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874A -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874A
KR20200045874A KR1020180126936A KR20180126936A KR20200045874A KR 20200045874 A KR20200045874 A KR 20200045874A KR 1020180126936 A KR1020180126936 A KR 1020180126936A KR 20180126936 A KR20180126936 A KR 20180126936A KR 20200045874 A KR20200045874 A KR 20200045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payment
gas st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중
추교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5874A/ko
Priority to US16/397,175 priority patent/US20200126057A1/en
Priority to DE102019207098.1A priority patent/DE102019207098A1/de
Priority to CN201910405597.0A priority patent/CN111091361A/zh
Publication of KR2020004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67D7/22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involving price indicators
    • B67D7/227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involving price indicator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G07F13/02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wherein the volume is determined during deliv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aviga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어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차량 단말,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VEHIC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PROCESSING USING VEHICLE DEVICE}
본 발명은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내 전자결제 시스템은 차량 단말과 결제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고, 차량 단말은 별도의 장치와 비콘 방식 또는 폰 커넥티비티 방식을 이용하여 연동됨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였다.
일 예로, 셀프 주유소 진입 시 주유기 별로 비콘을 설치하고, 비콘이 차량을 인식하여 차량 단말과 주유기 간 연동을 통해 전자 결제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서비스 단말마다 비콘 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차량 단말의 전자 결제를 위해서는 인프라 개발 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 보수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주유소 진입 전 차량과 서버 간 통신을 통해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미리 전달하고, 주유소 진입 시 미리 전달된 정보로 자동 결제 처리를 함으로써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한,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유소의 각 주유기 바다 전자 결제를 위한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서버를 통해 전자 결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이 증대되고 설비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에 연동된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결제 화면을 통해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유 이벤트는, 차량의 잔여 연료량이 최저 기준인 제1 연료량 또는 사용자의 주유 패턴에 따른 제2 연료량 미만인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결제 화면을 통해 선택된 주유량에 따른 결제요금 및 결제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은, 상기 주유 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화면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는, 차량의 식별정보, 잔여 연료량 정보, 현재 위치(GPS)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는, 추천 주유소 리스트, 주유소 상호명, 기본 요금, 차량의 잔여 연료량 및 주유량에 따른 주유 요금 정보 및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센서 및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도착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로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확인된 차량 위치 및 주유소 위치와, 상기 센서로부터 확인된 기어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유소 도착 알림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은, 상기 안내 화면 및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어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차량 단말,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 주유소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는, 추천 주유소 리스트, 주유소 상호명, 기본 요금, 차량의 잔여 연료량 및 주유량에 따른 주유 요금 정보 및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사전에 고객 DB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차량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유소 결제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주유량에 따른 결제요금 및 결제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가 진행되면 상기 서비스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주유 완료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은, 상기 차량 단말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서버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 주유소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주유소 진입 전 차량과 서버 간 통신을 통해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미리 전달하고, 주유소 진입 시 미리 전달된 정보로 자동 결제 처리를 함으로써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소의 각 주유기 바다 전자 결제를 위한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서버를 통해 전자 결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이 증대되고 설비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주유 이벤트 확인 과정에 대한 세부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 안내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완료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이하에서는 '결제 처리 시스템'이라 칭하도록 한다.)은 차량 단말(100), 서버(200), 게이트웨이(300) 및 서비스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 단말로서, 서비스 이용 요금의 전자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 모듈을 구비한다. 이때, 결제 처리 모듈은 서비스 이용 시에 사전에 등록된 혹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결제 수단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 요금을 결제한다.
일 예로, 차량 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서버(200)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차량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된 주유소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 요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단말(100)은 차량이 주유소에 진입하기 전에 선택된 주유소를 대상으로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주유 요금을 사전 결제할 수 있다.
