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742B1 -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742B1
KR102166742B1 KR1020150190692A KR20150190692A KR102166742B1 KR 102166742 B1 KR102166742 B1 KR 102166742B1 KR 1020150190692 A KR1020150190692 A KR 1020150190692A KR 20150190692 A KR20150190692 A KR 20150190692A KR 102166742 B1 KR102166742 B1 KR 10216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nsor
information
positioning
destination po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767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7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4Landmark guidance, e.g. using POIs or conspicuous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와 같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전환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은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위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NAVIG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와 같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전환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내비게이션(navigation) 기술은 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도로 상에 이동 중인 차량 또는 사용자와 같은 객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며, 더불어 현재 위치에서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및 최적 경로를 표시해 주는 운행 안내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기술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GPS 측위 기술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있고 도로 상의 각종 장치들의 통신을 통해 도심권에서의 내비게이션 성능이 점차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고층 건물 사이의 이면 도로의 경우 도로의 폭이 좁아지면서 GPS 위성이 상대적으로 덜 보이게 되고, 고층 건물 벽면에서 반사되는 멀티 페이딩(multi-fading)에 의해 GPS 수신이 어렵거나 GPS 신호가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면 도로에서의 내비게이션 성능 또한 그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며, 실제로 이면 도로 진입 시부터 안내 표시 경로와 실제 주행 경로에 찍히는 GPS 궤적이 다르게 나타나고 이로 인해 경로 재탐색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면 도로와 같이 GPS 미수신 지역, GPS 약전계 지역에서의 내비게이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03855호, 2008년 9월 11일 공개 (명칭: 내비게이션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와 같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전환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하는 OBD(On Board Device) 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외부 장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단말 내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와 같은 센서 기능을 이용하여 유기적으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은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위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는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단말 사양 정보를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는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단말이 현재 위치가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또는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값을 측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값을 기 설정된 단위로 지도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목적지 POI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센서 기반 측위 값을 위경도 좌표값으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처리된 위경도 좌표값을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 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가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가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사양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 사양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이 센서 기반 측위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적지에서의 GPS 수신율, 이면도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도로 링크 정보,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내비게이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측위 기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 센서 기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 및 상기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가 수신되면 상기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위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통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모듈은 측정된 현재 위치가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또는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단말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 및 상기 주행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목적지가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은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사양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이 센서 기반 측위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적지에서의 GPS 수신율, 이면도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위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목적지가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와 같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전환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면 도로와 같이 신호 수신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역에서의 보다 정확한 주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외부 장치와의 연계 없이 단말 내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센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내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내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위한 시스템은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단말(100)과 서비스 장치(200)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GPS를 이용한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단말(100)은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특정 기준에 따라 설정된 주행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100)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도면에서는 하나의 장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스마트폰과 같은 센서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와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의 집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단말(100)은 센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제1 단말을 포함하고, 차량 내 구비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제2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은 제2 단말에서 수행되고 센서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은 제1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의 도면에서 도시하는 단말(100)은 상기의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연동을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반면, 서비스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단말(100)로 제공하고, 단말(100)로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 중에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서비스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단말(100)로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서비스로 전환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들 즉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과 관련된 정보들이 전달되면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전환하고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도로 정보, 구역 정보, 단말 사양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방법이 서비스 장치(200)에 가입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경우, 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처리하기 위해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서비스 장치(200)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50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500)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50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비스 장치(200)와 연결되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거쳐 서비스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 서비스 제공 모듈(130) 및 서비스 장치 연동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을 구성하는 각 모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지국, Wi-Fi, 관성항법, 고감도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WB(Ultra Wide Band), RFID(Raid Fre-quency Identification), 의사위성, 초음파, 적외선, 지자계, 카메라, WLAN 등 다양한 물리적 자원을 활용한 위치 측위 방법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은 수신 신호 중 가장 신호가 센 Wi-Fi AP의 위치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점 측위 방식, RF(Raid Fre-quency) 핑거프린팅 기반의 측위 방식, 수신신호 세기 혹은 신호 도착 시간 혹은 RTT(Round Trip Time)을 거리로 환산한 후, Wi-Fi의 AP의 거리 정보들로부터 단말 위치를 계측하는 다변측위(Multilateration) 방식 등과 같이 특정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은 센서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서비스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지역으로 진입 또는 특정 시간에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기능이 아닌 센서를 기반으로 경로를 설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은 서비스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은 구비되는 기압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비되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측위한 후 그 결과를 서비스 제공 모듈(130)로 전달한다.
