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594A - 조직 겸자 - Google Patents

조직 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594A
KR20200039594A KR1020190122975A KR20190122975A KR20200039594A KR 20200039594 A KR20200039594 A KR 20200039594A KR 1020190122975 A KR1020190122975 A KR 1020190122975A KR 20190122975 A KR20190122975 A KR 20190122975A KR 20200039594 A KR20200039594 A KR 2020003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ase
branch
forceps mechanism
bearing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드 로우저
Original Assignee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085Forceps, 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3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2Details of shaft characterized by features of the actuating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9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61B2018/145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having a moving blade for cutting tissue grasped by the j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10)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분기부(17)를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회 가능한 분기부(17)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22) 내로 삽입되는 베어링 인서트(24)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베어링 인서트(24)는 예를 들어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으로, 베이스(22)의 대응하는 구획(39) 내로 삽입되고, 예를 들어 멈춤쇠 작용으로 인하여 구획(39)에 고정된다. 베어링 인서트(24)는 베어링 인서트(24)의 베어링 부분(25, 26) 상에 배열된 원통형 저널(30, 31)들의 형태를 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28, 29)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부분들은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 플레이트들의 형태를 가진다. 2개의 저널(30, 31)은 분기부(17)의 대응하는 개구(45, 46)와 맞물리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저널(30, 31)들의 단부측 사이에 남아있는 거리(A)는 예를 들어 절단 나이프와 같은 기타 요소의 배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 겸자{TISSUE FORCEPS}
본 발명은 특히 복강경 수술 기구로서 실시예에서 조직 겸자 또는 유사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공보 EP 2 959 854 A1은 복강경 수술 기구로서 구성된 조직 겸자를 개시하고, 상기 겸자는 세장형 샤프트의 원위 단부 상에 2개의 분기부를 가지는 도구를 가지며, 조직은 분기부 사이에서 파지되어 응고되고 선택적으로 절단된다. 분기부들 중 하나가 샤프트에 견고하게 연결되지만, 다른 분기부는 후자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크로스 핀(cross pin)은 분기부를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하며, 상기 크로스 핀은 가동 가능한 분기부의 근위 단부를 수용하는 베이스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가동 가능한 분기부의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된다.
조직 겸자 또는 조직 가위에서, 2개 또는 2개의 분기부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한 회전 조인트의 구성은 종종 크로스 핀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관련된 전형적인 예는 US 2005/0113826 A1, EP 1 958 583 A2, WO 00/47124, US 2011/0257680 A1, US 2005/0159745 A1, US 2002/0115997 A1, GB 2 470 314 B, US 8,394,094 B2, US 6,113,598, US 2011/0082494 A1, US 2013/0085516 A1, DE 10 2006 062 848 B4, US 6,585,735 B1, US 2002/0143358 A1, US 2003/0216733 A1, WO 2008/040483 A1, 뿐만 아니라 US 2004/0044363 A1로부터 배울 수 있다.
또한, 크로스 핀에 의해 각각 이격된 지점에서 겸자형 기구의 2개의 분기부를 지지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공보 CN 101779979 B뿐만 아니라 EP 2 845 548 B1이 예로서 언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2개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분기부가 베이스 상에 개별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러한 경우에, 2개의 베어링 지점 사이의 공간이 존재하며, 나이프는 이러한 공간을 통해 폐쇄 상태에서 2개의 분기부에 의해 한정된 슬릿에 삽입될 수 있다.
크로스 핀이 하나 또는 두 분기부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면, 이러한 크로스 핀은 분기부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다른 요소를 방해한다. 이러한 요소는 예를 들어 겸자 기구의 원위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겸자 기구의 영역에서 지지되는 나이프일 수 있다. 그러나, 분기 지지부가 단면의 중심에서 벗어나 나이프 또는 다른 요소를 위한 경로가 명확하면, 이러한 것은 기기의 전체 단면의 확장에 기여하고, 그러므로 기기의 슬림화(slimming)를 막는다.