이에, 차량 단말(10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서버(200)는 주유 이벤트가 발생한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의 결제 이력을 확인하여 주유소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100)로부터 주유 정보 및 결제 정보와 함께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주유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
서버(200)는 주유 요금의 결제를 요청한 차량이 주유소 진입 전이면, 수신된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대기하고 있다가 해당 차량의 주유소 진입이 확인되면 미리 저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주유 요금의 결제를 자동으로 승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휴사, 예를 들어,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400)과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연동되어 차량 단말(100)이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요금을 확인하고 차량 단말(100)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의 결제 정보를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서비스 단말(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을 이용하는 고객(사용자)이 사전에 등록한 정보를 고객 DB(235)에 등록하고, 고객 DB(235)에 등록된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단말(100)이 요청한 요금 결제를 처리한다. 서버(200)는 각 고객 별로 주유소의 결제 이력 정보를 고객 DB(235)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단말(400)은 주유소에 배치된 각 주유기 또는 포스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단말(400)은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서버(200)와 연동되어 정보를 공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제어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센서(130), 내비게이션(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결제 처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100)의 제어부(110) 및 결제 처리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차량 단말(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차량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센서(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130)는 차량의 잔여 연료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130)는 차량의 기어단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130)는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140)은 복수의 위성들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탐색하고 탐색된 위치를 안내한다.
또한, 내비게이션(140)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맵에 등록된 주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40)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유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40)은 차량 단말(100)의 현재 위치 및 주유소의 위치를 비교하여 주유소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제어유닛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차량에 구비된 센서(13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내비게이션(140)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 주유소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서버(2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차량 단말(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통신부(150)를 통해 센서(130) 및/또는 내비게이션(14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이벤트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미리 등록된 결제 수단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안내 화면 및/또는 결제 화면 등을 구성하고, 결제 여부를 판단하고, 결제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위한 명령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6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의 시동 온(on) 상태가 되면, 센서(130)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주유 이벤트는 센서(130)에 의해 검출된 잔여 연료량이 최저 기준인 제1 연료량 미만인 경우(경고등 점등 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주유 이벤트는 센서(130)에 의해 검출된 잔여 연료량이 제1 연료량 이상이지만 사용자의 평상 시 주유 패턴에 따른 제2 연료량(주유 패턴 연료량) 미만인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주유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차량의 상태 정보는 차량의 식별정보, 잔여 연료량 정보, 현재 위치(GPS) 정보 및/또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서버(200)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에 따른 주유소 안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주유소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소 안내 정보는 추천 주유소 리스트, 주유소 상호명, 기본 요금, 자차량의 잔여 연료량 및 주유량에 따른 주유 요금 정보 및 할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센서(130) 및 내비게이션(14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도착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내비게이션(140)으로부터 확인된 차량의 위치가 주유소 위치 또는 주유소로부터 정해진 거리 내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어단이 P단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차량이 주유소 위치에서 P단으로 변경된 경우 주유소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주유소 도착 이벤트 발생 시, 서버(200)로 주유소 도착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결제 처리부(17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처리부(170)는 안내 화면에 표시된 추천 주유소 리스트 중 선택된 주유소의 정보 및 차량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170)는 결제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주유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와 함께 해당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결제 처리부(170)는 서버(200)로부터 승인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승인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완료 화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정보 안내부(240) 및 승인 처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제어부(210), 정보 안내부(240) 및 승인 처리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차량 단말(10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서비스 단말(40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서버(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230)는 내부에 고객 DB(235)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30)는 고객 DB(235)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23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고객 DB(235)로부터 해당 차량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에 대응하여 기록된 주유소 이용 정보 및 결제 이력을 확인한다.
정보 안내부(240)는 제어부(210)에 의해 확인된 주유소 이용 정보 및 결제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 주유소 리스트 및 추천 주유소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유소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유소 안내 정보를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 물론, 정보 안내부(240)는 주유소의 결제 이력이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추천 주유소가 차량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 차량의 이동 경로 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주유소를 추천 주유소로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정보 안내부(240)는 해당 주유소의 연료 타입별 기본요금을 확인하고, 차량의 연료 타입 및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주유량 별 주유 요금을 산정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안내부(240)는 고객 DB(235)에 등록된 차량의 주유소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평균 주유량을 확인하고 평균 주유량에 따른 주유 요금을 산정하여 안내할 수도 있다.
승인 처리부(25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주유소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 결제 인증 정보, 멤버쉽 정보 및/또는 포인트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승인 처리부(250)에 의해 결제가 진행되면,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400)로 주유 시작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승인 처리부(250)는 서비스 단말(400)로부터 해당 차량에 대한 주유 완료 정보가 확인되면, 결제를 승인한다. 승인 처리부(250)는 해당 차량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승인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승인 완료 정보를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저장한 이후 정해진 시간 내에 차량 단말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결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 단말의 결제 정보를 삭제한 이후에 차량 단말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백그라운드를 통해 차량 단말로 결제 정보를 요청하고 차량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재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100) 및/또는 서버(200)는 메모리와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사전에 정의된 주유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S110), 차량의 식별정보, 잔여 연료량 정보, 현재 위치(GPS) 정보 및/또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20).
