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880A -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880A
KR20200008880A KR1020180083089A KR20180083089A KR20200008880A KR 20200008880 A KR20200008880 A KR 20200008880A KR 1020180083089 A KR1020180083089 A KR 1020180083089A KR 20180083089 A KR20180083089 A KR 20180083089A KR 20200008880 A KR20200008880 A KR 2020000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road
walking
public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804B1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8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8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3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a camera or code reader, e.g. for optical or magnetic c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길 안내 정보 및/또는 대중 교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은, (a)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의 정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길안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길안내요청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실사 영상 위에 상기 길안내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c)는 도보 구간의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경로 표시, 회전 구간,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문자, 그래픽,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대중교통정보는 대중교통의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생성된 대중교통의 탑승안내정보 및 하차안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for walking directions in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도보 및/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가고자 할 때 휴대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목적지까지 길 안내를 하기 위한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주변의 지리나 특징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확보한 상태여야 하므로, 초행길이나 복잡한 지역의 경우에는 목적지를 찾기가 쉽지 않다.
물론,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핸드폰, PDA 등과 같은 휴대통신기기에 GPS기술을 접목하여 현재의 자신의 위치와 목적지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의 경우 현실과는 다른 2차원 또는 3차원의 그래픽 지도 등을 이용해 휴대통신장치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매칭한 지도정보가 현실과 동떨어져 목적지를 찾는데 불편함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현실의 촬영 사진에 GPS기술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이용해 목적지를 표시하는 Road View 및 구글 맵(map)등의 정보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이는 실시간이 아닌 이미 저장된 영상 정보를 GIS 기반의 단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한적인 정보만을 획득할 뿐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주변 정보들을 확인하거나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현재 교통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시스템들은 비용과 시간에 따른 종류만을 제안하고 있을 뿐 좀 더 상세한 교통 흐름 또는 주변 정보들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7633호(2017.10.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길 안내 정보 및/또는 대중 교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 (정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길안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전송부;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길안내요청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수신부; 및 상기 실사 영상 위에 상기 길안내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는 도보 구간의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경로 표시, 회전 구간,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문자, 그래픽,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대중교통정보는 대중교통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생성된 대중교통의 탑승안내정보 및 하차안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은, (a)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의 정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길안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길안내요청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실사 영상 위에 상기 길안내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c)는 도보 구간의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경로 표시, 회전 구간,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문자, 그래픽,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대중교통정보는 대중교통의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생성된 대중교통의 탑승안내정보 및 하차안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길 안내 정보 및/또는 대중 교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기존의 지도를 통한 도보/대중교통 길 안내 서비스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최상의 도보/대중교통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길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의 흐름도,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길 안내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길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사용자 단말(2), 길안내서버(3), 및 대중교통서버(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은 사용자 단말(2), 길안내서버(3), 및 대중교통서버(4)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 단말(2)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길 안내 정보 및/또는 대중 교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길안내서버(3)는 사용자 단말(2)과 통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2)에서 필요로 하는 도보/대중교통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이다.
