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371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371A
KR20200042371A KR1020190009013A KR20190009013A KR20200042371A KR 20200042371 A KR20200042371 A KR 20200042371A KR 1020190009013 A KR1020190009013 A KR 1020190009013A KR 20190009013 A KR20190009013 A KR 20190009013A KR 20200042371 A KR20200042371 A KR 2020004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mponent
rotating
rotating part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타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0004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조작으로 높이를 미조정하거나 회전의 방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팽이 완구(1)의 축부(10)는, 기체 부품(11)에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감된 대략 원통형의 회전 부품(12)과, 회전 부품(12)의 내측에 나합되어 회전 부품(12)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축체 부품(13)과, 축체 부품(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13b)에서 출몰 가능한 축(14)을 구비하고, 축(14)은, 축체 부품(13)의 내부에서 부세 부재(15)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고, 회전 부품(12)이 조작되고, 회전 부품(12)이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13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축(14)이 접지되고, 회전 부품(12)이 소정의 회전 위치 이외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부세 부재(15)의 부세력에 의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내부로 몰입하여 축체 부품(1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축체 부품(13)의 하단(13b)이 접지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TOY TOP}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팽이 완구를 서로 충돌시켜서, 그 충격력에 의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의 회전을 멈추거나,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튕겨 날리거나, 혹은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분해시키는 등 하여, 이른바 배틀 게임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팽이 완구가, 팽이 완구의 높이(즉 상하 방향의 길이)를 바꾸거나 축부의 선단의 형상을 바꾸거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팽이 완구끼리가 여러 가지의 높이나 회전의 방법으로 서로 충돌하게 되기 때문에, 배틀 게임이 보다 즐거운 것이 된다.
그 경우, 팽이 완구의 높이가 높은 쪽이,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할 때,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보다 상측으로부터 공격할 수 있다. 또, 팽이 완구의 높이가 낮으면, 중심이 낮아지기 때문에 충돌했을 때의 안정성이 좋아진다.
또,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내듯이, 팽이 완구(100)의 축부(101)의 선단(101A)이 날카롭거나 구상(球狀)인 등으로 유희반(遊戱盤)이나 판면, 지면 등의 유희면과의 접지 면적이 작으면, 팽이 완구(100)가 유희면 상의 일 개소에 머물러 회전하지만, 도 13(B)에 나타내듯이, 팽이 완구(100)의 축부(101)의 선단(101A)이 평탄하거나 등으로 유희면과의 접지 면적이 크면, 팽이 완구(100)는 회전하면서 유희면 상을 이동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팽이 완구에서는,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여 공격하는 부분인 상층 부재와, 팽이 완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층 부재와, 팽이 완구의 회전의 방법을 결정하는 하층 부재를 중합하여 팽이 완구가 구성된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하층 부재에 형성되는 축부의 선단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팽이 완구의 회전의 방법이나 이동의 유무를 바꿀 수 있다. 또, 플레이어가, 중층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중층 부재에 대한 제2 중층 부재의 고정 위치를 바꿈으로써, 팽이 완구의 높이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팽이 완구에서는, 플레이어가 팽이 완구의 높이나 회전의 방법, 이동의 유무 등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그것들을 바꾸면서, 대전이 유리하게 전개되도록 여러 가지 궁리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배틀 게임이 보다 즐겁게 된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4938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팽이 완구에서는, 축부의 선단의 형상이 다른 하층 부재가 미리 복수 준비되어 있고, 하층 부재를 바꿔 붙임으로써 축부의 선단의 형상을 바꾼다.
그 때문에, 플레이어는, 축부의 선단의 형상을 바꾸기 위해서 일부러 하층 부재를 팽이 완구로부터 분리하고, 다른 하층 부재에 바꿔 붙이지 않으면 안되어, 번거로움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 하층 부재를 잃어버릴 가능성도 있었다.
