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322A -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322A
KR20200042322A KR1020180122774A KR20180122774A KR20200042322A KR 20200042322 A KR20200042322 A KR 20200042322A KR 1020180122774 A KR1020180122774 A KR 1020180122774A KR 20180122774 A KR20180122774 A KR 20180122774A KR 20200042322 A KR20200042322 A KR 20200042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eight information
cooking appliance
cooking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614B1 (ko
Inventor
이미영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12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6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00Weighing apparatus involving the use of a counterweight or other counterbalancing 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면, 조리 재료를 수용하는 믹싱 보울을 포함하는 조리기기는, 믹싱 보울에 포함된 회전 구조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 믹싱 보울에 수용된 조리 재료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중량 센서부 및 중량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FOR PERFORMING GRINDING OPERA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 사무실 또는 식당에서 믹서기, 멀티 쿠커 등을 비롯해 교반 기능 내지는 분쇄 기능을 갖는 다양한 조리기기들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조리 재료에 대한 가열 기능, 교반 기능 및 분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조리기기로서 로봇 쿠커가 이용되고 있다. 로봇 쿠커는 가열 기능, 교반 기능 및 분쇄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이용해 내부에 담긴 조리 재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다. 로봇 쿠커는 멀티 쿠커, 글로벌 쿠커, 또는 자동 조리기기로 지칭되기도 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교반 기능 내지는 분쇄 기능을 갖는 조리기기에서, 믹싱 보울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많이 담기는 경우, 정상적으로 교반 기능 내지는 분쇄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믹싱 보울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많이 담기는 경우, 조리기기로부터 심한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의 고장이 유발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기기에 있어서, 믹싱 보울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많이 담긴 경우에도 조리기기의 고장 유발 없이 조리 재료를 교반 및 분쇄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재료를 수용하는 믹싱 보울을 포함하는 조리기기는, 믹싱 보울에 포함된 회전 구조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 믹싱 보울에 수용된 조리 재료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중량 센서부 및 중량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조리기기가 다음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인스트럭션들은, 조리기기가 조리기기의 중량 센서부가,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조리기기에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평균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판단 중량 정보를 분쇄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펄스 인가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펄스 인가 횟수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중량 센서에 의해 센싱된 중량 정보를 기초로 믹싱 보울 내 조리 재료의 과적 상황을 감지하고, 펄스파 형태의 분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믹싱 보울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많이 담긴 경우에도 조리기기의 고장 유발 없이 조리 재료를 교반 및 분쇄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조리 재료의 수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또는 소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펄스 분쇄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중량 조건 만족 여부 판단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제어 신호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및 분쇄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분쇄 기준 정보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펄스 분쇄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000)를 나타낸다. 조리기기(1000)는 본체부(1010), 믹싱 보울(1020) 및 뚜껑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10)는 조리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 조리기기(1000)에 구비된 각종 부품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동력 장치, 각종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10)는 믹싱 보울(1020)에 수용된 조리 재료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는 본체부(10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믹싱 보울(1020)은 조리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보울 본체 및 하부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믹싱 보울(1020)은 보울 본체에 설치되어 보울 본체 내에 수용된 조리 재료를 교반 및/또는 분쇄하도록 구성된 회전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회전 조립체는 조리 재료를 분쇄하기 위한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은 회전 조립체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울 본체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울 본체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믹싱 보울(1020)은 본체부(10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믹싱 보울(1020)은 보울-인-하우징(bowl-in-housing) 구조로 본체부(1010)에 마련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믹싱 보울(1020)이 본체부(10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믹싱 보울(1020)의 회전 조립체는 본체부(1010)에 마련된 동력 장치에 동력 연결되어, 동력 장치의 제어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조립체가 회전함에 따라 믹싱 보울(1020)에 담긴 조리 재료들은 교반되거나 분쇄될 수 있다.
