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129B1 -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129B1
KR101973129B1 KR1020170063309A KR20170063309A KR101973129B1 KR 101973129 B1 KR101973129 B1 KR 101973129B1 KR 1020170063309 A KR1020170063309 A KR 1020170063309A KR 20170063309 A KR20170063309 A KR 20170063309A KR 101973129 B1 KR101973129 B1 KR 10197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eat
air
heat exchang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162A (ko
Inventor
장세경
이상로
위심규
최준식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너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너힛 filed Critical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6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12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하로 분리되게 설치된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2 열교환 블록(54)은 열매체가 순환하여 고온 습공기와 저온 건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50)과, 고온 습공기를 발생시켜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에 고온 습공기를 공급하는 고온 습공기 발생기(40)와,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에서 배출된 열교환된 공기와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혼합챔버(30)와, 증기를 발생시켜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보일러(10)와, 송풍기(20)와, 배풍기(6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온(ON)/오프(OFF) 동작 및 동작조건의 설정을 제어하며, 또한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유출입단의 온도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또한 온도정보를 이용해 열교환 효율을 계산하여 표시창에 표시하는 제어 패널(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Heat Exchange Efficiency Measurement System of Multi-Stage Separat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건조실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다시 건조실로 공급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건조 장치 특히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건조물이 담겨진 채반을 적층하여 수용하는 건조실이 구비되고, 건조실과 연결된 가열실에 열교환기를 갖는 버너와 송풍기를 설치하여,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외부의 찬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실을 통과하면서 건조물을 건조 시키도록 하며, 상기 건조실을 통과한 폐열은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외부의 찬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하여 원하는 온도로 건조실을 가열시켜 주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과 과다한 연료 소모를 요구하므로 열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건조실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재사용하는 건조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폐열을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구조나 방식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데,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등록특허 제1664142호에 개시된 다단 분리 열교환기는, 아래층의 제1 열교환 블록과 위층의 제2 열교환 블록이 상하 다단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서로의 열교환 블록에는 열매체가 순환되어, 건조기로부터 연료의 건조 후 배출되는 폐열을 제1 열교환 블록의 열매체가 회수하고, 상기 폐열을 회수한 열매체가 제2 열교환 블록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예열시키면서 순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개시된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측정하는 시스템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단 분리 열교환기는 열교환매체의 유량이나 속도, 건조기에서 배출되어 다단 분리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폐열의 온도와 습도 및 유량, 다단 분리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유량 등(이하 ‘설정 변수’)에 따라 열교환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결국 최적의 열교환 효율을 찾기 위해서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가 건조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설정 변수를 달리해가면서 반복적인 운전을 통해 최적의 열교환 효율을 만족하는 설정 변수를 찾아야 한다. 이처럼 용량이나 사양 등(이하 ‘환경’)이 매번 다른 건조기와 연결되어 설치될 때마나 최적의 열교환 효율을 반복적인 운전 등에 의해 찾아야 하므로, 시간이나 운전 비용에 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64142호(공고일: 2016.10.2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연결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건조기의 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에서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시스템은, 고온의 습공기가 일측단에서 유입되어 타측단으로 빠져나가는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1 열교환 블록(5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저온의 건공기가 타측단에서 유입되어 일측단으로 빠져나가는며, 이 때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2 열교환 블록(54)은 열매체가 순환하여 고온 습공기와 저온 건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50); 고온 습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에 고온 습공기를 공급하는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에서 배출된 열교환된 공기와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혼합챔버(30); 증기를 발생시켜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보일러(10); 외부의 공기가 혼합챔버(30)로 유입시키도록 하고, 또한 외부의 공기가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을 통과하여 혼합챔버(30)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송풍기(20);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을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풍기(60); 및 상기 다단 분리 열교환기(50),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혼합챔버(30), 보일러(10), 송풍기(20) 및 배풍기(60)의 온(ON)/오프(OFF) 동작 및 동작조건의 설정을 제어하며, 또한 상기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 및 제2 열교환 블록(54)의 유출입단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받아 각각의 온도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온도정보를 이용해 열교환 효율을 계산하여 표시창에 표시하는 제어 패널(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는 혼합챔버(30)와 연결된 혼합공기 공급 덕트(74)가 일측단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혼합공기가 유입되고,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과 연결된 습공기 공급 덕트(76)가 타측단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고온 습공기가 배출되는 몸체(41); 및 상기 몸체(41) 내부에 일측단과 타측단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몸체(41)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일러(10)와 연결된 증기 공급관(12)과 연결되어 이를 통해 증기가 유입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사 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된 증기가 몸체(4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분사되도록 하여 고온 습공기가 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관(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다단 분리 열교환기가 실제 연결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건조기의 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이러한 환경 조건에서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환경이 매번 다른 건조기와 연결되어 설치될 때마나 최적의 열교환 효율을 충족하는 설정 변수를 반복적인 운전 등에 의해 찾아야 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이나 운전 비용에 대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은 도 1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의 계통도,
도 3는 도 1의 스팀발생기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은 일정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100)은, 고온의 습공기가 일측에서 유입되어 타측으로 빠져나가는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1 열교환 블록(5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저온의 건공기가 타측에서 유입되어 일측으로 빠져나가는 제2 열교환 블록(54)을 포함하며 이 때 제1 열교환 블록과 제2 열교환 블록은 열매체가 순환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50), 고온 습공기를 발생시켜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에 고온 습공기를 공급하는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에서 배출된 열교환된 공기와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혼합챔버(30), 증기를 발생시켜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보일러(10), 송풍기(20)와 배풍기(60) 및 제어 패널(70)을 포함한다.
