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611A -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 Google Patents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611A
KR20200038611A KR1020180118035A KR20180118035A KR20200038611A KR 20200038611 A KR20200038611 A KR 20200038611A KR 1020180118035 A KR1020180118035 A KR 1020180118035A KR 20180118035 A KR20180118035 A KR 20180118035A KR 20200038611 A KR20200038611 A KR 2020003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board
post
support
guid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김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구 filed Critical 김상구
Priority to KR102018011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8611A/en
Publication of KR2020003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asketball post with a foldable b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ketball post with a foldable backboard comprises: a post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fix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fixing frame disposed on an upper part; the backboard rotationally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an end of the fixing frame and disposed to be folded and unfolde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fixing frame of the piston and folding and unfolding the backboard; a support unit installed in the post to be vertically elevated and supporting an unfolded state of the backboar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ly, the backboard is installed in a foldable structure to be maintained in the unfolded state in the daytime and be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from late night to dawn to limit use of the basketball post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thereby providing noise pollution disturbing a sound sleep in a residential area.

Description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Basketball hoop with folding backboard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본 발명은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스켓이 전면에 설치되는 백보드를 포스트에 접힘과 펼침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p having a foldable back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op having a foldable backboard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a baske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asket can be folded and unfolded on a post.

일반적으로, 농구는 공을 가지고 하는 구기종목의 하나로서 5명씩 이루어진 2개 팀이 볼을 패스하거나 드리블하면서 상대방의 바스켓에 던져 넣어 득점을 겨루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basketball is one of the ball games with a ball, and two teams of five players pass or dribble the ball and throw it into the opponent's basket to compete.

즉, 농구는 공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운동이며, 대중적인 운동으로 움직임이 활발하여 짧은 시간내에 많은 량의 칼로리를 소모시킬 수 있어 과다한 영양섭취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과체중 또는 비만을 방지하는데 가장 적합한 운동이다.In other words, basketball is an exercise that can be enjoyed anytime, anywhere with only one ball, and it is a popular exercise, so it can be used to burn a large amount of calories in a short time. It is a suitable exercise.

이러한 농구에 사용되는 농구대의 일반적인 구조는, 포스트와, 백보드 및 바스켓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스트의 경우에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general structure of the hoop used for such a basketball is composed of a post, a backboard and a basket, and in the case of a post,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or installed to be movable.

한편, 농구대는 많은 사람들이 농구를 수시로 즐길 수 있도록 학교 운동장이나 주택가가 밀집된 공원 등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hoops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school playground or a park with a lot of residential areas so that many people can enjoy basketball from time to tim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농구대는 백보드가 포스트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심야에서 새벽으로 이어지는 특정 시간에 농구를 즐기는 사람들로 인하여 주택가에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hoop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backboar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ost,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 complaints are caused in the residential area due to people enjoying basketball at a specific time leading from late at night to dawn. .

즉, 공이 백보드에 부딪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심한 소음공해를 발생시켜 특정 시간에 주택가의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In other words, it causes severe noise pollution due to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ball hits the backboard, which is acting as a factor that hinders a good night's sleep at a specific time.

이에 따라, 백보드를 포스트에 접이식 구조로 설치하여 주간에는 농구대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심야에서 새벽까지 이어지는 특정 시간에는 농구대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 basketball hoop with a foldable backboard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post in a folding structure to enable the use of a hoop during the daytime, and to limit the use of the hoop at specific times from late night to dawn. hav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5790호(2018년06월01일)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65790 (June 1, 2018) 대한민국 등록특호공보 제10-1664898호(2016년10월05일)Korea Registered Special Publication No. 10-1664898 (October 05, 201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바스켓이 전면에 설치되는 백보드를 포스트에 접이식 구조로 설치하여 심야에서 새벽으로 이어지는 특정 시간에 농구대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able backboard capable of limiting the use of a hoop at a specific time leading from late at night to dawn by installing a backboard in which the basket is installed on the front in a 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고정프레임이 마련되는 포스트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힘과 펼침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백보드와, 상기 포스트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를 접힘과 펼침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포스트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의 펼침상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에 의해 달성된다.The technical problem is a fixed length of the post is formed on the ground, a fixed frame is provided on the upper post, a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and a backboard provided to be folded and unfolded, and It is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of the post,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to fold and unfold the back board, the post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is provided to support the unfolding state of the back board, and the driving unit It is achieved by a hoop having a folding back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상기 구동부는, 와이어를 갖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와이어통로에 설치된 중계롤러를 매개로 상기 백보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having a wire, and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backboard via a relay roller installed in a wire passage of the fixed frame.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간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공간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백보드의 펼침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art is formed to be guided along a guide space formed inside the post,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guide space to elastically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and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rame tha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on the post to support the unfolded state of the backboard.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공간 상에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측면에 다수의 롤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llers are coupled to the side so as to slide guide on the guide space.

