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23A -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23A
KR20200041123A KR1020180121192A KR20180121192A KR20200041123A KR 20200041123 A KR20200041123 A KR 20200041123A KR 1020180121192 A KR1020180121192 A KR 1020180121192A KR 20180121192 A KR20180121192 A KR 20180121192A KR 20200041123 A KR20200041123 A KR 20200041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bar
unit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793B1 (ko
Inventor
황성욱
Original Assignee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12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02Water baths; Sand baths; Air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3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vibration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69Buoyanc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부를 갖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로서, 상기 공동부를 가로지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바아(bar)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수조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하게 상기 공동부를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Apparatus for removal residues in water bath and water bath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조 내 부유된 거품,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직을 세밀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0.2㎛ 정도의 두께로 박절한 조직을 슬라이드에 붙여 여러 가지 염색을 한 후 이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조직을 슬라이드에 부착하기 전에, 얇게 박절한 조직 절편을 항온수조의 물에 띄워서 원래의 크기로 팽창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조직 절편이 충분히 편평해질 수 있도록 이를 항온수조 수면에 오랜 시간 놓아 두는데, 이 과정에서 띄워진 절편으로부터 파라핀 찌꺼기 등이 떨어져 나오게 된다. 아울러, 절편의 안정적인 팽창을 위해 항온수조 내 온도를 대략 45℃ 정도로 유지함에 따라 거품 등의 부유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한 세트의 조직 절편들의 팽창 작업을 마친 후 다음 세트의 조직 절편들을 항온수조에 투입하기 전에 이러한 거품 및 찌꺼기들을 미리 제거해 두지 않으면, 전후 세트의 조직 절편들에 교차오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조 내 부유된 거품,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부를 갖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로서, 상기 공동부를 가로지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바아(bar)를 구비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수조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하게 상기 공동부를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동부에 수용된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바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에 결합되어 적어도 일단이 상기 수면에 접촉하는 타올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조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아를 지지하는 컬럼(column)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부를 갖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결합된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공동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물의 온도를 45℃ 내지 48℃의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 인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 내 부유된 거품,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조 내 이물질을 신속,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조에 순차적으로 띄워진 조직 절편들 간의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온수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항온수조 조립체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온수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항온수조 조립체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온수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항온수조 조립체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온수조 조립체(10)는 수조(100) 및 수조(100) 내에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200)를 구비한다.
수조(100)는 본체(110) 및 하우징(1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110)는 실질적인 수조 기능을 하는 용기에 해당하고, 하우징(120)은 본체(110)와 결합하여 본체(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10)는 내부에 물(W)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부(CA)를 갖는다. 이때 수용되는 물(W)은 증류수, 탈염정제수 등의 순수한 물(water)일 수 있고, 이 외에도 순수한 물(water)에 다양한 시약을 혼합한 용액일 수도 있다.
본체(110)는 부식에 강하도록 용접 부위가 없는 일체형 용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는 청결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강화유리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등에서 본체(110)의 공동부(CA) 형상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동부(CA)는 사각형 외의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되는 용액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본체(110)는 하우징(120)에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은 본체(11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20)은 본체(110)를 지지할 뿐 아니라, 본체(110)가 항온성을 갖도록 본체(110)에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는 온도 조절부(122)를 구비하며, 온도 조절부(122)는 본체(110)의 공동부(CA)에 수용된 물(W)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온도 조절부(122)는 별도의 가열부재(미도시)나 온도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및 하강 버튼(button)을 구비하여, 이러한 버튼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목표 온도 및 현재 온도는 디스플레이 패널(121)에 표시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2)를 적절히 조작함에 따라 공동부(CA) 내의 물(W)의 온도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조직 절편을 편평하게 팽창시키기 위해서, 물(W)의 온도는 절편을 형성하는 파라핀 등의 용해점에서 5℃ 내지 9℃ 이하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물(W)의 온도는 45℃ 내지 48℃의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체(110)의 항온성을 향상시키고 물(W)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부(CA)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뚜껑(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10) 내부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명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본체(110)에 수용되는 물(water) 기타 시약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는 용량 눈금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본체(110)에 수용된 물(W)을 진동시키는 진동 인가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물(W)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공동부(CA) 전(全) 영역에서의 물(W)의 온도를 균일화하고, 물(W)의 온도가 대략 45℃로 유지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거품(bubble)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로, 진동 인가부(123)는 본체(110)를 진동시키거나 본체(110)와 하우징(120)을 함께 진동시키는 것일 수 있고, 이를 위해 진동 인가부(123)는 피에자 소자, 액추에이터, 전기적 진동자 등의 진동발생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진동 인가부(123)는 본체(110)를 움직이는 것이 아닌, 물(W) 자체를 진동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진동 인가부(123)에는 물(W)을 교반하는 교반기(agitator)(미도시)나, 초음파 진동부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조(100)에는 이물질 제거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등에는 이물질 제거 장치(200)가 수조(10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수조(100)가 거치되거나 수조(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수조(100)와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물질 제거 장치(200)가 수조(100)와 결합된 구조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프레임부(210) 및 프레임부(210)를 이송하는 이송부(22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프레임부(210)는 바아(bar)(211) 및 바아(211)를 지지하는 컬럼(column)(212)을 구비할 수 있다.
