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170A -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170A
KR20200040170A KR1020190034229A KR20190034229A KR20200040170A KR 20200040170 A KR20200040170 A KR 20200040170A KR 1020190034229 A KR1020190034229 A KR 1020190034229A KR 20190034229 A KR20190034229 A KR 20190034229A KR 20200040170 A KR20200040170 A KR 20200040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drying chamber
agricultural
marine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227B1 (ko
Inventor
손명갑
손영훈
Original Assignee
손명갑
손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명갑, 손영훈 filed Critical 손명갑
Publication of KR2020004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는 건조기 본체의 열풍 건조실에 구비한 여과 및 제습 기능에 의해, 열풍 건조실에 수용되는 피 건조물을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 상급의 품질로 건조하여 피 건조물의 고급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건조실의 구석 구석까지 피 건조물의 건조에 제공되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대류 작용으로 피 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건조실을 간결(Compact)하게 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Hot Air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Marine Products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 건조실에 여과 및 제습 기능을 구비하여 피 건조물(감, 고추, 망고, 바나나 담배, 버섯, 약재 등의 농산물(임산물 포함)과, 생선류 및 해조류와 같은 수산물 등을 칭함)을 최 상급의 품질로 건조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피 건조물의 건조에 제공되는 열풍을 건조실의 구석 구석을 순환하는 대류 작용으로 건조 효율을 극대화 함과 아울러 간결(Compact)한 구성으로 공간 활용성을 높인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농,수산물 특히 감, 고추, 담배, 버섯, 바나나, 망고, 약재 등의 농산물(임산물 포함)과 생선이나 건어물, 해조류와 같은 수산물은 소비자들에게 도달하는 과정에서 수분에 의한 부패등의 변질 방지를 위해 건조시킨 상태로 판매할 수 있게 출하시키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건조방법으로는 태양열이나 자연풍에 의한 자연건조방법이 있다. 자연건조방법은 기후적인 여건에 따라 많은 제약을 받아 농수산물의 건조속도, 건조량,건도(乾度)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등 생산성 저하는 물론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하여 개발된 것이 농수산물 건조기이다. 농수산물 건조기와 관련된 기술들이 대한민국 특허문헌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건조장치'라고 하여, 건조실내에 하단이 막히고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다단식 건조대 양쪽에 윗부분이 막힌 열풍분산닥트를 열풍투입구가 형성된 측벽으로 구획하고 건조대 내에 피건조물 수납상자재치실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각단의 피건조물 수납상자재치실마다 열풍투입구가 한개씩 좌측 또는 우측에 서로 번갈아 뚫어서 열풍분산덕트로부터 열풍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피 건조물 수납상자 재치실 내로 따로 따로 진입되었다가 피건조물을 통과후에 윗단의 피건조물 수납상자를 거쳐 상부 배출구로 배출되게 하고, 피 건조물 수납상자의 저면을 다공판으로 형성하되 다수의 구멍을 저면의 가장자리보다 중앙부위에 조밀하게 뚫은 구성에 의해, 피 건조물을 고르게 건조하여 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다단식 건조대의 각단의 건조물을 동시에 건조되게 하므로서 건조작업을 증진시켜서 생산능률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2는 각종 곡물 또는 어류 등의 농수산물 따위를 건조실내에 수납식으로 적재하여, 히터실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본체 측벽에서 건조실 내로 골고루 분사되게 한 구성에 의하여, 건조실내에 적층 상태로 수납된 농수산물을 균일하고,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하여, 종래와 같이 자연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청결하고 깨끗하게 효과적으로 건조 시킬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3은 열풍에 의한 농작물의 건조와 동시에 건조되는 농작물에 보다 높은 열 효율로 조사(照射)하여 농작물의 우수한 건조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건조과정을 수행하면서 건조챔버 상부로 이동하는 열풍의 폐열을 회수하여, 회수된 폐열의 재순환을 통해 건조효율의 상승 및 건조시 공급되는 에너지 절감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하면서, 이를 위해 농작물 건조기 내부 후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챔버하우징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풍이 공급되는 외부흡입열 분출관이 형성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부열 흡입홀과 챔버하우징 내부의 열풍이 배기되는 배출홀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의 열풍을 순환시키는 순환열 흡입관이 형성되고, 챔버하우징 좌측에 설치된 순환열관을 경유하여 형성된 열풍이 순환열분출관을 통하여 순환된 열풍이 농작물이 얹혀지는 다수의 채반이 다층 결합되는 건조 챔버내에서 농작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열풍순환식 농작물 건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건조기들은 열풍이 골고루 공급되지 않아 건조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없어서, 건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건조 효율의 저하 문제가 있고, 또한 건조물의 위치에 따라 건조 상태가 천차 만별이어서 양질의 제품을 소비자에 제공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1내지 2에 개시된 건조기의 경우에는, 열풍 교환로와 인접 설치된 