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685A - 액체 펌핑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펌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685A
KR20200039685A KR1020207003746A KR20207003746A KR20200039685A KR 20200039685 A KR20200039685 A KR 20200039685A KR 1020207003746 A KR1020207003746 A KR 1020207003746A KR 20207003746 A KR20207003746 A KR 20207003746A KR 20200039685 A KR20200039685 A KR 20200039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groove
media
core
liquid
pu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948B1 (ko
Inventor
위양 스
Original Assignee
위양 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양 스 filed Critical 위양 스
Publication of KR2020003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3/00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pumps for special use, e.g. for extremely high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2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5/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with the working-chamber walls at least partly resiliently deform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액체 펌핑 장치로서 제1 부재(21), 제2 부재(22), 제3 부재(8)를 포함하고 제2 부재가 제1 부재에 대해 고정된 방식으로 운동하며, 제1 부재에서 제2 부재와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에, 서로 연통하지 않는 매체 입구(12)와 매체 출구(13)가 설치되고, 제2 부재에서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에 오목 홈(10)이 설치되며, 오목 홈이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의 접촉면 범위 안에서 고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하고, 오목 홈의 운동 경로가 각각 매체 입구, 매체 출구, 제3 부재를 통과하며, 제3 부재가 매체 출구에서 오목 홈의 정방향 운동 방향 쪽에 설치되고, 오목 홈의 정방향 운동이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에 들어간 일부가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출구로 밀어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액체의 정량이 오목 홈으로 결정되며, 그 원리는 펌프의 토출 정확도를 제어하는데 유리하다.

Description

액체 펌핑 장치
본 발명은 기계공학 기술 분야에 속하며, 액체 수송에 사용하는 기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제 응용되는 계량 능력을 구비한 소형 및 초소형 펌프의 유형에는 기어 펌프, 솔레노이드 펌프, 격막 펌프, 연동 펌프, 나사 펌프, 인젝션 펌프, 플런저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것들의 구조와 작동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각종 성능 지표도 각각 매우 다르다. 기어 펌프는 유량과 양정이 크다는 특징이 있으나 유량이 적은 경우 계량 정밀도가 낮아지며, 솔레노이드 펌프는 고주파 맥동식 분사로서 미세한 유량과 높은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으나 유량이 비교적 적고 고점도 매체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격막 펌프는 솔레노이드 펌프보다 유량이 크지만 역시 고점도 매체에는 사용할 수 없다. 연동 펌프는 계량이 정확하고 유량의 제어가능 범위가 크지만 역시 고점도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량 정확도가 낮아지고 심지어 사용할 수가 없다. 나사 펌프는 고점도 매체에 사용할 수 있고 미세 유량에서 정확도를 보증할 수 있으나 탄성체 고정자 부품이 이손품이며 조형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와 사용 원가가 높을 뿐 아니라 흡입구 및 토출구 양단의 매체 압력 변화가 유량에 영향을 미친다. 인젝션 펌프는 정밀도가 높고, 미세 유량 제어 능력이 있으며 고점도 매체에도 사용할 수 있으나 연속 작동 능력이 부족하다. 플런저 펌프는 저속에서 작동할 경우, 인젝션 펌프와 마찬가지로 매체를 연속적으로 수송할 수 없으며, 고주파 고속 작동 시에는 고점도 매체에 사용할 수 없다. 종래의 각종 펌프 중에는 미량 수송, 고정밀도, 고점도, 간단한 구조, 작은 체적, 낮은 제조 원가, 낮은 사용 원가 등 수많은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펌프가 아직까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다수 가지의 펌프에 존재하는 각종 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펌프의 정량 수송 정밀도를 높이고 미량 수송 기능을 구현하며 액체 매체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 새로운 펌프 형태를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택한 기술방안은 제1 부재, 제2 부재, 제3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펌핑 장치로서, 제2 부재는 제1 부재에 대해 고정 방식으로 운동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접촉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액밀성(液密性)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되어 있다.
