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543A -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543A
KR20140136543A KR20130056155A KR20130056155A KR20140136543A KR 20140136543 A KR20140136543 A KR 20140136543A KR 20130056155 A KR20130056155 A KR 20130056155A KR 20130056155 A KR20130056155 A KR 20130056155A KR 20140136543 A KR20140136543 A KR 2014013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nit
state
terminal
route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6543A/ko
Publication of KR2014013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광고 제공 시스템은 이동 상태별로 매핑된 광고를 단말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와 센서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여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확인한 광고를 노출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moving state during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the system}
본 발명은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로 안내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와 같은 이동 상태에 기반한 광고를 경로 안내 화면 일부에 노출시켜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이동 상태 또는 단말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적절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가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휴대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 중 하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교통 정보 서비스, 안전 운전 정보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경로 안내 서비스, 교통 정보 서비스, 안전 운전 정보 서비스와 위치 기반의 서비스들은 단순 경로 안내, 교통 정보 안내, 안전 운전 정보 안내뿐 아니라, 광고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위치 기반 서비스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는 위치, 속도 및 방향 정보에 근거하여 광고를 제공할 뿐, 현재 차량의 운전자의 주행 상황 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현재 주행 상황 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고려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76100호, 2010년 07월 06일 공개 (명칭: 네비게이션 광고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와 같은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황에 맞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광고 제공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속도 및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 이동 상태별 광고를 저장하는 저장부; 데이터를 음성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는 출력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한 광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확인한 광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최초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모듈로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광고 노출을 요청하는 경로 안내 모듈; 상기 광고 노출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상태 정보에 따른 이동 상태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하는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모듈은, 상기 경로 안내 모듈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 광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 상기 경로 안내 모듈로부터 광고 노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를 통해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상기 저장부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광고 노출부를 통해 확인한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광고 모듈은, 상기 광고 관리부의 관리에 따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요청하는 광고 요청부;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수신된 광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광고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관리부는, 상기 경로 안내 모듈로부터 광고 노출 요청에 따라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가 없으면, 상기 경로 안내 모듈로 현재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가 없음을 통보하고, 상기 광고 요청부를 통해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수신하여 수신한 광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광고 관리부를 통해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광고 관리부를 통해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이동 상태 정보별 광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 상태별로 저장된 광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하나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부를 통해 요청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확인한 후 확인한 광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제작자로부터 등록을 위해 제공된 광고를 이동 상태별로 저장하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상태별로 저장된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하나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확인한 후 확인한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별로 매핑된 광고를 저장하고,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와 센서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여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상기 확인한 광고를 노출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단말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데이터와 센서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광고를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상기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 수행 후,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대해 저장된 광고가 없으면,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상기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상기 확인한 광고가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이면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고, 상기 확인한 광고가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이면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광고 이미지를 노출하면서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 제공 서버가, 단말로 이동 상태별로 광고를 매핑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최초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이동 상태별 광고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이동 상태별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하나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확인하고, 확인한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상태는,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른 이동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받기 위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와 같은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황에 맞는 광고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부 영역에 노출시킴으로써 차량 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맞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포함된 광고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광고 모듈에서의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에서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하는 단말(100) 및 광고 제공 장치(12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광고 제공을 위해 이용되는 다른 장치들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는 통신망(110)에 연결되어 광고 제공 장치(120)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30)과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다. 