피건조 수납상자의 재치대에 수납된 농산물과 열풍 교환로의 외측으로 설치된 피건조 수납상자 재치대에 수납된 농산물의 건조상태가 각각 달리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3에 개시된 건조기는,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 내부에서 순환팬, 순환열흡입관, 순환열관, 순환열분출관을 통해 순환하게 되므로 열효율은 높지만 예컨데 피 건조물인 감으로부터 빼앗은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계속 순환하게 되므로 건조효율이 충분치 못하여, 감의 변색으로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건조시간 또한 길게 되어 연료 소비가 많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 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극대화 하면서 최 상급의 품질로 건조할 수 있게 하는 농수산물의 건조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165546호 K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0089531호 K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656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열풍 건조실에 구비한 여과 및 제습 기능과 아울러 건조실의 구석 구석 까지 피 건조물의 건조에 제공되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대류 작용에 의해, 열풍 건조실에 수용되는 피 건조물을 최 상급의 품질로 건조하여 피 건조물의 고급화를 달성한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실의 간결(Compact)한 구성으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성을 높인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실로부터 피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대차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전면 개방부에 대한 도어의 밀폐력을 유지하여 도어를 통한 열풍 누출의 손실이 없는 기밀 효과를 발휘하게 한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 실내부로 흡입될 우려가 있는 이물질 및 일반 미세 먼지는 물론 초 미세 먼지를 걸러줄수 있게 하여 피 건조물을 보다 위 생적인 청정 상태에서 건조할 수 있게 한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는, 각종 농수산물을 적재한 대차의 입출을 위한 단열도어가 설치되는 전면 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폐쇄되는 건조실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실의 양측벽은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는 열풍 순환로를 형성하는 장방형상의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외측 상부에서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열풍 순환로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를 히터를 통하여 열교환 시킨 후 상기 건조실 내부로 피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열풍으로 공급하는 한쌍의 열풍 공급부;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기 열풍 공급부와 각 대응 위치에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열풍 공급부를 경유하여 상기 건조실로 재 순환시키는 열풍 순환부; 상기 건조기 본체의 어느 외측 상부에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의 피 건조물을 상기 열풍 공급부와 상기 열풍 순환부로부터 공급되어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시 발생되는 고온의 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는 제습부; 열풍을 위해 설정된 시컨스에 따라 상기 열풍 공급부의 동작 제어와 아울러 상기 제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하부벽판은 내식성과 강도를 갖는 재질의 단열 판체로 형성되고, 양측벽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내판체와 이 내판체로부터 거리를두고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열풍 공급부와 연락되는 상기 열풍 순환로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외판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개방부측의 상기 하부벽판 위로는 상기 전면도어와 상기 하부벽판 사이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막기위한 L 자형의 틈새 막음 부재를 상기 하부벽판 위를 건너지르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하부벽판 위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토글 클램프에 의하여 탈착되게 고정하고, 상기 L 자형의 틈새 막음 부재의 상하부에는 밀폐유지용 고무 패킹들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부에서 사방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열풍 순환로들과 각각 연락되게 형성된 열풍챔버와 상기 열풍챔버와 각각 연락되게 설치되며 내부로는 상기 히터들이 각각 설치된 히터박스와 상기 히터박스에 각각 설치되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히터측으로 송풍하는 외기 흡입홴들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풍 공급부의 상기 히터박스 내부로는 상기 히터들과 상기 외기 흡입홴들의 사이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외기 흡입홴들로부터 흡입되는 미세먼지와 벌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하거나 혹은 상기 외기 흡입홴들의 외기 흡입용 개방부측으로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를 탈착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풍 순환부는 상기 히터박스 내부와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기 히터박스 내부에 대응하는 상부벽을 관통하게 각각 설치한 순환공들이며, 이 순환공들에는 망(Net)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습부는 제습기이고, 상기 제습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건조실내부의 습기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고, 기 설정된 온도의 미만인 경우에는 온(on) 상태로 제어된다.
