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807A -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 Google Patents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807A
KR20200048807A KR1020180131311A KR20180131311A KR20200048807A KR 20200048807 A KR20200048807 A KR 20200048807A KR 1020180131311 A KR1020180131311 A KR 1020180131311A KR 20180131311 A KR20180131311 A KR 20180131311A KR 20200048807 A KR20200048807 A KR 2020004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groove
shock absorber
piston
free pist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479B1 (ko
Inventor
김창곤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4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8Sealings in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실린더에 삽입되어서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오일이 채워진 오일 챔버와 압축 가스(gas)가 채워진 가스 챔버로 구분하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이 개시된다. 개시된 프리 피스톤은, 강체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인 설치 홈이 형성된 피스톤 본체, 설치 홈에 빈틈없이 채워져 설치 홈에 접합 지지되고, 폐곡선 형상으로 이어지며, 실린더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고무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Free piston of mono tube typ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구조에 따라 이중 튜브식(twin tube type)과 모노 튜브식(mono tube type)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는, 실린더(2)와, 실린더(2)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piston rod)(6)와, 실린더(2)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 로드(6)의 일 측 말단에 고정 결합된 피스톤 밸브(piston valve)(7)와, 실린더(2)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 밸브(7)의 아래에 배치되는 프리 피스톤(free piston)(10)을 구비한다.
실린더(2) 내부의 공간은 제1 오일 챔버(chamber)(3), 제2 오일 챔버(4), 및 가스 챔버(gas chamber)(5)로 구분된다. 제1 오일 챔버(3)는 실린더(2) 상단에서 피스톤 밸브(7)까지의 공간으로 한정되고, 제2 오일 챔버(4)는 피스톤 밸브(7)에서 프리 피스톤(10)까지의 공간으로 한정되며, 가스 챔버(5)는 프리 피스톤(10)에서 실린더(2) 하단까지의 공간으로 한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오일 챔버(3, 4)에는 오일(oil)이 채워지고, 상기 가스 챔버(5)에는 고압의 질소 가스(nitrogen gas)가 채워진다.
차량의 바퀴(wheel)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피스톤 밸브(7)가 실린더(2) 내부에서 실린더(2)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면, 피스톤 밸브(7)에 구비된 밸브 수단(미도시)에 의해 외력을 감쇠시키는 감쇠력이 생성되고, 이 감쇠력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6)에 연결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피스톤 밸브(7)가 실린더(2) 내부에서 상승하여 제2 오일 챔버(4)의 체적이 확장되는 팽창 행정시에는 오일이 피스톤 밸브(7)의 밸브 수단을 통해 제1 오일 챔버(3)에서 제2 오일 챔버(4)로 유동한다. 반대로, 피스톤 밸브(7)가 실린더(2) 내부에서 하강하여 제2 오일 챔버(4)의 체적이 축소되는 수축 행정시에는 오일이 피스톤 밸브(7)의 밸브 수단을 통해 제2 오일 챔버(4)에서 제1 오일 챔버(3)로 유동한다.
상기 팽창 행정시에 피스톤 밸브(7)가 실린더(2) 내부에서 상승하면, 제2 오일 챔버(4)의 내부 압력이 가스 챔버(5)의 내부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프리 피스톤(10)이 실린더(2) 내부에서 상승한다. 반대로, 상기 수축 행정시에 피스톤 밸브(7)가 실린더(2) 내부에서 하강하면, 제2 오일 챔버(4)의 내부 압력이 가스 챔버(5)의 내부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프리 피스톤(10)이 실린더(2) 내부에서 하강한다.
오일이 제2 오일 챔버(4)에서 가스 챔버(5)로 침투하거나 질소 가스가 가스 챔버(5)에서 제2 오일 챔버(4)로 침투하지 않도록 프리 피스톤(10)의 외주면에는 오링(O-ring)(13)이 탑재된다. 구체적으로, 프리 피스톤(10)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오링 탑재 홈(groove)(11)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 탑재 홈(11)에 고무 소재로 형성된 오링(13)이 탑재되며, 상기 오링(13)이 실린더(2)의 내주면과 프리 피스톤(10)의 외주면 사이를 밀봉한다.