서비스 제공 모듈(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목적지 POI(Point of Interest) 진입 시 도착을 알리는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모듈(130)은 센서 측위 값을 변환하여 GPS 위경도 값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 연동 모듈(140)은 서비스 장치(200)와의 연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 연동 모듈(140)은 서비스 장치(200)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를 제공받아 서비스 제공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 연동 모듈(14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요청이 전달되면 이를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로 전달하여 측위 기반에서 센서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방식이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100)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모듈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비되는 다양한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로 전달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정보의 접근 및 관리를 지원하는 모듈(미도시), 사용자의 POI 입력을 지원하는 모듈(미도시),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동작을 지원하는 모듈(미도시), 서비스 제공 모듈(130)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들을 실질적인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모듈(미도시) 등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0)로 입력된 목적지 POI 정보를 전달하고 이에 따른 주행 경로를 단말(100)이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단말(100)이 경로 설정에 필요한 각종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경우, 서비스 장치(200)와의 연동 없이 직접 경로를 설정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둘 이상의 장치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단말(100)이 센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제1 단말을 포함하고, 차량 내 구비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제2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은 제2 단말에서 동작하는 모듈이 될 수 있으며,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은 제1 단말에서 동작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제1 단말에 구비되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20)과 제2 단말에 구비되는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의 연동을 통해 이뤄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220), 서비스 제공 모듈(2230) 및 정보 관리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은 단말(100)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은 단말(100)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230)을 통해 주행 경로가 설정되면 설정된 경로 정보를 상기 단말(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은 단말(100)로 하이브리드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220)은 서비스 제공 모듈(230)을 통해 설정된 주행 경로를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을 통해 단말(100)로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220)은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활용하여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목적지 POI 매핑 정보란 존 정보(Geogencing), 이면 도로 링크 정보,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x, y) 등과 같이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POI에 매핑된 각종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220)은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100)로 측위 기반이 아닌 센서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모듈(2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종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을 통해 단말(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모듈(230)은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을 통해 단말(100)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면, 지도, POI, 교통 정보 등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로직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고 이를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210)을 통해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모듈(230)은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에 필요한 각종 처리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서비스가 가입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되는 경우, 단말(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정보 관리 모듈(2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정보 관리 모듈(240)은 경로 설정을 위한 지도(Map), POI 정보, RP 정보, 교통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목적지 POI에 매핑된 정보, 예컨대 존 정보(Geogencing), 이면 도로 링크 정보,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x, y) 등과 같이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POI에 매핑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를 구성하는 주요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방법이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및 관리를 수행하는 모듈(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내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100)은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을 위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1).
여기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를 위해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구현 방식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장치(200) 또는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에 따른 결과값만을 수신하여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목적지 POI가 입력되면(S103), 현재 위치를 측위하고, 서비스 장치(200)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한다(S105).
이때, 단말(100)은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측위 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지국, Wi-Fi, 관성항법, 고감도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WB(Ultra Wide Band), RFID(Raid Fre-quency Identification), 의사위성, 초음파, 적외선, 지자계, 카메라, WLAN 등 다양한 물리적 자원을 활용한 위치 측위 기술을 통해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의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은 수신 신호 중 가장 신호가 센 Wi-Fi AP의 위치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점 측위 방식, RF(Raid Fre-quency) 핑거프린팅 기반의 측위 방식, 수신신호 세기 혹은 신호 도착 시간 혹은 RTT(Round Trip Time)을 거리로 환산한 후, Wi-Fi의 AP의 거리 정보들로부터 단말 위치를 계측하는 다변측위(Multilateration)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7).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200)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100) 내 지도, POI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단말(100)이 직접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후의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100)은 S107 단계에서 수신된 경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판단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한다(S109). 여기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는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라는 정보로, 단말기 적용 대상 여부, 존 정보, 이면 도로 링크 정보,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x, y)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헤더 부분은 해당 정보의 전체 크기, 버전 정보, 지도 정보 등을 바이트(byte) 형태로 기재되며, 바디(body) 부분에는 상술한 단말기 적용 대상 여부, 존 정보, 이면 도로 링크 정보,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 등과 같이 본 발명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 중 단말기 적용 대상 여부에 대한 정보는 단말(100)이 본 발명의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단말기 적용 대상 여부가 ‘불가’일 경우, 나머지 정보들을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존 정보(Geogencing)는 목적지 PO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면 도로 링크 정보는 이면 도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이면 도로 링크 정보는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이면 도로에 진입한 단말(100)은 상기 이면 도로 링크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는 본 발명의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방식으로 전환될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술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목적지 POI 내로 진입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 여기서, 목적지 POI 내로 진입 여부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x, y)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부근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단말(100)은 목적지 POI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목적지 POI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구동하고(S113),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시작한다(S115). 이때, 바람직하게는 단말(100)은 안정적으로 센서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라면 차량 대쉬 보드 등과 같은 특정 지점에 장착되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및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센서 측위를 시작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지도 상에 그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마다 한번씩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예컨대 1초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 데이터는 200msec마다 한번씩 위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데 지도 상에 표시될 때는 1초 동안의 평균값으로 표시되도록 단말(100)은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면 도로에서 진행 속도가 느릴수록 실제 위치는 평균값에 접근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위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 설정된 시간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목적지 POI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S117), 센서 측위값을 위경도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S119 ~ S121), 서비스 장치에서의 대용량 데이터 기반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서의 내비게이션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내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수신한다(S201). 그리고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S203). 이후에 서비스 장치(200)는 설정된 경로를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S205).