또, 팽이 완구의 높이를 바꾸는 경우, 플레이어는, 상층 부재와 중층 부재와 하층 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나사를 떼어 내고, 중층 부재를 꺼내 제1 중층 부재에 대한 제2 중층 부재의 고정 위치를 바꾸고, 재차, 나사로 상층 부재와 중층 부재와 하층 부재를 연결해야 하지만, 그 조작이 귀찮게 느껴질 가능성이 있었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팽이 완구에서는, 플레이어는, 팽이 완구의 높이가 높은 상태와 낮은 상태의 2개 상태의 어느 하나 밖에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팽이 완구의 높이의 미조정(微調整)을 실시하지 못하고 흥취가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부품의 교환을 수반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높이를 미조정하거나 회전의 방법(이동의 유무를 포함한다.)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1 수단은,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는 동체(胴體)와, 그 하방에 배치되어 유희면에 접지하는 축부를 갖는 팽이 완구에서,
상기 축부는, 기체 부품과, 상기 기체 부품의 요부(凹部)에 둘레 방향(周方向)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감(揷嵌)된 대략 원통형의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의 내측에 나합(螺合)되어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축체 부품과,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출몰 가능한 축을 구비하고,
상기 축체 부품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도, 그 하단이 상기 회전 부품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서 부세(付勢) 부재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의 어느 일방으로 부세되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이 조작되고, 상기 회전 부품이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축이 접지하고,
상기 회전 부품이 상기 소정의 회전 위치 이외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로 몰입하여 상기 축체 부품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이 접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서,
상기 축은,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서 부세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부세되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내면에, 소정의 위치에 노치가 설치된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체 부품의 측면에는, 외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에 수직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철부(凸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의 철부가 상기 축체 부품의 개구부를 빠져 나와 상기 축체 부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이 조작되어 상기 회전 부품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가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 이외의 부분이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가 계합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로 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1 수단 또는 제2 수단에서, 상기 축의 철부는, 하면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상기 노치에 접한 상측의 각부(角部)가 상기 경사면에 당접하고, 상기 경사면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축의 철부를 밀어 올려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1 수단에서,
상기 축은,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서 부세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되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내면에, 소정의 위치에 노치가 설치된 암나사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축체 부품의 측면에는, 외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축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에 수직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철부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축의 철부가 상기 축체 부품의 개구부를 빠져 나와 상기 축체 부품의 외측에 돌출되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이 조작되어 상기 회전 부품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가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로 몰입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 이외의 부분이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가 계합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1 수단 또는 제4 수단에서, 상기 축의 철부는, 상면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상기 노치에 접한 하측의 각부(角部)가 상기 경사면에 당접하고, 상기 경사면을 눌러 내림으로써 상기 축의 철부를 눌러 내려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5 수단의 어느 하나의 수단에서, 상기 축체 부품은, 상기 기체 부품에 고정된 규제 부품에 의해, 둘레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팽이 완구의 회전 부품을 회전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팽이 완구의 높이를 미조정하거나 회전의 방법(이동의 유무를 포함한다.)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노는 방법을 설명한 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A) 규제 부품의 원주부의 내면에 설치된 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 축체 부품의 안내부의 측면에 설치된 요부(개구(開口))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축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A) 축의 철부의 하단이 수나사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 축의 철부의 하단과 회전 부품의 암나사가 계합한 상태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회전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A), (B)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에 접한 각부가 축의 철부의 경사면에 당접하여 밀어 올리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서의 동체, 축부 및 플라이 휠의 계합 관계를 나타내고, (A)는 계합 해제 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계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회전 부품의 회전 각도가 (A) 0도, (B) 90도, (C) 180도인 경우의 축체 부품의 돌출 길이나 축의 선단 상태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회전 부품의 회전 각도가 (A) 270도, (B) 360도인 경우의 축체 부품의 돌출 길이나 축의 선단 상태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팽이 완구의 축부의 선단과 유희면의 접지 면적이 (A) 작은 경우, (B) 큰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노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팽이 완구(1)끼리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도 1의 우측과 같이 분해시켜서 승리하는 것과 같은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는 팽이 완구(1)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1)는, 이러한 분해 가능한 팽이 완구가 아니어도 좋다.
팽이 완구(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유희반이나 판면, 지면 등의 유희면에 접지하는 드라이버가 되는 축부(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층이 되는 성능 가변 링(30) 및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는 동체(4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세부 구성》
[1. 축부(10)에 대해]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축부(10)는, 기체 부품(基體部品)(11), 회전 부품(12), 축체 부품(13), 축(14), 규제 부품(規制部品)(16), 압압 부품(押壓部品)(17), 커버(19)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 부품(11)은, 주발형(椀狀)으로 형성되고 있고, 요부(11a)의 저부에 원형의 구멍(孔)(11b)이 형성되고 있다. 기체 부품(11)의 좌우의 측면 상면에는, 각각 하향으로 움푹 패인 홈(溝)(11c)이 형성되고 있고, 홈(11c)에는 각각 나사 삽통공(11d)이 형성되고 있다.
기체 부품(11)의 구멍(11b)에는, 대략 원통형의 회전 부품(12)이 삽감(揷嵌)되고 있다. 그리고, 회전 부품(12)의 상부의 원통부(12a)가, 기체 부품(11)의 요부(11a)에 내감(內嵌)되고 있고, 기체 부품(11)의 요부(11a) 내에서 그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 부품(12)의 하부에는, 원통부(12a)와 동심으로 약간 소경의 대략 원통형의 조정부(12b)가 원통부(1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조정부(12b)는, 기체 부품(11)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기체 부품(11)의 하방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있다.
또,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의 내면에는 암나사(12c)가 형성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암나사(12c)에는 소정의 위치에 노치(12c2)(후술하는 도 8 참조)가 설치되고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회전 부품(12)의 내측에는, 축체 부품(13)이 배치되어 있다. 축체 부품(13)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축(14)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수용부(13a)가 설치되고 있고, 수용부(13a)의 하단에는, 수용부(13a)와 동심으로 약간 소경의 원통형의 하단부(13b)가 연장하여 설치(延設)되고 있다.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의 측면의 외측에는 수나사(13c)가 형성되고 있고, 축체 부품(13)은 회전 부품(12)의 내측에서 회전 부품(12)에 나합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의 측면에 개구부(13g)가 설치되고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축체 부품(13)은, 후술하듯이 기체 부품(1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 부품(16)에 의해서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듯이 플레이어에 의해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가 조작되어 회전 부품(12)이 기체 부품(1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해도, 축체 부품(13)은 둘레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 부품(12)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 부품(12)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회전 부품(12) 하단에서 하방으로의 돌출 길이(L)(후술하는 도 11(A)~(C), 도 12(A), (B) 참조)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하게 되어 있다.