뚜껑부(1030)는 믹싱 보울(1020)의 조리 공간을 덮기 위한 소정의 뚜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부(1030)는 믹싱 보울(1020)의 조리 공간을 덮을 수 있는 뚜껑 바디(1032) 및 뚜껑 바디(1032)의 둘레에 마련된 상부 핸들(1034)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1030)는 믹싱 보울(1020)에 체결되어 조리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부(1030)의 상부 핸들(1034)은 믹싱 보울(1020)의 하부 핸들에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핸들(1034)이 하부 핸들에 체결됨에 따라, 뚜껑부(1030)는 믹싱 보울(1020)의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믹싱 보울(1020)의 보울 본체에는 조리 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데, 보울 본체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많이 수용되는 경우, 조리 재료는 정상적으로 교반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분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조리기기(1000)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본체부(1010)에 포함된 중량 센서가 조리 재료의 중량을 센싱하고, 센싱된 중량 정보를 기초로 펄스 분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보울 본체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수용된 경우에도, 조리 재료가 정상적으로 교반되고 분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보울 본체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수용된 경우에도, 소음 및/또는 진동이 크지 않을 수 있고, 고장이 유발되지 않을 수 있다. 펄스 분쇄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0)를 나타낸다. 조리기기(10)는 신호 전달 수단(100), 프로세서(200), 메모리(300), 중량 센서부(400), 분쇄 제어부(500), 회전 구동부(600) 및 회전 구조체(7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교반 기능 내지는 분쇄 기능을 갖는 다양한 조리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는 믹서기 내지는 로봇 쿠커일 수 있다.
신호 전달 수단(100)은 조리기기(10) 내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하나의 신호 전달 수단(100)을 포함하는 조리기기(10)를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기기(10)는 복수의 신호 전달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조리기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메모리(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메모리(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조리기기(1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조리기기(10)에 관한 정보 및 조리기기(1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00)는 프로세서(20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리(300)는 프로세서(2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조리기기(10)가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플래시 메모리, 자기 저항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 DRAM,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프로세서(200)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가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 컴퓨터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300)는 프로세서(200)와 하나의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중량 센서부(400)는 조리기기(10)의 믹싱 보울 내에 수용된 조리 재료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량 센서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는 조리기기(10)의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중량 센서부(400)는 믹싱 보울 내에 수용된 조리 재료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중량 정보(WI)를 생성해낼 수 있으며, 생성된 중량 정보(WI)를 분쇄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분쇄 제어부(500)는 중량 센서부(400)로부터 제공된 중량 정보(WI)를 기초로 펄스 분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펄스 분쇄 동작은, 조리기기(10)가 본 동작으로서의 분쇄 동작 내지는 교반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회전 구조체(700)를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조리 재료를 분쇄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 예에서, 분쇄 제어부(500)는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수 있고,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쇄 제어부(500)는 중량 정보(WI)를 기초로 판단 중량 정보를 산출하고, 판단 중량 정보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분쇄 제어부(500)는, 판단 중량 정보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 경우,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분쇄 제어부(500)는 회전 구동부(600)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회전 구동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분쇄 제어부(5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라 분쇄 제어부(500)는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 제어부(500)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분쇄 제어부(500)는 펄스 분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분쇄 제어부(500)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300)에 로딩된 프로그램 및/또는 인스트럭션들이 프로세서(20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펄스 분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펄스 분쇄 동작은 프로세서(200)가 분쇄 제어부(500)에 대응되는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분쇄 제어부(500)는 펌웨어와 같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회전 구동부(600)는 동력 장치로서 회전 구조체(700)가 회전하도록 회전 구조체(70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구동부(600)는 SR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구동부(600)는 분쇄 제어부(50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조체(70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700)는 조리기기(10) 내에 조리 재료가 담기는 믹싱 보울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으며, 회전 구조체(700)는 회전함으로써 조리 재료를 교반하거나 분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0)에 의하면, 믹싱 보울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수용된 경우, 분쇄 제어부(500)가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를 제어함으로써 조리기기(10)의 본 동작 시작 전에 조리 재료가 짧고 강하게 분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조리기기(10)의 본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10)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또는 진동이 감소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10)의 고장을 막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0)를 나타낸다. 