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308A -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308A
KR20200042308A KR1020180122731A KR20180122731A KR20200042308A KR 20200042308 A KR20200042308 A KR 20200042308A KR 1020180122731 A KR1020180122731 A KR 1020180122731A KR 20180122731 A KR20180122731 A KR 20180122731A KR 20200042308 A KR20200042308 A KR 20200042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gear
detent
reverse rotation
belt conveyor
bel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주)대명크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크라샤 filed Critical (주)대명크라샤
Priority to KR102018012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2308A/ko
Publication of KR2020004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 콘베이어를 구성하는 벨트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래칫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래칫기어에 멈춤쇠를 치합시키되 상기 멈춤쇠를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멈춤쇠는 회전축의 역회전시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벨트부재의 역회전을 차단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벨트 콘베이어의 정상적인 작동시 멈춤쇠가 래칫기어에 치합되지 않은 채로 벨트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역회전 상황에서는 멈춤쇠가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벨트부재의 역회전이 차단된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A REVERSE ROTATION PREVENTING APPARATUS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료나 제품 형태의 이송 화물이 탑재되어 이동하게 되는 벨트 콘베이어가 정지될 때 역회전을 방지하여 이송 화물이 낙하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나 제품 형태의 이송 화물을 연속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공지된 벨트 콘베이어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원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원동롤러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편 벨트부재의 하측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전동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면 벨트부재가 연속 회전하면서 이송화물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벨트 콘베이어는 그 형태를 달리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부재에는 무게를 갖는 이송화물이 탑재된 상태에서 출발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벨트 콘베이어의 작동 중에 정전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전동모터의 회전이 중단될 경우, 벨트부재에 올려진 이동화물의 무게로 인하여 벨트부재가 역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모터를 브레이크 기능을 갖추게 함으로써 벨트부재의 역회전을 방지하거나, 전자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모터 전원 차단시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벨트부재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나,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모터 또는 전자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밖에 없어, 영세 산업체에서는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섣불리 채택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이미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벨트 콘베이어의 전동모터를 교체하거나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쉽지 않음은 물론 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1-0063250호(2001.07.09 공개 )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운전시 사고나 정전 등의 이유로 인하여 운전이 정지되면, 벨트 콘베이어에 실린 이송화물의 무게와 경사 방향에 따라 역회전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전동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래칫을 사용하여 벨트 콘베이어의 운전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를 구성하는 벨트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원동롤러의 회전축에 래칫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래칫기어에 멈춤쇠를 치합시키되 상기 멈춤쇠를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멈춤쇠는 회전축의 역회전시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벨트부재의 역회전을 차단시키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벨트 콘베이어의 정상적인 작동시 멈춤쇠가 래칫기어에 치합되지 않은 채로 벨트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역회전 상황에서는 멈춤쇠가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벨트부재의 역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래칫기어는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되어 벨트부재와 함께 회전되고, 멈춤쇠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래칫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래칫기어는 