제1 부재에서 제2 부재와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에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서로 연통하지 않으며, 제2 부재에서 제1 부재와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에 적어도 1개의 오목 홈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 홈이 제2 부재의 운동에 따라,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 범위 안에서 고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한다. 상기 오목 홈의 운동 경로는 각각 제1 부재에 있는 매체 입구, 매체 출구, 및 제3 부재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오목 홈이 제3 부재를 통과할 때 제3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 홈 안에 들어가고 횡방향으로 오목 홈을 가득 채우게 되며, 이때 상기 횡방향은 오목 홈의 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가리킨다.
상기 제3 부재는 매체 출구에서 오목 홈의 정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오목 홈의 정방향 운동이 제3 부재를 통과할 때,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에 들어간 일부가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출구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운동은, 제1 부재가 고정되고 제2 부재가 운동하는 설치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부재가 고정되고 제1 부재가 운동하는 설치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그 운동 방식은 회전 또는 이동 또는 회전과 이동의 조합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역회전 흡입(reverse suction)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3 부재가 동시에 매체 입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이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에 들어간 일부가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입구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제3 부재는 매체 출구/매체 입구와 무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고, 제3 부재에서 오목 홈 정방향/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을 매체 출구/매체 입구 가장자리의 일부분으로 삼아 매체 출구/매체 입구와 자연적으로 연통하며, 제3 부재에 의해 오목 홈 안에서 밀려 나온 매체가 매체 출구/매체 입구로 직접 들어가게 된다.
혹은 상기 제3 부재와 매체 출구/매체 입구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나, 간격이 비교적 얇으며, 오목 홈이 통과하지 않을 때,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정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과 매체 출구/매체 입구가 서로 연통하지 않으며, 오목 홈이 매체 출구/매체 입구 및 제3 부재를 통과할 때, 제3 부재에서 오목 홈 역방향/정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과 매체 출구/매체 입구가, 통과하는 오목 홈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연통한다. 이때 제3 부재가 눌러 미는 작용에 따라 오목 홈 안의 매체가 오목 홈과 매체 출구/매체 입구가 연통하는 부분에서 매체 출구/매체 입구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매체 입구/매체 출구는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부분과 외부가 연통하고 제2 부분이 통로 역할을 하여 제1 부분과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정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이 연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부재에서 제2 부재와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에서 매체 출구/매체 입구의 제2 부분 역할을 하는 홈형 통로로서, 홈형 통로가 매체 출구/매체 입구의 제1 부분과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정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이 연통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제1 부재에 형성된 한 개구부의 두 부분이며, 이때 제3 부재가 분리되어, 서로 연통하지 않는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를 형성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오목 홈이 적어도 1개 세트를 포함하고, 각 세트는 적어도 1개의 오목 홈을 포함하며, 각 세트 안의 오목 홈 운동 경로는 서로 동일하고, 또한 다른 세트의 오목 홈 운동 경로와 다르며, 각 세트 안의 복수개의 오목 홈들이 운동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매체 입구, 매체 출구, 제3 부재가 다수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 세트가 1개의 매체 입구, 1개의 매체 출구,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 사이에 설치된 1개의 제3 부재를 포함하며, 각 세트의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오목 홈 운동 경로를 따라 교대로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오목 홈의 내부 표면은 매끄러운 곡면이며, 상기 오목 홈의 전후단 가장자리는 매끄러운 과도면이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제3 부재에 상기 오목 홈과 피팅되는 탄성 돌출부가 설치된다. 적어도 탄성 돌출부의 매체 출구 쪽과 매체 출구가 연통한다. 더 나아가서, 제3 부재의 탄성 돌출부의 매체 입구 쪽과 매체 입구도 연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 홈의 횡단면이 원호형이며, 상기 제3 부재의 탄성 돌출부의 횡단면도 원호형이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접촉면이 평면이며, 제2 부재가 접촉면에 수직인 축선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고, 혹은 제2 부재가 접촉면을 따라 고정된 경로로 평면 미끄럼 운동을 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제2 부재의 운동이 회전 운동이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서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은 제2 부재 회전 축심에 수직인 평면이거나 제2 부재 회전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곡면이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제1 부재가 실린더 라이너이며, 제2 부재가 회전체 코어로서, 코어가 실린더 라이너 안에서 실린더 라이너에 대해 회전 작동하며, 상기 실린더 라이너의 내측면 윤곽선과 코어의 측면 윤곽선이 맞물리고, 실린더 라이너의 내측면과 코어의 측면이 액밀성 미끄럼 매칭이다.