서버(200)는 'S120' 과정에서 수신된 정보로부터 차량 정보를 인식하고(S130), 인식된 차량에 대해 저장된 결제 이력을 확인한다(S140). 'S140' 과정에서, 서버(200)는 해당 차량에 대한 주유소 결제 이력을 확인하도록 한다.
서버(200)는 'S140' 과정에서 확인된 주유소 결제 이력과, 'S120' 과정에서 수신된 차량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유소 안내 정보를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S150).
이에, 차량 단말(100)은 'S150' 과정을 통해 수신된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 안내 화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160). 여기서, 주유 안내 화면에 대한 실시예는 도 7a를 참조한다.
도 5는 도 4의 'S110' 과정에 대한 세부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시동 온(ON) 상태가 되면(S111), 센서(130)를 통해 차량의 잔여 연료량(A)을 확인한다(S112). 이때, 차량 단말(100)은 'S112' 과정에서 확인된 잔여 연료량(A)이 기준 연료량(α) 미만인 경우(경고등 점등 시)(S113), 주유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116).
한편, 차량 단말(100)은 'S113' 과정에서 'S112' 과정에서 확인된 잔여 연료량(A)이 기준 연료량(α) 이상인 경우, 차량의 주유 패턴 연료량(β)을 확인한다(S114). 이때, 차량 단말(100)은 잔여 연료량(A)이 'S114' 과정에서 확인된 주유 패턴 연료량(β) 미만인 경우(S115), 주유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116).
차량 단말(100)은 'S115' 과정에서 잔여 연료량(A)이 주유 패턴 연료량(β)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주유 이벤트가 발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단말(100)은 실시간 혹은 일정 주기마다 'S112' 내지 'S116 과정을 수행하며 주유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도 5의 주유 안내 화면으로부터 주유 요금 결제를 위한 주유소가 선택되고(S210), 결제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주유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S220), 'S220' 과정에서 입력된 주유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주유소 결제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230).
이에, 서버(200)는 'S230' 과정에서 수신된 주유소 결제 정보를 해당 차량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한다(S240). 이후, 서버(200)는 해당 차량으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이 수신될 때까지 결제 대기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 안내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을 참조하면, 주유 안내 화면(711)은 추천 주유소의 정보(7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주유소의 정보(715)는 해당 주유소의 상호명(예, oooo 주유소), 기본 요금(예, [휘발유] 1200원/리터), 잔여 연료량(예, 5%) 및 주유 요금(예, 30% 도달 시 - 13,500원/ 50% 도달 시 - 24,300원/ Full - 51,300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도 7a와 같이 주유 안내 화면(711)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에, 도 7b와 같이 주유 안내 화면에 포함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요금 결제 진행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725)를 포함하는 안내 화면(721)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안내 화면(721)의 '예' 버튼(727)이 선택되면 도 8a 및 도 8b의 결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아니오' 버튼(729)이 선택되면 안내를 종료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결제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단말(100)은 도 7a 및 도 7b의 안내 화면을 통해 선택된 주유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화면(811)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여기서, 결제 화면(811)은 주유소 상호명, 연료 타입, 주유량, 선택된 주유량에 따른 결제요금 및 결제 카드 등에 대한 메시지(8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결제 화면(811) 상의 결제 요청(817) 버튼이 조작되면, 도 8b와 같은 결제 인증 화면(821)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결제 인증 화면(821)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하여 요금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 입력창(823), 멤버쉽 및/또는 포인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825) 및 키 입력창(735) 및 키 입력창(7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는 도 6에서 서버에 주유소 결제 정보가 저장된 이후에 주유소 도착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주유소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S310),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320).
여기서, 차량 단말(100)은 센서(130)로부터 검출된 기어단 정보 및 내비게이션(14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차량이 주유소 위치에서 P단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주유소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도 6의 'S240' 과정에서 주유소 결제 정보를 저장한 이후 'S320' 과정과 같이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주유소 결제 정보를 호출하여(S330), 자동으로 결제를 진행한다(S340).
