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826A - 농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826A
KR20030078826A KR1020030061919A KR20030061919A KR20030078826A KR 20030078826 A KR20030078826 A KR 20030078826A KR 1020030061919 A KR1020030061919 A KR 1020030061919A KR 20030061919 A KR20030061919 A KR 20030061919A KR 20030078826 A KR20030078826 A KR 20030078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air
drying
chamb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찬희
Original Assignee
홍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찬희 filed Critical 홍찬희
Priority to KR102003006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8826A/ko
Publication of KR2003007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8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이 용이하도록 전면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며,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관찰창이 전벽체(앞쪽 벽체)에 설치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과 구획벽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내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실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흡입해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조실과, 상기 건조실내에 건조용기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층과 다수의 줄로 각각 재치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대가 상하로 각각 설치되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지주와, 상기 공조실에 배설되어 상기 공조실의 높이방향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하부로 배출하는 송풍기와, 매체를 가열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매체를 받아서 저류하는 제1 매체저류탱크와,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하부에 배설되어 제1 순환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매체저류탱크로부터 가열된 매체를 배관(a)을 통해 받아서 순환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건조실에 가열된 공기를 분출하는 제1 열교환기와,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매체를 저장하는 제2 매체저장탱크와,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순환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매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일정 온도 이하의 냉매를 배관(b)을 통해 받아 순환시키면서 상기 건조실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수분이 함유됨과 동시에 일정 온도로 낮아진 공기를 상기 송풍기에 따라받아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2 열교환기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수집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응결수 수집용기와, 전체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너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직접 농산물에 접촉시키지 않으므로, 농산물의 색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품질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실을 밀폐시켜서 건조실내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또한 농산물의 영양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건조기{DRIER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농산물의 색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품질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또한 농산물의 영양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농산물 건조기로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등록번호 20-0278172호(등록일자 ; 2002년 5월 30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등록번호 20-0278172호에 개시되어 있는 농산물 건조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0)과 건조실(20)로 구성어 있다.
상기 기계실(10)은 공기를 건조기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구(11)와,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흡입공기 조절판(12)과, 흡입된 공기를 용이하게 보내기 위한 축류형송풍기(13)와, 열교환기(14), 버너(15)와, 상기 구성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부(16)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실(20)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1)와, 건조하기 위한 농산물을 담는 다수의 상자(22)와, 바람차단판(23)과, 열풍을 건조실 내부로 골고루 확산하기 위한 다수의 열풍확산통(24)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열풍확산통(24)의 양측면에는 열풍을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멍(24a)을 이격된 상태로 다수 형성시키고, 상기 열풍확산통(24)의 내측에는 적정한 량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구비된 다공판(24b)을 이격된 상태로 다수 형성시키며, 상기 열풍확산통(24)의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4a) 각각에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24c)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24d)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농산물 건조기(1)는 농산물을 건조하기 위해서 건조실(20)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상자(22)에 피건조물인 농산물을 적정한 량으로 담아 놓은 다음 전원장치(30)를 구동키면, 상기 기계실(10)에 설치된 공기흡입구(11)를 통해 공기가 건조기 내부로 유입되어 축류형 송풍기(13)에 의해 열교환기(14)로 송풍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의 양은 별도의 흡입공기 조절판(1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12a)에 의해 조절되어 건조시킬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축류형 송풍기(13)가 구동되어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콘트롤부(16)는 설정된 온도가 상기 건조실(20) 내부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버너(15)를 작동시키고, 이때 상기 버너(15)는 열교환기(14) 내에서 착화되므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열교환기(14)의 연도를 타고 나가게 되어 상기 건조실(20) 내부로 배기가스의 유입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축류형 송풍기(13)를 거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4)의 외부로부터 열을 얻게 되어 열풍이 되고, 상기 열풍은 축류형 송풍기(13)에 의해 건조실(20) 내부로 유입이 가능하지만 상기 바람차단판(23)으로는 상기 다수의 상자(22)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수의 상자(22)의 측부에는 열풍확산통(24)을 다수개 구비하여 열풍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열풍확산통(24)의 내측에는 상기 건조실(20)로 유입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이 공기통로에 따라 열풍공기가 건조실(20)의 상단에 위치한 상자(22)에도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가 있고, 상기 열풍확산통(24)의 내측에는 다수의 홀(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 다공판(24b)이 이격된 상태로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홀을 통한 공기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적정한 량의 공기가 골고루 분산되어서 유입된다.