다단 분리 열교환기(50)는 고온 습공기 발생기(40)에서 공급된 고온의 습공기와 외기의 차가운 건공기를 열교환시킨다. 구체적으로 다단 분리 열교환기(50)는 일측(좌측)단에 습공기 공급 덕트(76)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습공기가 유입되고 타측(우측)단에 습공기 배출 덕트(78)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열교환된 습공기가 빠져나가는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1 열교환 블록(52)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측단에 제1 외부공기 유입 덕트(84)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외부의 저온 건공기가 유입되고 일측단에 열교환 공기 배출 덕트(86)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열교환된 건공기가 빠져나가는 제2 열교환 블록(5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열교환 블록의 유입단에는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51, 5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2 열교환 블록(54)은 미도시된 열매체 연결관과 연결되며, 열매체는 열매체 연결관을 통해 제1 및 제2 열교환 블록을 순환하면서 열교환하게 된다. 즉, 제1 열교환 블록(52)의 내부를 순환하는 열매체는 제1 열교환 블록(52) 내부로 유입된 고온 습공기와 열교환(흡열)을 한 후 열매체 연결관을 통해 제2 열교환 블록(54)으로 유입되고, 제2 열교환 블록(54)으로 유입된 열매체는 그 내부를 순환하면서 제2 열교환 블록(54) 내부로 유입된 저온 건공기와 열교환(발열)을 한 후 열매체 연결관을 통해 다시 제1 열교환 블록(52)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구조와 동작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664142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는 고온의 습공기를 발생시켜 이를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는 몸체(41)와 증기 배출관(42)을 포함한다.
몸체(41)는 일측단에 혼합공기 공급 덕트(74)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혼합챔버(30)로부터 혼합공기가 유입되고, 타측단에 습공기 공급 덕트(76)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몸체에서 발생된 고온 습공기를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으로 공급하게 된다.
증기 배출관(42)은 몸체(41) 내부에 일측단과 타측단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몸체(41)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증기 배출관(42)은 보일러(10)와 연결된 증기 공급관(12)과 연결되어 이를 통해 증기 배출관(42)으로 증기가 유입된다. 한편, 증기 배출관(42)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사 노즐(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증기 배출관(42)으로 유입된 증기는 분사 노즐을 통해 몸체(4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분사되도록 하여 고온 습공기가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 배출관(42)이 몸체(41) 내부의 좌우측에 2열로 배치되어 있으며(도 3은 몸체 내부의 우측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우측 열을 도시한 것임), 하나의 열에는 몸체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복수 열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증기 배출관(42)에는 높이 방향으로 분사 노즐이 일정 간격을 갖게 설치되므로, 또한 증기 배출관(42)은 몸체(41)의 폭방향으로 골고루 복수 개 설치되므로, 몸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증기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50)가 채용되는 건조시스템에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의 역할을 대행하게 된다. 즉, 건조기에서 피건조물을 건조하면 고온 습공기(폐열)가 배출되고 배출되는 고온 습공기는 습도가 너무 높아 이를 직접적으로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다단 분리 열교환기(50)는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폐열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외기의 차갑고 건조한 공기에 열을 공급도록 열교환하여 배출시키고, 외기의 차가운 공기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에서 열을 흡수한 후 다시 건조기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는 건조기에서 생성되는 고온 습공기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혼합챔버(30)는 외부공기 공급 덕트(72)가 일측단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송풍기(20)를 거친 외부의 건공기가 유입되고, 상측단에 열교환 공기 배출 덕트(86)와 연결된 열교환 공기 공급 덕트(88)가 연결 되어 이를 통해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을 거친 열교환된 건공기가 유입되고, 타측단에 혼합공기 공급 덕트(74)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혼합공기가 유출된다.