상기 백보드는 하단부에 반구 형상의 슬라이드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부에는 상기 백보드의 슬라이드곡면과 점접촉되는 안내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백보드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 방향으로 접힘 동작되는 경우 상기 안내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백보드의 회전에 따라 하강되며, 상기 백보드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에 의해 복원되도록 펼침 동작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백보드의 회전에 따라 하강된 후 백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board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slide curved surface at the lower end, and a guide curved surface in point contact with the slide curved surface of the backboar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backboard is operated to be folded in the fixed frame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In the case of sliding guide along the guide curved surface, the support frame desce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ckboard, and when the backboard is expanded to be restored by the operating unit in a folded state, the support frame desce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ckboard After being restor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restored by the elastic member to support the backboar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보드를 특정 시간의 시작과 종료 시점에 접힘과 펼침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타이머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가 완전히 접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근접센서와, 그리고 상기 백보드가 완전히 펼침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위치신호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timer formed to be able to fold and unfold the backboard at the start and end times of a specific time, and is installed under the fixed frame and detects when the backboard is completely folded to generate a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ximity sensor to be formed, and a limit switch formed to detect a position signal of the support when the backboard is fully extended.

상기 특정 시간은, 심야에서 새벽까지 이어지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cific time is characterized by being a time leading from late at night to dawn.

본 발명에 의하면, 백보드가 포스트에 접이식 구조로 설치되어 주간에는 펼침 상태로 유지되고 심야에서 새벽까지 이어지는 특정 시간에는 접힘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특정 시간에 농구대의 사용을 제한하여 주택가의 숙면을 방해하는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board is installed in a foldable structure on the post, so that it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during the daytime and in a folded state at a specific time from late night to dawn, thereby limiting the use of the hoop at a specific time to prevent a good night's sleep. It has a useful effect to prevent noise pollu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ing b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able b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of the hoop having a folding b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use state diagram of a hoop having a folding ba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와, 백보드(20)와, 구동부(40)와, 지지부(50)와, 그리고 제어부(60)를 포함한다.The hoop having a foldable b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ost 10, the backboard 20, the driving unit 40, the supporting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60 ).

포스트(10)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포스트(10)는 본 발명에 따른 농구대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며, 백보드(20), 구동부(40), 지지부(50) 및 제어부(60)가 설치된다. 그리고 포스트(10)는 내부에 지지부(50)의 승강 동작을 위한 안내공간(12)이 형성된다.The post 10 is formed to have a fixed length and is provided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That is, the post 10 forms the main frame of the basketball h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ckboard 20, the driving unit 40, the supporting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60 are installed. And the post 10 is formed with a guide space 12 fo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50 therein.

또한, 포스트(10)의 상부에는 고정프레임(16)이 설치된다. 고정프레임(16)에는 구동부(40)의 와이어(44)가 통과될 수 있는 와이어통로(18)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6)은 백보드(20)의 접힘과 펼침 동작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a fixed frame 16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10. The fixed frame 16 is formed with a wire passage 18 through which the wire 44 of the driving unit 40 can pass. The fixed frame 16 serves to support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backboard 20.

백보드(20)는 고정프레임(16)의 선단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백보드(20)는 고정프레임(16)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힘과 펼침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백보드(20)는 하단부에 반구 형상의 슬라이드곡면(22)이 형성된다. 이러한 백보드(20)의 전면에는 공을 던져 넣어 득점할 수 있는 바스켓(30)이 설치된다.The backboard 20 is provided to be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tip of the fixed frame 16. That is, the backboard 20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16 via a hinge, and accordingly, the hinge is rotated around the hinge to be folded and unfolded. In addition, the back board 20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slide curved surface 22 at the lower end. A basket 30 capable of throwing a ball and scoring a score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board 20.