상기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은 상기 열풍확산통(24)의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 (24a) 각각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24d)으로 체결되어 있는 조절판(24c)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상하층간의 건조속도를 같도록 해주는 역할을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자(22)는 열풍확산통(24)의 외측부에 설치된 지지대(22a)에 의해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과정에 의해 상자(22)에 도달한 열풍은 상기 상자(22)에 담긴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후에 습기를 포함해서 빠져나간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농산물 건조기는 상기 버너(15)에 의해 열교환기(14) 내에서 오일이나 연소가스를 연소시켜서 착화하면서 배기가스는 열교환기(14)의 연도를 타고 나가게 되어 있고, 또한 가열된 열교환기(14)에 상기 측류형 송풍기(13)에 의해 송풍해서 가열하여 건조실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해서 농산물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건조된 농산물이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농산물의 고유 색도를 유지할 수 없어 고품질의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없으며, 또한 고열로 인해 농산물의 영양분이 파손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산물의 색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품질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실을 밀폐시켜서 건조실내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산물의 영양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이 용이하도록 전면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며,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관찰창이 상기 도어에 설치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과 구획벽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내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실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흡입해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조실과, 상기 건조실내에 건조용기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층과 다수의 줄로 각각 재치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대가 상하로 각각 설치되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지주와, 상기 공조실에 배설되어 상기 공조실의 높이방향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하부로 배출하는 송풍기와, 매체를 가열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매체를 받아서 저류하는 제1 매체저류탱크와,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하부에 배설되어 제1 순환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매체저류탱크로부터 가열된 매체를 배관(a)을 통해 받아서 순환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건조실에 가열된 공기를 분출하는 제1 열교환기와,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매체를 저장하는 제2 매체저장탱크와,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순환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매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일정 온도 이하의 냉매를 배관(b)을 통해 받아 순환시키면서 상기 건조실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수분이 함유됨과 동시에 일정 온도로 낮아진 공기를 상기 송풍기에 따라 받아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2 열교환기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수집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응결수 수집용기와, 전체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농산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기계실의 전면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의 건조실과 공조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지주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배설된 지지대에 수평으로 재치되는 건조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단열재 90:건조용기
91:플랜지부 92:바닥면
92a:관통공 93:세로벽체
93a:관통공 110:건조실
112:도어 116:작은 도어
120:구획벽 130:공조실
132:덕트 134:도어
134a:손잡이 140:지주
142:지지대 150:송풍기
160:보일러 170:제1 매체저류탱크
172:제1 순환펌프 180:제1 열교환기
190:냉각기 200:제2 매체저장탱크
202:제2 순환펌프 210:제2 열교환기
220:응결수 수집용기 230:제어 유닛
231:마이크로 프로세서 232:EEPROM
233:건조온도 설정수단 234:온도센서
235:표시수단 236:경보음 출력수단
237:솔레노이드 238:직류전원부
240:제1 필터 250:제2 필터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기계실의 전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의 건조실과 공조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지주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배설된 지지대에 수평으로 재치되어 내부에 건조시킬 농산물이 담겨지는 건조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는 출입이 용이하도록 전면에 도어(112)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며,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관찰창이 상기 도어(112)에 설치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110)과, 상기 건조실(110)과 구획벽(12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110)내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실(110)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흡입해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조실(130)과, 상기 건조실(110)내에 건조용기(90)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층과 다수의 줄로 각각 재치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대(142)가 상하로 각각 설치되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지주(140)와, 상기 공조실(130)에 배설되어 상기 공조실(130)의 높이방향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10)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하부로 배출하는 송풍기(150)와, 매체를 가열시키는 보일러(160)와, 상기 보일러(160)에서 가열된 매체를 받아서 저류하는 제1 매체저류탱크(170)와, 상기 건조실(110)과 공조실(130)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120)의 하부에 배설되어 제1 순환펌프(17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매체저류탱크(170)로부터 가열된 매체를 배관(a)을 통해 받아서 순환시키면서 상기 