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131B1 -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131B1
KR102420131B1 KR1020150037307A KR20150037307A KR102420131B1 KR 102420131 B1 KR102420131 B1 KR 102420131B1 KR 1020150037307 A KR1020150037307 A KR 1020150037307A KR 20150037307 A KR20150037307 A KR 20150037307A KR 102420131 B1 KR102420131 B1 KR 10242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gas station
payment application
servi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152A (ko
Inventor
우종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131B1/ko
Priority to US14/951,247 priority patent/US20160275632A1/en
Priority to CN201510934111.4A priority patent/CN105991761A/zh
Publication of KR2016011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0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소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하고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단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단말에 대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한 잔여 연료량과 상기 산출된 필요 주유량을 비교하여 주유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장치가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추천 주유소를 상기 단말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추출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RECOMMENDING OF GAS STATION WITH PAYMENT APPLIC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유소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하고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차량에 각종 편의를 제공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한 위치 정보를 차량에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의 지도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즉,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현재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단순히 최적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이를 안내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주행 중 연료 공급이 필요한 시점을 판단하고, 연료 공급 시의 최저가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행 중 연료 공급이 필요한 경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7830호, 2009년 3월 18일 공개 (명칭: RFID 시스템 기반의 주유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하고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에 등록된 사용자의 보유 카드 중 카드 사용 실적, 혜택 등의 결제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하고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에 등록된 사용자의 보유 카드 중 카드 사용 실적, 혜택 등의 결제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주유가 필요한 시점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며, 또한 주유량 확인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보다 쉽게 주유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에 등록된 사용자의 보유 서비스 가입 카드 중 카드 사용 실적, 혜택 등의 결제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주유소 추천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유소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유소 추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유소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유소 추천 시스템(1000)은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며 서비스 장치(200)로 유가 정보, 각종 주유소 위치, 가격 정보 등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에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주유소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장치(400)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내비게이션 장치(4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단말(100)은 내비게이션 장치(400)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와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정보 및 잔여 연료량이 입력되면 서비스 장치(200)로 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40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전달되면, 목적지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 전반을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차량에 구비되는 내비게이션 장치(4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100)로 적용 가능하다.
서비스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로부터 목적지 정보, 차량 정보 및 잔여 연료량을 수신하여 획득하고, 이후에 단말(1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주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여 산출하며, 목적지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 주유량을 산출하여, 상기 단말(100)에 대한 잔여 연료량과 상기 산출된 필요 주유량을 비교하여 주유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추천 주유소를 상기 단말(100)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400)는 차량 내 위치하며,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따른 최적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이를 안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400)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별도의 내비게이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더라도 저장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된 지도 정보는 일정 주기 단위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장치(400)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단말(100)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단말(100)로 전달하는 등의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내비게이션 장치(400)가 단말(100)과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400)가 직접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비게이션 장치(40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단말(100)이 수신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내비게이션 장치(400)가 직접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직접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400)와 서비스 장치(200)가 정보를 송수신 시 단말(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100)과의 연동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50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500)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50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거쳐 서비스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듈(110), 주유 정보 제공 모듈(120), 장치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을 구성하는 각 모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결제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듈(110)은 단말(100)에 구비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제어와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즉,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 결제 어플리케이션 상에 사용자의 각종 카드 정보가 입력되는 과정, 결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결제 정보가 이뤄지는 과정 등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각종 