송풍기(20)은 흡입력을 제공하여 제2 외부공기 유입 덕트(71)를 통해 외부의 건공기를 흡입한 후 외부공기 공급 덕트(72)를 통해 혼합챔버(30)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또한 송풍기(20)은 흡입력을 제공하여 열교환 공기 배출 덕트(86) 및 열교환 공기 공급 덕트(8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을 통과한 후, 이 열교환된 공기를 혼합챔버(30)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보일러(10)는 증기를 발생시키며 증기 공급관(12)을 통해 발생된 증기를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게 된다.
배풍기(60)은 흡입력을 제공하여 습공기 배출 덕트(78)를 통해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을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 덕트(8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제어 패널(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온(ON)/오프(OFF) 동작 및 동작조건, 예를 들면 보일러의 온도 및 증기의 유량, 송풍기와 배풍기 속도 및 공기의 유량, 덕트 상에 설치된 각종 밸브의 동작, 다단 분리 열교환기를 흐르는 열매체의 유량 및 속도의 설정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 패널(70)에는 미도시된 표시창이 설치될 수 있고,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유입단 및 유출단 즉, 제1 열교환 블록(52)의 유출입단 및 제2 열교환 블록(54)의 유출입단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 패널(70)은 이러한 각종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받아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열교환 효율을 계산하여 표시창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열교환 효율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계산되나, 일반적으로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유출입단의 온도 차 특히, 제2 열교환 블록(54)의 유출입단의 온도 차이를 주요 요소로 하여 계산할 수 있게 된다.
표시창에는 열교환 효율을 표시하는 것만이 예시되었으나, 이외에 각종 온도센서의 온도 등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흐르는 각종 덕트에는 필요에 따라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유량 센서 등이 설치되어, 제어 패널(70)는 이러한 정보를 받아 표시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덕트의 유출입단에는 밸브(도면부호 미도시)가 설치되고, 제어부는 이러한 밸브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덕트에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의 차가운 건공기는 제2 외부공기 유입 덕트(71)를 통해 송풍기(20)를 거치면서 외부공기 공급 덕트(72)를 통해 혼합챔버(30)로 유입된다. 한편, 다단 분리 열교환기(50)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건공기 역시 열교환기 공급 덕트(88)를 통해 혼합챔버(30)로 유입될 수 있다.
혼합챔버(30)를 통과한 공기는 혼합공기 공급 덕트(74)를 통해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되고 또한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내부에는 보일러(10)와 연결된 증기 공급관(12)이 연결되어 이를 통해 증기가 공급되어 상기 혼합공기는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내부에서 고온의 습공기로 되고, 고온 습공기 발생기(40)에서 생성된 고온의 습공기는 습공기 배출 덕트(76)를 통해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으로 유입된다.
한편, 송풍기(20)에 의해 외기의 저온 건공기는 제1 외부공기 유입 덕트(84)를 거쳐 제2 열교환 블록(54)으로 유입된다. 제2 열교환 블록(54)으로 유입된 저온 건공기는 열매체에 의해 제1 열교환 블록(52)을 통과하는 고온 습공기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제2 열교환 블록(54)을 빠져나가고, 열교환 공기 배출 덕트(86)를 통해 혼합챔버(30)로 직접 유입되거나 또는 외기의 공기와 혼합되어 송풍기(20)를 거친 후 혼합챔버(30)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제1 열교환 블록(52)을 통과하면서 열매체에 의해 열을 빼앗긴 습공기는 습공기 배출 덕트(78)와 배풍기(60)을 거치면서 배출 덕트(8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 분리 열교환기가 실제 연결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건조기의 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이러한 환경 조건에서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환경이 매번 다른 건조기와 연결되어 설치될 때마나 최적의 열교환 효율을 충족하는 설정 변수를 반복적인 운전 등에 의해 찾아야 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이나 운전 비용에 대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보일러 20: 송풍기
30: 혼합챔버 40: 고온 습공기 발생기
41. 몸체 42. 증기 배출관
50: 다단 분리 열교환기 52: 제1 열교환 블록
54. 제2 열교환 블록 60. 배풍기
70. 제어 패널 100.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Claims (2)

  1. 고온의 습공기가 일측단에서 유입되어 타측단으로 빠져나가는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1 열교환 블록(5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저온의 건공기가 타측단에서 유입되어 일측단으로 빠져나가는며, 이 때 제1 열교환 블록(52)과 제2 열교환 블록(54)은 열매체가 순환하여 고온 습공기와 저온 건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50);
    고온 습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에 고온 습공기를 공급하는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에서 배출된 열교환된 공기와 외부 공기를 혼합하도록 일정 이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혼합챔버(30);
    증기를 발생시켜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로 공급하는 보일러(10);
    외부의 공기가 혼합챔버(30)로 유입시키도록 하고, 또한 외부의 공기가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을 통과하여 혼합챔버(30)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송풍기(20);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을 거쳐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풍기(60); 및,
    상기 다단 분리 열교환기(50),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혼합챔버(30), 보일러(10), 송풍기(20) 및 배풍기(60)의 온(ON)/오프(OFF) 동작 및 동작조건의 설정을 제어하며, 또한 상기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 및 제2 열교환 블록(54)의 유출입단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받아 각각의 온도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온도정보를 이용해 열교환 효율을 계산하여 표시창에 표시하는 제어 패널(70);을 포함하고,