구동부(40)는 백보드(20)를 접힘과 펼침 동작시킬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6)에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구동부(40)는 와이어(44)를 갖는 구동모터(42)를 포함한다. 와이어(44)는 고정프레임(16)의 와이어통로(18)에 설치된 중계롤러(46)를 매개로 백보드(2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40)는 구동모터(42)의 작동시 와이어(44)의 당김과 풀림 작용에 의해 백보드(20)를 접힘과 펼침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The driving unit 40 is provided on the fixed frame 16 to allow the backboard 20 to be folded and unfolded. To this end, the driving unit 40 includes a driving motor 42 having a wire 44. The wire 44 is connected to the backboard 20 via a relay roller 46 installed in the wire passage 18 of the fixed frame 16.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40 is capable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backboard 20 by pulling and unwinding the wire 44 when the driving motor 42 is operated.

지지부(50)는 백보드(20)의 펼침 상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안내부재(52)와, 탄성부재(54)와, 그리고 지지프레임(56)을 포함한다.The support part 50 is provided to support the unfolded state of the backboard 20, and includes a guide member 52, an elastic member 54, and a support frame 56.

안내부재(52)는 포스트(10)의 안내공간(12)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안내부재(52)에는 측면에 다수의 롤러(53)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안내부재(52)는 안내공간(12) 상에서 롤러(53)에 의해 원활한 안내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member 52 is installed to be guided along the guide space 12 of the post 10. A plurality of rollers 53 ar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52, and accordingly, the guide member 52 can secure a smooth guide structure by the roller 53 on the guide space 12.

탄성부재(54)는 안내부재(52)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안내공간(12)에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54)는 백보드(20)의 접힘과 펼침 동작시 안내부재(52)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elastic member 54 is installed in the guide space 12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52. The elastic member 54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guide member 52 during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backboard 20.

지지프레임(56)은 백보드(20)의 펼침 상태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지지프레임(56)은 안내부재(5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 백보드(20)의 슬라이드곡면(22)과 접촉되는 안내곡면(58)이 형성된다. 즉, 지지프레임(56)은 백보드(20)의 펼침시 접촉 구조에 의해 백보드(20)를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frame 56 is installed to support the unfolded state of the backboard 20. To this end, the support frame 56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52, and a guide curved surface 58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lide curved surface 22 of the back board 20 at its tip. That is, the support frame 56 can support the backboard 20 to prevent flow by the contact structure when the backboard 20 is unfolded.

이러한 지지프레임(56)은 백보드(20)의 접힘과 펼침 동작시 접촉 구조에 의한 간섭에 따라 포스트(1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동작되는데, 이는 안내부재(52)와 탄성부재(54)에 의해 가능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frame 56 is moved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10 in response to interference by the contact structure during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backboard 20, which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52 and the elastic member 54 It becomes possible.

여기서 포스트(10)의 표면에는 안내슬릿(14)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56)은 안내슬릿(14)을 따라 안정적인 승강 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guide slit 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st 10, and the support frame 56 can be stab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it 14.

제어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타이머(62)와, 근접센서(64)와, 그리고 리미트스위치(66)를 포함한다.3, the control unit 6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 and includes a timer 62, a proximity sensor 64, and a limit switch 66.

타이머(62)는 백보드(20)를 특정 시간의 시작과 종료 시점에 접힘과 펼침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타이머(62)는 설정된 특정 시간의 시작과 종료 시점에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60)는 타이머(62)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4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특정 시간은 심야에서 새벽까지 이어지는 시간일 수 있다.The timer 62 is formed to be able to fold and unfold the backboard 20 at the start and end times of a specific time. That is, the timer 62 generates signals at the start and end times of a specific time set, and the controller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timer 62. At this time, the specific time may be a time leading from late at night to dawn.

근접센서(64)는 백보드(20)가 완전히 접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근접센서(64)는 고정프레임(16)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근접센서(64)는 백보드(20)가 구동부(40)의 동작에 따라 고정프레임(16) 방향으로 완전히 접힘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60)는 근접센서(64)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부(40)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The proximity sensor 64 is formed to sense a signal when the backboard 20 is completely folded and generate a signal. To this end, the proximity sensor 64 is installed under the fixed frame 16. The proximity sensor 64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the backboard 20 is completely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6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64 to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 is stopped.

