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642A -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642A
KR20140045642A KR1020120111615A KR20120111615A KR20140045642A KR 20140045642 A KR20140045642 A KR 20140045642A KR 1020120111615 A KR1020120111615 A KR 1020120111615A KR 20120111615 A KR20120111615 A KR 20120111615A KR 20140045642 A KR20140045642 A KR 2014004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us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588B1 (ko
Inventor
김종현
조호성
윤영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588B1/ko
Priority to CN201380033285.2A priority patent/CN104380768B/zh
Priority to EP16187928.3A priority patent/EP3125581B1/en
Priority to EP13846046.4A priority patent/EP2908562B1/en
Priority to PCT/KR2013/007727 priority patent/WO2014058153A1/ko
Publication of KR2014004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588B1/ko
Priority to US14/567,234 priority patent/US9843556B2/en
Priority to US15/804,161 priority patent/US1039718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가,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주소록의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에서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단말 장치가 수신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소록 정보를 얻기 위해 직접 검색할 필요 없이, 주소록 실행만으로도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관심 있는 업종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 등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INFORMATION OF ADDRESS BOOK SERV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OF ADDRESS BOOK SERVICE IN THE SYSTEM}
본 발명은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자동 등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기기들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을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기들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기기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기기를 통해 자신의 인맥이나 자주 이용하는 매장 등의 연락처를 주소록에 저장하여 필요 시 바로 검색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관심 있는 업종의 매장 연락처도 검색하여 주소록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소록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나 상대방과 송수신한 메시지나 전화통화 등에 의해 얻은 주소록 정보를 저장하는 형태로 주소록에 주소록 정보를 등록하였다.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주소록에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종래의 주소록 서비스는 등록된 주소록 정보 이외의 다른 연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주소록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사 또는 출장 등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관공서, 음식점, 학교, 경찰서, 영화관 등과 같은 생활 편의 시설에 대한 전화번호를 다시 찾아서 등록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705960호, 2007년 04월 03일 등록 (명칭: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요청한 카테고리만으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주소록 정보를 자동으로 주소록에 등록하여 사용자에게 주소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주소록 정보에 관련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주소록에 등록된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주소록의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사용자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단말 장치와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요청 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의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단말 장치로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확인부; 위치 확인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는 주소록 정보 검색부; 및 주소록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주소록 정보 검색부는,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통화 이력 정보 및 그룹 정보에 관련한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전에 주로 이용하던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인근 지역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된 이벤트를 문자 메시지를 통해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장치와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주소록의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제어부; 및 주소록에 등록된 주소록 정보들을 카테고리 별로 구분된 그룹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비스 실행부; 주소록을 관리하고,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주소록의 그룹을 생성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그룹 정보에 대응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의 해당 그룹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주소록 관리부; 및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요청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주소록 관리부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부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실행 후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 받으면, 주소록에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부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실행 후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 받으면, 주소록에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미리 설치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여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실행 화면에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그룹을 설정하여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로 생성된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그룹 정보에 대응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및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의 설정된 그룹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장치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수신된 그룹 정보에 대응하여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카테고리 정보만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인근 지역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자동으로 주소록에 등록함에 따라 사용자가 주소록 정보를 얻기 위해 직접 검색할 필요 없이, 주소록 실행만으로도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관심 있는 업종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 등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주소록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주소록 서비스를 위한 다수의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주소록 정보 서비스에 대한 회원 가입하거나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받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카테고리 정보에 따른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 받아 자동으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하여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 위치에서 수신된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록된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주소록에 현재 위치한 다른 지역에서의 원하는 음식점이나, 매장의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아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위치 확인 서비스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서비스 실행부(111), 주소록 관리부(112), 메시지 처리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실행부(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주소록 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출력부(150)의 화면에 주소록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실행부(111)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출력부(15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소록 관리부(11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주소록을 관리하고,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에 등록시키고,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따라 주소록에 등록된 이름 또는 전화 번호 등으로 구분하여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주소록 관리부(112)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가 실행된 상태에서 주소록 정보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하면, 카테고리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카테고리 정보에 따른 그룹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따른 그룹이 존재하면, 주소록 관리부(112)는 해당 카테고리 정보에 대한 그룹을 불러온다.