그 때, 회전 부품(12)을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가 회전 부품(12) 내로 몰입해버리는 일은 없다. 즉, 회전 부품(12)을 회전시켜서 축체 부품(1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가 회전 부품(12)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축체 부품(13)의 상부에는, 수용부(13a)와 동심으로 약간 소경의 원통형의 안내부(13d)가 설치되고 있다.
축체 부품(13)의 내부에는, 축(14)이 수용되고 있다. 축(14)의 하부에는, 하단이 하방으로 철상(凸狀)으로 형성된 원주상의 본체부(14a)가 설치되고 있다. 또, 이하, 축(14)의 본체부(14a)의 하단을, 축(14)의 선단(A)이라고 한다.
축(14)의 본체부(14a)는, 그 외경이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의 내경과 동일 또는 조금 작게 형성되고 있고,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축(14)의 상부에는, 본체부(14a)와 동심으로 약간 소경의 원주상의 봉상부(棒狀部)(14b)가 본체부(14a)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축(14)의 봉상부(14b)는, 그 외경이 축체 부품(13)의 안내부(13d)의 내경과 동일 또는 조금 작게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축(14)의 봉상부(14b)가 축체 부품(13)의 안내부(13d) 내에 삽입되고 있고, 안내부(13d)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밖에 이동할 수 없도록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즉 봉상부(14b)가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축(14)의 본체부(14a)가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에서 이동할 때, 전후 좌우로 덜컹거리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축(14)의 봉상부(14b)의 외벽면과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의 내벽면 사이에는 부세 부재인 스프링(15)이 배설(配設)되고 있고, 축(14)의 본체부(14a)는, 스프링(15)의 부세력에 의해 축체 부품(13)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부세되고 있다.
그러나, 축(14)의 본체부(14a)의 외경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부세된 축(14)의 본체부(14a)가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해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와 계합한다. 그 때문에, 축(14)이 축체 부품(13)으로부터 하방으로 빠져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14)의 본체부(14a)의 측면에 철부(14c)가 설치되고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한편, 축체 부품(13)의 상부의 안내부(13d)는,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 내에 삽입되고 있다.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는,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하방이 개구되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의 상단의 측면의 전후에는 각각 조(爪)(B)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내듯이,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의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이랑형(畝狀)의 철부(16b)가 설치되고 있다.
또, 도 5(B)에 나타내듯이, 축체 부품(13)의 안내부(13d)의 측면에는 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요부(이 경우는 개구)(13e)가 설치되고 있다. 또, 도 5(B)는, 도 4의 축체 부품(13)을 그 중심축 주위에 18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축체 부품(13)의 안내부(13d)가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 내에 삽입되면, 축체 부품(13)의 원주부(16a)의 철부(16b)가, 축체 부품(13)의 안내부(13d)의 요부(13e)에 감입된다. 그 때문에, 축체 부품(13)은,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 내의 철부(16b)에 따른 상하 방향의 이동만이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축체 부품(13)은, 규제 부품(16)에 의해 둘레 방향의 움직임(즉 중심축 주위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전술한 것처럼, 플레이어에 의해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가 조작되어 회전 부품(12)이 기체 부품(1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해도, 축체 부품(13)은 둘레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축체 부품(13)이 가장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축체 부품(13)의 전후에 설치한 견부(肩部)(13f)가, 규제 부품(16)에 설치된 구멍(16c)에 감입되게 되어 있다.
또, 규제 부품(16)의 하단부에는 좌우에 돌편(突片)(16d)이 1개씩 형성되고 있고, 각 돌편(16d)에 각각 원형의 구멍(孔)(16e)이 형성되고 있다. 규제 부품(16)의 각 돌편(16d)은, 기체 부품(11)의 각 홈(溝)(11c)에 각각 끼워 넣어져 있고, 그 상태로, 규제 부품(16)의 각 구멍(16e)은 기체 부품(11)의 각 나사 삽통공(11d)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에는, 그 외주를 둘러싸도록 압압 부품(17)이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품(17)의 상면에는 원형의 개구(17a)가 형성되고 있고,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가 압압 부품(17)의 개구(17a)에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의 상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압압 부품(17)의 상면과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面一)이 되고 있다.
또, 압압 부품(17)의 상면에는, 좌우 대칭의 위치(2개소)에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조(凸條)(돌기)(18)가 각각 형성되고 있다. 또, 압압 부품(17)의 외주 하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는 각부(脚部)(17b)가 각각 설치되고 있고, 각부(脚部)(17b)는 후술하는 커버(19)에 설치된 구멍(19c)에 삽통되어 커버(19)와 계합되고 있다.
압압 부품(17)의 주위에는, 커버(19)가 배치되어 있다. 커버(19)는, 원통부(19a)와, 그 하단부에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날밑(鍔, brim)(19b)을 구비하고, 원통부(19a) 및 날밑(19b)에는, 전후에 각각 구멍(19c)이 형성되고 있다.
또, 커버(19)의 원통부(19a)에는, 좌우에 각각 돌출부(19d)가 형성되고 있고, 돌출부(19d)의 외면은 날밑(19b)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 상(面一)이 되고 있다.