상기 건조 장치에는 습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데, 이 습기 조절부는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부벽에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전동댐퍼이고, 상기 전동댐퍼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건조실로부터 감지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제어되고, 기 설정된 습도의 미만인 경우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실에 수용되는 피 건조물들을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최 상급의 품질로 건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건조실의 구석 구석으로 순환시키는 열풍 대류 작용으로 피 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는 효과 제공과 아울러 열풍의 반복적인 순환으로 인한 열풍의 재활용으로 유지 관리 비용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간결(Compact)한 건조실의 구성으로 건조기를 어디라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조실 내부로 피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대차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전면 개방부에 대한 도어의 밀폐력을 유지하여 도어를 통한 열풍 누출의 손실이 없도록 한 기밀성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및 일반 미세 먼지는 물론 초 미세 먼지의 유입 조차도 차단되는 청정 상태에서 건조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열풍건조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1의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열풍건조장치에서 측벽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A'부분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확대도이고,
도 2c는 도 2b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1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2를 'B'방향에서 보아 외판체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열풍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도 1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1에서 'C'부분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6의 'D'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1의 외기 흡입홴에 초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설치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외기 흡입홴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 할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열풍건조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도 2a는 도1의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열풍건조장치에서 측벽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A'부분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확대도이고, 도 2c는 도 2b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1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2를 'A'방형에서 보아 외판체를 분리한 상태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열풍 건조 장치(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건조기 본체(110),한쌍의 열풍 공급부(130a,130b), 열풍 순환부(150a,150b), 제습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농수산물인 피 건조물(감, 고추, 망고, 바나나 담배, 버섯, 약재 등의 농산물(임산물 포함)과 생선류 및 해조류와 같은 수산물 등을 칭함)의 식감(食感)을 좋게 하기 위해, 피 건조물을 소정의 수분을 유지하는 상태로 대량 건조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피 건조물은 감을 일예로 들어 표시하였다.
상기 건조기 본체(110)는 장방형상으로 양측벽(114a,114b)과 상하부벽판(115,116)에 의해 어느 일측 전면만이 개방부를 이루며 사방이 폐쇄된 건조실(1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건조실(112)의 전면 개방부는 단열도어(113)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상기 건조실(112)내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밀폐 상태를 이루게 함과 아울러 상기 건조실(112)의 내부로 피 건조물(20)을 적재하는 대차(10)의 입출을 자유롭게 허용한다. 상기 양측벽(114a,114b)과 상하부벽판(115,116)은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내구력 유지를 위하여 쉽게 파손이나 부식됨이 없게하고자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내부식성 재질의 단열 판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벽판(116)의 전면 개방부측을 턱이 없게 하여 상기 대차(10)의 건조실(112)의 출입을 쉽게할 수 있게 한 구성은, 상기 건조실(112)의 전면 개방부를 상기 단열도어(113)에 의하여 폐쇄할 경우, 상기 단열도어(113)의 설치 구조상 상기 단열도어(113)의 하부와 상기 하부벽판(116)의 전면 개방부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상기 건조실(112)내로 공급되는 열풍이 손실될 우려가 많다.
이 때문에 상기 하부벽판(116)의 전면 개방측에는 도 1 및 도2a,2b,2c의 표시와 같이, 상기 건조실(112)로부터 열풍 손실을 차단하기위한 밀폐수단을 설치하였다. 이 밀폐수단(120)이 틈새 막음 부재(122)와 토글 클램프(126)이다.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는 상기 건조실(112)의 전면 개방부측에서 상기 하부벽판(116)을 건너지르는 형태로 상기 하부벽판(116)위에 그냥 올려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토글 클램프(126)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제공하는 수평부(122-1)와 이 수평부(122-1)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면서 상기 단열도어(113)의 하단부분과 틈새 없이 밀착되게 지지하는 수직부(122-2)로 구성된 L자형 앵글이고, 상기 수평부(122-1)의 양단부분은 상기 수평부(122-1)가 상기 건조실(112)의 양측벽부(114a,114b)에 구애됨이 없이 건조실(112)안쪽으로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자 절취홈들(122-3a,122-3b)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의 수평부(122-1)의 저부와 수직부(122-2)의 상부로는 각각 단열도어(113)와 하부벽판(116)에 대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 유지용 고무패킹(124a,124b)을 각각 설치하였다.