그런데, 종래의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1)의 조립할 때 프리 피스톤(10)을 실린더(2) 내부에 삽입 설치하기 앞서서 오링(13)을 오링 탑재 홈(11)에 탑재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그리고, 오링(13)이 탑재된 프리 피스톤(10)을 실린더(2) 내부에 삽입 설치할 때에는 실린더(2)의 입구에서 오링(13)이 프리 피스톤(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속도에 큰 차이가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1)의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4809호
본 발명은,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 조립 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실린더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오일(oil)이 채워진 오일 챔버와 압축 가스(gas)가 채워진 가스 챔버로 구분하는 것으로,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인 설치 홈(groove)이 형성된 피스톤 본체, 상기 설치 홈에 빈틈없이 채워져 상기 설치 홈에 접합 지지되고, 폐곡선 형상으로 이어지며,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돌출된 고무 부재를 구비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free piston)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은, 상기 설치 홈을 한정하는 설치 홈 표면과 상기 고무 부재 사이에 피스톤 본체와 고무 부재의 접합력을 보강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제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피스톤 본체가 삽입 안착된 금형의 내부에 용융된 고무 재료를 사출 주입하고 가류하여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본체가 상기 금형 내부에 삽입 안착되기에 앞서서 상기 설치 홈 표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본체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설치 홈의 내부에서 최대 크기인 폭은 상기 설치 홈의 입구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피스톤 본체의 축선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말단 모서리와, 상기 설치 홈의 입구에서부터 상기 말단 모서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 피스톤은 피스톤 본체에 고무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오링을 프리 피스톤에 조립 탑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고무 부재가 피스톤 본체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어 프리 피스톤을 실린더 내부에 삽입하는 작업의 속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도 절감된다.
한편, 종래의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에서는 프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승강할 때 오링이 프리 피스톤에서 분리되어 쇽 업소버가 손상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프리 피스톤은 고무 부재가 피스톤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은 도 1에 도시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1)에서 프리 피스톤(10)과 이에 탑재된 오링(13)을 대체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 피스톤(30)은 피스톤 본체(31)와 고무 부재(36)를 구비한다. 피스톤 본체(31)는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 합금(aluminum alloy),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등의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진 대체로 원반 형상의 부재이다.
피스톤 본체(31)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설치 홈(groove)(3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 홈(33)은 피스톤 본체(31)의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축선(AX)은 프리 피스톤(30)이 실린더(2)(도 1 참조)에 삽입된 때 상기 실린더(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실린더(2)의 축선과 일치한다.
고무 부재(36)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치 홈(33)에 빈틈없이 채워져서 상기 설치 홈(33)에 접합 지지되고, 폐곡선 형상으로 이어진다. 구체적으로, 고무 부재(36)는 상기 설치 홈(33)의 원 궤도 형상에 대응되게 원 궤도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무 부재(36)는 프리 피스톤(30)이 실린더(2)(도 1 참조) 내부에 삽입된 때 상기 실린더(2)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축선(AX)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확장 돌출된 돌기부(37)를 구비한다.
상기 고무 부재(36)는 금형 내에 피스톤 본체(31)를 삽입 안착하고, 상기 금형의 내부에 용융된 고무 재료를 사출 주입하고, 상기 용융된 고무 재료를 상기 금형 내에서 가류(加硫)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류 과정에서 고무 부재(36)와 피스톤 본체(31) 간의 접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 본체(31)를 상기 금형 내부에 삽입 안착하기에 앞서서, 상기 설치 홈(33)의 표면(34)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3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페놀계 접착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접착제는 Lord Corp.사의 제품명 'Chemlok'인 접착제일 수 있다.
고무 부재(36)가 설치 홈(33)에 견고하게 접합 지지되어 있으므로, 프리 피스톤(30)이 실린더(2) 내부에서 승강하더라도 고무 부재(36)가 피스톤 본체(3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돌기부(37)가 실린더(2)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고, 고무 부재(36)의 내측면은 설치 홈(33)의 표면(34)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본체(31)의 외주면(32)과 실린더(2)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오일 챔버(4)에 채워진 오일이 가스 챔버(5)를 향해, 즉 돌기부(37)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일의 누출이 신뢰성 있게 차단된다. 또한, 가스 챔버(5)에 채워진 질소 가스가 제2 오일 챔버(4)를 향해, 즉 돌기부(37) 하측에서 상측으로 질소 가스의 누출이 신뢰성 있게 차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은 도 1에 도시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1)에서 프리 피스톤(10)과 이에 탑재된 오링(13)을 대체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 피스톤(30)을 대체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 피스톤(50)은 피스톤 본체(51)와 고무 부재(60)를 구비한다. 피스톤 본체(51)는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 합금(aluminum alloy),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등의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진 대체로 원반 형상의 부재이다.
피스톤 본체(51)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설치 홈(groove)(5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 홈(53)은 피스톤 본체(31)의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를 따라 형성된다. 피스톤 본체(51)의 축선(AX)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 홈(53)의 내부에서 최대 크기의 폭(WB)은 설치 홈(53)의 입구의 폭(WT)보다 크다. 부연하면, 상기 설치 홈(53)은 설치 홈(53)의 입구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상측 홈 경사면(55)과 하측 홈 경사면(56), 및 상기 상측 홈 경사면(55)의 내측 말단에서 하측 홈 경사면(56)의 내측 말단까지 이어진 홈 바닥면(54)에 의해 한정된다.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홈 바닥면(54)의 폭(WB)이 설치 홈(53)의 내부에서 크기가 최대인 폭이며, 상기 홈 바닥면(54)의 폭(WB)이 설치 홈(53) 입구의 폭(WT)보다 크다.