압압 부품(17)의 돌출부(19d)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주체(19e)가 각각 형성되고 있고, 각 원주체(19e)는 규제 부품(16)의 돌편(16d)의 구멍(16e)에 끼워 넣어지고 있다. 또, 각 원주체(19e)의 중앙에는, 각각 하향으로 개구되는 암나사부(19f)가 형성되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규제 부품(16)의 구멍(16e)은 기체 부품(11)의 나사 삽통공(11d)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버(19)의 원주체(19e)가 이 규제 부품(16)의 구멍(16e)에 끼워 넣어지고 있기 때문에, 커버(19)의 원주체(19e)에 설치된 암나사부(19f)가 기체 부품(11)의 나사 삽통공(11d)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의 축부(10)에서는, 나사 삽통공(11d)에 나사(20)를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려 삽입하여 암나사부(19f)에 나합시킴으로써, 규제 부품(16)과 커버(19)가 기체 부품(11)에 나착되어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 압압 부품(17)도, 규제 부품(16)이나 커버(19)를 통해 기체 부품(11)에 고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의 축부(10)에서는, 규제 부품(16)과 압압 부품(17)과 커버(19)는, 기체 부품(11)에 고정되어 있고 기체 부품(1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회전 부품(12)은, 기체 부품(11)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축체 부품(13)은, 회전 부품(12)의 회전에 의해 기체 부품(11)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축(14)은,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부세되고 있지만,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에서 출몰시키기 위한 기구에 대해]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의 축부(10)에서는, 기체 부품(11)에 대해서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와 같이 축체 부품(1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즉 하단부(13b))에서 자동적으로 출몰시키거나(즉 축체 부품(1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키거나 축체 부품(13)의 하단 내로 몰입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 출몰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에서 출몰시키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14)의 본체부(14a)에는, 그 측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철부(14c)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철부(14c)가 축(14)의 본체부(14a)의 좌우에 설치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설명하지만, 철부(14c)가 축(14)의 본체부(14a)의 전후 등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있어도 좋고, 본 발명은, 철부(14c)가 축(14)의 본체부(14a)의 좌우에 설치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철부(14c)는 축(14)의 본체부(14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좌우 2 개씩, 합계 4개), 각각 축(14)의 본체부(14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철부(14c)는 아래에 철(凸)의 쐐기형으로 형성되고 있고, 그 하면의 전후에 경사면(14c1, 14c2)을 가지고 있다. 또, 이하, 경사면(14c1, 14c2)의 경계 부분(즉 쐐기형의 하단 부분)을 철부(14c)의 하단(α)이라고 한다.
또, 도 4나 도 5(B)에 나타내듯이,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의 좌우의 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홀쭉한 개구부(13g)가 각각 형성되고 있고,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에 수용된 축(14)의 철부(14c)가 이러한 개구부(13g)를 빠져 나와 수용부(13a)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있다.
또한, 축체 부품(13)의 수나사(13c)는 개구부(13g)의 부분에서 분단되고 있다. 또, 축(14)의 철부(14c)의 선단면은 축체 부품(13)의 수나사(13c)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 상(面一)이 되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스프링(15)에 의해 하방으로 부세된 축(14)의 본체부(14a)가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7(A)에 나타내듯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축(14)의 철부(14c)의 하단(α)은, 축체 부품(13)의 수나사(13c)의 하면(13c1)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축(14)의 철부(14c)의 부분 즉 개구부(13g)의 부분에서는 수나사(13c)가 분단되어 있고 수나사(13c)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축(14)의 철부(14c)의 하단(α)이 수나사(13c)의 하면(13c1)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고 표현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축체 부품(13)의 개구부(13g)의 양측(전후)의 수나사(13c)의 하면(13c1)을 잇는 가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러나, 축체 부품(13)이 회전 부품(12)에 나합하고 있기 때문에, 축체 부품(13)의 수나사(13c)의 하면(13c1)에는, 회전 부품(12)의 내면에 설치된 암나사(12c)의 상면(12c1)(도 7(B) 중의 일점 쇄선 참조)이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듯이, 축(14)의 철부(14c)가 밀어 올려져서 축(14)의 철부(14c)의 하단(α)과 암나사(12c)의 상면(12c1)이 계합한 상태가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축(14)의 본체부(14a)도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에서 밀어 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조작하여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축(14)의 철부(14c)의 하단(α)과 암나사(12c)의 상면(12c1)은 계합한 상태이기 때문에, 축(14)의 선단(A)은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한 상태 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면, 축체 부품(13) 자체는 회전 부품(1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한 상태로 축체 부품(13)과 축(1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품(12)을 상방에서 보았을 경우, 도 8에 나타내듯이, 암나사(12c)에는, 소정의 위치(이 경우는 원통형의 회전 부품(12)의 중심 축에 대해서 대칭의 2개소)에 노치(12c2)가 설치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조작하여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 부품(12)이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즉 암나사(12c)의 노치(12c2)가 축(14)의 철부(14c)의 위치로 회전하면, 축(14)의 철부(14c)와 암나사(12c)의 상면(12c1)의 계합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축(14)의 본체부(14a)가 스프링(15)의 부세력에 의해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의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하고, 도 7(A)에 나타낸 것처럼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조작하여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 부품(12)이 소정의 회전 위치 이외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즉 암나사(12c)의 노치(12c2) 이외의 부분이 축(14)의 철부(14c)의 위치로 회전하면, 축(14)의 철부(14c)의 하단(α)과 암나사(12c)의 상면(12c1)이 계합한다. 그 때문에, 축(14)의 본체부(14a)가 스프링(1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에서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도 7(B)에 나타낸 것처럼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회전 부품(12)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거나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하거나 하는, 즉 자동적으로 출몰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 출몰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면, 축(14)의 철부(14c)가, 그 하단(α)이 수나사(13c)의 하면(13c1)보다 하방으로 위치한 상태로부터, 암나사(12c)의 상면과 계합하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 때, 도 9(A)에 나타내듯이,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면, 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노치(12c2)에 접한 상측의 각부(角部)가 축(14)의 철부(14c)의 경사면(14c1)에 당접한다. 그리고, 회전 부품(12)을 더 회전시키면, 암나사(12c)의 상측의 각부가 축(14)의 철부(14c)의 경사면(14c1)을 접동하면서 경사면(14c1)을 밀어 올린다.