서버(200)는 차량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가 진행되면, 해당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400)로 주유 시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350). 이에, 서비스 단말(400)은 차량 단말(100)로 주유 시작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단말(400)은 차량의 주유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서비스 단말(400)로부터 차량의 주유 상태를 확인하고, 주유 완료 정보가 확인되면(S360), 해당 차량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S370). 서버(200)는 'S370' 과정에서의 결제 승인 완료 정보를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S380).
이에, 차량 단말(100)은 'S380' 과정에서 수신된 결제 승인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완료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90). 결제 완료 화면의 실시예는 도 10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제 완료 화면(1011)은 “주유 요금 24,300원 결제가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10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S160' 과정의 주유 안내 화면 이후 결제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거나, 이전에 주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유소 도착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100)은 주유소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S410),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420).
이때, 서버(200)에는 차량 단말(100)로부터의 주유소 결제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서버(200)는 'S420' 과정에서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인식한다(S430). 이후,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400)에 차량 정보 및 주유 정보가 입력되고, 서비스 단말(400)로부터 서버(200)로 해당 차량에 대한 주유 요금의 결제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S450), 서버(200)는 'S450' 과정에서 수신한 결제 요청 신호를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S460).
이에, 차량 단말(100)은 'S460' 과정에서 수신된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470).
결제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S480), 차량 단말(100)은 'S480' 과정에서 입력된 결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한다(S490).
이에, 서버(200)는 'S490' 과정에서 수신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다(S500).
서버(200)는 차량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가 진행되면, 해당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400)로 주유 시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510). 이에, 서비스 단말(400)은 차량 단말(100)로 주유 시작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단말(400)은 차량의 주유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서비스 단말(400)로부터 차량의 주유 상태를 확인하고, 주유 완료 정보가 확인되면(S520), 해당 차량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S530). 서버(200)는 'S530' 과정에서의 결제 승인 완료 정보를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S540).
이에, 차량 단말(100)은 'S540' 과정에서 수신된 결제 승인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완료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55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해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단말 110: 제어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센서
140: 내비게이션 150: 통신부
160: 저장부 170: 결제 처리부
200: 서버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235: 고객 DB 240: 정보 안내부
250: 승인 처리부 300: 게이트웨이
400: 서비스 단말

Claims (20)

  1.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에 연동된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결제 화면을 통해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결제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유 이벤트는,
    차량의 잔여 연료량이 최저 기준인 제1 연료량 또는 사용자의 주유 패턴에 따른 제2 연료량 미만인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결제 화면을 통해 선택된 주유량에 따른 결제요금 및 결제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유 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화면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는,
    차량의 식별정보, 잔여 연료량 정보, 현재 위치(GPS)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는,
    추천 주유소 리스트, 주유소 상호명, 기본 요금, 차량의 잔여 연료량 및 주유량에 따른 주유 요금 정보 및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센서 및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도착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로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확인된 차량 위치 및 주유소 위치와, 상기 센서로부터 확인된 기어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유소 도착 알림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 화면 및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10. 차량에 구비되어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차량 단말;
    주유소의 서비스 단말;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 주유소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는,
    추천 주유소 리스트, 주유소 상호명, 기본 요금, 차량의 잔여 연료량 및 주유량에 따른 주유 요금 정보 및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전에 고객 DB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차량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유소 결제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주유량에 따른 결제요금 및 결제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가 진행되면 상기 서비스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주유 완료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16. 차량 단말, 서비스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결제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단말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주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서버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 주유소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주유소 도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차량의 잔여 연료량과 최저 기준인 제1 연료량 및 사용자의 주유 패턴에 따른 제2 연료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잔여 연료량이 상기 제1 연료량 또는 상기 제2 연료량 미만인 경우 상기 주유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전에 고객 DB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차량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차량에 대응하여 저장된 주유소 결제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유소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주유소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의 주유 요금에 대한 결제 화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화면을 통해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가 진행되면 상기 서비스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주유 완료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요금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KR1020180126936A 2018-10-23 2018-10-23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5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36A KR20200045874A (ko) 2018-10-23 2018-10-23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6/397,175 US20200126057A1 (en) 2018-10-23 2019-04-29 Vehicle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using vehicle terminal