공보 US 6,656,177 B2는 서로 정렬되어 있는 2개의 저널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의 선회 가능한 분기부를 가지는 소작 겸자(cauterizing forcep)를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각각 고정 분기부의 근위 단부에 각각 측 방향으로 안착된다. 2개의 저널의 각각의 지름은 작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저널들은 적절한 전단 저항성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림하고 동시에 견고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직 겸자에 대한 개념을 기술하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제조가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조직 겸자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는 2개의 분기부를 가지며,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선회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홀딩되어서, 분기부들이 그 사이에서 조직을 파지하여 압축할 수 있다.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함께 베어링 핀을 형성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베이스는 분기부를 지지하는데 적합하다. 2개의 베어링 요소의 단부측은 서로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 서로의 사이에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 가능한 분기부는 이러한 베어링 요소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2개의 측면에서 제2 분기부 상에 제공되는 2개의 개구 내로 연장될 수 있도록 두 베어링 요소를 통해 연장된다. 2개의 개구는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며, 바람직하게 원형 단면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2개의 베어링 요소는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원형 단면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2개의 베어링 요소는 저널로서, 바람직하게 원통형 저널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장치는 그 단면에 대해 대략 중앙에 배열될 수 있는 조인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중심 배열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절단 나이프 등과 같은 베이스의 중심을 통과하는 요소들을 제공하는 옵션이 있다. 이와 관계없이, 제조가 저렴하고 조립이 용이한 적은 수의 구성 요소만을 요구하는 공간 절약형의 견고한 베어링 구조물이 생성된다.
베어링 구조물이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베어링 인서트 상에 제공될 때, 상기 배열은 특히 조립이 용이하다. 베어링 인서트는 바람직하게 선회축에 대해 폭 방향으로 베이스 내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에 스냅 끼움된다는 점에서, 포지티브-잠금 연결이 베이스에 대한 연결에 특히 적합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 베이스 및 베어링 인서트는 적절한 멈춤쇠 구조물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베이스에서 베어링 인서트의 고정 지지를 위해 연결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가이드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요소들의 가이드 방향은 선회축에 대해 폭 방향으로 배향된다. 예를 들어, 베어링 인서트는 베이스 상에 제공된 매칭 그루브들과 관련된 돌출부, 예를 들어 프리즘형 돌출부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그루브들은 베이스에 제공된 수용 구획의 대향 배열 벽들에 배열되며, 상기 구획은 베이스를 통해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획은 제2 분기부를 연장시킬 수 있는 제1 윈도우와, 베어링 인서트를 수용 구획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제2 윈도우를 모두 가진다.
베어링 인서트는 2개의 거울 대칭으로 성형 부분, 특히 사출 성형된 부분으로,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성형 부분들은 그 사이에 제2 분기부를 홀딩한다. 또한, 2개의 성형 부분은 스트립, 벽, 저널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그러므로 일체형 사출 성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간단한 제조 및 간단한 조립을 초래한다. 2개의 성형 부분의 각각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플레이트는 장착된 상태에서 분기부의 한쪽 측면에 접하고, 베어링 요소를 분기부의 개구 내로 연장시킨다. 그러므로, 베어링 인서트는 이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기부의 선회 베어링의 일부이며 베이스에 대한 분기부의 안전한 전기 절연을 수행하며, 베이스는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다른 분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백 볼트의 전압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는 PEEK 또는 LCP이다. PPA(폴리프탈아미드),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PAI(폴리아미드 이미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에서, 2개의 저널로 구성된 베어링 액슬(bearing axle)은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저널 사이에는 통로가 남기 때문에, 나이프들 또는 공급 라인들을 통과하기 위한 룸이 있다. 저널들은 매우 큰 지름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므로 큰 베어링 힘의 흡수, 그러므로 기구의 분기부들 사이의 큰 접촉력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저널들은 적어도 선회 방향으로 측정될 선회 가능한 분기부의 높이만큼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큰 저널 단면 표면, 그러므로 높은 최대 베어링 응답력은 그 전단 강도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저널을 과도하게 변형시킴이 없이 달성된다.