그 때문에,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킴으로써 축(14)의 철부(14c)가 부드럽게 밀어 올려지고, 도 7(B)에 나타낸 것처럼 축(14)의 철부(14c)의 하단(α)과 암나사(12c)의 상면(12c1)이 계합하는 상태까지 부드럽게 밀어 올려진다.
회전 부품(1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마찬가지로, 도 9(B)에 나타내듯이, 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상측의 각부가 축(14)의 철부(14c)의 경사면(14c2)에 당접하여 부드럽게 밀어 올리기 때문에, 축(14)의 철부(14c)가 도 7(B)에 나타낸 상태까지 부드럽게 밀어 올려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킴으로써,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에서 용이하고 부드럽게 출몰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있는 축(14)의 선단(A)이 유희면에 접지하기 때문에, 유희면과의 접지 면적이 작아져서, 팽이 완구(1)는 유희면 상의 일 개소에 머물러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또,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자체가 유희면에 접지하기 때문에, 유희면과의 접지 면적이 커져서, 팽이 완구(1)는 회전하면서 유희면 상을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도 2 및 도 3 참조)으로서 플라이 휠이 이용되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은 판상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날밑(19b)이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단부(環狀段部)(31)가 형성되고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이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회전축(즉 축부(10)의 축체 부품(13)이나 축(14) 등의 중심축)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상방을 향해서 내뻗은(長出)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있다. 각 돌출부(32)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9d)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요부(33)가 형성되고 있다. 또,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2)의 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편(舌片)(34)이 형성되고 있다. 설편(34)은 돌출부(3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있다. 또, 이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 휠을 대신하거나 혹은 플라이 휠과 일체적으로, 외주면에 돌출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공격하기 쉽게 한 것이나, 외주면에 요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이어도 좋다.
[3. 동체(40)에 대해]
동체(40)는 원반상을 이루고 있다. 이 동체(4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기체(400)와, 상면에서 보았을 때 기체(400)와 대략 동형(同形)으로 기체(400) 위에 씌워진 투명 커버체(401)를 구비하고 있다.
동체(40)의 외주에는 요철(40a)이 형성되고 있다. 또, 기체(400)의 중앙에는 원공(圓孔)(41)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투명 커버체(401)는 원공(41) 등을 제외한 부분에 씌워져 있다. 또한, 동체(40)의 하면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돌출부(32)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 요부(42)가 형성되고 있다.
이 환상 요부(42)를 구획 형성하는 내주벽(43a)의 내주면 하단에는, 회전축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내뻗은 조(爪)(계합부)(4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내주벽(43a)의 내주면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회전축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내뻗은 돌기(4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벽(43a)의 하단면에는, 회전축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요철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철조(凸條)(18)에 서로 맞물리는 기복부(起伏部)(45)가 형성되고 있다.
또, 동체(40)의 환상 요부(42)를 구획 형성하는 천정벽(43b)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상(弧狀) 슬릿(46)이 형성되고 있다. 이 호상 슬릿(46)의 길이는 설편(34)을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4. 식별용 부품(60)에 대해]
식별용 부품(60)은 원공(41)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식별용 부품(60)은 팽이 완구(1)의 식별이나 플레이어의 식별을 위해서 사용된다.