이후에,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S207). 여기서 서비스 장치(200)는 POI에 매핑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POI가 고층 건물로 이루어진 도심권 지역인지, 주 도로에 연결된 이면 도로인지, GPS 수신율을 어떠한지, 정확도는 어떠한 지 등 다양한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의 센서 보유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100)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거나 단말(100)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제조사 정보 또는 모델 정보 등을 전달받아 이에 해당하는 사양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100)이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0)는 목적지 POI가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이 가능한 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S209),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211).
이후에 단말(100)로부터 변환된 위경도 좌표값이 수신되면(S213), 이를 해당 목적지 POI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추후 데이터 분석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방법에 의하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 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면 도로와 같이 GPS 신호 수신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역에서의 보다 정확한 주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외부 장치와의 연계 없이 단말 내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센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에 대해 데이터 흐름도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단말(100)은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을 위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01). 여기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를 위해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구현 방식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장치(200) 또는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에 따른 결과값만을 수신하여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목적지 POI가 입력되면(S303),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하고, 서비스 장치(200)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한다(S305). 이때, 단말(100)은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측위 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지국, Wi-Fi, 관성항법, 고감도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WB(Ultra Wide Band), RFID(Raid Fre-quency Identification), 의사위성, 초음파, 적외선, 지자계, 카메라, WLAN 등 다양한 물리적 자원을 활용한 위치 측위 기술을 통해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의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110)은 수신 신호 중 가장 신호가 센 Wi-Fi AP의 위치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점 측위 방식, RF(Raid Fre-quency) 핑거프린팅 기반의 측위 방식, 수신신호 세기 혹은 신호 도착 시간 혹은 RTT(Round Trip Time)을 거리로 환산한 후, Wi-Fi의 AP의 거리 정보들로부터 단말 위치를 계측하는 다변측위(Multilateration)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0)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고(S307), 이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200)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100) 내 지도, POI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단말(100)이 직접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후에,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경로 정보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하고(S311), 지속적으로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현재 위치를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는 과정 중에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100)의 목적지에 대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S313). 여기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단말(100)이 요청한 목적지가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먼저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사양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단말(100)이 센서 기반 측위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적지에서의 GPS 수신율, 이면도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목적지에 대한 이면 도로 링크 정보를 통해 기존에 판단된 정보가 존재한다면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점이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판단 과정을 거쳐 단말(100)이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S315),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100)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전송한다(S317). 여기서, 상기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는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도로 링크 정보,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헤더 부분은 해당 정보의 전체 크기, 버전 정보, 지도 정보 등을 바이트(byte) 형태로 기재되며, 바디(body) 부분에는 상술한 단말기 적용 대상 여부, 존 정보, 이면 도로 링크 정보,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 등과 같이 본 발명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 즉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 중 단말기 적용 대상 여부에 대한 정보는 단말(100)이 본 발명의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단말기 적용 대상 여부가 ‘불가’일 경우, 나머지 정보들을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존 정보(Geogencing)는 목적지 PO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면 도로 링크 정보는 이면 도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이면 도로 링크 정보는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이면 도로에 진입한 단말(100)은 상기 이면 도로 링크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는 본 발명의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방식으로 전환될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가 목적지 POI 지점에 진입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9).