상기 토글 클램프(126)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통상의 구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건조실(112)의 전면 개방부 측에서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와 인접하는 상기 하부벽판(116)상면의 양측으로 적어도 2개소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의 수평부(122-1)의 양측을 하부벽판(116)으로부터 유동됨이 없도록 견실하게 고정한다. 상기 토글 클램프(126)의 조작에 따른 압력 부여 혹은 해지에 따라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를 상기 건조실(112)의 상기 하부벽판(116)으로부터 제거하거나 혹은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토글 클램프(126)에의한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의 고정은 상기 단열도어(113)와 상기 하부벽판(116)의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여 상기 건조실(112)내부로 공급된 열풍의 손실을 없게 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의 제거는 상기 건조실(112)로 대차(10)의 출입을 허용하는 때이다. 상기 토글 클램프(126)는 대차(10)의 출입에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하여 상기 대차(10)의 폭보다는 더 넓게 양측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상하부 벽판(115,116)과 같이 사방이 막힌 상기 건조실(112)을 형성하는 상기 양측벽들(114a,114b)은 다수개의 통공들(114a-3,114b-3)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내(內)판체(114a-1,114b-1)와 이 내판체(114a-1,114b-1)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하여, 상기 건조실(110)과 상기 열풍 공급부(150a,150b)와 연락되는 열풍 순환로들(117a,117b)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외판체(114a-2,114b-2)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다수개의 통공들(114a-3,114b-3)은 상기 내판체(114a-1,114b-1)에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는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다수개의 통공들(114a-3,114b-3)에 의한 다양한 패턴 구성은, 각종 피 건조물(20)을 최상의 건조 조건에 맞게 상기 건조실(112)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내판체(114a-1,114b-1)를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한 것은 열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이 부식이 없도록하는 내 부식성을 갖게 하기 위함이고, 외판체(114a-2,114b-2)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한 것은 단열 효과와 함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추구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건조기 본체(110)는 증설 및 이설이 신속/원활하면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 가능하기 위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모듈화시킬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피 건조물을 대차(10)의 거치대에 매다는 상태로 적재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는데, 피 건조물에 따라서 적재 상태는 임의로 변형할 수 있음을 도면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열풍 공급부(130a,130b)는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외측 상부에서 상기 건조실(112)과 상기 열풍 순환로(117a,117b)를 통하여 연락되게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를 히터를 통하여 열교환 시킨 후 상기 건조실(112)에 위치되는 피 건조물(20)을 건조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구성은 도 5를 상기 도면들과 같이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열풍건조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열풍 공급부(130a,130b)는,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상부에서 사방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열풍 순환로들(117a,117b)과 각각 연락되게 형성된 열풍챔버(132a,13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풍챔버(132)의 양측으로는 상기 열풍챔버(132)와 각각 연락되게 한 히터박스(134a,134b)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히터박스(134a,134b)의 내부로는 히터들(136a,13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박스(134a,134b)의 일측으로는 외기 흡입홴들(135a,135b)이 각각 장착되어 흡입하는 외기를 상기 히터들(136a,136b)측으로 강하게 송풍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열풍 순환로들(117a,117b)은 다수개의 통공들(114a-3,114b-3)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내판체(114a-1,114b-1)와 이 내판체(114a-1,114b-1)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한 폴리우레탄 재질의 외판체(114a-2,114b-2)로 구성하고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열풍 공급부들(130a,130b)에는 외기 흡입시 같이 흡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40a,140b)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1에서 'B'부분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6의 'C'부분의 확대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히터박스(134a,134b)의 내부로는 상기 히터들(136a,136b)과 상기 외기 흡입홴들(135a,135b)의 사이에 판형상의 필터(140a,140b)를 탈착되게 설치하여, 상기 필터(140a,140b)로 하여금 상기 외기 흡입홴들(135a,135b)로부터 흡입되는 외기에 함유될수도 있는 미세먼지와 벌레 등의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필터(140a,140b)는 상기 히터박스(134a,134b)에 설치된 끼움홈(142a ,142b)으로부터 삽입하여 고정 혹은 이탈시킬수 있게 하여, 상기 필터(140a,140b)의 청소 혹은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쉽게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끼움홈(142a)으로부터 상기 필터(140a)의 견실한 고정을 위해, 상기 끼움홈(142a)의 상부는 상기 필터(140a)의 이탈이 없도록 고정 커버(145a)로 탈착되게 덮게함과 아울러 상기 끼움홈(142a)의 양측으로는 고정 클립(144a)을 설치하여, 상기 끼움홈(142a)의 상부를 덮는 상기 고정 커버(145a)의 양단부를 해지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이에 대한 구성은 상기 필터(140b)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도 8은 도1의 외기 흡입홴에 초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망(網)필터가 설치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외기 흡입홴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 이다.
