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50Y1 - 농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50Y1
KR200486450Y1 KR2020170005797U KR20170005797U KR200486450Y1 KR 200486450 Y1 KR200486450 Y1 KR 200486450Y1 KR 2020170005797 U KR2020170005797 U KR 2020170005797U KR 20170005797 U KR20170005797 U KR 20170005797U KR 200486450 Y1 KR200486450 Y1 KR 200486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er
outside air
main body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귀
임철웅
Original Assignee
노정귀
임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귀, 임철웅 filed Critical 노정귀
Priority to KR2020170005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농산물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농산물 건조기는, 농산물을 자연 건조방식에 의해 건조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대상 농산물을 전면의 도어부를 통해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상부 양측에 외기배출통로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건조대상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건조망으로 구성되되, 상기 건조망의 중앙에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통로를 형성하도록 건조망으로부터 분리되는 개방형 보조 건조망이 설치되는 건조판; 및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배면에 다수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방향으로 외기를 유입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기유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농산물의 건조기 건조기 본체 내로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고 이를 정화하여 농산물 방향으로 송풍함으로써, 외기에 의한 자연 건조를 통해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전력의 사용으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농산물 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고안은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농산물의 건조시 외기를 이용하여 자연 건조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중에는 장기보관의 목적 등으로 그 수확 후에 건조 처리하여 출하하는 것들이 있다. 이러한 농산물로는 예를 들어, 마늘, 고추, 담배잎, 버섯, 약초, 인삼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농산물은 기존에 단순히 햇빛과 바람에 의한 자연 건조를 이용하였으나, 자연 건조는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건조 효율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낮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건조 과정에서 먼지나 각종 이물질 찌꺼기가 부착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생산자가 수시로 농산물을 뒤집어주면서 건조해야 되며, 특히 비가 오거나 습기가 많은 날에는 농산물을 건조할 수 없음에 따라 번거로움과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농산물을 밀폐된 공간에서 인공적으로 강제 건조할 수 있는 다양한 건조장치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밀폐된 건조실 내로 채반 등을 이용하여 건조대상의 농산물을 투입하고, 이후 열원이 발열 작동되어 고열을 발생시키고, 송풍장치가 작동되어 열풍을 유동시키게 된다. 즉, 농산물을 열원에 의한 직접적인 열기와 송풍장치에 의한 열풍의 유동으로 건조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고열과 열풍의 유동 구조에 따라 농산물을 인공적으로 건조함으로써 농산물의 신속한 건조를 통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농산물이 건조과정에서 고열과 열풍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열원이 발열 작동과 열풍의 유동 구조에 의해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함에 따라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6716호(2014.07.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6690호(2013.05.15., 등록)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농산물의 건조시 건조기 본체의 내부로 강제 유입되는 외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자연 건조하면서도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정화를 통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농산물이 적재되는 건조판의 전체 영역 중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건조판을 통해 건조기 본체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조기 본체의 전면에 3단 적층구조의 도어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기 본체의 내로 건조대상의 농산물을 적재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농산물을 건조하도록 형성되는 건조기 본체를 지게차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농산물을 자연 건조방식에 의해 건조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대상 농산물을 전면의 도어부를 통해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상부 양측에 외기배출통로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건조대상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건조망으로 구성되되, 상기 건조망의 중앙에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통로를 형성하도록 건조망으로부터 분리되는 개방형 보조 건조망이 설치되는 건조판; 및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배면에 다수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방향으로 외기를 유입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기유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건조기 본체에 좌우 2열을 한 쌍으로 하여 구성되는 도어에 의해 3단 적층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3단 적층 구조의 도어 중 상기 건조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도어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포크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기유입장치는, 상기 건조기 본체 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판은, 내구성 및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농산물의 건조시 건조기 본체 내로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고 이를 정화하여 농산물 방향으로 송풍함으로써, 외기에 의한 자연 건조를 통해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전력의 사용으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지지프레임에 의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건조망의 중앙에 청소통로를 형성하도록 분리형 보조 건조망이 설치됨으로써,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건조판을 통해 건조기 본체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들을 청소통로로 청소도구를 투입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조기 본체를 항상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또한, 건조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부가 2열을 한 쌍으로 하는 도어에 의해 3단 적층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건조기 본체 내로 투입되는 농산물의 적재량에 따라 하부, 중간 및 상부의 도어를 순서대로 닫아 농산물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적재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또한, 건조기 본체의 전면에 지게차의 포크 위치와 대응되는 삽입홈에 형성됨으로써, 지게차의 사용을 통해 건조기 본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를 입체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의 전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판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조판의 요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에 의한 농산물의 건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본체(10)와, 건조판(20)과, 그리고 외기유입장치(30)를 포함한다.