리미트스위치(66)는 백보드(20)가 완전히 펼침되는 경우 지지부(50)의 위치신호를 검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리미트스위치(66)는 포스트(10)의 안내공간(12)에 설치된다. 이러한 리미트스위치(66)는 백보드(20)가 완전히 펼침되어 지지프레임(56)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안내부재(52)의 위치신호를 검출하고 제어부(60)는 리미트스위치(66)의 검출신호에 따라 구동부(40)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The limit switch 66 is formed to detect the position signal of the support 50 when the backboard 20 is fully unfolded. To this end, the limit switch 66 is installed in the guide space 12 of the post 10. The limit switch 66 detects the position signal of the guide member 52 when the backboard 20 is fully unfold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56, and the control unit 60 responds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imit switch 66.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 is stopped.

즉, 리미트스위치(66)는 백보드(20)가 지지프레임(56)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안내공간(12) 상에서 안내부재(52)와 접촉되므로, 백보드(20)가 완전히 펼침되는 경우에 구동부(4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지지부(50)의 위치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limit switch 66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52 on the guide space 12 when the back board 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56, the drive unit (when the back board 20 is fully unfolde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signal of the support portion 50 that can stop the operation of 40).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의 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operation of the hoop having a folding b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보드(20)는 주간에 펼침 상태로 유지되어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농구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백보드(20)는 구동부(40)와 구동모터(42) 및 와이어(44)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부(50)의 지지프레임(5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공이 부딪칠 때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backboard 20 is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during the day, so that many people can freely enjoy basketball. At this time, the backboard 20 is connected in a tight state by the driving unit 40 and the driving motor 42 and the wire 44 and at the same tim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frame 56 of the supporting unit 50, when the ball hits Flow can be preven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보드(20)는 심야의 시작 시점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접힘 동작되게 된다. 즉, 제어부(60)는 심야 시간이 시작되면, 타이머(62)의 시간 정보에 따라 구동부(4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구동부(40)는 구동모터(42)를 동작시켜 와이어(44)로 백보드(20)를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백보드(20)는 고정프레임(16) 방향으로 서서히 접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backboard 20 is folded at the start of late at n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at is, when the late night time starts,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imer 62. Then, the driving unit 40 operates the driving motor 42 to pull the back board 20 with a wire 44, and thus the back board 20 is gradually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6.

상기 백보드(20)가 고정프레임(16) 방향으로 완전히 접히게 되면, 근접센서(64)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60)는 근접센서(64)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부(40)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백보드(20)는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백보드(20)의 접힘 상태는 타이머(62)에 설정된 특정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유지되는 것이다.When the backboard 20 is completely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6, the proximity sensor 64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oximity sensor 64 Will stop. Accordingly, the backboard 20 can be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The folded state of the backboard 20 i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a specific time set in the timer 62.

한편, 특정 시간이 종료되면, 제어부(60)는 타이머(62)의 시간 정보에 따라 구동부(40)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백보드(20)는 도 4의 상태로 펼침되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fic time is over,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imer 62, and accordingly, the back board 20 can be maintained unfolded in the state of FIG. 4. will b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는, 백보드(20)가 포스트(10)에 접이식 구조로 설치되어 주간에는 펼침 상태로 유지되고 심야에서 새벽까지 이어지는 특정 시간에는 접힘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특정 시간에 농구대의 사용을 제한하여 주택가의 숙면을 방해하는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ing b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board 20 is installed in the post 10 in a folding structure, maintained in an extended state during the daytime, and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at a specific time leading from late night to daw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limit the use of the hoop at a specific time to prevent noise pollution that interferes with a good night's sleep.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of this technology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포스트
12: 안내공간 14: 안내슬릿
16: 고정프레임 18: 와이어통로
20: 백보드
22: 슬라이드곡면
30: 바스켓
40: 구동부
42: 구동모터 44: 와이어
46: 중계롤러
50: 지지부
52: 안내부재 53: 롤러
54: 탄성부재 56: 지지프레임
58: 안내곡면
60: 제어부
62: 타이머 64: 근접센서
66: 리미트스위치
10: Post
12: Information space 14: Information slit
16: Fixed frame 18: Wire passage
20: backboard
22: slide surface
30: Basket
40: drive unit
42: drive motor 44: wire
46: Relay roller
50: support
52: guide member 53: roller
54: elastic member 56: support frame
58: guide surface
60: control unit
62: timer 64: proximity sensor
66: limit switch