도 3의 중량 센서부(400), 분쇄 제어부(500), 회전 구동부(600) 및 회전 구조체(700)에 관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분쇄 제어부(500)는 중량 판단부(520) 및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 판단부(520)는 중량 센서부(400)로부터 제공되는 중량 정보(WI)를 기초로 판단 중량 정보(DW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량 판단부(520)는 중량 정보(WI)를 통계 처리함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DW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량 판단부(520)는 중량 센서부(4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중량 정보(WI)를 평균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DW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중량 판단부(520)는 중량 센서부(4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중량 정보(WI)의 표준편차 값을 얻어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DWI)를 생성할 수 있다. 중량 판단부(520)는 판단 중량 정보(DWI)를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에 제공할 수 있다.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를 기초로 회전 구동부(600)에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 경우,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에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펄스 분쇄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중량 센서부(400)는 믹싱 보울 내 조리 재료의 중량을 센싱할 수 있으며, 센싱된 중량 정보(WI)를 분쇄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S120). 일 실시 예에서, 중량 센서부(400)는 복수의 중량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중량 정보(WI)는 복수의 중량 센서들 각각에 의해 센싱된 복수의 중량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0). 일 실시 예에서, 조리기기(10)의 분쇄 제어부(500)는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량 정보(WI)의 제1 중량 조건은, 중량 정보(WI)의 평균 값이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중량 정보(WI)의 제1 중량 조건은, 중량 정보(WI)의 표준 편차 값이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의 분쇄 제어부(500)는,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에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제공할 수 있다. 펄스파 형태의 회전은, 하나의 펄스파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펄스파 형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조리기기(10)는,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조리 재료들을 적어도 한 번 짧고 강하게 교반 및/또는 분쇄할 수 있다. 펄스파 형태의 회전에 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중량 조건 만족 여부 판단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특히,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S140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순서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해 설명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WI)를 평균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DWI)를 산출해낼 수 있다(S142a). 일 실시 예에서, 중량 판단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WI)를 평균냄으로써 중량 정보(DWI)를 산출해낼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4a). 일 실시 예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와 임계 중량 값을 비교할 수 있고,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계 중량 값은 메모리(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한 경우,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46a). 일 실시 예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한 경우,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a에 따르면, 조리기기(10)는 믹싱 보울에 조리 재료가 과도하게 수용된 경우,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펄스 분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조리 재료를 조리기기(10)의 본 동작 이전에 미리 분쇄시키고 혼합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WI)의 표준편차를 판단 중량 정보(DWI)로서 산출해낼 수 있다(S142b). 일 실시 예에서, 중량 판단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WI)의 표준편차를 계산해냄으로써 중량 정보(DWI)를 산출해낼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4b). 일 실시 예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와 임계 중량 값을 비교할 수 있고,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계 중량 값은 메모리(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한 경우,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46b). 일 실시 예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가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한 경우,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b에 따르면, 조리기기(10)는 믹싱 보울에 담긴 조리 재료가 어느 하나의 중량 센서 쪽으로 치우쳐서 수용되어 있는 경우, 중량 정보(WI)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펄스 분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조리 재료를 조리기기(10)의 본 동작 이전에 미리 혼합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a 내지 도 6c에서,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제1 논리 값(예를 들어, ‘0’) 및 제2 논리 값(예를 들어, ‘1’) 중 하나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회전 제어 신호(CTRL_Rot)가 제1 논리 값을 나타내는 동안에는, 회전 구동부가 회전 구조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회전 제어 신호(CTRL_Rot)가 제2 논리 값을 나타내는 동안에는, 회전 구동부가 회전 구조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d 및 도 6e에서,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제1 논리 값(예를 들어, ‘0’), 제2 논리 값(예를 들어, ‘1’) 및 제3 논리 값(예를 들어, ‘-1’) 중 하나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회전 제어 신호(CTRL_Rot)가 제1 논리 값을 나타내는 동안에는, 회전 구동부가 회전 구조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회전 제어 신호(CTRL_Rot)가 제2 논리 값을 나타내는 동안에는, 회전 구동부가 회전 구조체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 제어 신호(CTRL_Rot)가 제3 논리 값을 나타내는 동안에는, 회전 구동부가 회전 구조체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펄스파들은 사각 펄스파의 모양을 나타내지만, 펄스파의 구체적인 모양이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펄스파들은 사각 펄스파의 모양 대신 삼각 펄스파의 모양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해 설명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하나의 펄스파를 포함할 수 있다. 