도 8에서는 외기 흡입홴(135a)에 초 미세먼지 필터(137a)를 설치한 것을 일예로 표시하였으나, 상기 외기 흡입홴(135b)에도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137b)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모두 동일하여 외기 흡입홴(135a)의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137a)를 일예로 들어 표시한 것으로,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137a)는 부직포형 필터 혹은 망형 필터가 사용될수 있다. 초 미세먼지를 잘 걸러주는 것이라고 하면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137a)는 어떠한 것을 사용 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상기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137a)는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노력이나 시간 소비 없이 교체 혹은 정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된 상기 외기 흡입홴(135a)의 외기 흡입부 개방부 측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137a)의 구성을 보면, 상기 외기 흡입홴(135a)의 개방부를 가리는 상태로 설치되는 필터부(137-1a)와 그리고 상기 필터부(137-1a)의 전 주연부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외기 흡입홴(135a)의 개방부 몸통부위 측으로 탈부착되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137-2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137-2a)는 단지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밴드로만 구성할 수 있고, 혹은 고정밴드에 도 7의 표시와 같은 고정클램프를 설치하여 고정하는데 사용할수도 있고, 혹은 고정밴드에 나사공을 설치하여 나사못으로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열풍 순환부(150a,150b)는,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상부의 상기 열풍 공급부(130a,130b)와 각 대응 위치에 상기 건조실(112)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12)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열풍 공급부(130a,130b)의 상기 열풍 순환로들(117a,117b)를 경유하여 상기 건조실(112)로 재 순환되게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열풍 순환부(150a,150b)는 상기 각 히터박스(134a,134b) 내부와 상기 건조실(112)과 연락되게, 상기 히터박스(134a,134b) 내부와 대응하는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상부벽(115)을 관통하게 각각 설치한 대략 4각 형상의 순환공들(152a,152b)이다. 이 순환공들(152a,152b)에는 상기 히터박스(134a,134b)로부터 상기 순환공들(152a,152b)을 통하여 그대로 상기 건조실(112)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망(Net)형상의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어느 외측 상부에는 제습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습부(170)는 상기 건조실(112)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12)에 수용되는 피 건조물(20)을 상기 열풍 순환부(150a,150b)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시 발생되는 고온의 수분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상기 건조실(112)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제습부(170)는 제습기(172)이고, 이 제습기(172)는 후술하는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건조실(112)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예컨데 35℃를 넘는 경우 오프(off)되게 하고, 기 설정된 온도의 예컨데 35℃ 미만인 경우 다시 온(on)되게 제어하여, 상기 건조실(112)내부의 수분 온도를 피 건조물(20)을 건조하는 최적의 온도로 유지하여 적량의 수분이 피 건조물에 함유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112)에는 상기 제습부(170)이외에 습기 조절부(1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습기 조절부(180)는 도1내지 도2의 표시와 같이,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상부벽(115)에 상기 건조실(112)과 연락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전동 댐퍼들(182a~182d)이다. 상기 전동 댐퍼들(182a~182d)은 모터의 작동에 의해 흡/배기구가 개방 또는 폐쇄하여 건조실(112)내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상의 전동 댐퍼들이어서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전동댐퍼들(182a~182d)은 후술하는 건조실(112)로부터 감지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를 넘는 경우에만 제어부(190)에 의한 모터의 작동을 개시하여 흡/배기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상기 건조실(112)내의 습기가 개방된 흡/배기구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건조실(112)로부터 감지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의 미만인 경우 제어부(190)에 의한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흡/배기구를 폐쇄 상태를 유지 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건조실(112)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폐쇄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건조실(112)의 열풍을 위해 설정된 시컨스에 따라 상기 열풍 공급부(130a,130b)의 동작 제어와 아울러 상기 제습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각 주요 구성부인 상기 열풍 공급부(130a,130b)와 상기 제습부(17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열풍을 위한 설정된 시컨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부(190)에는 통상적으로 전원을 단속하는 온오프(on/off)키,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설정버튼, 건조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및 전압계, 온도 조절계, 즉시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버튼 및 히터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계 등 여러 가지 제어버튼이 구비될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작업자들의 조작과 유지관리가 쉽게 단열 도어(113)의 전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의 작용을 다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열풍 건조장치(100)를 가동하기 전에 먼저 피 건조물(20)이 적재된 대차(10)를 건조실(112)의 내부로 이동 시키어 수납한다. 피 건조물(20)이 적재된 대차(10)를 건조실(112)내부로 입실(入室)할 경우, 상기 하부벽판(116)에 설치된 틈새 막음 부재(122)는 대차(10)의 입실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토글 클램프(126)의 압력 해제로 제거하여, 상기 건조실(112)내부로 피 건조물(20)이 적재된 대차(10)의 입실을 손쉽게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건조실(112)에서 피 건조물(20)의 완료시에도 상기 건조실(112)로부터 대차(10)를 외부로 이동시에도 상기 대차(10)의 이동에 장애를 주지 않기 위하여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는 일시적으로 제거된다.
기 준비된 틈새 막음 부재(122)를 상기 건조실(112)의 전면 개방부측의 하부벽판(116)을 건너지르는 형태로 위치후, 토글 클램프(126)로 틈새 막음 부재(122)의 수평부(122-1)를 견실하게 지지함에 의해 도 2a의 표시와 같이 상기 건조실(112)의 전면 개방부의 하부에 턱부를 이루게 한다.