이 식별 때문에,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이 식별용 부품(60)으로서 서로 다른 모양 및/또는 색을 갖는 것이 준비되고, 그 중에서 플레이어가 선택한 1개의 식별용 부품(60)이 원공(41)에 돌기(47)를 이용하여 나사식으로 장착된다.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축부(10)의 기체 부품(11)의 요부(11a)의 구멍(11b)에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감한다. 그 때,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가, 기체 부품(11)의 하단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기체 부품(11)의 하방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회전 부품(12)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12c)에, 축체 부품(13)의 측면에 형성된 수나사(13c)를 나합시킨다. 축체 부품(13)의 내부에는 축(14)이 수용되고 있다. 그리고, 축체 부품(13)의 안내부(13d)에 설치된 요부(13e)에 축체 부품(13)의 원주부(16a)의 철부(16b)를 끼우고, 축체 부품(13)의 안내부(13d)를 규제 부품(16)의 원주부(16a)에 삽입한다. 그리고, 규제 부품(16)의 각 돌편(16d)을 기체 부품(11)의 각 홈(11c)에 끼운다. 그리고, 압압 부품(17)의 다리부(脚部)(17b)를 커버(19)의 구멍(19c)에 삽통하여 압압 부품(17)과 커버(19)를 계합시키고, 그 상태로, 압압 부품(17)과 커버(19)를 규제 부품(16)에 씌운다. 그리고, 커버(19)의 돌출부(19d)의 하면의 원주체(19e)를 규제 부품(16)의 구멍(16e)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나사 삽통공(11d)에 나사(20)를 하방으로부터 상향으로 삽입하고 암나사부(19f)에 나합시켜서 규제 부품(16)과 커버(19)를 기체 부품(1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축부(10)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축부(10)의 돌출부(19d)를 하방으로부터 성능 가변 링(30)의 요부(33)에 합치시키도록 하고,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감합 상태로 조립한다. 그리고, 이 조립체를 동체(40)에 하방으로부터 접근시킨다. 이 때, 상기 조립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동체(40)의 호상 슬릿(46)의 소정의 단(端)에 합치시킨다(도 10(A) 참조). 이 상태는, 축부(10)의 조(B)와 동체(40)의 조(44)와는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계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동체(40) 측에 압압한다. 그러면, 우선, 성능 가변 링(30)이 동체(40)의 하면에 눌러지고, 또한, 축부(10)의 조(B)가 동체(40)의 조(44)보다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축부(10)를 성능 가변 링(30)과 일체적으로 동체(40)에 대해서 설편(34)이 상기 소정의 단과는 반대측의 단까지 이동할 때까지 회전시킨다(도 10(B) 참조). 이 경우의 회전은, 동체(40) 및 성능 가변 링(30)과 축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이며, 도 10(B)에서는, 동체(40) 측을 동체(40) 및 성능 가변 링(30)에 대해서 회전시킨 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면, 축부(10)의 조(B)와 동체(40)의 조(44)가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면, 축부(10)의 조(B)의 하면과 동체(40)의 조(44)의 상면이 당접된다.
축부(10)의 조(B)의 하면과 동체(40)의 조(爪)(44)의 상면이 당접된 상태가 계합 상태이다. 이것에 의해,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40)가 결합되어, 팽이 완구(1)가 조립된다.
《노는 방법》
계속하여, 이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노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노는 방법의 일례에서는, 특히 팽이 완구(1)의 높이의 미조정이나 회전의 방법(이동의 유무를 포함한다.)의 변경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일방의 손으로 팽이 완구(1)의 동체(40) 등을 잡고, 타방의 손으로 축부(10)의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집어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조작하고, 축체 부품(13)을 회전 부품(12)에 대해서 상승시킨다.
그리고, 회전 부품(12)이 소정의 회전 위치(이하, 이 회전 위치를 회전 각도 0도의 위치라고 한다.)로 회전하여 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노치(12c2)가 축(14)의 철부(14c)의 위치로 회전하면, 축(14)의 철부(14c)와 암나사(12c)의 상면(12c1)의 계합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축(14)의 본체부(14a)가 스프링(15)의 부세력으로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의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하고, 도 11(A)에 나타내듯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인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이 상태의 팽이 완구(1)를 플레이어가 유희면 상에서 회전시키면, 축(14)의 선단(A)이 유희면에 접지하는 상태가 되어, 유희면과의 접지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팽이 완구(1)는 유희면 상의 일 개소에 머물러 회전한다.
또, 플레이어가, 도 11(A) 상태로부터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반대 방향으로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조작하면, 축(14)의 철부(14c)와 암나사(12c)의 상면(12c1)이 계합하기 때문에, 축(14)의 본체부(14a)가 스프링(1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 내에서 상승하고,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한다.