베어링 인서트에서 선택된 가이드 구조물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베어링 인서트의 2개의 측면에 구성된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돌출부들은 겸자 기구가 폐쇄될 때 힘의 방향을 가리키는 예각의 모서리를 가진다. 아울러, 각각의 돌출부의 상부측은 약간 둥글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에서 베어링 인서트의 단단한 홀딩이 지원될 수 있다. 표면의 라운딩은 베어링 인서트가 확실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분기부가 폐쇄될 때 베이스에서 베어링 인서트를 홀딩하는 멈춤쇠 배열로부터 압력을 취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성은 베어링 인서트가 그 시트 내로 가압되는 것으로, 입구 부분이 폐쇄될 때 베어링 응답력으로 인하여 자체 클램핑을 유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 15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겸자 기구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 예를 들어 세장형의 평탄 부분의 형태를 하는 사출 성형 부분으로서 초기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베어링 부분들과 연결 스트립은 초기에 서로에 대해 공통 평면 또는 경사 각도로 배열된다.
그 후에, 베어링 부분들은 연결 스트립을 구부리거나 제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에 의해 2개의 평행하고 이격된 평면 내로 이동된다. 지지될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베어링 부분들 사이에 배열되어, 베이스의 구획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악한 실시예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 및 도면의 요지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의 개략적인 개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의 원위 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겸자 기구의 개별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겸자 기구의 밑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의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겸자 기구에 작용하는 힘의 스케치 표현,
도 7은 그 베어링 장치의 영역에서 절단되고 단순화된 겸자 기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의 다른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조립된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를 위한 베어링 인서트의 사시도,
도 10은 제조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를 위한 베어링 인서트의 외부를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베어링 인서트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은 그 단부에서 소작 겸자(12)를 지지하는 샤프트(11)를 가지는 복강경 수술 기구의 일례로서 여기에 도시된 겸자 기구(10)를 도시한다. 그 근위 단부에서, 샤프트(11)는 손잡이(14) 및 작동 요소(15)를 가지는 하우징(13)에 의해 지지된다. 작동 요소는 소작 겸자(12)를 작동시키는데 적합하다. 소작 겸자(12)는 2개의 분기부, 즉 제1 분기부(16) 및 제2 분기부(17)를 포함하고, 이러한 경우에, 분기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 사이에 파지된 조직을 응고시키기 위해 HF 전류를 받을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 겸자 기구(10)는 케이블(18)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발전기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의 겸자 기구(10) 대신에, 2개의 분기부(16 및 17)를 포함하며,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분기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다른 기구를 또한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사용 범위는 샤프트가 있든지 없든지 개방 수술 적용, 복강경 수술 기구뿐만 아니라 내시경 사용을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사용 범위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분기부(16, 17)를 구비한 기구뿐만 아니라, 클램핑 및 절단을 위한 기계적인 기능만을 가지며 전류의 인가에 의해 활성화될 수 없는 분기부들을 구비한 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 범위는 나이프가 없는 기구뿐만 아니라 분기부(16, 17)들 내에서 또는 그 위에서 이동될 절단 디바이스, 예를 들어 나이프를 가지는 기구뿐만 아니라 나이프가 없는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용 범위는 또한 고정 나이프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대전된 절단 전극들을 가지는 겸자 기구를 포함한다.
도 2는 소작 겸자(12)의 확대도이다. 제1 분기부(16)는 제2 분기부(17)와 대면하는 조직 접촉 표면(19)을 가지며, 상기 접촉 표면(19)은 예를 들어 평탄하다. 바람직하게, 조직 접촉 표면(19)은 케이블(18)을 통해 전압 및 전류가 공급되기 위해 전기 전도성이다. 분기부(16)는 직선일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측면으로 굽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접촉 표면(19)에서 세장형 슬릿(2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세장형 슬릿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단 나이프를 가이드하는데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제2 분기부(17)에는 제1 분기부(16)와 대면하는 측면에 조직 접촉 표면이 제공되며, 상기 표면은 바람직하게 평탄하다. 2개의 분기부(16, 17)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윤곽을 가져서, 제2 분기부(17)가 제1 분기부(16) 위로 접힐 때 이러한 것들이 서로 2개의 조직 접촉 표면(19, 21)과 만나 일치할 것이다. 또한, 제2 분기부(17)에는 나이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직 접촉 표면(21)은 전기 전도성이고, 예를 들어 케이블(18)을 통해 발생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2로부터 추가로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분기부(16, 17)는 샤프트(11)의 원위 단부에 배열된 베이스(22) 상에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제1 분기부(16)는 바람직하게 베이스(22)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기부는 베이스(22)의 연장부일 수 있어서, 제1 분기부(16) 및 베이스(2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부분을 형성한다.