    혼합챔버(30)는 외부공기 공급 덕트(72)가 일측단에 연결되어 송풍기(20)를 거친 외부의 건공기가 유입되고, 상측단에 열교환 공기 배출 덕트(86)와 연결된 열교환 공기 공급 덕트(88)가 연결되어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을 거친 열교환된 건공기가 유입되고, 타측단에 혼합공기 공급 덕트(74)가 연결되어 고온 습공기 발생기(40) 측으로 혼합공기가 유출되며,
    송풍기(20)는 흡입력을 제공하여 제2 외부공기 유입 덕트(71)를 통해 외부의 건공기를 흡입한 후 외부공기 공급 덕트(72)를 통해 혼합챔버(30)로 유입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열교환 공기 배출 덕트(86) 및 열교환 공기 공급 덕트(8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2 열교환 블록(54)을 통과하여 열교환된 후 혼합챔버(3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습공기 발생기(40)는,
    혼합챔버(30)와 연결된 혼합공기 공급 덕트(74)가 일측단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혼합공기가 유입되고, 다단 분리 열교환기(50)의 제1 열교환 블록(52)과 연결된 습공기 공급 덕트(76)가 타측단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고온 습공기가 배출되는 몸체(41); 및,
    상기 몸체(41) 내부에 일측단과 타측단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몸체(41)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일러(10)와 연결된 증기 공급관(12)과 연결되어 이를 통해 증기가 유입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사 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된 증기가 몸체(4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분사되도록 하여 고온 습공기가 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관(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KR1020170063309A 2017-05-23 2017-05-23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KR10197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09A KR101973129B1 (ko) 2017-05-23 2017-05-23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09A KR101973129B1 (ko) 2017-05-23 2017-05-23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162A KR20180128162A (ko) 2018-12-03
KR101973129B1 true KR101973129B1 (ko) 2019-05-24

Family

ID=6474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309A KR101973129B1 (ko) 2017-05-23 2017-05-23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7636A (zh) * 2022-09-29 2022-12-23 武汉纺织大学 一种智能散纤维低温短流程烘干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53B1 (ko) * 2011-01-24 2012-01-03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열교환기를 가지는 가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1664142B1 (ko) * 2015-11-24 2016-10-24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다단 분리 열교환방식의 건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56B1 (ko) * 2010-08-30 2013-01-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제조용 증삼건조 설비
KR102037680B1 (ko) * 2011-10-27 2019-10-2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의 열교환기 건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제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53B1 (ko) * 2011-01-24 2012-01-03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열교환기를 가지는 가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1664142B1 (ko) * 2015-11-24 2016-10-24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다단 분리 열교환방식의 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162A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408B2 (en) Hybrid dehumidification system for applications with high internally-generated moisture loads
US10365039B2 (en) Multi-stage separation heat-exchange type drying system
JP3545315B2 (ja) 空気調和機及び湿度制御方法
CN207262846U (zh) 一种热风循环干燥箱
RU2008132733A (ru) Устройство охлаждения и вентиляции
KR20090024588A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RS20070307A (en) Energy system for drying moist products
JP2017503144A (ja) 一定の体積の液体を通して空気流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
RU2436011C1 (ru) Устройство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дымовых газов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JP2010159928A (ja) 空気調和機
KR101973129B1 (ko) 다단 분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측정 시스템
KR20160084909A (ko) 백연저감형 냉각탑
JP2019219163A (ja) 空調システム
JP6807170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空調方法
JP5856415B2 (ja) 乾燥装置、その改造方法及び改造装置
KR101422197B1 (ko) 고정밀 습도제어형 말단재열 공기조화기
JP3942820B2 (ja) 空調用加湿方法
KR20170110120A (ko) 공기 콘덴서 및 의류 건조기
KR101642914B1 (ko) 공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
CN207407641U (zh) 物料均风系统
CN209677267U (zh) 风暖枣片热泵烘干控制系统
WO2012169880A1 (en) Greenhouse, air circulation system for a greenhouse and method for circulating air in a greenhouse
JP2008061576A (ja) 海苔乾燥機の空気調合方法とその装置
KR101619464B1 (ko) 백연 현상 발생 방지를 위한 대향류식 냉각탑
KR102437342B1 (ko) 에너지절감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