바아(211)는 공동부(CA) 내의 물(W) 위에 부유된 파라핀 찌꺼기(P1), 거품(P2)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 수조(100)의 공동부(CA)를 가로지르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바아(211)는 후술하는 이송부(220)에 의해 공동부(CA)를 가로지르는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수용된 물(W)의 수면에 존재하는 파라핀 찌꺼기(P1), 거품(P2) 등을 걷어내게 된다. 여기서 제2 방향(+y 방향)이라 함은 제1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예컨대 제1 방향(+x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바아(211)의 적어도 일부는 공동부(CA) 내에 수용된 물(W)의 수면에 접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바아(211)는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바아(211)에 있어서 본체(110)의 가장자리(110E)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본체(110)의 공동부(CA)에 대응하는 부분이 물(W)의 수면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바아(211)는 본체(110)의 가장자리(110E)의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수면에 접촉하면서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아(211)의 적어도 일부가 물(W)의 수면에 접촉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수면에 부유하는 파라핀 찌꺼기(P1), 거품(P2)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걷어낼 수 있다. 이때 바아(211)의 상기 수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가 대략 공동부(CA)의 전(全) 폭과 같도록 제작함으로써, 바아(211)를 일회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걷어낼 수 있다.
도 1 등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바아(211)의 이물질을 걷어내는 동작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바아(211)의 수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주걱과 같이 얇은 판 형상이나, 국자와 같이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물(W)의 수면 상에 위치하는 바아(2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수조(100)의 측면에는 컬럼(212)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럼(212)은 바아(211)의 적어도 일측 단부를 지지하며, 일 실시예로 수조(100)의 높이방향인 제3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바아(21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컬럼(212)은 2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컬럼(212)이 바아(211)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바아(211)의 상기 수면에 접촉하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컬럼(212)은 바아(211)를 이송부(2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로써 바아(211)는 컬럼(212)을 매개로 이송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수조(10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바아(211)와 컬럼(21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210)를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송부(220)는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아(211)의 양단이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부(220)는 하우징(120)의 양측에 모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송부(220)가 수면에 접촉하는 바아(211)를 제2 방향(+y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킴에 따라, 바아(211)는 공동부(CA) 전(全) 영역을 스캔(scan)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공동부(CA)의 물(W) 위에 부유하는 파라핀 찌꺼기(P1), 거품(P2) 등을 거의 대부분 제거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220)는 가이드부(221) 및 프레임부(210)를 가이드부(221)에 연결시키는 연결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221)는 프레임부(210)의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며, 이를 위해 가이드부(221)는 제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22)는 프레임부(210)의 컬럼(212)과 결합되는 부재로, 이 연결부(222)가 가이드부(2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222)에 결합된 프레임부(210) 전체가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부(222)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은 구동부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는데, 상기 구동부는 연결부(222)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구비되되 연결부(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후자와 같이 상기 구동부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 상기 구동부는 수조(1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수조(10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모터, 유압 실린더, 액추에이터, 리드스크류 등을 구비하여 연결부(222)를 제2 방향(+y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운동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항온수조 조립체(10)는 공기 주입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주입부(300)는 공동부(CA)에 수용된 물(W)에 공기(AIR))를 주입하는 부재로, 공동부(CA)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110)의 저면 측에 형성된 홀(300H)을 통해 공기(AIR)를 배출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공기 주입부(300)는 프레임부(210)의 바아(211)에 결합되는 관형 부재로, 대략 제3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공기 주입부(300) 자체에 공기 발생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바아(211)에 별도의 관(미도시)을 장착하여 공기 주입부(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주입부(300)를 통해 본체(110)의 저면을 향해 배출된 공기(AIR)는 물(W) 속에서 수면 쪽으로 점점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AIR)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거품이나 찌꺼기들이 물(W)의 수면 쪽으로 공기(Air)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W)의 수면에는 다량의 이물질이 모이게 된다.