이 상태에서 단열도어(113)를 닫게 되면, 상기 단열도어(113)의 하단부분이 상기 틈새 막음 부재(122)의 기밀 유지용 고무패킹(124a,124b)과 기밀성을 유지하며 밀착되면서 상기 건조실(112)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손실을 없게 한다.
상기와 같이 단열도어(113)에 의한 상기 건조실(112)의 밀폐 유지가 완료 된 후에는, 상기 건조실(112)에 수납된 피 건조물에 따라 건조에 필요한 설정시간과 온도 및 습도 등을 상기 제어부(190)를 통해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90)에 기 구비된 통상의 전원버튼(미도시)의 조작에 따른 전원 부여에 의해 열풍공급부(130a,130b)를 작동한다.
상기 열풍공급부(130a,130b)의 작동은 상기 외기 흡입홴들(135a,135b)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히터박스(134a,134b)내의 상기 히터들(136a,136b)쪽으로 송풍하여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상기 히터들(136a,136b)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과 열교환 시켜서 피 건조물(20)의 건조를 위한 열풍을 발생시킨다.
상기 열풍공급부(130a,130b)로부터 열풍 발생시, 상기 외기 흡입홴들(135a,135b)로부터 흡입되는 외기중에 혹시 포함될수도 있을지 모르는 이물질이나 벌레 등은 상기 히터박스(134a,134b)의 내부에 각각 탈착되게 설치된 필터들(140a,140b)에 의해 걸러지게 한다. 상기 필터들(140a,140b)에 의한 이물질이나 벌레 등의 여과는, 필터가 없을시 건조실(112)내부로 이물질이나 벌레 등이 그대로 유입되어 피 건조물(20)에 부착되므로 인한 품질 저하 우려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예방 혹은 방지하는 유리한 이익을 제공한다.
상기 열풍공급부(130a,130b)로부터 상기 히터박스(134a,134b)→챔버들(132 a,132b)→열풍순환로(117a,117b)→타공(114a-3,114b-3)을 통하여 건조실(112)내부로 공급되어 피 건조물(20)의 건조에 제공되는 열풍중 대략 60%는 상기 습기 조절부(180)의 전동 댐퍼들(182a~182d)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만, 나머지 40%의 열풍은 상기 열풍 순환부(150a,150b)를 통하여 상기 건조실(112)내부로 재 공급하여 피건조물의 열풍으로 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열풍 순환부(150a,150b)는 도 1,2 및 도 5의 표시와 같이,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상부벽(115)의 상기 히터박스(134a,134b)와 각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12)과 연락되게 한 상기 순환공들(152a,152b)을 통하여 다시 상기 히터박스(134a,134b)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히터들(136a,136b)에 의하여 재 가열된 후 상기 챔버들(132a,132b)→열풍순환로(117a,117b)→타공(114a-3,114b-3)을 통하여 다시 건조실(112)내부로 재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작용을 반복한다. 상기 순환공들(152a,152b)에는 망(Net)을 설치하여 상기 히터박스(134a,134b)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순환공들(152a,152b)을 통하여 그대로 상기 건조실(112)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열풍 순환부(150a,150b)에 의한 열풍의 재사용은 피 건조물(2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시켜 건조 품질을 향상 시킴은 물론 열 손실을 적게 하여 유지 관리를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이익을 부여한다.
상기 피 건조물(20)의 건조시 발생되는 수분 증발로 상기 건조실(112)에 습기가 차게 되는 경우, 상기 습기 조절부(180)로 하여금 피 건조물(20)의 품질 유지에 필요한 수분이 유지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건조실(112)내의 습도가 기 설정된 30% 를 초과함이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90)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건조기 본체(110)의 상부벽에 위치된 상기 건조실(112)과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며 위치된 상기 습기 조절부(180)의 각 전동댐퍼들(182a~182d)의 모터에 구동에 의한 흡/배기구를 개방하게 제어하여, 상기 전동댐퍼들(182a~182d)을 통하여 외부로 습기를 배출시킬수 가 있다. 상기 건조실(112)내의 습도가 30%를 초과함이 계속 유지되면 상기 제어부(190)에 의한 각 전동댐퍼들(182a~182d)을 개방하게 제어함에 의해 상기 전동댐퍼들(182a~182d)에 의한 습기 배출을 지속적으로 실행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건조실(112)내의 습도가 예컨데 30% 미만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신속히 상기 전동댐퍼들(182a~182d)을 폐쇄 상태로 전환되게 제어하여 습기 배출을 없게 한다. 이러한 습기 조절부(180)의 반복적인 작동은 상기 건조실(112)내의 습기를 피 건조물(20)의 건조에 알맞는 습도를 유지하게 조절한다.
