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415A -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415A
KR20170061415A KR1020150166415A KR20150166415A KR20170061415A KR 20170061415 A KR20170061415 A KR 20170061415A KR 1020150166415 A KR1020150166415 A KR 1020150166415A KR 20150166415 A KR20150166415 A KR 20150166415A KR 20170061415 A KR20170061415 A KR 20170061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area
loc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달
Original Assignee
김종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달 filed Critical 김종달
Priority to KR102015016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415A/ko
Publication of KR2017006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06Q50/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제1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U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GION BASED INFORMATION}
다양한 실시예들은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내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서비스 분야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웹 서비스 내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사용자 및 일반적인 환경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이러한 웹 서비스 내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각 지역별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제1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친구로 등록되어 있거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통화, 문자 및 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에 서버가 접근하도록 동의한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역은,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상기 획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 및 상기 획득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역정보제공 단말은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저장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친구로 등록되어 있거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통화, 문자 및 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에 서버가 접근하도록 동의한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역은,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상기 획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 및 상기 획득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역정보제공 단말은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지역정보제공 단말로부터 지역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이하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를 서버(100)라 한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과 데이터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Wi-Fi 방식, NFC 방식, 블루투스 방식, 적외선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00), 제2 사용자 단말(120) 및 서버(100)는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과 각각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역기반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2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2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지역기반정보는 특정 대상이 위치하고 있는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결정된 지역의 특정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대상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외의 국가들의 영토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지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0)는 지역정보제공 단말로부터 지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지역정보는 뉴스, 광고, 사건, 교통, 또는 이벤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정보는 뉴스, 광고, 사건, 교통,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친구로 등록되어 있거나 제1 사용자 단말에 통화, 문자 및 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인 디바이스이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에 서버가 접근하도록 동의한 것인 디바이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서 제공되는 GPS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은,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획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 또는 획득한 지점을 기준으로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지역정보제공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를 저장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지역정보제공 단말은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하는 것인 디바이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200), 통신부(210) 및 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고, 수신한 관심정보 및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지역정보제공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저장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지역정보제공 단말로부터 지역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지역정보제공 단말(130)로부터 지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지역정보제공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를 기초로 제1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는 뉴스, 광고, 사건, 교통, 또는 이벤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를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를 기초로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관심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정보는 뉴스, 광고, 사건, 교통,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는 관심정보(400)인 뉴스, 광고, 사건, 교통, 이벤트, 또는 기타의 항목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40)의 입력은 터치 입력 또는 버튼을 누르는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광고’를 선택하면,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는 ‘광고’에 대한 하위항목(410)인 구인/구직, 교육/학원, 식품, 의류, 생활서비스, 또는 기타의 항목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관심정보(400)의 각각의 항목들은 복수 개의 하위항목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서 제공되는 GPS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획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 또는 획득한 지점을 기준으로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00)을 관할하는 행정구역(530)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행정구역(530)은, 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구, 읍, 면, 동, 이, 또한 선거구 등 특별한 목적으로 구획되는 행정구역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10)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540)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범위(54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10)을 중심으로 가지는 대칭형의 폐곡선 또는 비대칭형의 폐곡선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20)을 기준으로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550)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범위(55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20)을 기준으로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를 반영하는 소정의 범위(550)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가 ‘광고’이고, 또한,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광고’에 대한 하위항목으로 ‘교육/학원’을 수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범위(55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20)을 기준으로, 주택가, 아파트, 또는 상가 밀집 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광고’에 대한 하위항목으로 ‘의류’를 수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범위(55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20)을 기준으로, 상가 밀집 지역, 시장, 또는 백화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C를 참조하면, 도 5A 및 도 5B와 비교할 때, 복수의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얻을 가능성이 없는 지역을 배제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는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지역결정(600)인 행정구역, 위치중심, 위치기준, 또는 기타의 항목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행정구역’ 항목을 선택하면,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위치중심’ 항목을 선택하면,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10)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540)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위치기준’ 항목을 선택하면,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520)을 기준으로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550)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위치중심’ 항목을 선택하면,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는 ‘위치중심’의 하위항목(610)인 패턴(도형) 및 범위(km)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범위는 km 이외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위치기준’ 항목을 선택하면,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는 ‘위치기준’의 하위항목(620)인 뉴스, 광고, 사건, 교통, 이벤트, 또는 기타의 항목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 6C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의 소정의 동작은 도 4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의 소정의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고, 수신한 관심정보 및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는 ‘위치중심’ 항목을 선택하였고,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700)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71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결정한 지역(710)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72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가 ‘광고’이고, 또한,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광고’에 대한 하위항목으로 ‘교육/학원’을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720)는 교육/학원 광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정보(730)가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800에서 서버(100)는 지역정보제공 단말(130)로부터 지역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서버(100)는 지역정보제공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서버(100)는 제2 사용자 단말로(120)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서버(100)는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서 제공되는 GPS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830에서 서버(100)는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900에서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은 지역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지역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관심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관심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정보는 뉴스, 광고, 사건, 교통,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서버(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2 사용자 단말(120)에게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위치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서 제공되는 GPS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940에서 서버(10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50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60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지역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지역기반정보를 피드백 하여 서버(100)에게 지역정보를 전송하는데 반영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000에서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은 지역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관심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서버(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위치정보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00 내지 S1030은 도 9의 단계 S900 내지 S930과 각각 대응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1040에서 서버(100)는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단계 S10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으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단계 S1030에서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획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 또는 획득한 지점을 기준으로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1050에서 서버(10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단계 S10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으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및 단계 S1040에서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60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70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60 및 S1070은 도 9의 단계 S950 및 S960과 각각 대응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서버
110 : 제1 사용자 단말
120 : 제2 사용자 단말
130 : 지역정보제공 단말