지원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장치(200)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되어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의 일 기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의 일 기능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주유 정보 제공 모듈(120)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듈(110)을 통해 결제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정보가 주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여 주유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 정보는 주유소 상호, 주유소 위치 정보, 주유량 정보, 리터당 가격 정보, 총 주유 가격 정보, 결제 카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유 결제 시 발생되는 전자 영수증에서 추출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130)은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130)은 주유 정보 제공 모듈(120)을 통해 추출되는 주유 정보를 통신망(500)을 거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 반경 내 내비게이션 장치(400)를 탐색하고, 내비게이션 장치(400)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130)은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내비게이션 장치(400)로 전달하고 내비게이션 장치(4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140)은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지원한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140)은 각종 정보의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추천 주유소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따른 각종 사용자 입력 및 각종 정보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정보 획득 모듈(210), 정보 제공 모듈(220), 검색 지원 모듈(230),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240), 필요 주유량 산출 모듈(250) 및 서비스 처리 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정보 획득 모듈(210)은 단말(100) 또는 정보제공장치(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정보 획득 모듈(210)은 단말(100)에 대한 차량 정보, 잔여 연료량을 획득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단말(100)에 입력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본 서비스에 적용할 차량에 대한 정보, 현재 차량의 잔여 연료량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주유소 추천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게 되며, 서비스 장치(200)의 정보 획득 모듈(210)은 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차량 정보는 차종, 연비, 연식 등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입력될 수 있는 차량 정보는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정보 획득 모듈(210)은 단말(10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각종 결제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되고 관리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결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2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서비스 이용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제공 모듈(220)은 예컨대, 단말(100)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 본 발명의 서비스 적용 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지원 모듈(230)은 주유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지원 모듈(230)은 단말(100)에 의해 목적지 정보 입력 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주유소에 대한 정보, 주유소에서의 현재 유가 정보 등 주유소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검색 지원 모듈(230)은 정보 제공 장치(300)와 연동하여 각종 자원을 수집하게 된다.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240)은 단말(100)이 위치하는 차량 내 현재 잔존하는 연료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2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적용을 위해 지속적으로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240)은 정보 획득 모듈(210)을 통해 최초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잔여 연료량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면 이를 저장한다. 이후, 단말(100)은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400)에서 별도의 목적지 입력이 없이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단말(100)은 연동 가능한 내비게이션 장치(400)에서 별도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입력 없이 단말(100) 내 구비되는 GPS 등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을 통해 차량의 움직임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움직임 및 이동 거리를 판단 시,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만을 차량이 움직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을 구비한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와 차량 내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차량의 움직임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에 단말(100)로부터 소모 주유량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거나, 소모 주유량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가 전달되면,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240)은 이를 반영하여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내비게이션 장치(400)를 통해 목적지 정보에 대한 입력 없이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단말(100)에 구비되는 각종 자원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잔여 연료량을 산출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240)은 단말(100)에서 주유 결제가 이뤄지는 과정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잔여 연료량을 지속적으로 보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10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설정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주유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주유 결제가 이뤄지면 주유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주유 정보는 주유소 상호, 주유소 위치 정보, 주유량 정보, 리터당 가격 정보, 총 주유 가격 정보, 결제 카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주유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는 주유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게 된다(S309).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주유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차량 이동이 없으므로, 이동 거리에 대한 고려 없이 주유 정보에 포함된 주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 사용자의 차량에 현재 남아있는 연료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연료량 산출을 위해 센서 등과 같은 복잡한 하드웨어 장치를 차량 내 구비하거나, 사용자의 빈번한 입력이 없더라도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보다 쉽게 잔여 연료량을 획득하고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요 주유량 산출 모듈(250)은 정보 획득 모듈(210)에 의해 목적지 정보가 획득되면 따라, 상기 목적지 정보와 미리 획득되어 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 주유량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목적지 정보는 현재 위치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위치 정보,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산출되는 이동 경로 정보, 이동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필요 주유량 산출 모듈(250)은 목적지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시의 필요한 주유량을 차량 정보(차종, 연식, 연비 등)에 따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목적지 정보에 이동 거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필요 주유량 산출 모듈(250)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240)에 의해 관리되는 잔여 연료량과 필요 주유량 산출 모듈(250)에 의해 산출되는 필요 주유량을 