그리고 단말(100)은 상기 판단 결과 목적지 POI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구동하고(S321),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시작한다(S323). 이때, 바람직하게는 단말(100)은 안정적으로 센서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라면 차량 대쉬 보드 등과 같은 특정 지점에 장착되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및 하이브리드 적용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센서 측위를 시작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지도 상에 그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마다 한번씩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예컨대 1초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 데이터는 200msec마다 한번씩 위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데 지도 상에 표시될 때는 1초 동안의 평균값으로 표시되도록 단말(100)은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면 도로에서 진행 속도가 느릴수록 실제 위치는 평균값에 접근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위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 설정된 시간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목적지 POI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S325), 센서 측위값을 위경도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S327 ~ S329),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POI에 대한 통계에 반영하여 대용량 데이터 기반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S33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방법에 의하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 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면 도로와 같이 GPS 신호 수신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역에서의 보다 정확한 주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외부 장치와의 연계 없이 단말 내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센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위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서비스 장치가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 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가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가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 지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하이브리드 기능 수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각 단계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시스템"은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그 조합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정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및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모듈의 물리적인 레이아웃(layout)은 중요하지 않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같은 내부 모듈이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위한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술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420)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단말(100)을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서비스 장치(2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단말(1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도 10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와 같은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전환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 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과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면 도로와 같이 GPS 신호 수신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역에서의 보다 정확한 주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10: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
120: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
130: 서비스 제공 모듈
140: 서비스 장치 연동 모듈
200: 서비스 장치
210: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
220: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
230: 서비스 제공 모듈
240: 정보 관리 모듈
500: 통신망

Claims (14)

  1. 단말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POI까지의 주행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GPS 측위 기반의 위치 측위 대신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단말 사양 정보를 고려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될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가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 도로 링크 정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될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값을 측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값을 기 설정된 단위로 지도 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목적지 POI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센서 기반 측위 값을 위경도 좌표값으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처리된 위경도 좌표값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내비게이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서비스 장치가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 POI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 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 POI에서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 POI에서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GPS 측위 기반의 위치 측위 대신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사양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 사양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이 센서 기반의 측위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적지 POI에서의 GPS 수신율, 이면도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센서 기반 위치 측위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이면도로 링크 정보,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될 위치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12. GPS 측위 기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
    센서 기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 및
    상기 측위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POI까지의 주행 경로를 출력하고,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처리 모듈을 통해 GPS 측위 기반의 위치 측위 대신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단말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 POI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 및
    상기 목적지 POI에서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적지 POI에서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 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GPS 측위 기반의 위치 측위 대신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는 하이브리드 기능 판단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4.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GPS 측위 기반으로 설정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POI까지의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센서 기반 위치 측위를 위한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목적지 POI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GPS 측위 기반의 위치 측위 대신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 방식으로 전환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POI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 POI까지의 주행 경로를 GPS 측위 기반으로 설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목적지 POI에서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가 가능지 여부를 판단하고, 센서 기반의 위치 측위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상기 목적지 POI에 대한 목적지 POI 매핑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20150190692A 2015-12-31 2015-12-31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6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692A KR102166742B1 (ko) 2015-12-31 2015-12-31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692A KR102166742B1 (ko) 2015-12-31 2015-12-31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767A KR20170079767A (ko) 2017-07-10
KR102166742B1 true KR102166742B1 (ko) 2020-10-16

Family

ID=5935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692A KR102166742B1 (ko) 2015-12-31 2015-12-31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7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7872A1 (ja) 2005-04-28 2006-11-09 Kanto Denka Kogyo Co., Ltd. ホスホニウムカチオンを有するイオン液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399065C2 (ru) * 2008-04-11 2010-09-10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объекта посредством гибридной навиг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варианты)
KR101646139B1 (ko) * 2009-10-15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5018B1 (ko) * 2009-11-25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767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0959B1 (en) Image data acquisition logic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for capturing image data using cameras
US9198004B2 (en) User-in-the-loop architecture for indoor positioning
EP304989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avigation data to a vehicle
KR20200057414A (ko)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TW201116807A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WO2018161358A1 (zh) 一种导航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CN107657007B (zh) 信息推送方法、装置、终端、可读存储介质及系统
CN110944053A (zh) 移动设备之间的动态路由映射
WO2019134591A1 (zh) 一种电子交易的方法及终端
JP2017167982A (ja) 情報処理装置、車載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4096256A1 (en) Method for invoking nfc applications, electronic device, and nfc apparatus
US20190109934A1 (en) Instrument Cluster Metadata to Support Second Screen
US11487289B1 (en) Autonomous vehicle repair
JP6103896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出力装置、および情報出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7165492B2 (ja) 送信データを移動端末から送信する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移動端末、および車両の走行状態を分析する走行状態分析システム
CN101576386B (zh) 微惯性导航系统及方法
EP3425339A1 (en) Position estimating device, position estimating method and program
KR102487777B1 (ko) 비콘 장치를 활용한 위치 조회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3642684B1 (en) Data transfer logic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sensors and planning and contro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102166742B1 (ko) 내비게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8173561A (zh) 车载信息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US9288307B2 (en) Authorized transmission of navigation assistance
WO20190413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INGLE WIFI CONNECTION IN A VEHICLE
WO2020226103A1 (ja) 位置情報提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36543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