Claims (13)

  1. 제1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친구로 등록되어 있거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통화, 문자 및 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에 서버가 접근하도록 동의한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상기 획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 및 상기 획득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역정보제공 단말은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방법.
  7. 저장부;
    통신부; 및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지역기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기반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관심정보 및 상기 결정한 지역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친구로 등록되어 있거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통화, 문자 및 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지역기반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에 서버가 접근하도록 동의한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상기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지점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상기 획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 및 상기 획득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지역기반정보를 지역정보제공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역정보제공 단말은 상기 미리 저장된 지역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인,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66415A 2015-11-26 2015-11-26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61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415A KR20170061415A (ko) 2015-11-26 2015-11-26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415A KR20170061415A (ko) 2015-11-26 2015-11-26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415A true KR20170061415A (ko) 2017-06-05

Family

ID=5922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415A KR20170061415A (ko) 2015-11-26 2015-11-26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4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136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기반 디지털트윈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385184B1 (ko) * 2021-04-15 2022-04-12 (주) 알트소프트 지역 포함 관계에 따라 구독 채널이 자동 추가되는 로컬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136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기반 디지털트윈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385184B1 (ko) * 2021-04-15 2022-04-12 (주) 알트소프트 지역 포함 관계에 따라 구독 채널이 자동 추가되는 로컬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2220389A1 (ko) * 2021-04-15 2022-10-20 (주) 알트소프트 지역 포함 관계에 따라 구독 채널이 자동 추가되는 로컬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503B2 (en) Beacon triggered processes
US10440506B2 (en) Location-based ticket books
US100094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pre-determined location
CN103248999B (zh) 基于位置在用户设备处执行动作的方法、系统和程序产品
US9684925B2 (en) Precision enabled retail display
US8458311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queue order, and terminal device
CN105008858A (zh) 用于室内定位的圈内用户架构
CN105308567A (zh) 基于类别的围栏
JP6411011B2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10056762A1 (en) Design and generation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for structured distribution of content based on location-based triggers
US9609484B1 (en) Approaches for positioning computing devices
US104125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using data broadcasting of mobile device
US201802202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ime z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409016B1 (ko) 위치기반의 정보제공 방법
JP2014178724A (ja) クーポン提供方法、クーポン提供サーバ及びクーポン提供システム
CN105407160B (zh) 界面显示方法和装置
JP5996749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1943430B1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KR20170061415A (ko) 지역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30053068A1 (en) Sentient environment
KR101391588B1 (ko)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1529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67760B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
KR20180003169A (ko) 위치기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99850B1 (ko) 위치정보제공기능이 구비된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