회전축에 용접으로 고정되게 하거나, 회전축에 브라켓을 용접 고정시킨 후 상기 브라켓에 볼트로 착탈되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래칫기어의 마모가 진행될 때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멈춤쇠는 평상시 래칫기어의 정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래칫기어의 역회전이 이루어질 때는 래칫기어에 치합된 상태가 되어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전동모터를 교체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벨트 콘베이어의 정상적인 구동시에는 래칫기어에 멈춤쇠가 치합되지 않은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벨트 콘베이어의 작동이 중단되는 동시에 멈춤쇠가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역회전이 차단되어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전동모터를 교체하지 않고도 고가의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이미 사용하고 있는 벨트 콘 베이어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래칫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래칫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래칫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래칫기어와 브라켓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래칫 설치상태 측면도
본 발명은 이송화물을 벨트부재에 실어서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부재가 역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벨트부재의 역회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모터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원동롤러가 벨트부재를 회전시켜 이송화물은 운반하는 벨트 콘베이어에서, 회전축의 일측에 래칫기어를 고정하여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게 하고, 상기 벨트 콘베이어가 설치되는 프레임에는 멈춤쇠를 설치하되 상기 멈춤쇠는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멈춤쇠는 회전축이 정회전할 때는 래칫기어를 타고 넘으며, 회전축이 역회전할 때는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벨트부재가 정회전할 때에는 멈춤쇠가 래칫기어를 타고 넘으며 정상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벨트부재의 역회전이 이루어질 때는 멈춤쇠가 래칫기어에 치합되어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어서, 벨트 콘베이어는 정상회전만 이루어지고, 역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벨트부재(60)를 전동모터(10)로 회전되는 회전축(30)에 결합된 원동롤러(40)와 피동롤러 사이에 결합시키고, 벨트부재(60)에 이송화물을 실어서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이어(100)에 있어서, 상기 원동롤러(4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0)의 일측에 래칫기어(70)를 고정하고, 상기 래칫기어(70)에 치합되는 멈춤쇠(80)는 프레임(20)에 설치되게 하되 상기 멈춤쇠(80)는 래칫기어(70)가 정회전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전동모터(10)로 회전축(30)을 회전시켜 원동롤러(40)가 벨트부재(60)의 정회전이 이루어지게 함에 있어서, 벨트부재(6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회전축(30)의 일측에 래칫기어(7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래칫기어(70)에 치합되는 멈춤쇠(80)는 프레임(20)에 설치하되 상기 멈춤쇠(80)는 래칫기어(70)가 정회전만 이루어지게 하고, 역회전이 이루어질 때는 멈춤쇠(80)에 치합되어 역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축(30)의 회전에 의해 이송화물을 운반하는 벨트부재(60)가 회전한다.
본 발명의 래칫기어(70)는 회전축(30)에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벨트부재(60)의 역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멈춤쇠(80)가 래칫기어(70)를 치합시킬 때 래칫기어(70)가 회전축(30)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축(30)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래칫기어(70)는 멈춤쇠(80)가 닿은 채로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멈춤쇠(80)와 함께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새것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나, 회전축(30)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경우에는 래칫기어(70)의 교체에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30)에는 도넛 형태의 브라켓(50)을 끼워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브라켓(50)에 래칫기어(70)는 볼트(51)로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래칫기어(70)를 교체할 때 볼트(51)를 풀어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멈춤쇠(80)는 래칫기어(7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항시 래칫기어(70)와 닿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마모가 쉽게 이루어지게 되나, 멈춤쇠(80)는 프레임(20)에 고정되고 핀 고정 방식을 채택하여 회동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프레임(20)에 고정된 전동모터(10)를 구동시켜 회전축(30)을 회전시킴으로써 벨트부재(60)를 회전시켜 이송화물을 이동시키는 통상의 벨트 콘베이어(100)에 있어서, 회전축(30)이 정회전하여 벨트부재(60)의 정회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멈춤쇠(80)가 래칫기어(70)에 닿은 상태이긴 하지만 래칫기어(70)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벨트부재(60)는 정회전으로 이송화물을 운반하게 된다.