상기 습기 조절부(180)의 습기 조절에도 불구하고 상기 건조실(112)의 피 건조물(20)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수분 증발열로 인하여 상기 건조실(112)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제습부(170)의 제습작용으로 실내 분위기를 건조에 적합한 습도 온도를 유지하여, 피 건조물(20)의 건조 품질을 최상품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상기 건조실(112)내의 온도가 수분 증발열로 인하여 기 설정된 35℃를 초과하는 것이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90)측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제습부(170)의 제습기(172)로 하여금 상기 건조실(112)의 고온의 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상기 건조실(112)의 온도를 피 건조물의 건조에 적합 설정 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반면에 상기 제습부(170)의 제습 작용으로 상기 건조실(112)의 온도가 예컨데 기 설정된 35℃ 미만으로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제습부(17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습부(170)의 작용은 상기 건조실(112)의 습기 온도의 높낮이 여부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작용하여, 피 건조물을 전체적으로 원하는 수분을 유지하는 상태로 건조함으로써 최상품의 품질을 유지할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감, 망고, 바나나, 고추, 담배, 버섯, 약재 등의 농산물(임산물 포함)과 생선이나 건어물, 해조류와 같은 수산물을 최 상품의 품질로 청결하게 건조하는데 유용하다.
10 : 대차
20 : 피 건조물
100 : 농수산물 열풍 건조 장치
110 : 건조기 본체
112 : 건조실
114a-1,114b-1:내판체
114a-2,114b-2: 외판체
114a-3,114b-3 : 통공
117a,117b : 열풍 순환로
130a,130b : 열풍 공급부
132a,132b : 열풍챔버
134a,134b : 히터박스
135a,135b : 외기 흡입홴
136a,136b : 히터
137a,137b :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
140a,140b : 필터
150a,150b : 열풍 순환부
152a,152b : 순환공
170 : 제습부
172 : 제습기
180 : 습기 조절부
182a,182b,182c,182d : 전동 댐퍼
190 : 제어부

Claims (9)

  1. 각종 농수산물을 적재한 대차의 입출을 위한 단열도어가 설치되는 전면 개방부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폐쇄되는 건조실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실의 양측벽으로는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는 열풍 순환로를 형성하는 장방형상의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외측 상부에서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열풍 순환로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를 히터를 통하여 열교환 시킨 후 상기 건조실 내부로 피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열풍으로 공급하는 한쌍의 열풍 공급부;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기 열풍 공급부와 각 대응 위치에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열풍 공급부를 경유하여 상기 건조실로 재 순환시키는 열풍 순환부;
    상기 건조기 본체의 어느 외측 상부에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의 피 건조물을 상기 열풍 공급부와 상기 열풍 순환부로부터 공급되어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시 발생되는 고온의 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는 제습부; 및
    열풍을 위해 설정된 시컨스에 따라 상기 열풍 공급부의 동작 제어와 아울러 상기 제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하부벽판은 내식성과 강도를 갖는 재질의 단열 판체로 형성되고, 양측벽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내판체와 이 내판체로부터 거리를두고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열풍 공급부와 연락되는 상기 열풍 순환로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외판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방부측의 상기 하부벽판 위로는 상기 전면도어와 상기 하부벽판 사이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막기위한 L자형의 틈새 막음 부재를 상기 하부벽판 위를 건너지르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하부벽판 위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토글 클램프에 의하여 탈착되게 고정하고, 상기 L 자형의 틈새 막음 부재의 상,하부에는 밀폐 유지용 고무 패킹들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부에서 사방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열풍 순환로들과 각각 연락되게 형성된 열풍챔버와 상기 열풍챔버와 각각 연락되게 설치되며 내부로는 상기 히터들이 각각 설치된 히터박스와 상기 히터박스에 각각 설치되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히터측으로 송풍하는 외기 흡입홴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의 상기 히터박스 내부로는 상기 히터들과 상기 외기 흡입홴들의 사이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외기 흡입홴들로부터 흡입되는 미세먼지와 벌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하거나 혹은 상기 외기 흡입홴들의 외기 흡입용 개방부측으로 초 미세먼지 걸름용 필터를 탈착되게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순환부는 상기 히터박스 내부와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기 히터박스 내부에 대응하는 상부벽을 관통하게 각각 설치한 순환공들이며, 이 순환공들에는 망(Net)이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제습기이고, 상기 제습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건조실내부의 습기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고, 기 설정된 온도의 미만인 경우에는 온(on) 상태로 제어함을 특징으로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에는 습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조절부는 상기 건조기 본체의 상부벽에 상기 건조실과 연락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전동댐퍼이고, 상기 전동댐퍼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건조실로부터 감지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제어되고, 기 설정된 습도의 미만인 경우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20190034229A 2018-10-08 2019-03-26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2206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VN1-2018-04432 2018-10-08