즉, 공기 주입부(300)는 물(W) 속에 공기(AIR)를 주입하여 물(W)의 수면으로 물(W) 속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로써 프레임부(210)의 바아(211)가 상기 수면 상에서 이동할 때 상기 수면 하부에 부유하던 이물질까지도 용이하게 걷어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온수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항온수조 조립체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와 이물질 제거 장치(210)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일 뿐, 수조(100)의 구성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온수조 조립체(20)는 수조(100) 및 수조(100) 내에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200')를 구비한다.
수조(100)는 본체(110) 및 하우징(120)을 구비할 수 있고, 본체(110)의 공동부(CA) 내에는 물(W)이 수용된다. 이때 하우징(120)에는 온도 조절부(122), 진동 인가부(123) 등의 조작부가 구비되어 공동부(CA)에 수용된 물(W)의 온도를 항온으로 유지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조(100)에는 이물질 제거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프레임부(210') 및 프레임부(210')를 이송하는 이송부(22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프레임부(210)는 바아(211) 및 바아(211)를 지지하는 컬럼(212')을 구비할 수 있다.
바아(211)는 수조(100)의 공동부(CA)를 가로지르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바아(211)는 물(W)의 수면으로부터 제3 방향(+z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바아(211)는 물(W)의 수면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아(211)에는 타올(T)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아(211)가 물(W)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바아(211)에 결합된 타올(T)은 상기 수면 쪽으로 늘어지면서 타올(T)의 적어도 일단이 상기 수면에 접촉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물(W)의 수면에 접촉하는 부재는 바아(211)가 아닌 타올(T)이 된다.
따라서, 바아(211)가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물(W)의 수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타올(T) 또한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타올(T)은 물(W)의 수면에 존재하는 파라핀 찌꺼기(P1), 거품(P2) 등을 걷어낼 수 있다.
타올(T)은 보푸라기 없고 흡착력이 양호한 종이, 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올(T)의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대략 공동부(CA)의 전(全) 폭과 같도록 제작함으로써, 바아(211)를 일회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타올(T)의 흡착을 통해 상기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걷어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바아(211)가 직접 물(W)의 수면에 접촉하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바아(211)의 적어도 일부가 물(W)의 수면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다만, 바아(211)를 상기 수면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하는 경우, 바아(211)의 절곡된 부분에 타올(T)이 결합되어 타올(T)의 움직임을 적절히 구속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아(211)에는 타올(T)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핀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컬럼(212')은 수조(100)의 높이방향인 제3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바아(21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컬럼(212')은 바아(211)를 물(W)의 수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바아(211)는 컬럼(212')을 매개로 이송부(220)에 연결되며, 이송부(220)에 의해 바아(211)와 컬럼(212')으로 구성된 프레임부(210')가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부(220)가 바아(211)를 제2 방향(+y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킴에 따라, 바아(211)는 공동부(CA)의 전(全) 영역을 스캔(scan)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바아(211)에 결합된 타올(T)을 통해 공동부(CA)의 물(W) 위에 부유하는 파라핀 찌꺼기(P1), 거품(P2) 등을 거의 대부분 제거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220)는 가이드부(221) 및 프레임부(210')를 가이드부(221)에 연결시키는 연결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21)는 프레임부(210')의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고, 연결부(222)는 프레임부(210')의 컬럼(212)과 결합되는 부재이며, 이 연결부(222)가 가이드부(2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222)에 결합된 프레임부(210') 전체가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부(222)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은 구동부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는데, 상기 구동부는 연결부(222)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구비되되 연결부(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항온수조 조립체(20)는 공기 주입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주입부(300')는 공동부(CA)에 수용된 물(W)에 공기(AIR)를 주입하는 부재로, 공동부(CA)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110)의 저면 측에 형성된 홀(300H')을 통해 공기(AIR)를 배출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공기 주입부(300')는 프레임부(210)의 바아(211)에 결합되는 관형 부재로, 대략 제3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바아(211)가 물(W)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공기 주입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부(300')를 통해 본체(110)의 저면을 향해 배출된 공기(AIR)는 물(W) 속에서 수면 쪽으로 점점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상승 작용으로 인해 다량의 거품이나 찌꺼기들이 물(W)의 수면 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로써 프레임부(210')의 바아(211)가 상기 수면 상에서 이동할 때 바아(211)에 결합된 타올(T)을 통해 상기 수면 하부에 부유하던 이물질까지도 용이하게 걷어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수조 내 부유된 거품,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조 내 이물질을 신속,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수조에 순차적으로 띄워진 조직 절편들 간의 교차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항온수조 조립체