이때, 래칫기어(70)는 회전축(30)과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래칫기어(70)에는 멈춤쇠(80)가 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래칫기어(70)가 정회전이 이루어질 때는 멈춤쇠(80)를 타고 넘기 때문에 래칫기어(70)의 회전이 멈춤쇠(80)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며, 단지 래칫기어(70)의 회전에 의해 마모와 소음이 발생하게 되나, 마모은 래칫기어(70)와 멈춤쇠(80)를 교체하여 해결하고, 소음은 벨트 콘베이어(1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운전소음에 비하여 현저히 미미한 상태이기 때문에 소음으로 인한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래칫기어(70)는 회전축(30)에 용접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 래칫기어(70)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멈춤쇠(80)는 핀 고정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쉽게 교체를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벨트부재(60)의 정회전이 이루어질 때에는 하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정전이나 사고로 인하여 벨트 콘베이어(100)의 구동이 정지될 경우, 벨트부재(60)의 역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벨트부재(60)에 가해지는 역회전 동력으로 인하여 회전축(30)이 역회전을 하게 되면, 레칫기어(70)가 역회전하면서 멈춤쇠(80)가 래칫기어(70)에 치합되기 때문에 래칫기어(70)는 역회전을 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회전축(30)의 역회전이 차단되어 벨트부재(60)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즉, 전동모터(10)가 정지되었을 때 벨트부재(60)가 역회전하게 되는 현상을 본 발명에서는 멈춤쇠(80)가 래칫기어(70)에 치합되면서, 역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래칫기어(70)가 역회전하는 순간, 멈춤쇠(80)가 래칫기어(70)에 치합되면서, 역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벨트부재(60)의 역회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래칫기어(70)를 회전축(30)에 용접 고정할 경우는 래칫기어(70)의 교체 과정이 쉽지 않기 때문에 회전축(30)에 브라켓(50)을 용접하여 고정시킨 후 래칫기어(70)를 브라켓(50)에 볼트(51)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래칫기어(70)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벨트 콘베이어(100)에 간단히 래칫기어(70)와 멈춤쇠(8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10 : 전동모터 20 : 프레임
30 : 회전축 40 : 원동롤러
50 : 브라켓 60 : 벨트부재
70 : 래칫기어 80 : 멈춤쇠
100 : 벨트 콘베이어

Claims (2)

  1. 벨트부재(60)를 회전시키는 원동롤러(40)는 프레임(20)에 설치된 전동모터(10)로 회전축(30)을 회전시켜 원동롤러(40)가 벨트부재(60)를 회전시키는 벨트 콘베이어(100)의 회전축(30)에는 일측으로 래칫기어(70)를 고정하고, 상기 래칫기어(70)에 치합되는 멈춤쇠(80)는 프레임(20)에 설치하되 상기 래칫기어(70)의 정회전시 멈춤쇠(80)는 래칫기어(70)를 타고 이동하는 한편 래칫기어(70)의 역회전시 멈춤쇠(80)는 래칫기어(70)에 치합되면서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30)의 일측에는 브라켓(50)을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50)에 래칫기어(70)를 볼트(51)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KR1020180122731A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200042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31A KR20200042308A (ko)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31A KR20200042308A (ko)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08A true KR20200042308A (ko) 2020-04-23

Family

ID=7047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31A KR20200042308A (ko)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23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312B1 (ko) * 2020-12-30 2022-02-09 성백남 건설자재용 컨베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250A (ko) 1999-12-22 2001-07-09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250A (ko) 1999-12-22 2001-07-09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312B1 (ko) * 2020-12-30 2022-02-09 성백남 건설자재용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3773C (zh) 具有故障检测和支撑装置的自动扶梯驱动机构
CA2831657C (en) Conveying device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same
JP2009196381A (ja) 運搬用遠隔制御ロボット
KR20200042308A (ko) 벨트 콘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US11034552B2 (en) Passenger conveyor
EP3392168A1 (en) Tensioning system and drive positioning on a conveyor assembly
US8127950B2 (en) Independently powered trolleys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20170113868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KR101962734B1 (ko)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JP6786623B2 (ja) 摩擦式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ルーセル
CN111971242B (zh) 输送分类装置
CN109823812A (zh) 一种能翻转的辊道机
KR20170070617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KR10129559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WO2023059715A1 (en) Track driven sweep system for grain bins
WO2018011960A1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101526542B1 (ko) 컨베이어풀리 파손 감지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Gupta Safety measures for reduction of failure in belt conveyor for thermal power plant
US3952864A (en) Conveyor safety device
KR10164039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벨트 턴오버 장치
JP4816415B2 (ja) 搬送設備
CN207511267U (zh) 一种带锁紧杆的螺旋拉紧装置
US825110A (en) Shiftable conveyer.
KR10197804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추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