이러한 단말(100)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위치 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광고 노출이 가능한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도 있고, 차량에 탑재된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즉,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및 광고 제공이 가능한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단말(100)은 광고 제공 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저장하고,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단말(100)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센서를 통해 이동 속도, 위치를 확인하고,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확인 가능한 도로 정보, 도로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한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한다. 이후, 단말(100)은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고, 확인한 광고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노출시킨다. 이때, 확인한 광고는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단말(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하기 도 2 및 도 3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광고 제공 장치(120)는 광고 사업자로부터 등록된 광고들을 관리 및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120)는 이동 상태 정보별 광고를 저장하고, 단말(100)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 상태별로 저장된 광고를 단말(100)로 제공한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20)는 단말(100)로부터 특정 조건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제공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확인한 후 확인한 광고를 통신부를 통해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광고 제공 장치(120)는 단말(100)의 광고 제공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광고는 광고 URI 주소일 수 있고, 단말(100)은 광고 URI 주소를 이용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노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단말의 위치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장치로 단말(100)로부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경로 안내 요청 시 단말의 위치 기반으로 경로 안내 서지를 위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단말(100), 광고 제공 장치(12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통신망(1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망(1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는 제어부(200), 통신부(210), 센서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 통신부(210), 센서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는 발명에서 기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00)는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제어부(20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응용 프로그램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최초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제공 장치(120)로부터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센서부(220)를 통해 센싱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30)를 통해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지도 데이터에서 도로 정보, 도로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센서부(220)를 통해 이동 속도,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위치 정보는 지도 데이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200)는 이와 같이 확인한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한 후 확인한 광고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경로 안내 모듈(260), 광고 모듈(2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경로 안내 모듈(260)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입력에 따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센서부(220)를 통해 센싱한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30)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부(240)를 통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안내 모듈(260)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광고 모듈(270)로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 노출을 요청한다.
광고 모듈(270)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에 실행에 따라 경로 안내 모듈(260)로부터 광고 노출 요청이 있으면,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여 확인한 광고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정의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시킨다.
이를 위해, 광고 모듈(270)은 광고 제공 서버(120)로부터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광고 모듈(270)은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한 후 광고가 없는 경우에는 광고 제공 서버(120)로 해당 이동 상태 조건의 광고 제공을 요청하고, 경로 안내 모듈(260)로 광고가 없음을 통보하여 광고를 노출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광고 모듈(270)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은 도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여 광고 모듈(270)의 내부 구성 및 구성들 각각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포함된 광고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고 모듈(270)은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300), 광고 관리부(310), 광고 요청부(320), 광고 수신부(330), 광고 노출부(3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300)는 센서부(220)를 통해 이동 속도,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경로 안내 모듈(260)을 통해 지도 데이터로부터 도로 정보, 도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위치 정보는 경로 안내 모듈(260)을 통해 확인 가능할 것이다.
광고 관리부(310)는 경로 안내 모듈(260)로부터 광고 노출 요청이 있으면,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300)를 통해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저장부(250)를 통해 확인한다.
만약,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가 있으면 광고 관리부(310)는 광고 노출부(340)를 통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확인한 광고를 노출시킨다.
하지만, 광고 관리부(310)는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가 없으면, 경로 안내 모듈(260)로 현재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가 없음을 통보하여 광고를 노출하지 않도록 하고, 광고 요청부(320)를 통해 확인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광고 제공 장치(120)로 요청한다. 이후, 요청에 따라 광고 소재 URI 주소가 회신되면, 광고 요청부(320)는 이를 광고 수신부(330)로 전달하여 광고 제공 서버(120)를 통해 해당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광고 요청부(320)는 광고 관리부(310)의 관리에 따라 광고 제공 장치(120)로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요청한다.
광고 수신부(330)는 광고 요청부(320)의 요청에 의해 광고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광고는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3의 도면의 광고 모듈 내 별도의 저장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고 모듈 내에 광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구비하고, 수신된 광고를 별도로 구비한 광고 모듈 내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광고 노출부(340)는 광고 관리부(310)에서 확인한 광고를 출력부(240)를 통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노출한다.
일 실시 예로, 이동 상태 정보 중 이동 속도에 따라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경로 안내 모듈(260)로부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노출 요청이 있으면,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300)는 센서부(220)를 통해 이동 속도를 확인한다. 이후, 광고 관리부(310)는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저장부(250)를 통해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고,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한다. 이후, 확인된 광고가 음성만 포함하고 있는 광고인 경우에는 광고 노출부(340)는 출력부(240)를 통해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도록 하고,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인 경우에는 출력부(240)를 통해 이미지와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도록 한다.