VN201804432 2018-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70A true KR20200040170A (ko) 2020-04-17
KR102206227B1 KR102206227B1 (ko) 2021-01-22

Family

ID=7046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29A KR102206227B1 (ko) 2018-10-08 2019-03-26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2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9146A (zh) * 2020-10-20 2021-01-15 西安电子科技大学 微波烘干的干燥控制方法、系统、设备、仿真优化及应用
WO2021125397A1 (ko) * 2019-12-20 2021-06-24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20210150148A (ko) 2020-06-03 2021-12-10 조선순 절전형 친환경 농산물 건조장치
KR20220080632A (ko) * 2020-12-07 2022-06-14 강신탁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CN115183563A (zh) * 2022-06-16 2022-10-14 泰山石膏(宣城)有限公司 一种石膏砌块烘干装置
CN115218621A (zh) * 2022-07-20 2022-10-21 浙江豪瓦特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源热泵烘干系统及其保温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342B1 (ko) * 2022-02-28 2022-08-26 고용현 에너지절감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546Y1 (ko) 1997-08-16 2000-01-15 배희주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KR20050014772A (ko) * 2004-12-13 2005-02-07 효성에바라환경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풍 순환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2중 건조기
WO2006025328A1 (ja) * 2004-08-31 2006-03-09 Kakuno Seisakusho Co., Ltd. 減圧式乾燥機及びそれを用いた木材の乾燥方法
KR100665659B1 (ko) 2006-03-16 2007-01-09 유한회사 유일 열풍순환식 농작물 건조장치
KR20080089531A (ko) 2007-01-30 2008-10-07 (주) 대성에너텍 농수산물 건조기
KR20160012687A (ko) * 2014-07-25 2016-02-03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감 건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546Y1 (ko) 1997-08-16 2000-01-15 배희주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WO2006025328A1 (ja) * 2004-08-31 2006-03-09 Kakuno Seisakusho Co., Ltd. 減圧式乾燥機及びそれを用いた木材の乾燥方法
KR20050014772A (ko) * 2004-12-13 2005-02-07 효성에바라환경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풍 순환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2중 건조기
KR100665659B1 (ko) 2006-03-16 2007-01-09 유한회사 유일 열풍순환식 농작물 건조장치
KR20080089531A (ko) 2007-01-30 2008-10-07 (주) 대성에너텍 농수산물 건조기
KR20160012687A (ko) * 2014-07-25 2016-02-03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감 건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397A1 (ko) * 2019-12-20 2021-06-24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20210150148A (ko) 2020-06-03 2021-12-10 조선순 절전형 친환경 농산물 건조장치
CN112229146A (zh) * 2020-10-20 2021-01-15 西安电子科技大学 微波烘干的干燥控制方法、系统、设备、仿真优化及应用
KR20220080632A (ko) * 2020-12-07 2022-06-14 강신탁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CN115183563A (zh) * 2022-06-16 2022-10-14 泰山石膏(宣城)有限公司 一种石膏砌块烘干装置
CN115218621A (zh) * 2022-07-20 2022-10-21 浙江豪瓦特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源热泵烘干系统及其保温系统
CN115218621B (zh) * 2022-07-20 2023-11-14 浙江豪瓦特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源热泵烘干系统及其保温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27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227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JP4394556B2 (ja) 干し柿の製造装置
KR101358062B1 (ko) 목재 건조장치
CN111578670B (zh) 一种物料干燥冷却一体机
KR100985199B1 (ko) 팬필터유닛을 이용한 클린건조기
KR101914012B1 (ko) 대용량 고품질 건조고추 생산설비
WO2021125397A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200414638Y1 (ko) 벌크 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763563B1 (ko)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JP4284530B2 (ja) 除湿乾燥機
KR200486450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0703952B1 (ko) 감압식열풍건조기
CN210569525U (zh) 一种热回收封闭式流化床干燥系统
KR200165546Y1 (ko)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CN209246628U (zh) 一种热风循环烘箱机
JP3555673B2 (ja) 農水産物処理システム
KR20042279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219646263U (zh) 一种控温控湿的化橘红陈化装置
KR20030078826A (ko) 농산물 건조기
CN214903507U (zh) 一种海水鱼热风干燥装置
CN220229909U (zh) 一种鱼类食品深加工用烘干设备
CN215073637U (zh) 农业物联网智能控制装置
KR20130104868A (ko) 식품 건조기의 베이스
CN216415859U (zh) 一种鲜大蒜加工用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