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655A -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655A
KR20160108655A KR1020150030442A KR20150030442A KR20160108655A KR 20160108655 A KR20160108655 A KR 20160108655A KR 1020150030442 A KR1020150030442 A KR 1020150030442A KR 20150030442 A KR20150030442 A KR 20150030442A KR 20160108655 A KR20160108655 A KR 2016010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ersonal information
server
us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627B1 (ko
Inventor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드림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드림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드림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5003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6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USER INDIVIDU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VERIFYING PERSONAL IDENTITY}
본 발명은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사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본인 확인 정보만으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특정 서버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서버를 통하여 본인 확인이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가 특정 서버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버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기재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1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인 신용 카드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예컨대, 신용 카드를 발급받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신용 카드사 서버(1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수행된 후,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개인 정보를 신용 카드사 서버(120)로 입력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신용 카드사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130)로 전달하고, 통신사 서버(13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에 따라,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개인 정보를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신용 카드사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개인 정보를 더 입력 받는 과정에서, 입력 받는 사용자 개인 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인증(예컨대, SMS 또는 ARS를 통한 추가적인 투 채널 인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한 본인 확인 정보 입력 및 사용자 단말(110)에 의한 추가적인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이 항상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입력 받는 사용자 개인 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인증도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의한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생략하는 대신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사 서버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사 서버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수신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으로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사 서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에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인 확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성명,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시리얼 번호, UICC(Universal IC Card) 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번호 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성명,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생년월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주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우편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이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사 서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설정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사 서버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본인 확인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본인 확인 정보 전송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사 서버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에 의한 추가적인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이 수행되는 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수신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으로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가 제공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10),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 통신사 서버(230)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10)은 모바일 기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또는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는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버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는 사용자 단말(210)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이하, 사용자 개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성명,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생년월일,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주소,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우편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이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본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230)로 전송하여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사 서버(2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성명,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생년월일,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주소,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우편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이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본인 확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성명, 사용자 단말(210)의 고유 식별 번호(예컨대, 사용자 단말(210)의 단말 시리얼 번호, UICC(Universal IC Card) 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번호 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및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경우(구체적으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210)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고, 수행된 본인 확인 결과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에 저장되어 유지되다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저장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됨),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자동으로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이 때,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 정보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210)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획득되어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거나, 사용자 단말(21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어 획득될 수 있음)를 통신사 서버(230)로 전송하고,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는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기 직전에,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를 경유하여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본인 확인 정보를 통신사 서버(230)로 전송하여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통신사 서버(230)는 수신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통신사 서버(230)에서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위에서 상술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경우 또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되지 않은 경우 모두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통신사 서버(230)에서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에 따라,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사 서버(230)에서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한 결과,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10)의 본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210)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고, 수행된 본인 확인 결과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에 저장되어 유지되다가, 저장된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가 통신사 서버(23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결과, 사용자 단말(210)의 본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통신사 서버(23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로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10)의 본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23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로 본인 확인이 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단말(210)의 본인 확인이 수행되지 않았기에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람을 수신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에서,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획득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10)에 의한 추가적인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이 수행되는 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를 고려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통신사 서버(230)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와 무관하게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한 후,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240)는 사용자 단말(21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220)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1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경우의 일실시예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이전에, 미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이전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310)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고, 수행된 본인 확인 결과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경우,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 정보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310)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획득되어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거나, 사용자 단말(31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어 획득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획득된 본인 확인 정보를 통신사 서버(330)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통신사 서버(33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310)의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된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에 따라,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310)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고, 수행된 본인 확인 결과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저장되어 유지되다가, 저장된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가 통신사 서버(33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3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결과, 사용자 단말(310)의 본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330)는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통신사 서버(33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한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통신사 서버(330)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31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340)는 사용자 단말(31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320)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1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직전에,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의 다른 일실시예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되기 직전에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410)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1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획득된 본인 확인 정보를 통신사 서버(430)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통신사 서버(43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410)의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에 따라,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인 확인 정보가 통신사 서버(430)로 전달되어, 통신사 서버(430)에서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이 미리 수행된 결과, 사용자 단말(410)의 본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30)는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통신사 서버(43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사 서버(430)가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통신사 서버(430)로부터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통신사 서버(430)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통신사 서버(4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410)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로 더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41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440)는 사용자 단말(41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420)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10)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가 제공된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통신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510) 중 일부 영역(511)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520)를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5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510) 중 일부 영역(511)에는 위에서 상술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520)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510) 중 나머지 영역(512)에 입력되어야 할 사용자 개인 정보는 통신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빈 칸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가 사용자 개인 정보를 요청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정보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510)이 디스플레이 되기 이전에 별도의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 카드사 서버(610)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인 경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는 사용자 직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611)를 요구할 수 있고, 은행 서버(620)가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인 경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는 사용자 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621)를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를 기초로, 통신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인 신용 카드사 서버(610)가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611)의 종류에 기초하여, 통신사 서버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신용 카드사 서버(61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611)의 종류를 고려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사용자 직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신용 카드사 서버(610)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인 은행 서버(6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621)의 종류와 무관하게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한 후,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은행 서버(62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은행 서버(6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621)의 종류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는 은행 서버(62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621)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사용자 계좌 번호를 포함함)를 은행 서버(6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는 본인 확인 정보 획득부(710), 본인 확인 정보 전송부(720), 사용자 개인 정보 수신부(730)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740)를 포함한다.
