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449A -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449A
KR20200111449A KR1020190031106A KR20190031106A KR20200111449A KR 20200111449 A KR20200111449 A KR 20200111449A KR 1020190031106 A KR1020190031106 A KR 1020190031106A KR 20190031106 A KR20190031106 A KR 20190031106A KR 20200111449 A KR20200111449 A KR 20200111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user
delivery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586B1 (ko
Inventor
차순진
양지윤
Original Assignee
차순진
양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순진, 양지윤 filed Critical 차순진
Priority to KR102019003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5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 입력을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를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소를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Address input method, server and program u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주소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의 규모가 급증하면서, 2018년을 기준으로 국내 온라인 쇼핑 규모가 100조원 이상이 되었고, 몇년 안에 200조 이상의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면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매번 주소를 새로 입력하거나 쇼핑몰 자체에 저장된 주소록을 이용하고 있는데,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도 빈번하고, 쇼핑몰의 종류가 다양해졌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직접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친구나 부모님과 같이 본인의 주소가 아닌 다른 사람의 주소로 물품을 선물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주소를 입력하기가 더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수 많은 쇼핑몰 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간편결제와 같이 결제를 통합해주는 시스템은 존재하지만, 주소를 입력해주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이 이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또한, 쇼핑몰과 같은 사이트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경우, 해당 사이트에 저장된 사용자의 각종 정보들이 함께 노출된다는 문제점도 존재?K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수 많은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를 입력해줄 수 있는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 입력을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를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소를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주소를 선택받아 복수의 주소로 물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계정에 친구의 주소를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친구들의 주소를 주소 입력란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계정의 주소록에 저장된 주소로 내비게이션을 안내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상기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 정보는, 주소(Address), 연락처,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서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상기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 정보는, 주소(Address), 연락처,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 입력을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계정에 저장된 주소를 선택하도록 하여, 웹/넷 상에서 주소 입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계정의 주소록의 주소를 통해 복수의 배송지를 입력할 수도 있고, 친구의 주소를 배송지로 입력함으로써 본인 이외의 주소들도 통합적으로 관리해주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게정의 주소록에 저장된 주소를 내비게이션 목적지로 활용함으로써, 배송지 입력 이외에도 내비게이션 장치/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주소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주소를 내비게이션에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소를 입력한 후 해당 물품의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해외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주소 입력을 요청할 경우, 주소 정보를 변환하여 입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온라인 상으로 주소를 입력하는 것은 온라인 쇼핑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므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쇼핑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온라인 사이트를 이용하면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매번 주소를 새로 입력하거나, 해당 사이트에 저장된 주소록을 이용하고 있는데,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도 빈번하고, 수 많은 온라인 사이트 내에 주소록을 일일이 저장하지 못하여 직접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친구나 부모님과 같이 본인의 주소가 아닌 다른 사람의 주소로 물품을 선물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주소를 입력하기가 더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다른 분야를 예로 들면, 수 많은 쇼핑몰 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며 네이버 결제, 삼성 페이 등과 같이 결제를 통합해주는 시스템이 존재하여 상용화 되었지만, 주소를 입력해주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이 이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특히나, 쇼핑몰과 같은 사이트의 개인정보 누출 사례 등으로 비추어 볼 때, 각종 사이트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주소 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이 안전하지 못하는 인식이 팽배해졌다.