고무 부재(60)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치 홈(53)에 빈틈없이 채워져서 상기 설치 홈(53)에 접합 지지되고, 상기 설치 홈(53)의 원 궤도 형상에 대응되게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무 부재(60)는 프리 피스톤(50)이 실린더(2)(도 1 참조) 내부에 삽입된 때 상기 실린더(2)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축선(AX)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확장 돌출된 립(lip)(61)을 구비한다.
상기 고무 부재(60)는 금형 내에 피스톤 본체(51)를 삽입 안착하고, 상기 금형의 내부에 용융된 고무 재료를 사출 주입하고, 상기 용융된 고무 재료를 상기 금형 내에서 가류(加硫)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홈(53)의 홈 바닥면(54)의 폭(WB)이 설치 홈(53)의 입구의 폭(WT)보다 크므로, 용융된 고무 재료가 설치 홈(53)에 채워지고 가류되어 형성된 부분은, 금형을 이용한 성형 분야에서 언더컷(undercut)과 같이 파손되지 않고는 설치 홈(53)에서 분리되어 빠지지 않는 부분이 된다. 그러므로, 설치 홈(53)의 표면(54, 55, 56)과 고무 부재(60) 사이에 접합력을 보강하는 접착제층(39)(도 3 참조)이 없더라도, 프리 피스톤(50)이 실린더(2) 내부에서 승강하는 작동 중에 상기 고무 부재(60)가 피스톤 본체(51)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고무 부재(60)의 립(61)은 상기 축선(AX)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가장 이격된 말단 모서리(61t)와, 상기 설치 홈(53)의 입구에서부터 상기 말단 모서리(61t)까지 연장된 한 쌍의 경사면(62, 6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경사면(62, 63) 중 하나는 설치 홈(53) 입구의 상단 모서리(57u)에서 상기 말단 모서리(61t)까지 연장된 상측 립 경사면(62)이고, 다른 하나는 설치 홈(53) 입구의 하단 모서리(57d)에서 상기 말단 모서리(61t)까지 연장된 하측 립 경사면(63)이다.
상기 축선(AX)과 평행한 방향, 즉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측 립 경사면(62)의 폭(LC)이 하측 립 경사면(63)의 폭(SC)보다 크다. 상기 상측 립 경사면(62)은 실린더(2)(도 1 참조) 내부에서 가스 챔버(5)보다 제2 오일 챔버(4)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사면인데 반해, 하측 립 경사면(63)은 제2 오일 챔버(4)보다 가스 챔버(5)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사면이다.
상기 고무 부재(60)는 립(61)의 말단 모서리(61t)가 실린더(2)(도 1 참조)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 피스톤(30)(도 3 참조)에 구비된 고무 부재(36)에 구비된 곡면 형상의 돌기부(37)가 실린더(2)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는 경우에 비해서, 실린더(2)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 면적은 작으면서도 오일이나 질소 가스의 누출 차단 기능은 대등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예의 고무 부재(36)에 비해 제2 실시예의 고무 부재(60)의 마모가 지연되어 프리 피스톤(5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고무 부재(60)와 실린더(2) 내주면 사이의 마찰이 제1 실시예에의 고무 부재(36)에 비해 적어서 프리 피스톤(50)이 제2 오일 챔버(4)(도 1 참조)와 가스 챔버(5) 간의 압력 차이에 민감하게 추종하여 승강할 수 있어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가 적용된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의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측 립 경사면(62)의 폭(LC)이 하측 립 경사면(63)의 폭(SC)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측 립 경사면의 폭이 하측 립 경사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도 본 발명에 속한다.
고무 부재(60)가 설치 홈(53)에 견고하게 접합 지지되어 있으므로, 프리 피스톤(50)이 실린더(2) 내부에서 승강하더라도 고무 부재(60)가 피스톤 본체(5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립(61)의 말단 모서리(61t)가 실린더(2)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고, 고무 부재(60)의 내측면은 설치 홈(53)의 표면(54, 55, 56)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본체(51)의 외주면(52)과 실린더(2)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립(61)의 말단 모서리(61t)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일의 누출, 및 상기 말단 모서리(61t)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질소 가스의 누출이 신뢰성 있게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 피스톤(30, 50)은 피스톤 본체(31, 51)에 고무 부재(36, 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에 하던 작업, 즉 오링(13)(도 1 참조)을 프리 피스톤(10)(도 1 참조)에 조립 탑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고무 부재(36, 60)가 피스톤 본체(31, 51)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어 프리 피스톤(30, 50)을 실린더(2) 내부에 삽입하는 작업의 속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도 절감된다.