상기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는 코어 측면과 액밀성 미끄럼 매칭되는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 홈은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과 액밀성 미끄럼 매칭되는 코어 측면의 일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3 부재는 매체 출구에서 코어의 정회전 방향 쪽에 설치되며, 코어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코어 측면의 오목 홈이 코어의 정회전 운동에 따라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의 오목 홈에 들어간 부분이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출구로 밀어내게 된다. 오목 홈 안에서 밀려 나온 매체는 매체 출구로 들어간 후, 뒤이어 매체 출구로 들어간 매체가 눌러 미는 작용에 의해 매체 출구에서 송출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제3 부재가 매체 입구에서 코어의 역회전 방향 쪽에 위치하고, 코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코어 측면의 오목 홈이 코어의 역회전 운동에 따라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의 오목 홈에 들어가는 부분이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입구로 밀어내게 된다.
하나의 오목 홈을 예로 들면 그 작동 원리는 이하와 같다. 즉 오목 홈이 코어를 따라 회전하고, 오목 홈과 매체 입구가 연통하면 매체 입구 안의 매체가 오목 홈에 들어가며, 코어가 더욱 회전하면 오목 홈과 입구단이 분리된 후,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과 긴밀히 매칭되어 밀봉된 캐비티를 형성하고 캐비티 안에 매체가 가득 차게 된다. 코어가 더욱 회전하면 오목 홈이 우선 매체 출구와 연통하고, 이어서 제3 부재를 통과하며, 제3 부재의 단면(端面)이 코어 측면에 밀착되며, 코어 측면의 오목 홈이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 자체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거나 외력의 추동 작용에 의하여 일부가 오목 홈 안에 밀려 들어가서, 오목 홈 안에 저장된 매체가 밀려 나오게 되고, 매체 출구로 흘러 가고, 더욱 송출되며, 제3 부재는 횡방향으로 충만된 오목 홈을 유지하여, 후면에 있는 매체가 제3 부재를 통해 오목 홈의 전면에 도달할 수 없다. 코어가 계속 회전하면 오목 홈과 제3 부재가 분리되고, 다시 매체 입구와 연통하며 사이클 동작을 반복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제3 부재에 예를 들어 유연하면서도 탄성이 풍부한 고무 등 일종의 유연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제3 부재를 밀합된 공간 안에 설치하고 코어 방향으로 제3 부재를 밀어 눌러, 오목 홈이 코어의 회전에 따라 제3 부재를 통과할 때, 유연하고도 탄성이 풍부한 제3 부재의 일부분이 오목 홈 안에 밀려 들어가고,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단면에서 오목 홈을 충진하며, 오목 홈이 더욱 회전하면 그 안의 매체가 회전 방향 반대쪽으로 밀려 나오게 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오목 홈 전후단과 코어 표면이 매끄러운 과도면을 이루고, 더 나아가서 상기 오목 홈 곡면과 코어 곡면의 교차 곡선이 매끄러운 과도선을 이룬다.
더 나아가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에 제3 부재 장착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부재의 측면과 제3 부재 장착구멍 사이가 탄성 밀봉된다.