송풍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건조실(110)에 가열된 공기를 분출하는 제1 열교환기(180)와,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190)와, 상기 냉각기(190)에서 냉각된 매체를 저장하는 제2 매체저장탱크(200)와, 상기 건조실(110)과 공조실(130)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120)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순환펌프(20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매체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일정 온도 이하의 냉매를 배관(b)을 통해 받아 순환시키면서 상기 건조실(110)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수분이 함유됨과 동시에 일정 온도로 낮아진 공기를 상기 송풍기(150)에 따라 받아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제2 열교환기(2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210)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수집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응결수 수집용기(220)와, 전체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2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건조용기(90)는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40)에 수평으로 각각 부착된 지지대(142)상에 좌ㆍ우측 상부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각각 뻗은 플랜지부(91)와, 상기 제1 열교환기(180)에서 배출되는 더운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관통공(92a)이 형성된 바닥면(92)과, 상기 제1 열교환기(180)에서 배출되는 더운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관통공(93a)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91)와 바닥면(92)있는 세로벽체(9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건조실(110) 및 공조실(130)의 내측 천정, 내측 바닥면, 내측 좌우측벽 및 내측 전후벽체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재가 배설되어 있고, 또한, 상기 건조실(110)과 공조실(130) 사이에 설치된 구획벽(120)의 일측면(도면에서는 상기 건조실(110) 측 벽면)에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재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110)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도어(112)의 내측면에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재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110)의 도어(112)에 설치된 상기 관찰창의 외측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개폐가능한 작은 작은 도어(11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어 유닛(230)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와,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의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EEPROM(232 ;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able Read Only Memory)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의 건조 온도를 설정하는 건조온도 설정수단(233)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34)와,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35)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미리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수단(236)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미리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경우, 메인 스위치(S1)를 차단시켜서 상기 송풍기(150), 제1 및 제2 순환펌프(172,20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솔레노이드(237)와, 고주파 노이즈를 필터링하며, 교류전압을 받아서 직류전압으로 전파정류함과 동시에, 정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출력하는 직류전원부(2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236)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열교환기(180)의 전면(공조실(130) 측)에는 상기 송풍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제1 필터(240)가 추가로 설치되어있고, 상기 제2 열교환기(210)의 전면(상기 건조실(110) 측)에는 상기 송풍기(150)에 의해 상기 건조실(110)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제2 필터(25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32는 상기 송풍기(150)에 의해 상기 건조실(110)내의 공기를 흡입해서 상기 제1 열교환기(180)를 통해 따뜻하게 가온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110)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덕트이고, 134는 공조실(130)을 출입할 수 있도록 부착된 도어이고, 134a는 상기 도어(134)에 부착된 손잡이 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실(110)의 지주(140)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층과 다수의 줄로 각각 설치된 서로 대향하는 지지대(142)에 건조시킬 농산물이 담겨진 건조용기(90)를 각각 수평으로 얹은 다음, 도어(112)를 닫고, 시건장치(118)를 잠근다.
다음에, 상기 건조온도 설정수단(233)에 의해 건조시킬 농산물의 건조 온도를 설정하고 나서, 메인스위치(S1)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직류전원부(238)에서 교류전원을 받아서 전파정류하여 정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동작전원으로 입력한다.
이 때, 상기 송풍기(150), 제1 및 제2 순환펌프(172,202)에 교류전압이 인가되므로, 상기 송풍기(150), 제1 및 제2 순환펌프(172,202)가 구동되어 상기송풍기(150)에 의해 건조실(110)내의 공기를 흡입하며, 이에 따라 상기 냉각기(190)에서 냉각되어 상기 제2 매체저류탱크(200)내에 저류되어 있는 냉각 매체가 상기 제2 열교환기(210)내를 흐르면서 상기 건조실(110)내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상기 제2 열교환기(210)의 외주면에 응결시키며, 상기 제2 열교환기(210)의 외주면에 응결된 응결수는 응축수 수집용기(220)에 수집되어 응축수 배출구(220a)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열교환기(210)에서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는 상기 송풍기(1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송풍기(150)와 상기 제1 열교환기(180) 사이에 설치된 제1 필터(240)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필터링된 후에 상기 제1 열교환기(180)에서 따뜻하게 열교환되어 상기 건조실(110)내의 지주(140)에 설치된 지지대(142)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층과 다수의 줄로 각각 재치된 건조용기(90)내의 농산물을 건조시키면서 상승하여 상기 제2 열교환기(210)의 전면에 설치된 제2 필터(250)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50)의 구동에 따라 제2 열교환기(210)에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상기 송풍기(150), 제1 필터(240) 및 제1 열교환기(180)로 공급된다.