한편, 종래의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1)에서는 프리 피스톤(10)이 실린더(2) 내부에서 승강할 때 오링(13)이 프리 피스톤(10)에서 분리되어 쇽 업소버(1)가 손상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 피스톤(30, 50)은 고무 부재(36, 60)가 피스톤 본체(31, 51)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 4: 실린더
30: 프리 피스톤 31: 피스톤 본체
33: 설치 홈 36: 고무 부재
37: 돌기부 39: 접착제층

Claims (5)

  1.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실린더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오일(oil)이 채워진 오일 챔버와 압축 가스(gas)가 채워진 가스 챔버로 구분하는 것으로,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인 설치 홈(groove)이 형성된 피스톤 본체;
    상기 설치 홈에 빈틈없이 채워져 상기 설치 홈에 접합 지지되고, 폐곡선 형상으로 이어지며,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돌출된 고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free piston).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홈을 한정하는 설치 홈 표면과 상기 고무 부재 사이에 피스톤 본체와 고무 부재의 접합력을 보강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제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피스톤 본체가 삽입 안착된 금형의 내부에 용융된 고무 재료를 사출 주입하고 가류하여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본체가 상기 금형 내부에 삽입 안착되기에 앞서서 상기 설치 홈 표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본체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설치 홈의 내부에서 최대 크기인 폭은 상기 설치 홈의 입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피스톤 본체의 축선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말단 모서리와, 상기 설치 홈의 입구에서부터 상기 말단 모서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KR1020180131311A 2018-10-30 2018-10-30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KR10210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11A KR102107479B1 (ko) 2018-10-30 2018-10-30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11A KR102107479B1 (ko) 2018-10-30 2018-10-30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07A true KR20200048807A (ko) 2020-05-08
KR102107479B1 KR102107479B1 (ko) 2020-05-12

Family

ID=7067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11A KR102107479B1 (ko) 2018-10-30 2018-10-30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4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942A (ja) * 1992-03-09 1993-09-24 Fujikura Rubber Ltd ゴム−樹脂複合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506256A (ja) * 1999-08-05 2003-02-18 株式会社ニフコ オイル式筒形回転ダンパ
KR20050035771A (ko) * 2003-10-14 2005-04-19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쇽 업소버의 세퍼레이터 링
JP2006266290A (ja) * 2005-03-22 2006-10-05 Nissan Motor Co Ltd モノチューブ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フリーピストンシール構造
KR101194809B1 (ko) 2008-01-28 2012-10-25 주식회사 만도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942A (ja) * 1992-03-09 1993-09-24 Fujikura Rubber Ltd ゴム−樹脂複合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506256A (ja) * 1999-08-05 2003-02-18 株式会社ニフコ オイル式筒形回転ダンパ
KR20050035771A (ko) * 2003-10-14 2005-04-19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쇽 업소버의 세퍼레이터 링
JP2006266290A (ja) * 2005-03-22 2006-10-05 Nissan Motor Co Ltd モノチューブ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フリーピストンシール構造
KR101194809B1 (ko) 2008-01-28 2012-10-25 주식회사 만도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479B1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3624B2 (en) Cylinder device
KR20060072143A (ko) 왕복운동축용 밀봉장치
US9903438B2 (en) Hydraulically damping bush bearing
KR20060130761A (ko) 왕복동축용 밀봉 장치
US6622832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9528566B2 (en) Hydraulically damping bush bearing
EP2031269B1 (en) Sealing apparatus for reciprocrating shaft
JP6355067B2 (ja) シール装置
KR102107479B1 (ko)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JP4332703B2 (ja) 往復動軸用密封装置
JP2007107550A (ja) 往復動軸用密封装置
KR102138416B1 (ko) 실린더 장치
JP2015161364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2065617B1 (ko)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US20200300362A1 (en) Dirt scrapper assembly
KR102065616B1 (ko) 쇼크 업소버 오일 씰
JPH03223570A (ja) ロッドシール部材
KR100489424B1 (ko) 가스 쇽 업소버의 가스 주입부 실링장치
JP2007132484A (ja) オイルシール
CN211059274U (zh) 密封装置
KR20130101746A (ko) 에어스프링용 실링캡
JP2022079858A (ja) 密封装置
JP6407003B2 (ja) バンパキャップおよびシリンダ装置
KR20190060590A (ko) 슬라이딩 오일 씰
KR20210090057A (ko) 쇼크 업소버 오일 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