제2 분기부(17)는 샤프트(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폭 방향으로 배향된 선회축(23)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베이스(22)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선회축은 대략 중앙에, 즉, 베이스 단면의 지름 상에 위치된다.
특히 도 3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체형 또는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는 베어링 인서트(24)는 제2 분기부(17)의 선회 가능한 지지에 적합하고, 예를 들어, 2개의 거울 대칭(또는 다르게 구성된) 베어링 부분(25, 26)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들은 별도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도 3에 숨겨져 있고 예를 들어 우측 하단에 배치되는 스트립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연결부는 2개의 베어링(25, 26)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최소로 튀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인서트(24)는, 2개의 베어링 부분(25, 26)과 관련되고 분기부(16, 17)와 별도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사출 성형 부분이다. 그러나, 사출 성형에 의해 분기부(16, 17)들 중 하나에 베어링 인서트를 직접 부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2개의 베어링 부분(25, 26)의 각각은 바람직하게 추가적인 구조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섹션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베어링 구조물(27)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은 2개의 베어링 요소(28, 29)와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요소(28)는 베어링 부분(25)의 하나의 평탄 측면으로부터 다른 베어링 부분(26)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저널(30)이다. 마찬가지로, 베어링 요소(29)는 바람직하게 베어링 요소(26)로부터 베어링 요소(25)로 연장되는 저널(31)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2개의 저널(30, 31)은 특히 도 7로부터 명백한 거리(A)를 그 사이에 포함하는 원통형 저널이다. 그러나, 그 단부측 또는 단부측들에 제공된 돌출부들과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저널(30, 31)들의 길이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저널의 지름은 바람직하게 1 mm 내지 3 mm의 범위이다. 이러한 비교적 큰 지름 때문에, 베어링 인서트(2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시에, 특히 겸자 도구의 특히 슬림한 설계가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힌지 영역은 예를 들어 5 mm 내지 5.7 mm의 비교적 작은 지름을 가진다.
베어링 부분(25, 26)은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면에 연결 구조물(32)에 속하는 가이드 요소(33, 34)들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돌출부(35, 36)는 바람직하게, 그 평행한 측면에서 범위가 정해지고 평면도로 볼 때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프리즘형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들은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으로 베이스(22) 상의 대응하는 그루브(37, 38)들 내로 끼워진다. 그루브(37, 38)들은 서로 대면하는 구획(39)의 벽들 상에 형성되며(도 7과 함께 도 3), 베어링 인서트(24)는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으로 그 구획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하도록, 구획(39)은 제2 분기부(17)가 그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윈도우(40), 및 베어링 인서트(24)가 관통하여 구획(39)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하부 윈도우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평면도에서, 구획(39)은 베이스(22)를 통해 대략 직사각형 통로 개구를 형성한다. 2개의 돌출부(35, 36)의 측면은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으로 배향되고, 그러므로 그루브(37, 3)과 함께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이고 샤프트(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방향(F)을 한정한다. 도 3 및 도 7에서, 이러한 가이드 방향(F)은 명료성을 위해 화살표로만 표시되어 있다. 다른 가이드 방향이 가능한다.
