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509A -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509A
KR20200046509A KR1020180127762A KR20180127762A KR20200046509A KR 20200046509 A KR20200046509 A KR 20200046509A KR 1020180127762 A KR1020180127762 A KR 1020180127762A KR 20180127762 A KR20180127762 A KR 20180127762A KR 20200046509 A KR20200046509 A KR 20200046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ontainer
socket
deck machin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866B1 (ko
Inventor
이덕중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704/00
    • B63B270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손상됨을 최소화함 아울러 특히, 상부에 화물 컨테이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갑판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소켓; 및 내부에 사용하고자 하는 데크 머시너리가 고정 설치되며, 밑면에는 상기 베이스 소켓과 매뉴얼 트위스트 록으로 고박을 위한 각각의 컨테이너 소켓이 구비되고, 측면에 출입 또는 내장된 데크 머시너리를 사용하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운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소켓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박스;를 포함하는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적은 수량의 데크 머시너리로 인한 갑판에서의 잉여공간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오랜 사용기간 확보와 높은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다른 화물을 추가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Portable Deck Machinery device}
본 발명은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손상됨을 최소화함 아울러 특히, 상부에 화물 컨테이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머시너리(Deck machinery)는 선박의 추진 이외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갑판에 설치됨에 따라 갑판 기계라고 한다.
이러한 갑판 기계로는, 양묘기, 계선기 등의 계선장치, 데릭 장치, 데크 크레인 등의 하역 장치, 해치 커버 등의 폐쇄장치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들 모든 기계의 동력으로는 목적에 따라 전기, 유압, 수증기 등이 사용된다.
특히, 데크 머시너리는 갑판에 설치되는 조건으로 인해 해수나 비바람 등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출원에서 통상 데크 머시너리는 선박이 계류 및 정박을 하기 위한 닻(Anchor)과 로프를 제어하기 사용되는 것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통상 데크 머시너리는 선수 측의 양측 현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수한 선박의 경우 선미 측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데크 머시너리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622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데크 머시너리의 밀폐형 기어 박스에 설치되어 기어 작동시 내부 열 발생에 의한 압력의 생성으로 메인 샤프트에 설치된 실 링의 파손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크 머시너리의 기어박스용 에어 벤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674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전기식 데크 머시너리 또는 유압식 데크 머시너리에 에어 모터를 추가 장착하여 에어 모터를 단독으로 작동시켜서 윈치의 드럼을 구동시키거나, 기존의 전기 또는 유압식 모터와 동시에 작동시켜서 좀더 높은 출력을 이끌어낼 수 있게 한 하이브리드 타입 데크 머시너리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59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극지방에서 운항하는 선박의 윈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윈치를 수용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극지용 윈치 덮개 구조물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622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674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595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2에 사용되는 데크 머시너리는 갑판에 고정된 상태이면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1 내지 2는 갑판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동이 불가한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선행기술문헌 1 내지 2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 머시너리를 덮을 수 있는 하우징에 의해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이 또한 데크 머시너리 자체는 갑판에 유동성 없이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이동이 불가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의 각 데크 머시너리는 갑판으로 다 같이 고정식으로 구비됨에 따라 선박의 계류나 정박시 조건에 따라 좌현 또는 우현으로 접근하게 되는 데, 이때 종래 고정식의 데크 머시너리는 반드시 양 현에 구비해야 함으로 인한 수량 증가라는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손상됨을 최소화함 아울러 특히, 상부에 화물 컨테이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운반 또는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선박의 갑판에 마련되는 데크 머시너리 장치로서, 상기 데크 머시너리 장치는 갑판으로부터 탈착 및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 머시너리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갑판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소켓(base socket); 및 내부에 사용하고자 하는 데크 머시너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소켓과 대응되는 밑면에는 그 베이스 소켓과 매뉴얼 트위스트 록(manual twistlock)으로 고박을 위한 각각의 컨테이너 소켓(container socket)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출입 또는 내장된 데크 머시너리를 사용하기 위해 개폐되는 각각의 개폐도어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운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소켓(container socket)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박스(container box);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도어는 여닫이식 도어 또는 승강식 셔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여닫이식 도어 및 승강식 셔터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상면 및 밑면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소켓은 각 상면 및 밑면의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손상됨을 최소화함 아울러 특히, 상부에 화물 컨테이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수량의 데크 머시너리로 인한 갑판에서의 잉여공간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오랜 사용기간 확보와 높은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다른 화물을 추가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운반 또는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갑판(D)에 마련되는 데크 머시너리(100)는 선박의 추진 이외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갑판에 설치됨에 따라 갑판 기계라고 한다.