그리고, 회전 부품(12)을 회전 각도 0도의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시킬 때까지의 사이는, 도 11(B)에 나타내듯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에 몰입한 상태로 축(14)이 축체 부품(1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회전 부품(12) 하단에서 하방으로의 돌출 길이(L)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플레이어가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돌출 길이(L)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팽이 완구(1) 자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도 11(B)에서는, 회전 부품(12)을 회전 각도 0의 위치로부터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상태의 팽이 완구(1)를 플레이어가 유희면 상에서 회전시키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가 유희면에 접지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축(14)의 선단(A)이 유희면에 접지하는 경우에 비해 유희면과의 접지 면적이 커져서, 팽이 완구(1)는 회전하면서 유희면 상을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플레이어가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팽이 완구(1)의 유희면 상에서의 회전의 방법을, 상기와 같이 유희면 상의 일 개소에 머물러 회전하는 상태로부터 회전하면서 유희면 상을 이동하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플레이어가, 도 11(B) 상태로부터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둘레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도록 조작하고, 회전 부품(12)을 회전 각도 0도의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시키면, 도 11(C)에 나타내듯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둘레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가 180도에서 360도까지의 사이는, 도 12(A)에 나타내듯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한 상태로 축(14)이 축체 부품(1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돌출 길이(L)가 변화한다. 또, 도 12(A)에서는, 회전 부품(12)을 회전 각도 0의 위치로부터 27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둘레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고, 회전 부품(12)을 360도 회전시키면, 도 12(B)에 나타내듯이,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상기의 설명으로는, 회전 부품(12)을 회전 각도 0도에서 360도까지 회전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은 회전 부품(12)을 0도에서 360도의 회전 각도의 범위에서 밖에 회전시키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는 적절하게 설정된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팽이 완구(1)에 의하면, 플레이어가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집어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킨다고 하는 매우 간단한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돌출 길이(L)를 변화시켜 팽이 완구(1) 자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 때, 회전 부품(12)의 원통형의 조정부(12b)의 지름을 어느 정도 크게 하면,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집어 조작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를 미묘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킨다고 하는 매우 간단한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팽이 완구(1) 자체의 높이를 용이하게 미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플레이어가 상기의 매우 간단한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하단부(13b))에서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팽이 완구(1)의 유희면 상에서의 회전의 방법을,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돌출시켜서 유희면 상의 일 개소에 머물러 회전하는 상태와,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시켜 회전하면서 유희면 상을 이동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축(14)의 선단(A)의 돌출분만큼 팽이 완구(1)의 높이를 높게 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팽이 완구(1)의 높이를 바꾸어, 회전의 방법을 변경할(축(14)를 출몰시키는) 때에, 플레이어가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집어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좋고, 전술한 특허문헌 1의 팽이 완구와 같이 팽이 완구의 각 부재를 연결하는 나사를 떼어 내는 등으로 해서 팽이 완구의 높이를 바꾸거나, 하층 부재를 바꿔 붙여 축부의 선단의 형상을 바꾸거나 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팽이 완구(1)에 의하면, 플레이어가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회전 부품(12)을 집어 회전시키는 매우 간단한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부품의 교환을 수반하지 않고, 팽이 완구(1)의 높이를 미조정하거나 회전의 방법(이동의 유무를 포함한다.)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의 조정부(12b)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가 0도나 180도, 360도가 되었을 때에,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도 11(A), (C), 도 12(B) 참조),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를 그러한 각도로부터 조금 비켜 놓으면 바로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하는(도 11(B), 도 12(A) 참조)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즉,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축(14)의 선단(A)의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의 돌출 정도를 미조정하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거기서, 예를 들면 도 7(A) 등에 나타낸 축체 부품(13)의 수용부(13a)의 개구부(13g)를 전후 방향으로 넓히고(즉 전후 방향의 폭이 보다 커지도록 형성하고), 축(14)의 철부(14c)의 폭도 거기에 맞추어 크게 형성한다(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노치(12c2)의 폭도 거기에 맞추어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축(14)의 철부(14c)의 각 경사면(14c1, 14c2)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보다 길어진다(보다 완만하게 경사지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도 9(A), (B)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노치(12c2)에 접한 각부(角部)가 축(14)의 철부(14c)의 경사면(14c1)이나 경사면(14c2)에 당접한 상태로부터, 도 7(B)에 나타낸 것처럼 축(14)의 철부(14c)가 밀어 올려져서 축(14)의 철부(14c)의 하단(α)과 암나사(12c)의 상면(12c1)이 계합하는 상태가 되기까지,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는 회전 각도의 범위가 상기의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 넓어진다.
그리고, 이 넓은 회전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부품(12)을 회전시키면, 회전 부품(12)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서서히 돌출되어 가며, 가장 돌출된 후, 이번에는,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서서히 몰입하여 나가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팽이 완구(1)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의 실시 형태와 같은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회전 부품(12) 하단에서 하방으로의 돌출 길이(L) 뿐만이 아니라, 그와 함께, 축(14)의 선단(A)의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의 돌출 정도도 미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 등에서는, 축체 부품(13)의 내부에서 축(14)이 부세 부재(스프링(15))에 의해 하방으로 부세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축체 부품(13)의 내부에서 축(14)을 부세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를 생략하지만, 부세 부재인 스프링(15)은, 예를 들면, 축체 부품(13) 내의, 축(14)의 본체부(14a)의 하단과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의 상단 사이에 배설된다.
그리고, 이 경우, 도 6 등에 나타낸 경우와는 상하가 반대로, 축(14)의 철부(14c)는, 상면에 경사면(14c1, 14c2)이나 철부(14c)의 상단(α)(이 경우는 상단이 된다.)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노치(12c2)가 축(14)의 철부(14c)의 위치로 회전하면, 축(14)의 철부(14c)와 암나사(12c)의 계합이 해제되고, 축(14)의 본체부(14a)가 스프링(15)의 부세력에 의해, 도 7(A)에 나타낸 경우와는 상하가 반대로, 축체 부품(13)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한다.
또, 플레이어가 회전 부품(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노치(12c2) 이외의 부분이 축(14)의 철부(14c)의 위치로 회전하면, 도 9(A), (B)에 나타낸 경우와는 상하가 반대로, 회전 부품(12)의 회전에 의해, 회전 부품(12)의 암나사(12c)의, 노치(12c2)에 접한 하측의 각부(角部)가 철부(14c)의 상면에 설치된 경사면에 당접하여, 경사면을 눌러 내림으로써 축(14)의 철부(14c)를 스프링(1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눌러 내리고, 축(14)의 철부(14c)와 암나사(12c)가 계합된다.