제2 분기부(17)는 그 근위 단부에 서로 평행한 2개의 벽 섹션(43, 44)을 포함할 수 있는 힌지 섹션(42)을 가지며; 이러한 경우에, 2개의 평행한 벽 섹션(43, 44)의 각각에는 개구(45, 46)들이 제공되며, 개구(45, 46)들은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2개의 개구(45, 46)의 지름은 바람직하게 2개의 원통형 저널(30, 31)의 지름보다 극히 약간 클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핀(30, 31)들 및 개구(45, 46)들의 배열은 바람직하게 베이스(21)의 단면의 중심(M)이 개구(45, 46)들에 의해 한정된 원통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7에 따른 예에서, 중심(M)은 선회축(23) 상에 대략적으로 위치되며, 그러나, 이러한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조건(중심(M)이 개구(45, 46)들에 의해 한정된 실린더 내에 위치되는) 내에서 선회축(23)에 대한 중심(M)의 오프셋의 경우에, 분기부(17)의 선회 베어링에 대해 얇고 견고하며 조립이 용이한 설계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구조물(32)은 추가 돌출부들, 예를 들어 멈춤쇠 돌출부들이 돌출부(35, 36) 상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멈춤쇠 배열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돌출부들은 그루브(37, 38)들의 오목부에 맞물린다. 대안적으로, 멈춤쇠 돌출부(48, 49)들은 원칙적으로 도 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분(25, 26)의 다른 위치에서 멈춤쇠 배열(47)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 돌출부(48, 49)들은 예를 들어, 구획(19)의 상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것들과 같은 대응하는 멈춤쇠 오목부(50, 51)들과 결합될 수 있다. 조립을 위하여, 분기부(17)는 초기에 그 저널(30, 31)들이 개구(45, 46)들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베어링 부분(25, 26) 사이에 배열된다. 그 후, 베어링 부분(25, 26)은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이러한 배열은 멈춤쇠 돌출부(48, 49)들이 오목부(50, 51)들 내로 스냅 결합될 때까지 저부로부터 방향(F)으로 구획(39) 내로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돌출부(35, 36)들은 그 각각의 상부 모서리들이 관련 그루브(37, 38)들의 예각의 모서리에 부딪칠 때까지 가이드 방향(F)으로 그루브(37, 38)에서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그루브(37, 38)의 점선 윤곽 상의 이러한 상부 모서리(52)를 도시한다. 이렇게 하여, 점선(52')은 돌출부(35 및/또는 36)의 적어도 바람직하게 둥근 상부면 또는 표면을 도시한다.
분기부(17)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53)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작동 로드는 크로스 핀(54)을 통해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적절한 결합 개구(55)를 가지는 분기부(17)에 연결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54)의 2개의 단부의 각각은 관찰자를 향하는 핀(54)의 단부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부(17)의 외부 표면 너머로 약간 돌출될 수 있다. 베어링 부분(26)(뿐만 아니라 도 4에 숨겨진 베어링 부분(25))은 분기부(17)의 두 단부 위치에서 핀(54)의 단부를 위한(즉, 완전 개방뿐만 아니라 완전 폐쇄 상태에서) 포켓(56, 57)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포켓은 그 길이 방향(즉, 선회축(23)에 평행한)에 대해 상기 핀을 고정한다. 결과적으로, 작동 동안 핀(54)의 우연한 손실은 가능하지 않은 동시에, 완전 폐쇄 위치와 완전 개방 위치 사이의 분기부(17)의 중간 위치에서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겸자 기구(10)의 기능 및 운동학에 관해, 점선으로 표시된 가이드 요소(33 및 34)의 이미 언급된 윤곽선 외에, 저널(33, 31)들의 공통 원형 윤곽선을 도시한도 6을 참조하며, 상기 저널들은 선회축(23)에 대해 동심이다. 결과적으로, 핀(54)의 중심에 대해 작동력(FB)으로 당겨져 작동로드(53)와 접촉할 수 있는 레버 아암(58)이 거기에서 유발된다. 그러므로, 도 6에만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기부(17)는 분기부(16)를 향한 방향으로 편향된다. 이렇게 하여, 베어링 응답력(FLR)은 저널(30, 31)들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며, 상기 힘의 방향은 화살표 및 화살표 방향으로 그려진 쇄선(59)에 의해 도 6에서 도시된다. 이러한 베어링 응답력(FLR)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대략 모서리(52)의 방향을 가리켜서, 쇄선(59)은 이러한 모서리를 통해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베어링 인서트(24)를 설정하고, 멈춤쇠 디바이스(47)를 완화시키는 것이 전체적으로 가능하여서, 분기부(16, 17)들에 큰 힘을 가하더라도, 베어링 인서트(24)가 그 설치된 위치에서 적절하게 머무르는 것을 보장한다.
도 8은 겸자 기구(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 구조 및 기능에 관련하여, 특히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설명에 대한 초기 참조가 만들어진다. 도 8에 따른 겸자 기구(10)의 경우에, 베어링 인서트(24)와 분기부(17) 사이에, 본 명세서에서, 저널(30, 31)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오목부에 의해 예시적으로 형성된 회전 각도 제한 디바이스(60)가 효과적이다. 이러한 오목부는 개구(45, 46)들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돌출부(61)와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저널(30, 31)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부에서 제한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 결과, 분기부(17)의 최대 선회 각도는 제한된다.