대중교통서버(4)는 길안내서버(3)와 통신하여 길안내서버(3)에서 필요로 하는 대중교통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의 구성도로, 도 1의 사용자 단말(2)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전송부(21), 정보수신부(23), 및 표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전송부(21)는 사용자 단말(2)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 (정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길안내 서버(3)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보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약칭함)이 실행되면 카메라로 비춰지는 통행로, 버스 정류장, 지하철 플랫폼, 버스, 지하철 등의 실사 영상을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된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GPS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하며, 획득된 실사 영상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실시간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생성하여 길안내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수신부(23)는 길안내 서버(3)로부터 길안내요청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길안내정보는 목적지까지의 도보 경로 표시에 대한 정보, 회전 구간(방향 전환)에 대한 정보,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5)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실사 영상 위에 정보수신부(23)를 통해 길안내서버(3)로부터 수신된 길안내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경로 표시, 회전 구간,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 등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문자, 그래픽,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25)를 통해 표시되는 대중교통정보는 대중교통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길안내서버(3)로부터 생성된 대중교통의 탑승안내정보(예를 들어, '000번 버스를 탑승하세요' 등) 및 하차안내정보(예를 들어, '다음 000 정류장에서 내리세요'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길안내서버(3)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대중교통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예를 들어, 버스 정류장, 지하철 플랫폼, 버스 번호, 지하철 번호 등에 대한 실사 영상)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필요한 대중교통정보를 대중교통서버(4)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장치에서 구현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2)은 도보 길 안내 앱이 실행되면(S301) 카메라로 비춰지는 통행로, 버스 정류장, 지하철 플랫폼, 버스, 지하철 등의 실사 영상을 획득하고(S303),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된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GPS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하며, 획득된 실사 영상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실시간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생성하여 길안내서버(3)로 전송한다(S305).
이어, 길안내서버(3)는 단계 S305에서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길안내요청정보에 대중교통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예를 들어, 버스 정류장, 지하철 플랫폼, 버스 번호, 지하철 번호 등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S307), 단계 S307의 판단 결과 대중교통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까지의 도보 경로 표시에 대한 정보, 회전 구간(방향 전환)에 대한 정보, 및 목적지 도착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하며(S309),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09에서 길안내서버(3)로부터 수신된 길안내정보(I)를 단계 S303에서 획득된 실사 영상 위에 중첩하여 표시한다(S311).
한편, 길안내서버(3)는 단계 S307의 판단 결과 대중교통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대중교통 관련 실사 영상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대중교통서버(4)로부터 필요한 대중교통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고(S301-S315), 예를 들어 대중교통의 탑승안내정보(예를 들어, '000번 버스를 탑승하세요' 등) 및 하차안내정보(예를 들어, '다음 000 정류장에서 내리세요' 등) 등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I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하며(S317),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17에서 길안내서버(3)로부터 수신된 길안내정보(II)를 단계 S303에서 획득된 실사 영상 위에 중첩하여 표시한다(S319).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경로 표시, 회전 구간,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 등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문자, 그래픽,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도보 구간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길안내 서비스 시 화면상에 경로 표시뿐만 아니라 음성을 통한 회전 구간 안내, 목적지 출발/도착 안내, 대중교통 탑승/하차 안내 등의 주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탑승 시 카메라로 버스를 비추면 버스번호를 인식하여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버스를 표시하여 해당 버스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하차 정보까지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 거리 및 방향, 설명 등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반경거리는 1km미만의 경우 m 단위로 표시할 수 있고, 방향은 직진, 우회전, 좌회전을 기준으로 하되 갈림길이 5거리 이상 되는 경우 00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다중경로는 2개까지만 안내할 수 있으며, 단일경로인 경우는 직진, 횡단보도, 좌회전, 우회전, 00시 방향 등으로 안내하고, 다중경로 허용인 경우는 2가지 경로를 모두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도보 경로안내 TBT(Turn By Turn) 케이스의 예를 설명한다.
방향 전환 안내는 화면의 TBT 방향 영역에 화살표로 표시하고, '잠시후 좌회전/우회전/유턴 입니다'와 같이 음성 안내를 하거나, '잠시후 용산고등학교 앞에서 좌회전 입니다'와 같이 랜드마크 기반 길안내를 할 수 있다.
횡단보도는 화면의 TBT 방향 영역에 횡단보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횡단보도를 건너세요'와 같은 음성 안내를 할 수 있다.
육교는 화면의 TBT 방향 영역에 육교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육교를 올라가세요', '우/좌측방향으로 육교를 내려가세요'와 같은 음성 안내를 할 수 있다.