펄스파를 포함하는 회전 제어 신호(CTRL_Rot)에 기초해, 회전 구조체(700)는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 재료들은 짧고 강하게 교반 및/또는 분쇄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두 개의 펄스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펄스파들을 포함하는 회전 제어 신호(CTRL_Rot)에 기초해, 회전 구조체(700)는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한 뒤,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재료들은 두 번, 짧고 강하게 교반 및/또는 분쇄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복수의 펄스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N개(N은 자연수)의 펄스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펄스파들을 포함하는 회전 제어 신호(CTRL_Rot)에 기초해, 회전 구조체(700)는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한 뒤, 잠시 멈추는 동작을 복수회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재료들은 복수 회, 짧고 강하게 교반 및/또는 분쇄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제2 논리 값(예를 들어, ‘1’)의 펄스파 및 제3 논리 값(예를 들어, ‘-1’)의 펄스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논리 값의 펄스파 및 제3 논리 값의 펄스파를 포함하는 회전 제어 신호(CTRL_Rot)에 기초해, 회전 구조체(700)는 제1 방향으로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한 뒤,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제2 방향으로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복수의 펄스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는 N개(N은 자연수)의 펄스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펄스파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논리 값의 펄스파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논리 값의 펄스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0) 및 분쇄 제어부(500)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분쇄 제어부(500)는 중량 판단부(520) 및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300)는 분쇄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중량 판단부(520)는 중량 센서부(400)로부터 제공되는 중량 정보(WI)를 기초로 판단 중량 정보(DWI)를 생성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판단부(520)는 중량 정보(WI)를 평균 내거나, 표준편차를 계산해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DWI)를 생성할 수 있다.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중량 판단부(520)로부터 제공된 판단 중량 정보(DWI) 및 메모리(300)로부터 제공된 분쇄 기준 정보를 기초로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쇄 기준 정보는 복수의 중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펄스 인가 횟수들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를 분쇄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펄스 인가 횟수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펄스 인가 횟수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에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제공할 수 있다. 분쇄 기준 정보에 관해서는 이하의 도 8을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분쇄 기준 정보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2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분쇄 기준 정보는, 복수의 중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펄스 인가 횟수들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판단 중량 정보(DWI)를 분쇄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펄스 인가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중량 정보(DWI)가 제1 중량(W_1) 이하인 경우, 펄스 인가 횟수는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경우, 펄스 분쇄 동작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회전 구조체(7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중량 정보(DWI)가 제1 중량(W_1) 초과이고, 제2 중량(W_2) 이하인 경우, 펄스 인가 횟수는 제1 횟수(N_1)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경우, 펄스 분쇄 동작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회전 구조체(700)가 펄스파 형태로 제1 횟수(N_1) 만큼 회전하도록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판단 중량 정보(DWI)가 제k 중량(W_k) 초과이고, 제k+1 중량(W_k+1) 이하인 경우, 펄스 인가 횟수는 제k 횟수(N_k)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경우, 펄스 분쇄 동작에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회전 구조체(700)가 펄스파 형태로 제k 횟수(N_k) 만큼 회전하도록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중량 정보(DWI)가 제k+1 중량(W_k+1) 초과인 경우, 조리기기의 동작 금지 상황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경우, 조리기기(10)는 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나치게 큰 중량의 조리 재료가 믹싱 보울에 수용된 경우, 본 동작으로서의 교반 동작 또는 분쇄 동작이 진행되면 조리기기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판단을 통해 조리기기의 본 동작을 금지시키는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펄스 분쇄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2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중량 센서부(400)는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WI)를 분쇄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S220).