비교하고, 목적지까지 이동 시의 주유가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단말(10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주유소를 확인한 후, 확인된 주유소 중 최적의 주유소를 추출하여 단말(100)로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단순히 유가 정보 등만을 비교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운전자의 결제 패턴, 선호하는 주유소 등의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단말(100)에 대응하여 미리 획득된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 이용하거나, 최신의 결제 관련 정보가 아닐 경우, 단말(100)로 결제 관련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관련 정보는 단말(1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신용 카드, 체크 카드 등을 비롯한 각종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 등록된 멤버쉽 서비스 카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일정 기간 동안의 카드 사용 정보 등과 같은 서비스 가입 카드 사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결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주행 중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주유소를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 이동 경로 상에 서로 다른 브랜드의 A와 B, 2개의 주유소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먼저 정보제공장치(300)를 통해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각 주유소의 유가 정보를 확인하여, A와 B 중 어느 주유소가 최저가 주유소인지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A가 B에 비해 더 저렴하다고 하더라도,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의 결제 카드의 할인율을 적용한 결과, B가 A에 비해 더 저렴한 최저가 주유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사용 실적을 확인하여 B가 A에 비해 더 저렴하더라도, A 주유소에서 특정 브랜드의 카드를 사용할 경우 이후 해당 카드사의 실적, 등급 등이 상향되는 등 더 많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경우,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A 주유소에서 해당 특정 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B 주유소에서 주유 할인을 받는 것보다 더 나은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차량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최저가 주유소 추출 시 단순히 유가 가격만을 비교하여 최저가 주유소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1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단말(100) 사용자의 보유 카드, 카드 사용 실적, 사용 패턴 등 결제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출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처리 모듈(260)은 추출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정보 제공 모듈(220)로 전달하고, 정보 제공 모듈(220)은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은 먼저, 서비스 장치(200)가 단말(100)에 대한 차량 정보, 잔여 연료량을 획득 및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S101).
이후,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 정보,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 주유량을 산출하게 된다(S105). 즉, S101 단계에서 현재 차량의 잔여 연료량을 획득한 상태이므로, 서비스 장치(200)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시의 필요한 주유량을 차량 정보(차종, 연식, 연비 등)를 고려하여 산출하고, 잔여 연료량과 필요 주유량을 비교하게 된다(S105 ~ S107).
이후,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S109), 서비스 장치(200)의 단말(100)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추천 주유소를 추출하고(S111), 이에 대해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S113).
상술한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말(100)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을 통해 주유소를 추천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서비스에 적용할 차량에 대한 정보, 현재 차량의 잔여 연료량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01). 여기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장치(200)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되어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의 일 기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의 일 기능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이후,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주유소 추천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정보를 입력 받게 된다(S203). 여기서 차량 정보는 차종, 연비, 연식 등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입력될 수 있는 차량 정보는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단말(100)은 사용자의 잔여 연료량 입력을 지원한다(S205). 여기서 사용자의 잔여 연료량 입력 과정은 초기 설정 과정에서 1회 사용자 입력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에서 잔여 연료량 재입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단말(100)은 사용자의 잔여 연료량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차량 정보 및 잔여 연료량 입력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S207),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정보 및 잔여 연료량을 저장하게 된다(S209). 아울러,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 간의 정보의 송수신 시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예컨대 단말 기기 번호 등 식별 정보가 함께 송수신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유소 추천 기능을 위한 초기 정보 입력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100)은 차량의 이동 여부를 감지한다(S211). 여기서, 단말(100)은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400)에서 별도의 목적지 입력이 없이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단말(100)은 연동 가능한 내비게이션 장치(400)에서 별도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입력 없이 단말(100) 내 구비되는 GPS 등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을 통해 차량의 움직임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움직임 및 이동 거리를 판단 시,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만을 차량이 움직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213). 즉, 단말(100)을 구비한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와 차량 내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차량의 움직임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에 단말(100)은 S203 단계에서 입력된 차량 정보와 S213 단계에서 산출된 차량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차량 이동에 따른 소모 주유량을 산출한다(S215). 이후, 소모 주유량이 산출되면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 이를 전달하고(S217), 서비스 장치(200)는 소모 주유량을 반영하여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게 된다(S219). 아울러, 단말(100)은 S215 단계를 거치지 않고 차량 이동이 감지되면, 차량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달하여 서비스 장치(200)가 소모 주유량을 산출한 후 단말(100)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잔여 연료량에서 소모 주유량만큼 차감하여 잔여 연료량을 보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는 내비게이션 장치(400)를 통해 목적지 정보에 대한 입력 없이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단말(100)에 구비되는 각종 자원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잔여 연료량을 산출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에서 주유 결제가 이뤄지는 과정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잔여 연료량을 지속적으로 보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설정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주유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S301), 주유 결제가 이뤄지면 주유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303 ~ S305).