건조기 본체(10)는 농산물 건조기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건조기 본체(10)는 농산물을 내부로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밀폐 구조로 형성되되, 그 전면에 도어부(12)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외기배출통로(16)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어부(12)는 건조기 본체(10)의 전면에 3단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즉, 도어부(12)는 좌우 2열을 한 쌍으로 하는 도어(12A)에 의해 3단 적층 구조로 배치되어 개별적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건조기 본체(10) 내로 건조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투입시 적재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건조기 본체(10) 내로 농산물을 투입시 도어부(12)의 도어(12A)는 모두 개방되는데, 이러한 도어(12A)의 개방 상태에서 건조기 본체(10) 내로 투입되는 농산물의 적재량에 따라 하부, 중간 및 상부의 도어(12A)를 순서대로 닫아 농산물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농산물의 적재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부(12)는 3단 적층 구조의 도어(12A) 중 건조기 본체(10)에 하부에 배치되는 도어(12A)에 포크 삽입공(14)이 형성된다. 이때, 포크 삽입공(14)은 지게차의 포크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포크 삽입공(14) 내로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함으로써 건조기 본체(1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외기배출통로(16)는 건조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기유입장치(30)에 의해 강제 유입되는 외기는 건조판(20)을 통과한 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건조판(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마련되며, 지지프레임(22)과, 그리고 건조망(24)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2)은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지지프레임(22)은 가로 방향으로 2열 구조에 의해 6개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건조망(24)은 지지프레임(22)의 각 분할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건조망(24)에는 건조하고자 하는 농산물이 적재된다.
또한, 건조망(24)의 중앙에는 청소통로(28)를 형성하도록 건조망(24)으로부터 분리되는 개방형 보조 건조망(26)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건조기 본체(10)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에 대해 청소 가능함으로써 건조기 본체(10)의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건조망(24)의 중앙에 형성되는 청소통로(28)를 통해 청소도구를 투입하여 건조기 본체(10)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조기 본체(10)를 항상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건조판(20)은 표면 전체에 아연도금 처리되며, 이에 따라 일정한 내구성을 확보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외기유입장치(30)는 건조기 본체(10)의 배면에 다수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건조기 본체(10)의 내로 외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외기유입장치(30)는 공지된 에어블로워로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블로워는 건조기 본체(10) 내로 투입된 농산물의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된다.
또한, 외기유입장치(30)는 외기를 정화하여 유입할 수 있도록 필터(도면에 미도시)가 내장된다. 이때, 필터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의 외기를 정화하여 유입함으로써 농산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에 의한 농산물의 건조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농산물의 건조를 위해 도어부(12)가 완전히 개방된 후, 건조기 본체(10) 내로 건조대상 농산물을 투입하여 적재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이때, 도어부(12)의 도어(12A)는 건조기 본체(10) 내로 투입되는 농산물의 적재량에 따라 하부, 중간 및 상부의 도어(12A)가 순서대로 닫혀 농산물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적재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본체(10) 내로 농산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도어부(12)는 완전히 폐쇄되고 이와 동시에 외기유입장치(30)가 작동된다. 그러면, 외기유입장치(3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건조기 본체(10)의 건조판(20)을 향해 송풍되어 농산물을 건조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조한 외기는 건조판(20)을 통과하는 과정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한 후 습한 외기로 변환되고, 습한 외기는 건조기 본체(10)의 외기배출통로(16)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건조판(20) 위에 적재된 농산물은 외기의 유입과 배출 구조에 따라 자연 건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농산물의 건조가 완료된 후, 건조판(20)을 통해 건조기 본체(10)의 바닥으로 낙하된 각종 이물질은 개방형 보조 건조망(26)을 건조망(24)으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통로(28)를 확보하고, 청소통로(28)로 청소도구를 투입하여 청소함으로써 건조기 본체(10)를 항상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는, 농산물의 건조시 건조기 본체(10) 내로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고 이를 정화하여 농산물 방향으로 송풍함으로써, 외기에 의한 자연 건조를 통해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전력의 사용으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는, 지지프레임(22)에 의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건조망(24)의 중앙에 청소통로(28)를 형성하도록 분리형 보조 건조망(24)이 설치됨으로써,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건조판(20)을 통해 건조기 본체(10)의 바닥으로 낙하된 이물질을 청소통로(28)로 청소도구를 투입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조기 본체(10)를 항상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는, 건조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부(12)가 2열을 한 쌍으로 하는 도어(12A)에 의해 3단 적층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건조기 본체(10) 내로 투입되는 농산물의 적재량에 따라 하부, 중간 및 상부의 도어(12A)를 순서대로 닫아 농산물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적재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는, 건조기 본체(10)의 전면에 지게차의 포크 위치와 대응되는 포크 삽입공(14)에 형성됨으로써, 지게차의 사용을 통해 건조기 본체(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건조기 본체