이후, 주소록 관리부(112)는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 정보를 메시지 처리부(113)로 전달한다. 여기서, 카테고리 정보는 미리 생성된 그룹 명이나,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음식점, 쇼핑 매장 등의 명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의 치킨 매장의 위치를 알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카테고리 정보로 치킨이란 단어를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소록 관리부(110)는 입력된 치킨이란 단어를 카테고리 정보로 인식하고, 치킨에 대한 미리 설정된 그룹을 불러오거나, 치킨에 대한 그룹을 새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소록 관리부(112)는 메시지 처리부(113)를 통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전달받아서 주소록에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자동으로 등록한다. 이때, 주소록 관리부(112)는 메시지 처리부(113)로부터 그룹 정보(그룹 식별자)를 함께 전달받아서 그룹 식별자를 통해 주소록의 해당 그룹에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주소록 관리부(112)는 전달 받은 주소록 정보는 출력부(150)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주소록 정보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수신되어 표시될 수도 있으며, 메시지 수신함 등에 보관되어 메시지 검색을 통해 확인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등으로 직접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113)는 주소록 관리부(112)에서 생성된 그룹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130)를 통해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13)는 서비스 요청 응답 메시지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하고, 서비스 요청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 관리부(112)로 전달한다. 여기서, 서비스 요청 응답 메시지는 검색 성공, 실패 등의 검색 결과 정보, 그룹 정보,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 및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관련된 사용자 평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새로운 주소록 정보는 주소록의 해당 그룹에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서비스 실행부(111)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및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네비게이션 및 지도 화면에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실행부(111)는 미리 설치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주소록에 접근하도록 설정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요청한 카테고리 정보가 치킨이고, 치킨에 관련한 새로운 주소록 정보로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던 치킨 매장의 전화번호 및 위치 정보를 제공받으면, 서비스 실행부(111)는 지도 실행 화면에 표시된 지도 상에 수신된 치킨 매장의 전화번호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10)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통신부(13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저장부(140)는 전화번호, 이름, 주소 및 이메일 등을 포함하는 주소록 정보를 저장하는 주소록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주소록 정보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들 즉,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며, 주소록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그룹에 서비스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소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사용자 평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사용자 평가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예를 들어, 지도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해당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비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동작 등의 제어를 수행하며,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주소록의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그룹 정보에 대응하여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위치 확인부(211),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 서비스 처리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 확인부(211)는 통신부(220)를 통해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위치 확인부(211)는 사용자의 위치 확인을 위해, GPS 신호를 또는 기지국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는 통신부(220)를 통해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서비스 처리부(213)로 전송한다. 이때,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는 이전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등록된 주소록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에 주로 이용하던 주소록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소록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에서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는 그룹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그룹 명)에 대응하는 인근의 관련 주소록 정보 즉, 관련 업종의 전화 번호 등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해당 주소록 정보의 매장 등을 이용한 후 사용자 평가를 등록하면, 등록된 사용자 평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주소록 검색 시 사용자 평가에 따라 검색된 주소록 정보를 선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즉,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는 주소록 검색 시 관리되는 검색된 주소록 정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확인하고, 사용자 평가가 안 좋은 경우 검색 결과에서 제외시킨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 화면에는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선택 항목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평가 정보는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 시 함께 단말 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에서는 사용자 평가 정보가 주소록에 함께 저장되거나, 별도의 저장 공간에 연결 식별자를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미리 등록한 관심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 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사용자가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미리 등록한 관심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여 서비스 처리부(213)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처리부(213)는 통신부(220)를 통해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그룹 정보를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로 전송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확인부(211)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처리부(213)는 주소록 정보 검색부(212)에서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 및 그룹 정보(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요청 응답 메시지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처리부(213)는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저장부(230)의 검색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문자 메시지를 통해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2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210)로 전송하고, 제어부(210)에서 생성된 서비스 요청 응답 메시지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발생된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저장부(230)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에 가입 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회원 가입에 관련한 정보들 및 서비스 요청에 따라 수신된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이전 통화 이력 정보 및 주소록에 등록된 주소록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별도의 서버 장치에서 관리되어 서비스 장치(20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수신되어 임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결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100)와 서비스 장치(200)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회원 등록 및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받기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주소록에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록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주소록 정보들을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그룹을 미리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고, 주소록 정보 서비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 받는다.