더 나아가서, 제3 부재에서 탄성 돌출부를 설치한 전단면(前端面)은 코어 측면 원호 곡률과 서로 매칭되는 원호면이며, 상기 제3 부재의 전단면과 코어 측면은 밀착된 밀봉 상태를 시종 유지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제3 부재는 캐비티 구조로서, 그 후단이 개구부이고, 제3 부재의 캐비티 안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이 동시에 전방과 둘레를 향해 전단벽과 측벽에 압력을 가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오목 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더 나아가서 상기 오목 홈에 다수 열이 있을 수 있고, 각 열 오목 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더 나아가서 임의의 오목 홈 두 열이 코어 회전 방향에서 앞뒤로 위치가 어긋나게 설치되고, 더 나아가서 상기 제3 부재의 탄성 돌출부는 각 열 오목 홈과 대응되는 다수 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가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실린더 라이너가 원통형 슬리브이다. 상기 원통형 구조의 코어는 원기둥일 수 있으며, 실린더 라이너는 원기둥형 슬리브일 수 있다. 혹은 코어가 비교적 작은 원뿔각을 구비한 원뿔 기둥이며, 대응되게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코어 원뿔각과 동일한 원뿔 기둥형 슬리브이다. 비교적 작은 원뿔각을 설치하여 비교적 양호하게 부품 가공 오차를 적용할 수 있고 접촉면 사이의 조립 액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코어 축심에 심봉을 설치하고 코어와 고정 연결한다. 구동 장치는 심봉을 통해 코어 회전을 구동한다. 상기 코어의 상하 양단면에 각각 개스킷과 개스킷 리테이너를 설치하여 매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양단의 개스킷 리테이너의 외부에 클립 스프링을 설치한다.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 양단에 클립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클립 스프링 홈을 설치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실린더 라이너가 펌프의 케이스이다. 일종의 개선으로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펌프 케이스 안에 설치된 독립된 부재이다. 상기 실린더 라이너 외측면과 케이스는 긴밀히 피팅되어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는 실린더 라이너의 매체 입구, 매체 출구, 제3 부재 장착구멍 위치에 대응하여 마찬가지로 매체 입구, 매체 출구, 제3 부재 장착구멍이 설치되고, 펌프 케이스의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펌프의 진출 관로와 연결되며, 펌프 케이스의 제3 부재 장착구멍 외측에 덮개판이 설치된다. 실린더 라이너와 코어가 서로 마찰되므로, 실린더 라이너를 케이스에 대해 독립된 부재로서 설계하여, 실린더 라이너의 기능에 맞춰 독립적으로 재료를 선택하는데 유리하다.
더 나아가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와 코어는 모두 도자기 재질이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강성 코어에 회전 중에 차례로 입구와 출구를 통과하는 오목 홈을 설치하여 액체를 입구에서 출구까지 운송하는 용기로 사용하며, 나아가 입구단에서 출구단까지의 액체 수송을 구현하고, 매번 운송되는 액체량이 오목 홈의 용적에 따라 확정되며, 액체의 정량이 어떠한 탄성 부재와도 관계가 없으므로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한 정량 부정확성이 배제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펌프는 그 원리가 펌프의 토출 계량 정확도를 제어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체 펌핑 장치의 구조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펌핑 장치의 횡방향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체 펌핑 장치의 종방향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펌핑 장치 코어의 표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체 펌핑 장치의 또 다른 구조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체 펌핑 장치의 A-o-o-A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매체 출구와 제3 부재에서 오목 홈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이, 홈형 통로에 의해 상시 연통해 있는 구조도이다.
도 8은 매체 출구와 제3 부재에서 오목 홈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이, 통과하는 오목 홈을 통해 일시적으로 연통해 있는 구조도이다.
도 9는 제3 부재에서 오목 홈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과 매체 출구가 직접적으로 상시 연통해 있는 구조도이다.