상기 설명의 농산물 건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0)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34)에 의해 상기 건조실(110)내의 온도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입력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서는 상기 EEPROM(232)내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표시수단(235)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온도센서(234)에 의해 검출된 상기 건조실(110)내의 온도가 상기 건조온도 설정수단(233)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서 상기 경보음 출력수단(236)에 경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서 상기 솔레노이드(237)에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솔레노이드(237)가 작동함으로서, 상기 메인 스위치(S1)를 스위칭 오프시킴으로서 상기 송풍기(150), 제1 및 제2 순환펌프(172),202)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상기 건조실(110)내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110)의 도어(112)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작은 도어(116)를 열어 관찰창을 통해서 상기 건조실(110)내에서 농산물의 건조상태를 관찰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실(110) 및 공조실(130)의 내측 천정, 내측 바닥면, 내측 좌우측벽 및 내측 전후벽체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재(80)가 배설되어 있고, 또한 상기 건조실(110)과 공조실(130) 사이에 설치된 구획벽(120)의 어느 한쪽에 단열재(8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건조실(110) 및 공조실(130) 내부의 온도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건조 효율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너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직접 농산물에 접촉시키지 않으므로, 농산물의 색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품질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실을 밀폐시켜서 건조실내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또한 농산물의 영양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기에 의하면, 출입이 용이하도록 전면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며,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관찰창이 도어에 설치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과 구획벽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내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실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흡입해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조실과, 상기 건조실내에 건조용기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층과 다수의 줄로 각각 재치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대가 상하로 각각 설치되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지주와, 상기 공조실에 배설되어 상기 공조실의 높이방향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하부로 배출하는 송풍기와, 매체를 가열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매체를 받아서 저류하는 제1 매체저류탱크와,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하부에 배설되어 제1 순환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매체저류탱크로부터 가열된 매체를 배관(a)을 통해 받아서 순환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건조실에 가열된 공기를 분출하는 제1 열교환기와,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매체를 저장하는 제2 매체저장탱크와,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순환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매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일정 온도 이하의 냉매를 배관(b)을 통해 받아 순환시키면서 상기 건조실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수분이 함유됨과 동시에 일정 온도로 낮아진 공기를 상기 송풍기에 따라 받아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2 열교환기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수집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응결수 수집용기와, 전체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농산물의 색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품질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실을 밀폐시켜서 건조실내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또한 농산물의 영양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출입이 용이하도록 전면에 도어(112)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며,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관찰창이 도어(112 ; 앞쪽 벽체)에 설치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110)과, 상기 건조실(110)과 구획벽(12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110)내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실(110)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흡입해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조실(130)과, 상기 건조실(110)내에 건조용기(90)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층과 다수의 줄로 각각 재치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대(142)가 상하로 각각 설치되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지주(140)와, 상기 공조실(130)에 배설되어 상기 공조실(130)의 높이방향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10)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하부로 배출하는 송풍기(150)와, 매체를 가열시키는 보일러(160)와, 상기 보일러(160)에서 가열된 매체를 받아서 저류하는 제1 매체저류탱크(170)와, 상기 건조실(110)과 공조실(130)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120)의 하부에 배설되어 제1 순환펌프(17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매체저류탱크(170)로부터 가열된 매체를 배관(a)을 통해 받아서 순환시키면서 상기 송풍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건조실(110)에 가열된 공기를 분출하는 제1 열교환기(180)와,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190)와, 상기 냉각기(190)에서 냉각된 매체를 저장하는 제2 매체저장탱크(200)와, 상기 건조실(110)과 공조실(130)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120)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순환펌프(20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매체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일정 온도 이하의 냉매를 배관(b)을 통해 받아 순환시키면서 상기 건조실(110)에서 농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수분이 함유됨과 동시에 일정 온도로 낮아진 공기를 상기 송풍기(150)에 따라 받아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제2 열교환기(210)와, 상기 제2 열교환기(210)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수집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응결수 수집용기(220)와, 전체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23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기(90)는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40)에 수평으로 각각 부착된 지지대(142)상에 좌ㆍ우측 상부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각각 뻗은 플랜지부(91)와, 상기 제1 열교환기(180)에서 배출되는 