Claims (7)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고정프레임이 마련되는 포스트;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힘과 펼침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백보드;
상기 포스트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를 접힘과 펼침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포스트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의 펼침상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
A post formed of a fixed length and fixed to the ground and provided with a fixed frame on the top;
A backboard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ixed frame and provided to be folded and unfolde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a fixed frame of the post and provided to fold and unfold the backboard;
A support unit installed to be vertically elevated in the post and provided to support the unfolded state of the backboard; And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ing backboar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와이어를 갖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와이어통로에 설치된 중계롤러를 매개로 상기 백보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t includes a drive motor having a wire, the wire is a hoop having a folding ba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backboard via a relay roller installed in the wire passage of the fixe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간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공간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백보드의 펼침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guide member installed to be guided along a guide space formed inside the post;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guide space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And
A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able backboard,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so as to support the unfolded state of the backboard and being movably installed on the po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공간 상에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측면에 다수의 롤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member,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ing ba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llers are coupled to the side so as to slide guide on the guide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보드는 하단부에 반구 형상의 슬라이드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부에는 상기 백보드의 슬라이드곡면과 점접촉되는 안내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백보드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 방향으로 접힘 동작되는 경우 상기 안내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백보드의 회전에 따라 하강되며, 상기 백보드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에 의해 복원되도록 펼침 동작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백보드의 회전에 따라 하강된 후 백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
According to claim 3,
The backboard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slide curved surface at the lower end, and a guide curved surface in point contact with the slide curved surface of the backboard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backboard is folded in the fixed frame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In the case of sliding guide along the guide curved surface, the support frame desce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ckboard, and when the backboard is expanded to be restored by the operating unit in a folded state, the support frame desce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ckboard Basketball hoop having a foldable backboard, characterized by being restored by the elastic member to support the backboard after be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보드를 특정 시간의 시작과 종료 시점에 접힘과 펼침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타이머;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가 완전히 접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근접센서; 및
상기 백보드가 완전히 펼침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위치신호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timer formed to fold and unfold the backboard at the start and end times of a specific time;
A proximity sensor installed under the fixed frame and configured to detect and generate a signal when the backboard is completely folded; And
And a limit switch formed to detect a position signal of the support when the backboard is fully unfold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은, 심야에서 새벽까지 이어지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백보드를 갖는 농구대.
The method of claim 6,
The specific time is a hoop with a folding ba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runs from late night to dawn.
KR1020180118035A 2018-10-04 2018-10-04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KR202000386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35A KR20200038611A (en) 2018-10-04 2018-10-04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35A KR20200038611A (en) 2018-10-04 2018-10-04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11A true KR20200038611A (en) 2020-04-14

Family

ID=7029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35A KR20200038611A (en) 2018-10-04 2018-10-04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861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90B1 (en) 2004-02-27 2008-10-29 디터 람사우어 Handle to be mounted in an opening
KR101664898B1 (en) 2016-07-05 2016-10-24 동화체육주식회사 A basketball st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90B1 (en) 2004-02-27 2008-10-29 디터 람사우어 Handle to be mounted in an opening
KR101664898B1 (en) 2016-07-05 2016-10-24 동화체육주식회사 A basketball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676B2 (en) Game apparatus
US8066543B2 (en) Toy top playing apparatus
US20070182093A1 (en) Virtual Goal for a Game Table
US10080948B2 (en) Self-contained portable retractable sports training backdrop apparatus
JP3942561B2 (en) Pachinko machine
JP6485869B2 (en) Game machine
KR20200038611A (en) Basketball post having foldable backboard
JP4584165B2 (en) Game machine
US20220409976A1 (en) Instant multifunctional golf practicing tent
JP2017148597A (en) Game machine
US1541897A (en) Game
JP3149309U (en) Fan play
US11607603B2 (en) Bowling center bumper lighting units and optical sensors
KR200289045Y1 (en) Folding digital hoop
JP6263794B2 (en) Game machine
KR101324011B1 (en) Rope skipping apparatus for game
US5496030A (en) Pinball kick back play feature
JP6465526B2 (en) Game machine
JP2011019543A (en) Variable winning mechanism of game machine
JP2019150652A (en) Game machine
JP6553016B2 (en) Game machine
JP2681260B2 (en) Golf practice target
JPH0746285Y2 (en) Gateball device
KR20230172969A (en) Booth for screen golf courses
JP2015084887A (en) Game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