이하는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체 펌핑 장치의 원리와 기본 구조를 더욱 자세하게 해석하고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체 펌핑 장치의 선택 가능한 구조 형태이며, 전체적으로 주상(柱狀) 구조로서 제1 부재는 원통 모양이고 제2 부재는 기둥 모양이며 양자가 동축으로 조립되고 제2 부재는 회전 운동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장치는 케이스(1), 실린더 라이너(2), 코어(4), 제3 부재(8) 등 4대 주요 구성 부분을 포함한다. 실린더 라이너(2)가 케이스(1)에 대해 독립되어, 케이스에 비해 경도가 더욱 높고 내마모성이 더욱 양호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실린더 라이너(2)는 원기둥형 슬리브로서, 케이스(1)와 긴밀하게 매칭되어 고정된다. 코어(4)는 원기둥체 구조이며, 실린더 라이너(2) 안에 조립되고 실린더 라이너(2) 내측면과 코어(4)측 표면이 액밀성 미끄럼 매칭된다. 실린더 라이너(2)와 케이스(1)가 함께 펌프 본체를 구성하고, 펌프 본체 양측에 각각 매체 입구(12)와 매체 출구(13)가 설치되며, 상기 매체 입구(12)와 매체 출구(13) 내측단 개구부는 실린더 라이너(2) 내측면에 위치하며, 외측단 개구부는 케이스(1) 외부 표면에 위치한다. 매체 입구(12)와 매체 출구(13) 사이에 제3 부재 장착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부재(8)는 제3 부재 장착구멍 안에 설치된다. 코어(4) 측면에 오목 홈(10)이 설치되고 코어가 회전하는 중에 상기 오목 홈(10)이 매체 입구(12)의 내측단 개구부와 매체 출구(13)의 내측단 개구부를 차례로 통과하며, 제3 부재(8)가 매체 출구(13)에서 코어의 정회전 방향 쪽에 설치된다. 제3 부재(8) 전단면에 탄성 돌출부(14)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어(4) 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4개의 오목 홈(10)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오목 홈은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오목 홈의 코어 원주 방향 길이는 매체 입구의 내측단 개구부와 매체 출구 내측단 개구부 사이의 최단 거리 호의 길이보다 짧다. 각각의 오목 홈 둘레와 코어 윤곽 표면은 매끄러운 과도면을 이루며 오목 홈의 모든 단면은 호의 곡률이 동일한 궁형이다. 탄성 돌출부의 머리부 윤곽에는 서로 매칭되는 호 곡률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 돌출부의 후측 공간은 통로를 통해 매체 출구와 연통한다.
제3 부재(8) 측면과 제3 부재 장착구멍 사이가 밀봉되고 제3 부재는 캐비티 구조로서 그 후단이 개구부이고 제3 부재의 캐비티 안에 스프링(9)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동시에 전면과 둘레 방향으로 전단벽과 측벽에 압력을 가한다. 제3 부재 전단면은 코어 측면 호의 곡률과 동일한 원호면이고 제3 부재 전단면과 코어 측면은 밀착된 밀봉 상태를 시종 유지한다. 제3 부재 장착구멍 외측에는 덮개판(5)이 설치되어 있고 덮개판(5)는 나사 연결 또는 스냅 연결 방식으로 케이스(1)에 조립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어(4) 축심에 심봉(6)이 설치되고, 심봉(6)과 코어(4)가 고정 연결된다. 구동 장치는 심봉을 통해 코어의 회전을 구동한다. 상기 코어의 상하 양단면에 각각 개스킷(7)과 개스킷 리테이너(3)를 설치하여 매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양단의 개스킷 리테이너(3) 외부에 클립 스프링(11)을 설치한다.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 양단에 클립 스프링(11)을 장착하기 위한 클립 스프링 홈을 설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 홈(10)에 다수 열이 있을 수 있고, 본 예는 2열이며, 각각의 열에는 6개의 오목 홈이 포함되고 각 열의 6개의 오목 홈이 코어 표면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3 부재의 탄성 돌출부는 각 열 오목 홈과 각각 대응되는 다수 개를 포함한다. 