이에, 본 출원인은 쇼핑몰과 같은 웹사이트 내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주소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이를 중개하여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방법을 안출하게 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보낸 사용자의 단말(200)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은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사이트일 수 있으며, 쇼핑몰에 한정되지 않고 주소를 입력하는 주소 입력 체계가 존재하는 사이트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웹 사이트, 애플리케이션은 서버(10)와 제휴된 곳으로, 주소 입력 체계에 주소입력 요청버튼이 함께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가 단말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설치 url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관한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10)에서는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발송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인식하고, 신호를 발송한 사용자를 체크하여,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계정으로 알림 메시지(팝업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주소 정보를 선택하여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는 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입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서버(10)를 기반으로 하여 상술한 흐름을 통해 주소 정보를 입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서버(10)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적으로 주소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버(10)의 수신부(113)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S510단계)
서버(10)의 로딩부(150)는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발송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 대한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로딩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10)의 로딩부(150)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로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200)로 가입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서버(10)의 전송부(115)가 해당 사용자의 단말(200)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S530단계)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림 메시지, 푸쉬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주소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주소 이외에 사용자가 주소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 계정에 주소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도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S530단계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록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S53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주소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60) 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160)에는 도 3과 같이 사용자 본인에 대한 정보, 주소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사용자는 친구들의 정보와 각각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소록 리스트는 사용자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친구의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친구가 서로 간의 정보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와 사용자의 친구의 주소 정보를 매칭하여 서로 간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친구1이 서로 간의 정보공유를 설정해놓은 경우, 친구1이 이사하여 본인의 사용자 계정의 주소지를 변경한 경우, 서버(10)가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친구리스트에 저장된 친구1의 주소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사용자 계정의 주소록 리스트에는 친구의 정보, 주소록 이외에도 맛집, 거래처 등과 같은 정보, 주소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맛집이 선택되면 해당 맛집에 대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남긴 후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소록 리스트 출력 단계(S537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정보, 주소록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은 각종 개인정보를 노출하는 것이므로,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주소록 리스트 출력 단계(S537단계) 이전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 설정된 본인인증 방법을 통해 사용자 본인 여부를 인증한다. (S533단계)
이때, 본인인증 방법은 통신사 인증방법, SMS 인증 방법, 사용자 단말(200)에 설정된 생체 인증 방법, 암호 인증 방법, 패턴 인증 방법 등을 포함하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S530단계 다음으로, 서버(10)의 수신부(113)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한다. (S550단계)
S5503단계 다음으로, 서버(10)의 입력부(120)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사용자 주소 입력란에 상기 주소 정보를 입력한다. (S570단계)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주소 정보가 수신될 수도 있으며, 서버(10)의 입력부(120)는 복수의 주소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입력란에 복수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개의 물품의 배송지에 대한 주소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로부터 3개의 주소 정보를 선택받은 경우, 입력부(120)는 3개의 배송 주소 입력란에 3개의 주소를 입력하여 3개의 물품이 각각 서로 다른 배송지로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소 입력 단계(S570단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의 국가가 해외인 경우, 변환부(140)가 주소 정보를 해당 언어와 주소 입력 형식에 따라서 변환하여 입력하는 단계,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국문 정보를 로딩하고, 변환부(140)가 해당 언어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해외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주소 입력을 요청할 경우, 주소 정보를 변환하여 입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Amazon.com'에서 물품을 구매하고 배송지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주소를 선택하여 서버(10)가 주소 정보를 입력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된 사용자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주소 정보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5길, 15-5 IT빌딩 5층, 우편번호: 06131이다.
이에 대하여 서버(10)의 변환부(140)는 해당 주소를 영문으로 변환하고, 해당 웹사이트/어플리케이션(amazon.com)의 주소 입력 체계에 맞게 변환하여 입력하였다.
또한, 사용자는 Message란에 '부재시 경비실에 맡겨주세요.'라는 메시지를 기재하였고, 서버(10)는 이를 변환하여 'Please leave it in the guard room when you are not there.'으로 입력하게 된다.
상술한 동작을 위해서,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60)에는 복수의 사이트들에 대한 주소 입력 체계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소입력 요청신호가 발송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입력체계를 분석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배송 대행지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들어, 해외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남에 따라서 해외 배송을 대행해주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어떠한 배송 대행지를 이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모르기 때문에 해외 직구를 꺼려하는 사람들도 있다.
따라서, 서버(10)는 사용자의 정보, 사용자가 구매하는 물품, 사이트의 특징들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배송 대행지를 추천해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1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리스트에 배송 대행지 추천버튼을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배송 대행지 추천버튼이 클릭되면,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서 구매하는 물품의 배송이 시작되는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송 대행지까지의 거리와 배송일정, 상기 배송 대행지로부터 사용자의 주소까지의 거리와 배송 일정, 상기 배송 대행지에서 부과되는 세금제도, 물품의 무게와 종류에 따른 배송 대행지에서 부과하는 배송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배송 대행지를 선택하여 물품 구매 페이지의 배송주소란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배송 기간 조건을 최우선으로 선택받은 경우, 해당 물품의 배송이 시작되는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송 대행지까지의 거리와 배송일정, 배송 대행지로부터 사용자의 주소까지의 거리와 배송 일정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배송 일정이 짧은 배송 대행지가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로부터 요금 조건을 최우선으로 선택받은 경우, 배송 대행지에서 부과되는 세금제도, 배송 대행지에서 물품의 종류와 무게에 따라 부과하는 배송비를 고려하여 요금이 적은 배송 대행지가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가 사용자로부터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을 요청받을 경우, 로딩부(150)가 외부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발급받아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의 입력부(120)는 주소 정보 입력 단계(S570단계)에서 사용자 주소 정보 입력란에 개인통관고유부호 입력창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로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소를 입력한 후 해당 물품의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사용자가 주소 정보를 입력한 사이트가 쇼핑몰과 같이 물품을 구매하고 배송받는 사이트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물품의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소 정보 입력 단계(S570단계) 다음에, 주소 정보 입력 단계에서 주소 정보 입력란이 배송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주소 정보를 입력한 후 구매 물품의 배송이 시작된 것이 감지되면 로딩부(150)가 배송 송장번호를 로딩하는 단계, 로딩부(150)가 상기 송장번호를 통해 상기 구매 물품의 배송상태를 로딩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구매 물품을 발송하는 지역으로부터 주소 정보와 매칭되는 지역에 배송된 복수의 사용자의 배송 내역으로부터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서버(10)의 통계부(130)는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배송정보로부터 특정 출발지로부터 특정 도착지까지의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계부(130)는 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특정 물품을 구매하면 사용자의 물품이 배송을 시작하는 지점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까지 도착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예상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배송지 변경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배송 시스템은 사용자가 주소 정보를 잘못 입력하였거나, 주소 정보를 변경하고 싶더라도, 물품을 수령한 후에 반품하는 것만 가능하였을 뿐, 도중에 배송지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송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가 배송지를 변경하길 윈하는 경우 배송지가 변경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가능한 경우 이를 변경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1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배송지 변경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상품의 배송 출발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상품이 배송 전인 경우 해당 상품의 배송 주소를 변경한다.