여기서 주유 정보는 주유소 상호, 주유소 위치 정보, 주유량 정보, 리터당 가격 정보, 총 주유 가격 정보, 결제 카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1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주유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는 주유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게 된다(S309).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주유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차량 이동이 없으므로, 이동 거리에 대한 고려 없이 주유 정보에 포함된 주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 사용자의 차량에 현재 남아있는 연료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연료량 산출을 위해 센서 등과 같은 복잡한 하드웨어 장치를 차량 내 구비하거나, 사용자의 빈번한 입력이 없더라도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보다 쉽게 잔여 연료량을 획득하고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차량 주행 시의 잔여 연료량을 산출하고, 주유 필요 시 최적의 주유소를 탐색하고 추천하여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100)은 목적지 정보를 획득한다(S401). 여기서 목적지 정보의 획득은 차량 내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획득될 수 있다. 반면, 단말(100) 자체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로부터 단말(100)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목적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지 정보는 현재 위치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위치 정보,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산출되는 이동 경로 정보, 이동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0)는 목적지 정보의 이동 거리 정보와 미리 단말(100)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차량 정보(연비, 연식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위치까지 이동 시 필요한 필요 주유량을 산출한다(S405). 상기 과정에서 목적지 정보에 이동 거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서비스 장치(200)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장치(200)는 산출된 필요 주유량과 단말(100)에 대응하여 미리 획득된 잔여 연료량을 비교하여 목적지까지 이동 시의 주유가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주유소를 확인한 후, 확인된 주유소 중 최적의 주유소를 추출하여 단말(100)로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단순히 유가 정보 등만을 비교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운전자의 결제 패턴, 선호하는 주유소 등의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에 대응하여 미리 획득된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거나, 미리 획득된 결제 관련 정보가 없거나, 최신의 결제 관련 정보가 아닐 경우,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로 결제 관련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획득할 수 있다(S411 ~ S413). 여기서, 결제 관련 정보는 단말(1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신용 카드, 체크 카드 등을 비롯한 각종 결제 카드 정보, 등록된 멤버쉽 서비스 카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일정 기간 동안의 카드 사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주행 중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주유소를 추출하게 된다(S415). 예를 들어,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 이동 경로 상에 서로 다른 브랜드의 A와 B, 2개의 주유소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00)는 먼저 정보제공장치(300)를 통해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각 주유소의 유가 정보를 확인하여, A와 B 중 어느 주유소가 최저가 주유소인지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A가 B에 비해 더 저렴하다고 하더라도,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의 결제 카드의 할인율을 적용한 결과, B가 A에 비해 더 저렴한 최저가 주유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사용 실적을 확인하여 B가 A에 비해 더 저렴하더라도, A 주유소에서 특정 브랜드의 카드를 사용할 경우 이후 해당 카드사의 실적, 등급 등이 상향되는 등 더 많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경우, 서비스 장치(200)는 A 주유소에서 해당 특정 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B 주유소에서 주유 할인을 받는 것보다 더 나은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차량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최저가 주유소 추출 시 단순히 유가 가격만을 비교하여 최저가 주유소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1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단말(100) 사용자의 보유 카드, 카드 사용 실적, 사용 패턴 등 결제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출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S41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단말(100)의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에 따라 서비스 혜택 적용이 가능한 주유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동 경로 상에 일정 반경을 넓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주유소 중 추천 주유소를 추출하고, 추천 주유소로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보정하여 단말(100)로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이후에, 단말(1000로부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주유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잔여 연료량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거나 일부 오류가 발생된 것일 수 있으므로, 단말(100)로 잔여 연료량을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를 입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잔여 연료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주유가 필요한 시점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며, 또한 주유량 확인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보다 쉽게 주유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에 등록된 사용자의 보유 카드 중 카드 사용 실적, 혜택 등의 결제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주유소 추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서비스 장치가 단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단말에 대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한 잔여 연료량과 상기 산출된 필요 주유량을 비교하여 주유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장치가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추천 주유소를 상기 단말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추출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각 