이러한 갑판 기계로는, 양묘기, 계선기 등의 계선장치, 데릭 장치, 데크 크레인 등의 하역 장치, 해치 커버 등의 폐쇄장치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들 모든 기계의 동력으로는 목적에 따라 전기, 유압, 수증기 등이 사용된다.
특히, 데크 머시너리는 갑판에 설치되는 조건으로 인해 해수나 비바람 등에 노출되게 설치됨으로 인해 단시간 내에 손상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통상적인 데크 머시너리는 갑판에 고정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계류 또는 정박을 위한 조건에 따라 좌현이나 우현 양 현에 갖춤으로 인한 수량 증가라는 단점은 물론 그로 인한 갑판의 점유면적 손실도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손상됨을 최소화함 아울러 특히, 상부에 화물 컨테이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크 머시너리 장치(1)는 갑판(D)으로부터 탈착 및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 머시너리 장치(1)를 설치하고자 하는 갑판(D)에 소정 간격을 두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통상적인 복수 개의 베이스 소켓(base socket, 1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소켓은 통상적인 구조로 후술하는 컨테이너 소켓과 통상적인 매뉴얼 트위스트 록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또한, 내부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적정한 데크 머시너리(100)가 용접 또는 브래킷 등에 의해 유동성 없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소켓(10)과 대응되는 밑면에는 그 베이스 소켓(10)과 통상적인 매뉴얼 트위스트 록(manual twistlock, 도시하지 않음)으로 고박을 위한 각각의 컨테이너 소켓(container socket, 200)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측면에 출입 또는 내장된 데크 머시너리를 사용하기 위해 개폐되는 각각의 개폐도어(24)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항구에 구비된 크레인 또는 선박에 구비된 크레인 등에 의해 운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소켓(container socket, 22)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박스(container box, 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박스는 별도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 주지된 표준형 컨테이너 박스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준형 컨테이너 박스는 국제 컨테이너 규격에 의해 20피트, 40피트, 40피트큐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컨테이너 박스(20)의 상면 및 밑면에 형성되는 각 컨테이너 소켓(22)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에 따라 동일 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하며, 각 상면 및 밑면의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즉, 상면의 컨테이너 소켓을 모서리에 설치함으로써, 운반 능력 향상은 물론 다른 화물 등을 원활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밑면의 컨테이너 소켓을 모서리에 설치함에 따라 매뉴얼 트위스트 록으로 체결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조건도 가진다. 상기 각 컨테이너 소켓은 상면 또는 밑면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형 컨테이너 박스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또는 밑면에 매입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데크 머시너리 장치는 컨테이너 박스 내부에 데크 머시너리가 고정 설치됨에 따라 해수나 비바람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크 머시너리 장치는 이동 가능한 기술적 구성, 즉 갑판에 마련된 베이스 소켓과 컨테이너 박스의 밑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소켓이 매뉴얼 트위스트 록에 의해 탈착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원하는 위치나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이동은 그 컨테이너 박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 소켓을 이용하여 선박 또는 항구에 구비된 각 크레인 등에 의해 운반 가능함에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다.
그로 인해 선박의 계류나 정박시 필요로 하는 좌현 또는 우현으로 데크 머시너리 장치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통상적인 데크 머시너리의 수량을 줄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데크 머시너리의 수량을 줄임으로 인한 갑판에서의 잉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다른 화물 등을 더 많이 적재할 수 있어 활용 또한 높은 조건도 가진다.