이때, 해당 상품이 배송 출발된 경우, 해당 상품의 현재 위치나 하나 이상의 다음 목적지를 검색하고, 배송 업체 서버(10)로 배송지 변경을 요청하며, 배송지 변경이 가능한 경우, 배송지 변경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 프린터를 통해 배송 주소가 변경된 송장을 출력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주소록 리스트를 선택하여 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소전송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된 대상에게 주소 정보를 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를 통해 A 사용자가 B 사용자에게 C의 주소 정보를 전달하려 할 때, 주소 전달 버튼(주소전송 요청신호)가 클릭되면 서버(10)가 주소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A 사용자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C의 주소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서버(10)가 C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카카오톡 메신저로 제공하여 A 사용자가 B 사용자에게 C의 주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주소를 내비게이션에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는 네이게이션 장치/어플리케이션의 경유지, 목적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10)의 수신부(113)가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10)의 전송부(115)가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서버(10)의 입력부(120)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상기 주소 정보를 목적지 또는 경유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친구, 직장 동료, 거래처 등을 방문하려고 할 때,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소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주소록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해당 주소를 목적지 또는 경유지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서버(1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함으로부터 정보를 로딩하여 사용자 계정의 주소록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명함 스캐닝 버튼이 클릭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부를 턴온(Turn-on)하고, 인식된 명함에서 이름, 직함,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정보를 로딩하고, 사용자 계정의 친구 주소록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서버(1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서버(1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의 단말(200)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12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상기 주소 정보를 입력한다.
로딩부(150)는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발송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 대한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로딩하고,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로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200)로 가입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160)는 사용자 본인에 대한 정보, 주소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친구들의 정보, 주소 정보가 저장된 친구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다.
변환부(140)는 주소입력 요청신호가 발송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의 국가가 해외인 경우, 주소 정보를 해당 언어와 주소 입력 형식에 따라서 변환한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변환부(140)가 변환한 내용을 주소 입려란에 입력하게 된다.
통계부(130)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배송정보로부터 특정 출발지로부터 특정 도착지까지의 통계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특정 물품을 구매하면 사용자의 물품이 배송을 시작하는 지점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까지 도착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예상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서버(10)는 도 1 내지 도 7를 통해 설명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과 발명의 카테고리만 다를 뿐, 동일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 예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서버
110: 통신부
113: 수신부
115: 전송부
120: 입력부
130: 통계부
140: 변환부
150: 로딩부
16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상기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 정보는,
    주소(Address), 연락처,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록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소록 리스트는,
    사용자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친구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친구가 서로 간의 정보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와 사용자의 친구의 주소 정보를 매칭하여 서로 간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리스트 출력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 설정된 본인인증 방법을 통해 사용자 본인 여부를 인증하되, 상기 본인인증 방법은 통신사 인증 방법, SMS 인증 방법,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생체인증 방법, 암호 인증 방법, 패턴 인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본인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목적지 또는 경유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소전송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된 대상에게 상기 주소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블록체인 지갑주소를 제공하며,
    상기 주소 정보 입력 단계 다음에,
    주소 입력 서비스 이용의 보상으로 상기 사용자의 지갑주소로 소정의 토큰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 입력 단계 다음에,
    상기 주소 정보 입력 단계에서 주소 정보 입력란이 배송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입력한후 구매 물품의 배송이 시작된 것이 감지되면 배송 송장번호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송장번호를 통해 상기 구매 물품의 배송상태를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 물품을 발송하는 지역으로부터 상기 주소 정보와 매칭되는 지역에 배송된 복수의 사용자의 배송 내역으로부터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의 국가가 해외인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해당 언어와 주소 입력 형식에 따라서 변환하여 입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국문 정보를 로딩하고, 해당 언어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리스트에 배송 대행지 추천버튼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배송 대행지 추천버튼이 클릭되면, 사용자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서 구매하는 물품의 배송이 시작되는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송 대행지까지의 거리와 배송일정, 상기 배송 대행지로부터 사용자의 주소까지의 거리와 배송일정, 상기 배송 대행지에서 부과되는 세금제도, 물품의 무게와 종류에 따른 배송 대행지에서 부과되는 배송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배송 대행지를 선택하여 상기 물품 구매 페이지의 배송주소란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을 요청받을 경우, 외부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발급받아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단계는,