단계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시스템"은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그 조합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정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및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모듈의 물리적인 레이아웃(layout)은 중요하지 않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같은 내부 모듈이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위한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술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420)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단말(100)을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서비스 장치(2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단말(1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시스템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도 8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 및 가맹점 단말(2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주유소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하고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최적의 주유소를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현재 차량 내 주유량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주유가 필요한 시점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며, 또한 주유량 확인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결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보다 쉽게 주유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10: 결제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듈
120: 주유 정보 제공 모듈 130: 장치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모듈 200: 서비스 장치
210: 정보 획득 모듈 220: 정보 제공 모듈
230: 검색 지원 모듈 240: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
250: 필요 주유량 산출 모듈 260: 서비스 처리 모듈
300: 정보 제공 장치 500: 통신망

Claims (10)

  1. 서비스 장치가 단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단말에 대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한 잔여 연료량과 상기 산출된 필요 주유량을 비교하여 주유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장치가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추천 주유소를 상기 단말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추출된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상기 단말의 서비스 가입 카드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특정 주유소를 추천 주유소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천 주유소로 추출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사용 실적을 확인하고, 주유 할인과 카드사의 실적 및 등급 상향으로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 중 더 나은 혜택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추천 주유소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 및 잔여 연료량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차량 이동 후 정지까지의 이동거리를 반영한 소모 주유량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소모 주유량을 반영하여 상기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유 결제가 이뤄짐에 따라 생성된 주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주유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상기 단말의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에 따라 서비스 혜택 적용이 가능한 주유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이동 경로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주유소 중 추천 주유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천 주유소로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보정하여 상기 단말로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주유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로 잔여 연료량을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를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단말로부터 목적지 정보, 차량 정보 및 잔여 연료량을 수신하여 획득하는 정보 획득 모듈;
    상기 단말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주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잔여 연료량을 보정하여 산출하는 잔여 연료량 산출 모듈;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 주유량을 산출하는 필요 주유량 산출 모듈; 및
    상기 단말에 대한 잔여 연료량과 상기 산출된 필요 주유량을 비교하여 주유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주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추천 주유소를 상기 단말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 모듈은
    상기 단말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 가입 카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주유소 중 상기 단말의 서비스 가입 카드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특정 주유소를 추천 주유소로 추출하되,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사용 실적을 확인하고, 주유 할인과 카드사의 실적 및 등급 상향으로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 중 더 나은 혜택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추천 주유소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 지원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KR1020150037307A 2015-03-18 2015-03-18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KR10242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07A KR102420131B1 (ko) 2015-03-18 2015-03-18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US14/951,247 US20160275632A1 (en) 2015-03-18 2015-11-24 Method of recommending gas station associated with payment application and device using the method
CN201510934111.4A CN105991761A (zh) 2015-03-18 2015-12-15 与支付应用关联地推荐加油站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07A KR102420131B1 (ko) 2015-03-18 2015-03-18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52A KR20160112152A (ko) 2016-09-28
KR102420131B1 true KR102420131B1 (ko) 2022-07-12