도 9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부분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는 베어링 인서트(24)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베어링 인서트와 동일한 기능 및/또는 구조를 가지는 이러한 베어링 인서트(24)의 요소들은 도 9에 이미 소개된 도면 부호를 가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이 도 9에 따른 베어링 인서트(24)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베어링 인서트(24)는 그 설치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베어링 부분(25, 26)들은 이격된 평면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다. 2개의 베어링 부분(25, 26)을 하나의 조각으로 연결하는 스트립(62)은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 하에서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도 10 및 11은 제조 후에, 예를 들어 사출 몰드로부터 제거된 직후에 신장된 위치에 있는 베어링 인서트(24)를 도시한다. 베어링 인서트는 이러한 몰드에서 용이하게 취급되고 보관할 수 있다. 겸자 기구에 설치하기 전에, 베어링 인서트는 도 9에 따른 형태로 변환된다. 회전 각도 제한 디바이스(60, 60')로서 작용하도록, 저널(30, 31)들은 그 단부 측에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저널(30, 31)들은 중공일 수 있으며 및/또는 추가적인 구조를 보일 수 있다.
돌출부(35, 36)들은 실축형이거나 또는 그 외부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들은 예를 들어 구획(39)에서의 구조와의 상호 잠금을 달성하기 위해 그루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겸자 기구(10)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분기부(17)의 지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회 가능한 분기부(17)를 지지하기 위해베이스(22) 내로 삽입되는 베어링 인서트(24)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도록, 베어링 인서트(24)는 예를 들어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으로, 베이스(22)의 대응 구획(39) 내로 삽입되고, 예를 들어 멈춤쇠 작용으로 인하여 구획(39)에서 고정된다. 베어링 인서트(24)는 예를 들어 서로 접촉함이 없이 베어링 인서트(24)의 베어링 부분(25, 26)에 배열되는 원통형 저널(30, 31)들의 형태를 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28, 29)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부분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 플레이트들의 형태를 가진다. 2개의 저널(30, 31)은 분기부(17)의 대응하는 개구(45, 46)들과 맞물리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저널(30, 31)들의 단부측 사이에 남아 있는 거리(A)는 예를 들어 절단 나이프와 같은 기타 요소의 배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0 : 겸자 기구 11 : 샤프트
12 : 소작 겸자 13 : 하우징
14 : 손잡이 15 : 작동 요소
16 : 제1 분기부 17 : 제2 분기부
18 : 케이블 19 : 조직 접촉 표면
20 : 세장형 슬릿 21 : 조직 접촉 표면
22 : 베이스 23 : 선회축
24 : 베어링 인서트 25, 26 : 베어링 부분들
27 : 베어링 구조물 28, 29 : 베어링 요소들
30, 31 : 저널들
A : 핀(30, 31)들로부터 단부측들의 거리 32 : 연결 구조물
33, 34 : 가이드 요소들 35, 36 : 돌출부들
37, 38 : 그루브들
39 : 베어링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
40 : 상부 윈도우 41 : 하부 윈도우
42 : 힌지 섹션 43, 44 : 벽 섹션
45, 46 : 가구
M : 원통형 베이스(22)의 단면의 중심 47 : 멈춤쇠 디바이스
48, 49 : 멈춤쇠 돌출부들 50, 51 : 오목부들
52 : 모서리 52' : 돌출부(35, 36)의 상부측
53 : 작동 로드 54 : 핀
55 : 결합 개구
56, 57 : 핀(54)을 고정하기 위한 포켓 58 : 레어 아암
FB : 작동력 FLR : 베어링 응답력
59 : 쇄선
60, 60' : 회전 각도 제한 디바이스 61 : 돌출부
62 : 스트립

Claims (15)

  1. 베이스(22) 상에 홀딩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제1 분기부(16),
    선회축(23)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22) 상에 홀딩되는 제2 분기부(17)를 가지며,
    상기 제2 분기부(17)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하여,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함께 분할된 베어링 저널을 형성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28, 29)를 가지는 베어링 구조물(27)이 제공되는, 생물학적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겸자 기구(10)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물(27)은 상기 베이스(22)에 연결된 베어링 인서트(24)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는 상기 베이스(22)에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의 고정 지지를 위한 연결 구조물(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는 상기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22)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베어링 인서트(24)을 위한 수용 구획(39)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제2 