두 열의 오목 홈은 서로 위치가 30도 어긋나게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펌핑 장치의 또 다른 선택 가능한 구조 형태로서, 장치가 전체적으로 판상 구조를 나타내며,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에 모두 원형 평면 구조체를 사용하였고, 양자 사이의 액밀성 미끄럼 매칭 접촉면은 하나의 평면이며, 제2 부재(22)가 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시계방향 회전이 정방향 회전이고 제2 부재(22)에 각각 2개의 오목 운동 경로(101, 102)를 따라 2세트의 오목 홈(10)이 설치되며 각 세트는 6개이고, 두 세트의 오목 홈이 방사 방향으로 교차되어 배치된다. 제1 부재(21)에는 둘레 시계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제1 매체 입구(121), 제1 매체 출구(131), 첫 번째 제3 부재(81), 제2 매체 입구(122), 제2 매체 출구(131), 두 번째 제3 부재(82)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1 매체 출구(131)가 첫 번째 제3 부재(81)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2 매체 출구(131)가 두 번째 제3 부재(82)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1 매체 입구(121), 제1 매체 출구(131), 첫 번째 제3 부재(81), 제2 매체 입구(122), 제2 매체 출구(132), 제2제3 부재(82)의 방사 방향 폭은 오목 홈 두 세트의 방사 방향 전체 폭보다 크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매체 출구(13)와 제3 부재(8)의 매체 출구 쪽의 세 가지 전형적인 연통 형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에서 도 7는 매체 출구와 제3 부재(8)의 매체 출구 쪽이 홈형 통로(1301)에 의해 상시 연통하는 구조도이다. 매체 출구는 제1 부분(1302) 및 제2 부분 역할을 하는 홈형 통로(1301)로 구성된다. 제2 부재의 정방향 운동 방향은 예를 들어 화살표와 같으며, 오목 홈(10)이 제2 부재(22)의 정방향 운동을 따라 순서대로 매체 입구(12), 매체 출구, 제3 부재(8)를 통과하게 된다. 오목 홈(10) 운동이 매체 입구(12)를 통과할 때, 오목 홈(10) 안의 음압 작용으로 인해 매체 입구 안의 매체가 오목 홈에 들어가고 오목 홈을 가득 채우게 되며, 오목 홈(10)이 제3 부재(8)을 통과하면 제3 부재 하단이 오목 홈 안에 밀려 들어가서, 오목 홈 안의 매체가 밖을 향해 밀려 나오고, 매체 출구의 홈형 통로(1301) 안에 들어가게 된다. 홈형 통로(1301) 안에 원래 있던 매체는 새로 들어온 매체가 눌러 미는 작용에 의해 매체 출구의 제1 부분(1302) 안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도 8은 매체 출구와 제3 부재에서 오목 홈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이, 통과하는 오목 홈을 통해 일시적으로 연통해 있는 구조도이다. 매체 출구(13)와 제3 부재 사이는 비교적 얇은 틈이 벌어져 있다. 오목 홈이 통과하지 않을 때, 매체 출구(13)와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은 연통하지 않는다. 오목 홈이 통과할 때,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과 매체 출구(13)가 오목 홈을 통해 일시적으로 연통한다. 이때 제3 부재가 눌러 미는 작용에 따라 오목 홈 안의 매체는 오목 홈(10)에서 매체 출구와 연통하는 부분을 통해 매체 출구(13)로 들어가게 된다.
도 9는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과 매체 출구가 직접적으로 상시 연통해 있는 구조도이다. 상기 매체 출구(13)에는 홈형 통로 부분이 포함되지 않는다. 오목 홈이 매체 출구(13)와 제3 부재를 통과할 때, 제3 부재에 의해 오목 홈 안에서 밀려 나온 매체가 직접 매체 출구(13)로 들어간다.
