃ 이상일 경우 35℃로 하강할 때까지 냉각 시켰다. 용매 12.95g, THOP(Tetraphenyl dipropyleneglycol diphosphite) 0.245g를 투입시키고 서서히 교반하였다. 용매를 투입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확인하고, 반응기 온도가 40℃ 이상일 경우 35℃로 온도가 하강 할 때까지 Polypropylene glycol을 투입하지 않았다. 온도가 35 내지 40℃ 정도를 유지하면서 Polypropylene glycol 140.35g를 투입하였다. Polypropylene glycol 투입 시 뷰렛을 이용하면서 천천히 투입하고, 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투입량의 1/3 정도를 투입한 다음, Polypropylene glycol 나머지 2/3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였다. Polypropylene glycol 투입이 완료되었을 때, 1,3-BG(1, 3-Butylene glycol(4.06g)를 투입하고 교반한였다. 1,3-BG 투입이 완료되면 TMP(Trimethylolpropane) 3.57g를 투입하고 용매 14.35g를 투입하였다. 1차 반응 투입이 완료 되면, 이후 10분간 교반하여 온도를 확인하고 10분간 온도 변화가 없으면 서서히 5℃씩 승온 시켰다. 반응기 온도를 73 내지 75℃ 사이로 맞추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시간 반응이 완료되면 용매 1/2(35.3g)에 촉매 투입량의 1/2(0.315g)을 섞어서 희석한 뒤 투입시키고 온도를 60℃로 낮추었다. 그 다음, Benzoic Acid(0.35g)를 투입하고 15분간 교반하였다. 15분 후 나머지 용매 1/2(35.3g)에 촉매 투입량의 1/2(0.315g)을 섞어서 희석한 뒤 투입시키고 15분간 교반한 뒤 반응을 종료하였다.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물성 확인
IR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제대로 합성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IR 기기를 찍어보았다. 폴리우레탄 결합이 N-H 그룹과 C=O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어 IR 피크에 위 그룹이 나타나면 폴리우레탄 결합이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고, 그 결과 두 그룹에 해당하는 피크(2900대의 C-H, C=O 피크와, 폴리우레탄에 있는 3300, 1500대의 -NH 피크)가 나타나 이를 통해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제대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UV-Vis 투명도 측정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을 100:0, 70:30, 50:50, 30:70 및 0:100으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투명도를 측정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줄어들수록 투명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도 3).
점도 측정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을 100:0, 70:30, 50:50, 30:70 및 0:100으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점도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줄어들수록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도 4).
GPC 분석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을 100:0, 70:30, 50:50, 30:70 및 0:100으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Mn, Mw, D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합성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에서 그 값이 균일한 정도인 것을 확인하였다.
EA 100 70 50 30 0
NA 0 30 50 70 100
Mw(g/mol) 8061.5 8803.1 8665.7 8842.6 8525.8
Mn(g/mol) 6326.4 6721.4 6610.7 6784.7 6516
D 1.2743 1.3097 1.3109 1.3033 1.3084
비중 측정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을 100:0, 70:30, 50:50, 30:70 및 0:100으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대하여 액체 상태에서 비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함량이 감소할수록 비중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5).
고형분 측정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을 100:0, 70:30, 50:50, 30:70 및 0:100으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고형분 테스트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함량이 감소할수록 고형분 함량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접착력 측정
EA(ethyl acetate) 및 PA(n-propyl acetate)의 함량을 100:0, 70:30, 50:50, 30:70 및 0:100으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접착력(박리강도) 테스트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함량이 감소할수록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접착제의 접착력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7).

Claims (6)

  1.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용매로 이용하여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2. (a) 반응기에 메틸렌 디페닐 디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를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33 내지 38℃가 되도록 냉각하는 단계;
    (b) 반응기에 용매 및 테트라페닐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디포스파이트(THOP: Tetraphenyl dipropyleneglycol diphosphite)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c) 반응기의 온도를 35 내지 40℃로 유지하면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을 투입한 다음, 1,3-뷰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d) 반응기에 트리메틸올프로판(TMP:Trimethylolpropane) 및 상기 용매를 투입하여 교반한 뒤, 반응기의 온도를 승온시켜 73 내지 75℃가 되면 2 내지 3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e) 상기 용매 및 촉매를 투입하여 반응기의 온도를 55 내지 65℃로 낮춘 후, 벤조산(benzoic acid)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f) 상기 용매 및 촉매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 및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
KR1020180132153A 2018-10-31 2018-10-31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KR20200049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53A KR20200049191A (ko) 2018-10-31 2018-10-31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53A KR20200049191A (ko) 2018-10-31 2018-10-31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191A true KR20200049191A (ko) 2020-05-08

Family

ID=7067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53A KR20200049191A (ko) 2018-10-31 2018-10-31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078B1 (ko) 2020-08-11 2021-01-04 유경수 Abs 도어 및 방화문용 친환경 일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078B1 (ko) 2020-08-11 2021-01-04 유경수 Abs 도어 및 방화문용 친환경 일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87779B (zh) 一种反应型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397557B (zh) 連續生產矽烷化樹脂之方法
EP0124753B1 (en) One-component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s
KR102441738B1 (ko) 폴리카르보디이미드 공중합체
CN106661188B (zh) 氨基甲酸酯粘着剂
JP2011503272A (ja) ジシクロヘキシルメタンジイソシアナート、イソホロンジイソシアナート及びポリエーテルポリオールから構成され、減少した結晶化のための傾向を有するnco官能性プレポリマー
JP6985796B2 (ja) 分散ウレタン変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を含有する揺変性ポリオール組成物
CN101245182B (zh) 密封胶用耐高温耐水聚氨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200304450A (en) Thermosetting polyurethane elastomer composition, polyurethane elastom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200049191A (ko) 노말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1313713B1 (ko)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접착제
KR101902955B1 (ko) 고접착성 및 고신축성 습기경화형 반응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14847B2 (ko)
JP4114371B2 (ja) 熱硬化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成形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組成物
US4912142A (en) Antistatic phase-segregated polyurethanes
CN108314766A (zh) 一种微交联型ndi基聚氨酯弹性体的合成工艺
KR102110795B1 (ko) 습식 인조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JP2021155562A (ja) 2液硬化型接着剤組成物
KR102245471B1 (ko) 바이오 소재를 이용한 원단 코팅용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DE102007028922A1 (de) Polyisocyanatmischungen
JPS62225516A (ja) シリコーン変性ポリウレタンの製造法
JPS58118815A (ja) 耐熱性の改良されたウレタンエラストマ−
RU2573511C1 (ru) Полиурета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JP2000264946A (ja) 一液湿気硬化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11792B1 (ko) 자가 치유 코팅용 수분산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