더운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관통공(92a)이 형성된 바닥면(92)과, 상기 제1 열교환기(180)에서 배출되는 더운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관통공(93a)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91)와 바닥면(92)있는 세로벽체(9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0) 및 공조실(130)의 내측 천정, 내측 바닥면, 내측 좌ㆍ우측벽 및 내측 전ㆍ후벽체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재(8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110)과 공조실(130) 사이에 설치된 구획벽(120)의 일측면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재(8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110)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도어(112)의 내측면에 내부의 열이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재(80)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30)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와,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의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EEPROM(232)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의 건조 온도를 설정하는 건조온도 설정수단(233)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34)와,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35)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미리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수단(236)과, 상기 건조실(110) 내부 온도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미리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경우, 메인 스위치(S1)를 차단시켜서 상기 송풍기(150), 제1 및 제2 순환펌프(172,20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솔레노이드(237)와, 고주파 노이즈를 필터링하며, 교류전압을 받아서 직류전압으로 전파정류함과 동시에, 정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31)에 출력하는 직류전원부(23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180)의 전면(공조실(130) 측)에는 상기 송풍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제1 필터(24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210)의 전면(상기 건조실(110) 측)에는 상기 송풍기(150)에 의해 상기 건조실(110)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제2 필터(25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
KR1020030061919A 2003-09-04 2003-09-04 농산물 건조기 KR20030078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919A KR20030078826A (ko) 2003-09-04 2003-09-04 농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919A KR20030078826A (ko) 2003-09-04 2003-09-04 농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826A true KR20030078826A (ko) 2003-10-08

Family

ID=3238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919A KR20030078826A (ko) 2003-09-04 2003-09-04 농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882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27B1 (ko) * 2006-05-30 2007-08-14 김의식 농수산물 건조기
KR100880768B1 (ko) * 2007-04-06 2009-02-02 김영근 농작물 저장 시스템
KR101218287B1 (ko) * 2008-12-11 2013-01-09 신인백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KR101471751B1 (ko) * 2013-03-27 2014-12-10 박준영 농수산물건조기용 채반거치대
CN112378182A (zh) * 2020-09-30 2021-02-19 山东岱荣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烟气余热烘干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038A (ja) * 1981-09-04 1983-03-08 Iwatani & Co 干椎葺の製造方法
JPS6488090A (en) * 1987-09-30 1989-04-03 Hitachi Ltd Dust-free thermostatic drier
KR910009813A (ko) * 1989-11-16 1991-06-28 도날드 밀러 쎌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
KR20000063124A (ko) * 1999-11-10 2000-11-06 장금희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KR200260472Y1 (ko) * 2001-09-22 2002-01-10 배용준 농산물 건조기
KR200278152Y1 (ko) * 2002-03-06 2002-06-21 최연모 농수산물 건조기
KR200297847Y1 (ko) * 2002-09-10 2002-12-12 윤용자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038A (ja) * 1981-09-04 1983-03-08 Iwatani & Co 干椎葺の製造方法
JPS6488090A (en) * 1987-09-30 1989-04-03 Hitachi Ltd Dust-free thermostatic drier
KR910009813A (ko) * 1989-11-16 1991-06-28 도날드 밀러 쎌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
KR20000063124A (ko) * 1999-11-10 2000-11-06 장금희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KR200260472Y1 (ko) * 2001-09-22 2002-01-10 배용준 농산물 건조기
KR200278152Y1 (ko) * 2002-03-06 2002-06-21 최연모 농수산물 건조기
KR200297847Y1 (ko) * 2002-09-10 2002-12-12 윤용자 건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27B1 (ko) * 2006-05-30 2007-08-14 김의식 농수산물 건조기
KR100880768B1 (ko) * 2007-04-06 2009-02-02 김영근 농작물 저장 시스템
KR101218287B1 (ko) * 2008-12-11 2013-01-09 신인백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KR101471751B1 (ko) * 2013-03-27 2014-12-10 박준영 농수산물건조기용 채반거치대
CN112378182A (zh) * 2020-09-30 2021-02-19 山东岱荣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烟气余热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62846U (zh) 一种热风循环干燥箱
KR102206227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229156B1 (ko) 복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630736B2 (ja) 乾燥機
KR100341139B1 (ko)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
CN109059471A (zh) 一种方便饲料快速烘干的装置
JPH0288100A (ja) 物品を乾燥、通気、殺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乾燥戸棚
CN206919563U (zh) 一种茶叶生产用热风脱水机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KR20030078826A (ko) 농산물 건조기
KR20041433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352799Y1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CN205409399U (zh) 一种高效可同时干燥多种粮食的粮食干燥机
CN206504551U (zh) 一种烘干装置
KR100703952B1 (ko) 감압식열풍건조기
KR20050006116A (ko) 농ㆍ수산물 건조기
KR200414627Y1 (ko) 건조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건조기
KR101973129B1 (ko)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KR200429768Y1 (ko) 순환식 냉각시스템을 이용한 감압식 건조장치
KR200383949Y1 (ko) 농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436406Y1 (ko) 고추 건조기
CN113439972A (zh) 文物展柜
KR102437342B1 (ko) 에너지절감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KR20210002209A (ko) 피건조물 상태 확인 가능한 하이브리드 감압식 히트펌프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피건조물의 건조 방법
KR101443759B1 (ko) 폐열의 습도제거 방법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