1: 케이스
2: 실린더 라이너
3: 개스킷 리테이너
4: 코어
5: 덮개판
6: 심봉
7: 개스킷
8: 제3 부재
9: 스프링
10: 오목 홈
11: 클립 스프링
12: 매체 입구
13: 매체 출구
14: 탄성 돌출부
21: 제1 부재
22: 제2 부재

Claims (13)

  1. 액체 펌핑 장치에 있어서,
    제1 부재, 제2 부재,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제1 부재에 대해 고정 방식으로 운동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접촉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액밀성(液密性)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되어 있고;
    제1 부재에서 제2 부재와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에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서로 연통하지 않으며; 제2 부재에서 제1 부재와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에 적어도 1개의 오목 홈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 홈이 제2 부재의 운동에 따라,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 범위 안에서 고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하고; 상기 오목 홈의 운동 경로는 각각 제1 부재에 있는 매체 입구, 매체 출구, 및 제3 부재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오목 홈이 제3 부재를 통과할 때 제3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 홈 안에 들어가고 횡방향으로 오목 홈을 가득 채우게 되고;
    상기 제3 부재는 매체 출구에서 오목 홈의 정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오목 홈의 정방향 운동이 제3 부재를 통과할 때,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에 들어간 일부가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출구로 밀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과 매체 출구가 자연적으로 연통하거나, 통과하는 오목 홈을 통해 일시적으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가 매체 입구에서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오목 홈의 역방향 운동이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에 들어간 일부가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입구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의 정방향 운동 방향의 일측과 매체 입구가 자연적으로 연통하거나, 통과하는 오목 홈을 통해 일시적으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운동이 회전 운동이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서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접촉면은 제2 부재 회전 축심과 수직인 평면이거나 제2 부재 회전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이 적어도 1개 세트를 포함하고, 각 세트는 적어도 1개의 오목 홈을 포함하며, 각 세트 안의 오목 홈 운동 경로가 서로 동일하고, 다른 세트의 오목 홈 운동 경로와 다르며, 각 세트 안의 복수개의 오목 홈이 운동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입구, 매체 출구, 제3 부재가 다수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 세트는 1개의 매체 입구, 1개의 매체 출구,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 사이에 설치된 1개의 제3 부재를 포함하며, 각 세트의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오목 홈 운동 경로를 따라 교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의 내부 표면이 매끄러운 곡면이며, 상기 오목 홈의 전후단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과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에 상기 오목 홈과 피팅되는 탄성 돌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회전체 구조인 코어이며, 상기 제1 부재가 코어 외부에 끼워 장착하는 실린더 라이너이고; 코어가 실린더 라이너 안에서 실린더 라이너에 대해 회전 작동하며,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과 코어 측면이 적어도 축방향에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코어 측면과 액밀성 미끄럼 매칭 형태로 된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 홈이 실린더 라이너 내측면과 액밀성 미끄럼 매칭되는 코어 측면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3 부재가 매체 출구에서 코어의 정회전 방향 쪽에 설치되고, 오목 홈이 코어의 정회전 운동을 따라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에 들어간 일부가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출구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가 매체 입구에서 코어의 역회전 방향 쪽에 위치하고 오목 홈이 코어의 역회전 운동을 따라 제3 부재를 통과하면 제3 부재에서 오목 홈에 들어간 일부가 오목 홈 안의 매체를 매체 출구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실린더 라이너가 원통형 슬리브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운동 방식이 회전, 또는 이동 또는 회전과 이동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펌핑 장치.
KR1020207003746A 2017-07-26 2018-07-25 액체 펌핑 장치 KR102353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16433 2017-07-26
CN201710616433.3 2017-07-26
PCT/CN2018/097126 WO2019020063A1 (zh) 2017-07-26 2018-07-25 一种液体泵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685A true KR20200039685A (ko) 2020-04-16