지하도는 화면의 TBT 방향 영역에 지하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방향 설명은 출구번호가 없으면 '지하도 진입'과 같이 표시하고, 출구번호가 있는 경우는 '지하도 0번 방향'과 같이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지하도에 진입하여 반대방향으로 나오세요', '지하도에 진입하여 0번 방향으로 나오세요'와 같은 음성 안내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대중교통안내 서비스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길안내 중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플랫폼에 진입하면, 버스정류장 또는 지하철 플랫폼으로의 진입을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의 카메라로 버스/지하철을 비추면 버스의 번호 또는 도착 지하철을 인식한 다음, 사용자 단말(2)의 표시부(25)를 통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대중교통정보 및 추가 정보(목적지까지 소요 시간, 버스의 경우 해당 버스 탑승 인원, 지하철의 경우 해당 지하철 행선지(ex.광운대행)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2: 사용자 단말
3: 길안내 서버
4: 대중 교통 서버
21: 정보 전송부
23: 정보 수신부
25: 표시부

Claims (9)

  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실사 영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길안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전송부;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길안내요청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수신부; 및
    상기 실사 영상 위에 상기 길안내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도보 구간의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경로 표시, 회전 구간,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문자, 그래픽,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정보는 대중교통에 대한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대중교통의 탑승안내정보 및 하차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4. (a)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영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길안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길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길안내요청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실사 영상 위에 상기 길안내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도보 구간의 실사 영상 위에 도보 경로 표시, 회전 구간, 대중교통정보, 및 목적지 도착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문자, 그래픽,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정보는 대중교통의 실사 영상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대중교통의 탑승안내정보 및 하차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9.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83089A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548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89A KR102548804B1 (ko)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89A KR102548804B1 (ko)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80A true KR20200008880A (ko) 2020-01-29
KR102548804B1 KR102548804B1 (ko) 2023-06-29

Family

ID=6932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89A KR102548804B1 (ko)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906A (ko) 2020-08-31 2022-03-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반 대중교통 승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한 휴대단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729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제니텀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4401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통행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88662A (ko) * 2014-01-24 2015-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 특이점을 이용한 이동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117633A (ko) 2016-04-14 2017-10-24 이지운 비콘을 이용한 실내 ips를 통한 증강현실 지도/길 안내 서비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729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제니텀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4401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통행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88662A (ko) * 2014-01-24 2015-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 특이점을 이용한 이동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117633A (ko) 2016-04-14 2017-10-24 이지운 비콘을 이용한 실내 ips를 통한 증강현실 지도/길 안내 서비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906A (ko) 2020-08-31 2022-03-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반 대중교통 승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한 휴대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804B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0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avigation guidance via proximate devices
JP6418266B2 (ja) 音声コマンドに対応した視覚コンテキストを表示する三次元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94521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CN106687765B (zh) 用于在建筑物内部的第一位置和第二位置之间对用户导航的方法
US99098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conveyance of guidance information
KR20150034997A (ko) 경로 안내에 따른 목적지를 명확히 인지시켜 주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5030491B (zh) 一种导盲方法及导盲系统
JP202300113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59113B2 (ja) 案内サーバ、案内方法および案内プログラム
AU2017397651B2 (en) Providing navigation directions
JP6655038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Ranasinghe et al. Pedestrian navigation and GPS deteriorations: User behavior and adaptation strategies
KR20200008880A (ko) 사용자 단말의 도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230228587A1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view
JP5053135B2 (ja) 交通情報表示システム、交通情報表示サーバ、交通情報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96261B1 (ko) 랜드마크를 이용한 보행자 이동경로 제공방법
JP2008070973A (ja) 端末装置、管理サーバ、データ表示方法、リスト作成方法、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リスト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ainz et al. Catching the right bus-Improvement of vehicle communication with Bluetooth Low Energy for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
Prandi et al. On augmenting the experience of people with mobility impairments while exploring the city: A case study with wearable devices
JP658187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Królewski et al. Public transport navigation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interface
KR20150098285A (ko)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6543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중 이동 상태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44729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230400322A1 (en) Computer-readable medium,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