즉,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스토리성이 있는 영상이 포함된 광고를 노출시키고, 속도의 빠른 경우에는 임펙트가 강한 음성으로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 속도에 따른 광고는 광고 제공자에 의해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 이동 상태 정보 중 이동 속도가 속하는 속도 구간에 따라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경로 안내 모듈(260)로부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노출 요청이 있으면,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300)는 센서부(220)를 통해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이동 속도가 속하는 속도 구간을 판단한다. 이후, 광고 관리부(310)는 판단한 속도 구간에 매핑된 광고를 저장부(250)를 통해 확인하고, 광고 노출부(340)는 확인한 광고를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부(210)는 광고 제공 장치(120)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물리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센싱 정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동 속도,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30)는 출력부(240)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240)는 기본적으로, 단말(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출력부(24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스피커),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는 입력부(2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대표적으로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40)는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에서 확인한 현재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표시한다.
저장부(250)는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100)의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더불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제공에 관련한 정보 및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0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252), 광고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이동 상태별 광고(254)가 저장될 수 있다. 만약, 광고 모듈(260)에 광고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장부가 구비된다면, 이동 상태별 광고(254)는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저장부(10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 제공 장치(120)는 제어부(400), 통신부(410), 저장부(4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광고 제공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0)는 단말(100)로 광고 사업자로부터 등록을 위해 제공받은 광고를 관리하기 위한 광고 관리부(40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광고 관리부(402)는 이동 상태 정보별로 광고를 구분하여 저장부(402)에 저장한다. 또한, 광고 관리부(402)는 통신부(4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이 있으면, 이동 상태별로 저장된 광고를 통신부를 통해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단말(100)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은 단말(100)에서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에 따라 모든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 제공을 요청이다.
또한, 광고 관리부(402)는 통신부(4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특정 조건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제공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저장부(402)를 통해 확인한 후 확인한 광고를 통신부(410)를 통해 단말(100)로 제공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의 광고 모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광고 모듈에서의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에 따라 단말(100)은 광고 제공 장치(120)로부터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였음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광고 모듈(270)은 경로 안내 모듈(260)로부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노출 요구가 있으면, 경로 안내 모듈(260)로부터 도로 정보, 도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센서부(220)를 통해 이동 속도,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한다.(S500)
광고 모듈(270)은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한다.(S502 ~ S504)
이후, 광고 모듈(270)은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가 있으면, 확인한 광고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시킨다.(S512)
하지만,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가 없으면, 경로 안내 모듈(260)로 현재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가 없음을 통보하여 광고를 노출하지 않도록 하고, 확인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광고 제공 장치(120)로 요청한다.(S506)
이후, 광고 모듈(270)은 요청에 따라 광고 제공 장치(120)로부터 광고 소재 URI 주소가 회신되면, 이를 이용하여 광고 제공 서버(120)를 통해 해당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508 ~S510)
상기의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500)에서 센서부(220)를 통해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S502 단계에서 광고 모듈(270)은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고,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한 광고가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이면 S512단계에서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고, 확인한 광고가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이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광고 이미지를 노출하면서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이제 광고 제공 서버(120)가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에서 이동 상태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 제공 서버(120)는 이동 상태별로 광고를 매핑시켜 저장한다.