KR102353948B1 KR102353948B1 (ko) 2022-01-21

Family

ID=6504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746A KR102353948B1 (ko) 2017-07-26 2018-07-25 액체 펌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7228B2 (ko)
EP (1) EP3650694B1 (ko)
JP (2) JP2020528119A (ko)
KR (1) KR102353948B1 (ko)
CN (1) CN109306946B (ko)
WO (1) WO201902006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2595A (ja) * 2004-09-07 2008-04-24 ピーディーディー イノベ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可撓性を有するシール材を備えたロータリ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51011B (ko) * 1971-03-16 1972-11-13 Alfa Laval Ab
US4017208A (en) * 1975-06-13 1977-04-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wo-way fluid meter pump
US4028021A (en) * 1975-12-08 1977-06-07 Curtiss-Wright Corporation Rotary trochoidal compressor with compressible sealing
JPS58195091A (ja) * 1982-05-11 1983-11-14 Akira Hirata ロ−タリ−ポンプ
JPH0972295A (ja) 1995-06-29 1997-03-18 Aisin Seiki Co Ltd 流体ポンプ
CN2284868Y (zh) * 1996-02-07 1998-06-24 化学工业部上海化工研究院 新型滚柱泵
DE29614473U1 (de) * 1996-08-21 1997-12-18 Rappenhoener Hans Richard Rotationskolbendosierer
JPH11132140A (ja) 1997-10-27 1999-05-18 Sanyo Electric Works Ltd バルブレス計量ポンプ及びそのポンプの洗浄方法
WO2007129403A1 (ja) * 2006-05-09 2007-11-15 Okamura Yugen Kaisha 回転型流体機械
CN2929259Y (zh) * 2006-07-15 2007-08-01 李琢书 叶轮泵
CN100575701C (zh) 2008-04-30 2009-12-30 林波 计量泵及其驱动装置
GB0906768D0 (en) * 2009-04-21 2009-06-03 Pdd Innovations Ltd Pumps
CN202165260U (zh) 2011-07-18 2012-03-14 东莞市中强实业有限公司 一种液压泵
GB201117297D0 (en) * 2011-10-07 2011-11-16 Quantex Patents Ltd Pump fitting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GB201202255D0 (en) * 2012-02-09 2012-03-28 Quantex Patents Ltd Pumps
CN102913735A (zh) * 2012-10-22 2013-02-06 江苏双峰粉末冶金制品有限公司 一种粉末冶金机油泵转子
CN203272084U (zh) 2013-05-20 2013-11-06 贝恩医疗设备(广州)有限公司 一种计量泵
GB201504553D0 (en) * 2015-03-18 2015-05-06 Quantex Patents Ltd Pumps
CN105332873A (zh) 2015-11-24 2016-02-17 上海理工大学 计量泵
GB2547051A (en) * 2016-02-08 2017-08-09 Quantex Patents Ltd Pump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2595A (ja) * 2004-09-07 2008-04-24 ピーディーディー イノベ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可撓性を有するシール材を備えたロータリ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0694B1 (en) 2021-09-15
EP3650694A4 (en) 2020-05-13
JP2022050673A (ja) 2022-03-30
EP3650694A1 (en) 2020-05-13
KR102353948B1 (ko) 2022-01-21
US20210071661A1 (en) 2021-03-11
US11187228B2 (en) 2021-11-30
WO2019020063A1 (zh) 2019-01-31
CN109306946A (zh) 2019-02-05
CN109306946B (zh) 2020-12-15
JP2020528119A (ja) 2020-09-17
JP7193664B2 (ja)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0735B (fi) Pumppu moniaukkoisella ulostulolla
US5593290A (en) Micro dispensing positive displacement pump
US8757511B2 (en) Viscous non-contact jetting method and apparatus
EP2764244B1 (en) Fluid dispensing system
US20110073620A1 (en) Twisting translational displacement pump cartridge
US7713034B2 (en) Diaphragm pump and manufacturing device of electronic component
CN104364471A (zh)
JP2016507048A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のポンプ及びインジェクター
KR20150091221A (ko) 액체 공급 장치
US5741126A (en) Valveless metering pump with crisscrossed passage ways in the piston
CN114215715A (zh) 一种计量泵
KR20200039685A (ko) 액체 펌핑 장치
TWI657210B (zh) 逆止閥及設有逆止閥之液體供給裝置
SE522138C2 (sv) Pump
US20080118376A1 (en) Translational displacement pump and bulk fluid re-supply system
CN111097082A (zh) 输送计量器及输液装置
KR102171148B1 (ko) 모노펌프 타입 액체정량토출장치
US3120811A (en) Fluid injector pump
KR20220106533A (ko) 토출량 가변형 공압식 액체 디스펜서
US11499539B2 (en) Diaphragm pump
US20220048063A1 (en) Plural material dispensing system
CN212016360U (zh) 输送计量器及输液装置
JP2009007980A (ja) 液体吐出装置
KR102355756B1 (ko) 스프레이건
CN216691365U (zh) 一种计量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