    입력부가 사용자 주소 정보 입력란에 개인통관고유부호 입력창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로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배송지 변경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상품의 배송 출발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상품이 배송 전인 경우 해당 상품의 배송 주소를 변경하고,
    해당 상품이 배송 출발된 경우, 해당 상품의 현재 위치와 하나 이상의 다음 목적지를 검색하고, 배송 업체 서버로 배송지 변경을 요청하며, 배송지 변경이 가능한 경우, 배송지 변경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 프린터를 통해 배송 주소가 변경된 송장을 출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12.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소입력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소선택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의 주소 입력란에 상기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 정보는,
    주소(Address), 연락처,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서버.
  13.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주소 입력 프로그램.
KR1020190031106A 2019-03-19 2019-03-1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23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06A KR102239586B1 (ko) 2019-03-19 2019-03-1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06A KR102239586B1 (ko) 2019-03-19 2019-03-1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49A true KR20200111449A (ko) 2020-09-29
KR102239586B1 KR102239586B1 (ko) 2021-04-13

Family

ID=7266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06A KR102239586B1 (ko) 2019-03-19 2019-03-1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241A (ko) * 2021-03-16 2022-09-23 최현수 송장 자동 출력 장치 및 방법
WO2024048823A1 (ko) * 2022-09-02 2024-03-07 쿠팡 주식회사 주소 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70B1 (ko) 2007-10-05 200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1326A (ko) * 2013-08-20 2015-03-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거래를 위한 개인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상거래를 위한 개인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08655A (ko) * 2015-03-04 2016-09-20 주식회사 엠드림커뮤니케이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02240B1 (ko) * 2015-11-05 2017-02-03 고권석 전자상거래에서의 물품 배송 요금 산출 시스템
KR20180047855A (ko) * 2016-11-01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배송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70B1 (ko) 2007-10-05 200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1326A (ko) * 2013-08-20 2015-03-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거래를 위한 개인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상거래를 위한 개인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08655A (ko) * 2015-03-04 2016-09-20 주식회사 엠드림커뮤니케이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02240B1 (ko) * 2015-11-05 2017-02-03 고권석 전자상거래에서의 물품 배송 요금 산출 시스템
KR20180047855A (ko) * 2016-11-01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배송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241A (ko) * 2021-03-16 2022-09-23 최현수 송장 자동 출력 장치 및 방법
WO2024048823A1 (ko) * 2022-09-02 2024-03-07 쿠팡 주식회사 주소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586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5243B2 (ja) 車共有ユーザ仲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653576B2 (en) Method for pricing items
JP605611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0463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150310470A1 (en) Location-based crowdsourced funds
WO2011115010A1 (ja) サーバ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情報提供方法、端末装置、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端末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223958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141891A (ko)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90197539A1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setting condition of card use, card company server and user terminal
KR102304997B1 (ko)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785020A (zh) 确定广告转化
US20160078463A1 (en) Referral based marketing system
KR102400828B1 (ko) 예술 창작물의 소유자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7125A (ko) ''url-nfc카드''의 인터넷 전용사이트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시스템과 사업방법
KR101751038B1 (ko) 연계 광고 제공 서버, 연계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169181B1 (ko)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결제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대행 서버와 그 제어방법
US20180204272A1 (en) Enabling Secure End-User Purchases From Email
JP7318131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76586A (ko) 공유아이디 이용하는 유선온라인상거래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150771B1 (ko) 소셜 보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50145B1 (ko)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90109322A (ko) 주소 자동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주소 자동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인정보 관리 서버 및 주소 자동 입력 방법
KR20170047954A (ko) 잠금 패턴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KR100620830B1 (ko) 온라인 서비스의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돕는 방법
KR101798459B1 (ko)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제3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