그 때문에, 도 7(B)에 나타낸 상태와는 상하가 반대로, 축(14)의 본체부(14a)가 축체 부품(13)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그 때문에, 이 경우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의 도 11(A)~(C)나 도 12(A), (B)와는 반대로, 도 11(A), (C), 도 12(B)에 나타낸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가 0도나 180도, 360도가 되었을 때에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몰입하고, 도 11(B)나 도 12(A)에 나타낸 회전 부품(12)의 회전 각도가 그러한 각도 이외의 각도인 경우에 축(14)의 선단(A)이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회전 부품(12)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14)의 선단(A)을,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로부터 하방으로 서서히 돌출시키거나, 축체 부품(13)의 하단부(13b) 내로 서서히 몰입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팽이 완구
10 축부
11 기체 부품
11a 요부(凹部)
12 회전 부품
12c 암나사
12c2 노치
13 축체 부품
13b 하단부(축체 부품의 하단)
13c 수나사
13g 개구부
14 축
14c 철부(凸部)
14c1, 14c2 경사면
15 스프링(부세 부재)
16 규제 부품
40 동체(胴體)
A 축의 선단

Claims (6)

  1.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는 동체와, 그 하방에 배치되어 유희면에 접지하는 축부를 갖는 팽이 완구에서,
    상기 축부는, 기체 부품과, 상기 기체 부품의 요부에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감된 원통형의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의 내측에 나합되어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축체 부품과,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출몰 가능한 축을 구비하고,
    상기 축체 부품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도, 그 하단이 상기 회전 부품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서 부세 부재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의 어느 일방으로 부세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이 조작되고, 상기 회전 부품이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이 접지되고,
    상기 회전 부품이 상기 소정의 회전 위치 이외의 회전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로 몰입하여 상기 축체 부품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이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서 부세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내면에, 소정의 위치에 노치가 설치된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체 부품의 측면에는, 외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에 수직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철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의 철부가 상기 축체 부품의 개구부를 빠져 나와 상기 축체 부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이 조작되어 상기 회전 부품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가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 이외의 부분이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가 계합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로 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철부는, 하면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상기 노치에 접한 상측의 각부가 상기 경사면에 당접하여, 상기 경사면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축의 철부를 밀어 올려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에서 부세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내면에, 소정의 위치에 노치가 설치된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체 부품의 측면에는, 외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에 수직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철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의 철부가 상기 축체 부품의 개구부를 빠져 나와 상기 축체 부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이 조작되어 상기 회전 부품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가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내부로 몰입하고,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노치 이외의 부분이 상기 축의 철부의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가 계합하고, 상기 축의 선단이 상기 축체 부품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철부는, 상면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부품의 암나사의, 상기 노치에 접한 하측의 각부가 상기 경사면에 당접하고, 상기 경사면을 눌러 내림으로써 상기 축의 철부를 눌러 내려 상기 축의 철부와 상기 암나사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 부품은, 상기 기체 부품에 고정된 규제 부품에 의해, 둘레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상기 회전 부품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190009013A 2018-10-15 2019-01-24 팽이 완구 KR20200042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4051 2018-10-15
JP2018194051A JP6570019B1 (ja) 2018-10-15 2018-10-15 コマ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71A true KR20200042371A (ko) 2020-04-23

Family

ID=6784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013A KR20200042371A (ko) 2018-10-15 2019-01-24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14271A1 (ko)
JP (1) JP6570019B1 (ko)
KR (1) KR20200042371A (ko)
CN (1) CN21072865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088B1 (ja) * 2018-10-30 2020-0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JP6704593B1 (ja) * 2019-11-22 2020-06-0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845455B1 (ja) * 2020-07-14 2021-03-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384U (ja) 2009-01-09 2009-03-26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384U (ja) 2009-01-09 2009-03-26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728652U (zh) 2020-06-12
JP6570019B1 (ja) 2019-09-04
JP2020062071A (ja) 2020-04-23
US20200114271A1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2371A (ko) 팽이 완구
US10245518B2 (en) Toy top
JP6184576B1 (ja) コマ玩具
US20170203218A1 (en) Toy top
US9597604B1 (en) Toy top
JP5969151B1 (ja) コマ玩具
US10556187B2 (en) Toy top
US20180104602A1 (en) Toy top
GB2371496A (en) Toy top
WO2015062427A1 (zh) 一种可弹跳的玩具陀螺
JP6431630B1 (ja) コマ玩具
KR20190043068A (ko) 팽이 완구
JP6236177B1 (ja) コマ玩具
JP6334757B1 (ja) コマ玩具
KR100758027B1 (ko) 퍼즐
US20150202527A1 (en) Baseball game board
US20200016502A1 (en) Spinning top toy
KR20110083364A (ko) 다기능 팽이완구
KR102657868B1 (ko) 길이 연장용 로드가 내장된 당구 큐대
GB2274601A (en) Game device
JP3092120U (ja) コマ玩具
KR102656930B1 (ko) 로드형 조립식 완구에 사용되는 연결기구
CN217661467U (zh) 陀螺玩具
JPH07155476A (ja) 独楽玩具およびゲーム盤
KR20110000558U (ko) 점핑 완구 팽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