분기부(17)를 위한 위한 제1 윈도우(40), 및 상기 수용 구획(39) 내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의 삽입을 위한 제2 윈도우(4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는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 베어링 부분(25, 26)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구조물(27) 및 상기 연결 구조물(32)이 그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동축으로 배열된 2개의 베어링 요소(28, 29)는, 서로 대면하고 그 사이에 거리(A)를 한정하는 저널(30, 31)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부(17)는 서로 멀어지게 향하는 2개의 측면 상에, 선회 베어링으로서 작용하는데 적합한 2개의 동축으로 배열된 개구(45, 4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 베어링 요소(28, 29)들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으로 배열된 베어링 요소(28, 29)들은 선회 각도 제한 장치(60, 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는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 PEEK 또는 LCP 또는 또한 PPA, PPS, PAI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부(17)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2개의 측면 상에,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 2개의 원형 개구(45, 46)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들의 각각은 상기 회전 각도 제한 디바이스(60, 60')와 상호 작용하는데 적합한 반경 방향 내향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면들 상에 가이드 요소(33, 34)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요소들은 상기 베이스(22)에 형성된 보완적인 구조물과 함께, 상기 선회축(23)에 대해 폭 방향으로 배향된 가이드 방향(F)을 한정하며, 상기 가이드 요소(33, 34)들은 바람직하게 다각형으로 범위가 정해진 돌출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는 예각의 모서리(52)를 가지며, 상기 예각의 모서리는 폐쇄된 겸자 기구(10)와 함께, 폐쇄된 입구 부분을 가지는 그 기하학적 구성으로 인하여 힘의 하나의 방향으로 자체 클램핑으로 이어지기 위하여 힘(FLR)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서트(24)와 상기 베이스(22) 사이에서 작용하는 멈춤쇠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기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겸자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물(27)은 초기에 베어링 부분(25, 26)들 및 연결 스트립(62) 모두가 공통의 평면에 배열되는 신장된 부분의 형태로 제공되며,
    그 결과, 상기 베어링 부분(25, 26)은 2개의 평행하고 이격된 평면 내로 이동되는 반면에, 상기 연결 스트립은 굽어지거나, 제거되거나 또는 차단되며,
    그 결과, 상기 베어링 구조물(27)은 구획(39)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0122975A 2018-10-05 2019-10-04 조직 겸자 KR20200039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98761.1A EP3632354B1 (de) 2018-10-05 2018-10-05 Gewebezange
EP18198761.1 2018-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94A true KR20200039594A (ko) 2020-04-16

Family

ID=6378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975A KR20200039594A (ko) 2018-10-05 2019-10-04 조직 겸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97542B2 (ko)
EP (1) EP3632354B1 (ko)
JP (1) JP7372807B2 (ko)
KR (1) KR20200039594A (ko)
CN (1) CN111000618B (ko)
BR (1) BR102019019970A2 (ko)
PL (1) PL3632354T3 (ko)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476A (en) 1988-03-28 1989-03-28 Cordis Corporation Biopsy forceps with locking handle
US5190541A (en) 1990-10-17 1993-03-02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CA2106039A1 (en) 1992-09-23 1994-03-24 David A. Nicholas Surgical biopsy forceps apparatus
DE19515914C1 (de) 1995-05-02 1996-07-25 Aesculap Ag Zangen- oder scherenförmiges chirurgisches Instrument
CN2273640Y (zh) * 1996-05-09 1998-02-04 刘培根 一种改良的附钳夹之剪刀
AU2769399A (en) 1998-02-17 1999-08-30 James A. Baker Jr. Radiofrequency medical instrument for vessel welding
US6585735B1 (en) 1998-10-23 2003-07-01 Sherwood Services Ag Endoscopic bipolar electrosurgical forceps
US6174309B1 (en) 1999-02-11 2001-01-16 Medical Scientific, Inc. Seal & cut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6953461B2 (en) 2002-05-16 2005-10-11 Tissuelink Medical, Inc. Fluid-assisted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6656177B2 (en) 2000-10-23 2003-12-02 Csaba Truckai Electrosurgical systems and techniques for sealing tissue