광고 제공 서버(12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단말(100)로부터 이동 상태별 광고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된 이동 상태별 광고를 제공한다.(S600 ~ S604)
이후, 광고 제공 서버(120)는 단말로부터 특정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 시 함께 수신된 이동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여 확인한 광고를 단말(100)로 제공한다.(S606 ~S608)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받기 위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와 같은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황에 맞는 광고를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부 영역에 노출시킴으로써 차량 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맞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및 광고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0: 단말 110: 통신망 120: 광고 제공 장치
13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200: 제어부
210: 통신부 220: 센서부 240: 입력부
250: 저장부 260: 경로 안내 모듈 270: 광고 모듈
252: 어플리케이션 254: 광고 300: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
310: 광고 관리부 320: 광고 요청부 330: 광고 수신부
340: 광고 노출부

Claims (16)

  1. 광고 제공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속도 및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
    이동 상태별 광고를 저장하는 저장부;
    데이터를 음성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는 출력부;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한 광고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한 광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초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모듈로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광고 노출을 요청하는 경로 안내 모듈;
    상기 광고 노출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상태 정보에 따른 이동 상태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하는 광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모듈은,
    상기 경로 안내 모듈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
    광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
    상기 경로 안내 모듈로부터 광고 노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를 통해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상기 저장부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광고 노출부를 통해 확인한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모듈은,
    상기 광고 관리부의 관리에 따라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요청하는 광고 요청부;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수신된 광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광고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관리부는,
    상기 경로 안내 모듈로부터 광고 노출 요청에 따라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가 없으면, 상기 경로 안내 모듈로 현재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가 없음을 통보하고, 상기 광고 요청부를 통해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수신하여 수신한 광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정보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광고 관리부를 통해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광고 관리부를 통해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이동 상태 정보별 광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 상태별로 저장된 광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하나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부를 통해 요청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확인한 후 확인한 광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9. 광고 제작자로부터 등록을 위해 제공된 광고를 이동 상태별로 저장하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상태별로 저장된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하나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확인한 후 확인한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별로 매핑된 광고를 저장하고,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와 센서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여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상기 확인한 광고를 노출하는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10. 단말이,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이동 상태별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데이터와 센서를 통해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이동 속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매핑된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광고를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 수행 후,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대해 저장된 광고가 없으면,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 상기 판단한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한 광고가 음성만을 포함하는 광고이면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고, 상기 확인한 광고가 음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고이면 상기 경로 안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미리 설정된 광고 노출 영역에 광고 이미지를 노출하면서 음성으로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14. 광고 제공 서버가, 단말로 이동 상태별로 광고를 매핑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최초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이동 상태별 광고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이동 상태별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하나의 이동 상태에 대한 광고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이동 상태에 따른 광고를 확인하고, 확인한 광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는,
    이동 속도, 위치, 도로 정보, 도로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른 이동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16. 제10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56155A 2013-05-20 2013-05-2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36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155A KR20140136543A (ko) 2013-05-20 2013-05-2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155A KR20140136543A (ko) 2013-05-20 2013-05-2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543A true KR20140136543A (ko) 2014-12-01

Family

ID=5245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155A KR20140136543A (ko) 2013-05-20 2013-05-2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65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61B1 (ko) * 2015-05-12 2016-03-15 정진우 자이로센서 기반의 알람서비스 제공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CN108600303A (zh) * 2018-03-13 2018-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61B1 (ko) * 2015-05-12 2016-03-15 정진우 자이로센서 기반의 알람서비스 제공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CN108600303A (zh) * 2018-03-13 2018-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CN108600303B (zh) * 2018-03-13 2020-08-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692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haring geographic location
US20190339833A1 (en) Location-Base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CN104412264B (zh) 预先缓存与旅行目的地相关的数据
US20160131495A1 (en) Start-of-route map navigation with suppression of off-route feedback
US9230438B2 (en) Vehicle location and activity sharing
KR101901881B1 (ko) 차량에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8789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be-based routing
TW201346308A (zh) 用於使用與促進計算裝置之鄰近度及以內容為基礎之全球定位演繹之機制
CN112683289A (zh) 导航方法及装置
JP2019036953A (ja) 映像通話を利用した道案内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4519606A (ja) 短距離において複数の曲がり角を曲がるための支援を備え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100640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CN111947665B (zh) 导航控制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422614B (zh) 用于设备交互的方法、装置和介质
KR20140136543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99981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12033427A (zh) 导航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261380B2 (en) Intelligent adjustment of map viewports at launch
JP5505320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1502777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plified path and points of interest user interfaces
KR20070105694A (ko) 네비게이션 배경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200008880A (ko)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40045642A (ko)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621066B (zh) 用于处理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80042617A (ko) 스마트 투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