DE102019207098.1A DE102019207098A1 (de) 2018-10-23 2019-05-16 Fahrzeugendgerät sowie system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r zahlung unter verwendung des fahrzeugendgeräts
CN201910405597.0A CN111091361A (zh) 2018-10-23 2019-05-16 车辆终端、以及使用车辆终端处理支付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36A KR20200045874A (ko) 2018-10-23 2018-10-23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74A true KR20200045874A (ko) 2020-05-06

Family

ID=7028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36A KR20200045874A (ko) 2018-10-23 2018-10-23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26057A1 (ko)
KR (1) KR20200045874A (ko)
CN (1) CN111091361A (ko)
DE (1) DE1020192070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4180A (zh) * 2020-08-29 2021-01-01 微码科技咸宁有限公司 一种充能站支付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8376A (zh) * 2023-05-09 2023-06-06 车主邦(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到站提醒功能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介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8008B1 (en) * 1998-04-09 2002-01-08 Mobil Oil Corporation Robotic vehicle servicing system
KR20010094602A (ko) * 2000-03-31 2001-11-01 유승렬 주유소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69580A (ko) * 2004-12-17 200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유경보에 따른 주유소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3910B1 (ko) * 2005-12-30 2008-02-1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셀프 주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 및 주유소시스템
CA2754159C (en) * 2009-08-11 2012-05-15 Certusview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plex event processing of vehicle-related information
US8315788B2 (en) * 2010-05-19 2012-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refueling
KR101207338B1 (ko) * 2011-03-25 2012-12-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주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726B1 (ko) * 2013-06-24 2015-11-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유소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10235710B2 (en) * 2013-06-25 2019-03-19 Sears Brand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canning items and delivery to fitting room
KR101607674B1 (ko) * 2014-03-14 2016-03-31 비씨카드 주식회사 주유소 추천 방법 및 카드사 서버
KR101660103B1 (ko) * 2014-04-22 2016-09-30 중소기업은행 주유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352947A1 (en) * 2014-06-04 2015-12-10 Purple Services, Inc. Device and system for automotive refueling
KR102420131B1 (ko) * 2015-03-18 2022-07-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KR101820135B1 (ko) * 2015-10-02 2018-01-18 주식회사 경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54992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KR101703630B1 (ko) * 2015-12-10 2017-02-07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식별번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6447306A (zh) * 2016-07-07 2017-02-22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安徽销售分公司 一种基于微信支付的快捷加油支付方法
KR20180126936A (ko) 2017-05-19 2018-11-2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밤 내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세포의 세포사멸 유도용 조성물
CN108520416A (zh) * 2018-03-02 2018-09-11 深圳市喂车科技有限公司 一种加油结算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4180A (zh) * 2020-08-29 2021-01-01 微码科技咸宁有限公司 一种充能站支付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1361A (zh) 2020-05-01
US20200126057A1 (en) 2020-04-23
DE102019207098A1 (de)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791B2 (en) Selecting a messaging protocol for transmitting data in connection with a location-based service
US10580001B2 (en) Vehicle transaction data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device
US10579988B2 (en) In-vehicle data entry
US201000881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Transactions
JP5903184B1 (ja) 充電制御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充電制御方法
KR20170104153A (ko) 멀티 레이어 인증을 이용한 오퍼 기반 거래 및 비콘 기반 디지털 거래에 대한 비콘 기반 내비게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37796A1 (en) Payment message routing using geo-location
KR20100009150A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082392A1 (en) Geolocation-based payment platforms for ride-sharing transportation
CN106575403B (zh) 信息提供系统、显示控制装置、信息设备以及信息提供方法
KR20200045874A (ko)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0923A (ko) 군집 주행 제어 장치, 서버 및 그 방법
KR102463053B1 (ko) 통합 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4078284A (zh) 车辆费用支付方法、终端、服务器、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000200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control method
KR20160105200A (ko)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US11443561B2 (en) Vehic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processing using vehicle device
KR20200111449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310621B1 (ko)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US20200172388A1 (en) Gas pump identification system using senso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75536B1 (ko) 스마트 무인 주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88205B1 (ko) 유가 변동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주유소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33854B1 (ko)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5669488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60612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