Family

ID=5692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307A KR102420131B1 (ko) 2015-03-18 2015-03-18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75632A1 (ko)
KR (1) KR102420131B1 (ko)
CN (1) CN105991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2732A1 (en) * 2017-08-08 2019-02-14 Look, Inc.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FUEL REFUELING STATIONS
CN108917779A (zh) * 2018-05-21 2018-11-30 韶关市易通车联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智能加油导航方法、装置、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KR20200045874A (ko) * 2018-10-23 2020-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7087966B2 (ja) * 2018-11-29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車載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20210118077A (ko) * 2019-01-23 2021-09-29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급유소 시스템, 급유장치 및 서버
CN112801740A (zh) * 2019-06-20 2021-05-14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用户偏好的能源站点推荐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348794A (zh) * 2019-07-16 2019-10-18 广州车快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运输车辆燃油成本管理方法及相关设备
CN112561548A (zh) * 2019-09-25 2021-03-26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用于生成加油站信息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28428A (zh) * 2019-12-23 2020-04-17 航天科技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加油站以及加油方法
CN112146675A (zh) * 2020-10-09 2020-12-29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语音对话的服务推荐方法、系统、介质及装置
WO2022159952A1 (en) * 2021-01-20 2022-07-28 Enel X S.R.L.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CN112887406A (zh) * 2021-01-26 2021-06-01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终端、云端及其信息推送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DE102021103806A1 (de) * 2021-02-18 2022-08-18 4.screen GmbH System sowie Verfahren zum Priorisieren von Navigationszielen von Fahrzeugen
CN113468423A (zh) * 2021-06-29 2021-10-0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针对车辆的信息推荐方法、装置、车辆和电子设备
CN114692020A (zh) * 2022-03-30 2022-07-0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服务信息的发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105A (ko) * 2005-10-14 2007-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주유소 안내 방법
US20070290039A1 (en) * 2006-06-20 2007-12-2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 vehicle low price fuel finder
KR100930553B1 (ko) 2007-09-13 2009-12-09 한국과학기술원 Rfid시스템 기반의 주유시스템
US8768565B2 (en) * 2012-05-23 2014-07-01 Enterprise Holdings, Inc.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40062595A (ko) * 2012-11-13 2014-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유소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40078042A (ko) * 2012-12-14 2014-06-25 박경수 연료금액 또는 연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단말기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KR101566726B1 (ko) * 2013-06-24 2015-11-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유소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52A (ko) 2016-09-28
US20160275632A1 (en) 2016-09-22
CN105991761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131B1 (ko) 결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주유소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US11323843B2 (en) Efficient geo-fence data transfer and notifications using a time to reach value
US20210385613A1 (en) Super geo-fences and virtual fences to improve efficiency of geo-fences
AU2012287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action related service
US10447790B2 (en) Information push
US10187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validity of beacon signal
KR20140094028A (ko) 할일 목록 기반 내비게이션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KR20120101244A (ko)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진입 자동확인및 자동주문 결제 시스템
US201500179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redicted duration of a context
US9491582B2 (en) Method for optimizing battery use in a mobile device while tracking a location of the device
US201603163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beacon signal
KR102487777B1 (ko) 비콘 장치를 활용한 위치 조회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103210A (ko) 주거래 결제수단 설정 장치 및 방법
US9930606B2 (en) Method of expanding beacon service coverag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2507279B1 (ko) 비콘 기반 실내 이동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10264B1 (ko)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507280B1 (ko) 비콘 기반 실내 이동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373129A1 (en) Automatic discovery and download of media content based on location
KR20130103247A (ko) 위치 기반 상품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서버
US20230316267A1 (en) Vehicle data sharing for collaborative driving experience
Jones Mobile web trends 2007 to 2011
KR102166742B1 (ko)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39905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43555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KR20170001298A (ko) 물류운송 맞춤형 신용카드를 이용한 물류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