11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주소록의 해당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그룹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고,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그룹을 불러와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을 설정한 후,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11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그룹 정보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04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런 다음 110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파악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이전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등록된 주소록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에 주로 이용하던 주소록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소록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에서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그룹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그룹 명)에 대응하는 인근의 관련 주소록 정보 즉, 관련 업종의 전화 번호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그룹 정보에 포함된 그룹 명(카테고리 정보)이 '치킨'이라면, '치킨'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전 통화 이력 정보 또는 그룹의 주소록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에 주로 이용하던 즉, 치킨 매장명을 확인하고, 확인된 치킨 매장명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에서의 치킨 매장의 전화 번호 및 주소 등의 주소록 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서비스 장치(200)는 자신이 관리하는 주소록 정보들에서 검색하거나, 다른 서버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다른 서버 장치에서 관리하는 주소록 정보들을 수집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이후, 1106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그룹 정보(그룹 식별자)와 함께 서비스 응답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07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응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응답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그룹 정보에 해당하는 주소록의 그룹에 자동으로 등록시킨다.
1108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 화면을 통해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1109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 장치(100)로 이벤트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카테고리 정보만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인근 지역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자동으로 주소록에 등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소록 정보를 얻기 위해 직접 검색할 필요 없이, 주소록 실행만으로도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관심 있는 업종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 등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소록 정보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자동으로 주소록에 등록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으로,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 통신부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저장부

Claims (13)

  1.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주소록의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사용자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단말 장치와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요청 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는 주소록 정보 검색부; 및
    상기 주소록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정보 검색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통화 이력 정보 및 상기 그룹 정보에 관련한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주로 이용하던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인근 지역의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에 관련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된 이벤트를 문자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
  6.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장치와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주소록의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주소록에 등록된 주소록 정보들을 카테고리 별로 구분된 그룹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비스 실행부;
    상기 주소록을 관리하고,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주소록의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주소록의 해당 그룹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주소록 관리부;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요청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주소록 관리부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관리부는,
    상기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실행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 받으면, 상기 주소록에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관리부는,
    상기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실행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 받으면, 상기 주소록에 입력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미리 설치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여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실행 화면에 상기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11.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그룹을 설정하여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로 생성된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하여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및
    제공받은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주소록의 상기 설정된 그룹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12.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설정된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수신된 그룹 정보에 대응하여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새로운 주소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11615A 2012-10-09 2012-10-09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9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615A KR101391588B1 (ko) 2012-10-09 2012-10-09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1380033285.2A CN104380768B (zh) 2012-10-09 2013-08-28 通讯录信息服务系统及用于通讯录信息服务的方法和装置
EP16187928.3A EP3125581B1 (en) 2012-10-09 2013-08-28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EP13846046.4A EP2908562B1 (en) 2012-10-09 2013-08-28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PCT/KR2013/007727 WO2014058153A1 (ko) 2012-10-09 2013-08-28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4/567,234 US9843556B2 (en) 2012-10-09 2014-12-11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US15/804,161 US10397181B2 (en) 2012-10-09 2017-11-06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615A KR101391588B1 (ko) 2012-10-09 2012-10-09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642A true KR20140045642A (ko) 2014-04-17
KR101391588B1 KR101391588B1 (ko) 2014-05-07

Family

ID=5065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615A KR101391588B1 (ko) 2012-10-09 2012-10-09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73A1 (ko) * 2014-06-02 2015-12-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연락처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정보 서버의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340B1 (ko) 2015-07-20 2017-07-03 심창섭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540B1 (ko) * 2007-07-19 2008-11-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 기반 지역 주소록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73A1 (ko) * 2014-06-02 2015-12-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연락처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정보 서버의 운영방법
KR20150139121A (ko) * 2014-06-02 2015-12-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연락처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정보 서버의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588B1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4442A1 (en) Routing queries based on carrier phrase registration
US1041942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user information
AU2013272113B2 (en) Mobile device with localized app recommendations
CN103248999B (zh) 基于位置在用户设备处执行动作的方法、系统和程序产品
KR101633836B1 (ko) 개인 정보를 주소좌표로 변환
US20150172862A1 (en) Location-based mobile application and service selection
AU2015236219A1 (e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based on the user's explicit declaration
CN104135716A (zh) 一种兴趣点信息的推送方法及系统
JP6411011B2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US10397181B2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KR101610883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6107278A1 (zh) 一种用户信息标注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391588B1 (ko)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A2936090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caller identification
KR20140020593A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70061415A (ko)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077991A (zh) 一种点读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20150139714A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599850B1 (ko) 위치정보제공기능이 구비된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7692A (ko) 관심 지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관심 지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50131786A (ko) 음성 통화 시 시각적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