본인 확인 정보 획득부(710)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본인 확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성명,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예컨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시리얼 번호, UICC 번호, IMEI 번호 또는 IMSI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인 확인 정보 획득부(71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를 경유하여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인 확인 정보 전송부(720)는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로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개인 정보 수신부(730)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한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성명,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생년월일,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주소,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우편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이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수신부(73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통신사 서버로부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 정보 수신부(730)는 통신사 서버에서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에 따라, 통신사 서버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 정보 수신부(730)는 통신사 서버에서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7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이 때,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7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740)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740)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740)는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TP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TP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TP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사 서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창에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성명,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시리얼 번호, UICC(Universal IC Card) 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번호 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성명,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생년월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주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우편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이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사 서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설정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더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13.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사 서버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시스템.
  14.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이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본인 확인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본인 확인 정보 전송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요청 서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서버.
KR1020150030442A 2015-03-04 2015-03-04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7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42A KR101672627B1 (ko) 2015-03-04 2015-03-04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42A KR101672627B1 (ko) 2015-03-04 2015-03-04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55A true KR20160108655A (ko) 2016-09-20
KR101672627B1 KR101672627B1 (ko) 2016-11-17

Family

ID=5710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442A KR101672627B1 (ko) 2015-03-04 2015-03-04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6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163A (ko) * 2018-11-27 2019-01-23 한국과학기술원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용자 개인정보 활용 파악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8971A (ko) * 2018-03-16 2019-09-25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주소 자동 입력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0830659A (zh) * 2019-12-05 2020-02-21 江苏华明国安技术有限公司 一种增强型手机标识采集识别方法
KR20200111449A (ko) * 2019-03-19 2020-09-29 차순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10007232A (ko) * 2019-07-10 2021-01-20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카드 정보 보호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270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신용카드 결제 승인 처리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130128089A (ko) * 2012-05-16 2013-11-26 효성에프엠에스 주식회사 휴대폰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1795A (ko) * 2012-07-19 2014-01-29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주민번호의 수집 없는 회원가입, 인증 및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270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신용카드 결제 승인 처리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130128089A (ko) * 2012-05-16 2013-11-26 효성에프엠에스 주식회사 휴대폰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1795A (ko) * 2012-07-19 2014-01-29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주민번호의 수집 없는 회원가입, 인증 및 결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971A (ko) * 2018-03-16 2019-09-25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주소 자동 입력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8163A (ko) * 2018-11-27 2019-01-23 한국과학기술원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용자 개인정보 활용 파악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1449A (ko) * 2019-03-19 2020-09-29 차순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소 입력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10007232A (ko) * 2019-07-10 2021-01-20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카드 정보 보호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0830659A (zh) * 2019-12-05 2020-02-21 江苏华明国安技术有限公司 一种增强型手机标识采集识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627B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71826B (zh) 一种应用程序登录方法、应用程序登录装置及移动终端
KR101672627B1 (ko)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9057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profile of operator
US10171449B2 (en) Account login method and device
CN107077671B (zh) 使用安全模块的支付装置和方法
US10878212B2 (en) Two-dimensional code scanning interac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20160210632A1 (en) Secured payment method and relevant device and system
US10026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care service
US20190182044A1 (en) Automating verification using secure encrypted phone verification
KR20190014124A (ko) 이중 인증
KR20120107434A (ko) 모바일 전화번호를 이용한 카드결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EP3200492A1 (en) Authentication method, wireless rout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400886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haring software among terminals
CN112632521A (zh) 一种请求响应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875932A (zh) 文件上传方法、装置和系统
WO201518973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CN107924516B (zh) 一种移动终端的支付认证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5790948A (zh) 一种身份认证方法及装置
CN109889410B (zh) 测试业务功能的方法、系统、装置、代理设备和存储介质
US10691424B2 (en) Method for programming and terminal device
KR20210011577A (ko) 심툴킷과 애플릿을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장치 및 방법
CN108259456B (zh) 实现用户免登录的方法、装置、设备、计算机存储介质
KR101481101B1 (ko) Usim 보안토큰을 이용한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241728B (zh) 密码信息的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61485A (ko) 간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