아울러, 데크 머시너리가 내장된 컨테이너 박스의 상면에는 화물 컨테이너 등과 같은 다른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공간 활용도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24)는 통상적인 여닫이식 도어 또는 승강식 셔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여닫이식 도어 및 승강식 셔터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각 개폐도어는 각 측면에 작업자의 출입이나 데크 머시너리의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에 구비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나 서로 직교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여닫이식 도어는 통상적으로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나 외부로 여닫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승강식 셔터는 통상적인 셔터방식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개폐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적인 소형 모터 또는 윈치 등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1 : 데크 머시너리 장치
10 : 베이스 소켓 20 : 컨테어너 박스
22 : 컨테이너 소켓 24 : 개폐도어
100 : 데크 머시너리 200 : 매뉴얼 트위스트 록

Claims (3)

  1. 선박의 갑판에 마련되는 데크 머시너리 장치로서,
    상기 데크 머시너리 장치는,
    갑판으로부터 탈착 및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 머시너리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갑판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소켓(base socket); 및
    내부에 사용하고자 하는 데크 머시너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소켓과 대응되는 밑면에는 그 베이스 소켓과 매뉴얼 트위스트 록(manual twistlock)으로 고박을 위한 각각의 컨테이너 소켓(container socket)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출입 또는 내장된 데크 머시너리를 사용하기 위해 개폐되는 각각의 개폐도어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운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소켓(container socket)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박스(container box);를 포함하는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여닫이식 도어 또는 승강식 셔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여닫이식 도어 및 승강식 셔터로 구성되는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상면 및 밑면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소켓은 각 상면 및 밑면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KR1020180127762A 2018-10-24 2018-10-24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KR10264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762A KR102647866B1 (ko) 2018-10-24 2018-10-24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762A KR102647866B1 (ko) 2018-10-24 2018-10-24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09A true KR20200046509A (ko) 2020-05-07
KR102647866B1 KR102647866B1 (ko) 2024-03-15

Family

ID=7073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762A KR102647866B1 (ko) 2018-10-24 2018-10-24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29Y1 (ko) 2001-12-14 2002-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데크 머시너리의 기어 박스용 에어 벤트
KR20110006747A (ko) 2009-07-15 2011-0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타입 데크 머시너리
KR20150026595A (ko) 2013-09-03 2015-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극지용 윈치 덮개 구조물
KR20160001083U (ko) * 2014-09-24 2016-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비상 물품 공급 장치
WO2017187009A1 (en) * 2016-04-28 2017-11-02 Macgregor Finland Oy Lock mech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29Y1 (ko) 2001-12-14 2002-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데크 머시너리의 기어 박스용 에어 벤트
KR20110006747A (ko) 2009-07-15 2011-0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타입 데크 머시너리
KR20150026595A (ko) 2013-09-03 2015-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극지용 윈치 덮개 구조물
KR20160001083U (ko) * 2014-09-24 2016-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비상 물품 공급 장치
WO2017187009A1 (en) * 2016-04-28 2017-11-02 Macgregor Finland Oy Lock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866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549B (zh) 集装箱船
KR100667712B1 (ko) 전동식 체결 기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20120002682A (ko) 선체의 외판 내측에 계류윈치가 설치된 선박
EP3406514A1 (en) Floating type structure
KR102647866B1 (ko) 포터블형 데크 머시너리 장치
TW452558B (en) Semi-immersible shipper for heavy goods
KR20120126270A (ko) 컨테이너 선박
JP2012056489A (ja) 揚艇装置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KR102092198B1 (ko) 해상 풍력발전기의 운송 설치용 선박
KR20150023177A (ko) 스러스터가 장착된 선박
KR101110728B1 (ko) 선박의 해치커버 탑재 구조
RU23685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объектов со дна моря на подводное техн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KR20130057642A (ko)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CN212890798U (zh) 一种月池、海洋工程船及海洋工程平台
KR101296802B1 (ko) 작업선
KR101195756B1 (ko) 안티 힐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6517501U (zh) 一种散货船舱口盖启闭装置
KR20110094385A (ko) 다층 갑판을 갖춘 선박의 선미 구조
KR100774526B1 (ko) 해양 수송용 운반선
KR101516178B1 (ko)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포함하는 선박 및 아지무스 스러스터 정비 방법
JPS6311495A (ja) 風雨密式舶用倉口蓋装置
JP2007320439A (ja) 船体格納式荷役運搬装置
KR20120060380A (ko) 독립 구동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는 크레인
KR20230089695A (ko) 갑판의 화물과 관계없이 선체 내부의 화물 선하적이 가능한 컨테이너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