100: 수조
110: 본체
120: 하우징
121: 디스플레이 패널
122: 온도 조절부
123: 진동 인가부
200, 200': 이물질 제거 장치
210, 210': 프레임부
211: 바아
212, 212': 컬럼
220: 이송부
221: 가이드부
222: 연결부
300: 공기 주입부
300H: 홀
CA: 공동부
W: 물
AIR: 공기

Claims (11)

  1.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부를 갖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로서,
    상기 공동부를 가로지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바아(bar)를 구비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수조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하게 상기 공동부를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를 구비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에 수용된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구비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에 접촉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수소 내 이물질 제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에 결합되어 적어도 일단이 상기 수면에 접촉하는 타올을 더 구비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조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아를 지지하는 컬럼(column)을 구비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8.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부를 갖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결합된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물의 온도를 45℃ 내지 48℃의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 인가부;를 더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KR1020180121192A 2018-10-11 2018-10-11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KR10223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92A KR102230793B1 (ko) 2018-10-11 2018-10-11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92A KR102230793B1 (ko) 2018-10-11 2018-10-11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11A Division KR20200138115A (ko) 2020-11-27 2020-11-27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23A true KR20200041123A (ko) 2020-04-21
KR102230793B1 KR102230793B1 (ko) 2021-03-22

Family

ID=7045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192A KR102230793B1 (ko) 2018-10-11 2018-10-11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7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512U (ko) * 1987-05-29 1988-12-13
KR20040110203A (ko) * 2003-06-18 2004-12-31 최석준 진공 흡입식 부유물 제거장치
KR20140143882A (ko) * 2013-06-08 2014-12-18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가이드레일을 갖는 바이오플락용 자동 양식 수조
KR20160135020A (ko) * 2015-05-14 2016-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생물 실험의 다항목제어가 가능한 해수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512U (ko) * 1987-05-29 1988-12-13
KR20040110203A (ko) * 2003-06-18 2004-12-31 최석준 진공 흡입식 부유물 제거장치
KR20140143882A (ko) * 2013-06-08 2014-12-18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가이드레일을 갖는 바이오플락용 자동 양식 수조
KR20160135020A (ko) * 2015-05-14 2016-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생물 실험의 다항목제어가 가능한 해수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793B1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0194B2 (ja) 振動ナイフ
JP2010032554A (ja) 組織の顕微解剖のための方法
CN102405020B (zh) 超声波观测装置以及超声波观测装置的控制方法
KR20200041123A (ko)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KR20200138115A (ko)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온수조 조립체
JP5067569B2 (ja) マニピュレータ及び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JP2010102263A (ja) 顕微鏡装置
JP7015077B1 (ja) 切片作成装置および切片作成装置セット
CN107928704B (zh) 一种超声扫描检测装置
JPWO2006018913A1 (ja) 検体動作制御装置、検体動作用のパラメータの取得方法、及び検体動作制御方法
JP2008148914A (ja) 3d/4dプローブ用穿刺ガイド装置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H08506416A (ja) 二次元電気泳動装置とその電気泳動ユニット
JP2007271358A (ja) プローブホルダ及び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
JP4394679B2 (ja) 振動超ミクロトームカッタを有する保持装置
JP3368490B2 (ja) マイクロマニピュレータ微動操作装置
EP3167811B1 (en) Ultrasonic endosco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0189372A (ja) 単軸ロボット
JP2010148461A (ja) 細胞保持機構、穿孔形成機構及び、それを有する細胞穿孔装置、マニピュレータ、マニピ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3874213B2 (ja) 酸化膜除去装置
JP4549760B2 (ja) 穿刺用超音波探触子
JP2006078356A (ja) バイオチップ作成装置
JP7279463B2 (ja) 画像読取装置
JP2018061602A (ja) 内視鏡洗浄具
JP2009225813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4926929B2 (ja) チップ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