조리기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WI)를 평균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DWI)를 산출해낼 수 있다(S242). 일 실시 예에서, 조리기기(10)에 포함된 중량 판단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WI)를 평균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DWI)를 산출해낼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판단 중량 정보(DWI)를 분쇄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펄스 인가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S244). 일 실시 예에서, 조리기기(10)에 포함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복수의 중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펄스 인가 횟수들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분쇄 기준 정보와 판단 중량 정보(DWI)를 비교함으로써 펄스 인가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결정된 펄스 인가 횟수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S260). 일 실시 예에서, 조리기기(10)에 포함된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540)는, 결정된 펄스 인가 횟수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700)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회전 제어 신호(CTRL_Rot)를 회전 구동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조리 재료를 수용하는 믹싱 보울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믹싱 보울에 포함된 회전 구조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
    상기 믹싱 보울에 수용된 상기 조리 재료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중량 센서부;및
    상기 중량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구조체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분쇄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통계 처리함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판단 중량 정보가 사전 결정된(predetermined)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회전 구조체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평균냄으로써 상기 판단 중량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의 표준편차를 계산해냄으로써 상기 판단 중량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통계 처리함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중량 판단부; 및
    상기 판단 중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펄스 혼합 동작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가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가 상기 제1 중량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 상기 회전 구조체가 제1 방향으로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한 뒤, 정지하고, 이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조리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조리기기가 다음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조리기기의 중량 센서부가,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상기 조리기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정보를 평균냄으로써 판단 중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판단 중량 정보를 분쇄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펄스 인가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펄스 인가 횟수를 기초로, 회전 구조체가 시간에 따른 펄스파의 형태로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기준 정보는,
    복수의 중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펄스 인가 횟수들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인가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중량 정보가 사전 결정된 임계 중량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본 동작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80122774A 2018-10-15 2018-10-15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KR10222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74A KR102226614B1 (ko) 2018-10-15 2018-10-15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74A KR102226614B1 (ko) 2018-10-15 2018-10-15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22A true KR20200042322A (ko) 2020-04-23
KR102226614B1 KR102226614B1 (ko) 2021-03-11

Family

ID=7047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74A KR102226614B1 (ko) 2018-10-15 2018-10-15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6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607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식품가공기
KR20180016435A (ko) * 2015-06-08 2018-02-14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식품 가공 장치 및 방법
JP2018093933A (ja) * 2016-12-08 2018-06-21 株式会社大道産業 ミキサ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607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식품가공기
KR20180016435A (ko) * 2015-06-08 2018-02-14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식품 가공 장치 및 방법
JP2018093933A (ja) * 2016-12-08 2018-06-21 株式会社大道産業 ミキ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614B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235891U (zh) 搅拌机
JP2020065698A (ja) 電動調理器
US20240138623A1 (en) Intelligent blender
AU2014360670B2 (en) Blender for food and beverages
TWI610644B (zh) 電動廚用設備及自動烹製菜肴之方法
KR20170037839A (ko) 안전 보호 메커니즘이 구비된 음식 조리기
ES2820551T3 (es) Aparato de preparación de alimentos con una herramienta de trituración
WO2018007831A1 (en) Valve for a kitchen appliance
JP2023083432A (ja) 加熱調理器
CN112272530A (zh) 用于厨房设备的安全系统、选择操作模式的方法以及盖子
KR102226614B1 (ko)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JP6018834B2 (ja) 加熱調理器
KR102187891B1 (ko)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KR101644709B1 (ko) 전기믹서기의 작동 모드 전환 시스템
CN114552690A (zh) 具有辅助装置的充电控制的厨房用具
CN109820437A (zh) 一种食品加工机的加工控制方法
CN110119102B (zh) 烹饪机的控制方法、烹饪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46497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51240B (zh) 食品处理机及其搅打控制装置和方法
TWI634863B (zh) 攪拌單元、加熱調理器
KR102286964B1 (ko) 센싱된 온도를 기초로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조리기기
KR101833925B1 (ko) 자동세척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조리 장치
CN112450752B (zh) 一种破壁机水位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383764B1 (ko) 조리 기기
KR102383763B1 (ko) 조리 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취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