12: 도어부
14: 포크 삽입공
16: 외기배출통로
20: 건조판
22: 지지프레임
24: 건조망
26: 개방형 보조 건조망
28: 청소통로
30: 외기유입장치

Claims (5)

  1. 농산물을 자연 건조방식에 의해 건조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대상 농산물을 전면의 도어부를 통해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상부 양측에 외기배출통로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건조대상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건조망으로 구성되되, 상기 건조망의 중앙에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통로를 형성하도록 건조망으로부터 분리되는 개방형 보조 건조망이 설치되는 건조판; 및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배면에 다수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방향으로 외기를 유입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기유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건조기 본체에 좌우 2열을 한 쌍으로 하여 구성되는 도어에 의해 3단 적층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3단 적층 구조의 도어 중 상기 건조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도어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포크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장치는,
    상기 건조기 본체 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은, 내구성 및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KR2020170005797U 2017-11-12 2017-11-12 농산물 건조기 KR200486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97U KR200486450Y1 (ko) 2017-11-12 2017-11-12 농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97U KR200486450Y1 (ko) 2017-11-12 2017-11-12 농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450Y1 true KR200486450Y1 (ko) 2018-05-18

Family

ID=6229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797U KR200486450Y1 (ko) 2017-11-12 2017-11-12 농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681B1 (ko) * 2021-07-29 2022-04-14 (주)재우철강 포졸란이 코팅된 채반을 구비하는 농산물 건조기
KR102386684B1 (ko) * 2021-07-29 2022-04-14 (주)재우철강 황토가 코팅된 채반을 구비하는 농산물 건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14Y1 (ko) * 2012-05-09 2012-09-05 서형호 농축수산물용 건조장치
KR101266690B1 (ko) 2012-01-10 2013-05-28 백도웅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
KR20140053573A (ko) * 2012-10-26 2014-05-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열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KR101426716B1 (ko) 2013-03-28 2014-08-07 신농(주) 농산물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32659B1 (ko) * 2014-07-09 2014-09-23 최현석 농수산물 청결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90B1 (ko) 2012-01-10 2013-05-28 백도웅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
KR200462314Y1 (ko) * 2012-05-09 2012-09-05 서형호 농축수산물용 건조장치
KR20140053573A (ko) * 2012-10-26 2014-05-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열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KR101426716B1 (ko) 2013-03-28 2014-08-07 신농(주) 농산물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32659B1 (ko) * 2014-07-09 2014-09-23 최현석 농수산물 청결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681B1 (ko) * 2021-07-29 2022-04-14 (주)재우철강 포졸란이 코팅된 채반을 구비하는 농산물 건조기
KR102386684B1 (ko) * 2021-07-29 2022-04-14 (주)재우철강 황토가 코팅된 채반을 구비하는 농산물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227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200486450Y1 (ko) 농산물 건조기
CN205718378U (zh) 一种茶叶烘干装置
CN206586625U (zh) 一种铝扣板铝合金衣柜柜体
CN109874248B (zh) 一种带有除湿机构的电气柜
CN106304722A (zh) 电气控制柜
JP2017020691A (ja) 穀物乾燥機における熱風室の排塵装置
CN208108435U (zh) 一种带除湿功能中央空调出风格栅
CN206895711U (zh) 一种香菇干燥机
CN209931384U (zh) 适用于茶叶加工的冷却机
CN205214688U (zh) 医院用自动除尘档案架
CN210417683U (zh) 一种共享电池的仓储设备
CN207836714U (zh) 一种果蔬烘干设备
CN206709267U (zh) 全屋式单向流除湿设备
CN207052963U (zh) 一种配电柜
CN105953550B (zh) 速干型电泳玻璃面板清洗存放装置
CN205884591U (zh) 一种粮食烘干设备
CN206343435U (zh) 配电箱除尘装置
CN211558673U (zh) 一种茶叶制作用烘干装置
CN210569525U (zh) 一种热回收封闭式流化床干燥系统
KR101432659B1 (ko) 농수산물 청결 건조기
CN202470652U (zh) 一种烘干机
CN210602549U (zh) 一种菊花快速烘干装置
CN204806866U (zh) 一种热风循环干燥机
CN210399782U (zh) 一种新型茶叶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