WO2002064020A2 (en) 2001-02-13 2002-08-22 Lumen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dissection of vascular occlusions
US7131977B2 (en) 2002-08-27 2006-11-07 Pilling Weck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clip
US7931649B2 (en) 2002-10-04 2011-04-26 Tyco Healthcare Group Lp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electrical cutting mechanism
US7276068B2 (en) 2002-10-04 2007-10-02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electrical cutting mechanism
US7632269B2 (en) 2004-01-16 2009-12-15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replaceable cartridge
DE102004013530B4 (de) * 2004-03-19 2011-02-17 Sutter Medizintechnik Gmbh Bipolare Koagulationszange
DE102004040959B4 (de) * 2004-08-24 2008-12-24 Erbe Elektromedizin Gmbh Chirurgisches Instrument
DE102006062848B4 (de) 2006-06-14 2013-01-31 Karl Storz Gmbh & Co. Kg Chirurgische Greifzange
EP2077774B1 (de) 2006-10-05 2014-09-10 Erbe Elektromedizin GmbH Rohrschaftinstrument
DE202007009165U1 (de) * 2007-06-29 2007-08-30 Kls Martin Gmbh + Co. Kg Chirurgisches Instrument
US8758342B2 (en) * 2007-11-28 2014-06-24 Covidien Ag Cordless power-assisted medical cauterization and cutting device
GB0804688D0 (en) 2008-03-13 2008-04-16 Gyrus Group Plc Surgical instrument
DE102009049401B4 (de) 2009-08-20 2023-09-28 Erbe Elektromedizin Gmbh Elektrochirurgische Zange
US8512371B2 (en) 2009-10-06 2013-08-20 Covidien Lp Jaw, blade and gap manufacturing for surgical instruments with small jaws
CN101779979B (zh) 2010-01-08 2013-01-02 瑞奇外科器械(中国)有限公司 全纵向超声外科手术系统
US20110257680A1 (en) 2010-04-20 2011-10-20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Forceps Including Pulley Blade Reverser Mechanism
US8864795B2 (en) 2011-10-03 2014-10-21 Covidien Lp Surgical forceps
US9301798B2 (en) * 2012-07-19 2016-04-05 Covidien Lp Surgical forceps including reposable end effector assemblies
EP2845548B1 (de) 2013-09-10 2016-11-16 Erbe Elektromedizin GmbH Chirurgisches Instrument mit schwenkbaren Branchen
PL2959854T3 (pl) 2014-06-25 2018-07-31 Erbe Elektromedizin Gmbh Instrument chirurgiczn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9019970A2 (pt) 2020-04-14
PL3632354T3 (pl) 2022-11-07
CN111000618B (zh) 2023-09-01
JP7372807B2 (ja) 2023-11-01
RU2019130405A (ru) 2021-03-26
EP3632354A1 (de) 2020-04-08
CN111000618A (zh) 2020-04-14
US11497542B2 (en) 2022-11-15
EP3632354B1 (de) 2022-08-31
JP2020096791A (ja) 2020-06-25
US20200107873A1 (en)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4999B2 (ja) 生体組織の把持、切開および/または凝固用器具
US20210015544A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CN107252348B (zh) 用于组织切割和封合的设备
JP6122210B2 (ja) 脱毛器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脱毛器
EP1883358A1 (en) A surgical instrument
US7204836B2 (en) Instrument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JP2012210420A (ja) 開放血管封止鉗子使い捨て可能ハンドスイッチ
EP2105268A2 (en) Hair brush with a thinning function
US20200214734A1 (en) Surgical instruments and jaw members thereof
US11666376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KR20200039594A (ko) 조직 겸자
JP6023768B2 (ja) 改良型ツール搭載器具
RU279553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щипцовый инструмент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в нем опорной структуры
CN111035448B (zh) 电外科夹钳
CN217430153U (zh) 夹持机构及手术机器人
EP3884896B1 (en) Electrosurgical forceps for grasping, treating, and/or dividing tissue
JP2021171653A (ja) 外科用器具のための駆動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