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321A - 윈드쉴드 와이퍼 커넥터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윈드쉴드 와이퍼 커넥터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321A
KR20200037321A KR1020207005889A KR20207005889A KR20200037321A KR 20200037321 A KR20200037321 A KR 20200037321A KR 1020207005889 A KR1020207005889 A KR 1020207005889A KR 20207005889 A KR20207005889 A KR 20207005889A KR 20200037321 A KR20200037321 A KR 2020003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connector
blade connector
cover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그라함
히로시 가와시마
윌 영
Original Assignee
파이런 매뉴팩츄어링 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런 매뉴팩츄어링 코프. filed Critical 파이런 매뉴팩츄어링 코프.
Publication of KR2020003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3Auxiliary fasteners specially designed for this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91Additional elements being fixed on wipers or parts of wip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vers, antennae o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1/401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 B60S1/401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the retention means being protrusion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1/401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22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locking element movable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2001/403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the connection being covered by a removable cover mounted on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2001/405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separate locking element, e.g. in addition to an intermediat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1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fastened over the edge(s) of the sheet(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6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at least one of the sheets, plates, bars or strip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8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a strip with a C-or U-shaped cross section being fastened to a plate such that the fastening means remain invisible, e.g. the fastening being completely enclosed by the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윈드쉴드 와이퍼 조립체의 실시예들이, 지지 구조물, 지지 구조물을 차량의 와이퍼 아암과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위에 조립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 및 지지 구조물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에 연결되며 그리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사이에 고정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실시예들이 복수의 와이퍼 아암 유형과 연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윈드쉴드 와이퍼 커넥터 및 조립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7년 7월 28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538,368호, 2017년 11월 16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587,111호, 2018년 2월 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625,335호, 2018년 3월 2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646,498호, 2018년 4월 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651,435호, 및 2018년 5월 15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671,53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들, 커넥터들, 및 와이퍼 블레이드를 차량의 와이퍼 아암과 연결하기 위한 조립체들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브라켓형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더 낮은 윤곽을 유지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브라켓형 와이퍼 블레이드들보다 더욱 균일한 분산을 제공하는, 빔 블레이드(또는 평면형 블레이드)가, 개발되었다. 에드헤(Edh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397,341호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예시의 빔 블레이드를 개시한다. 그러나, 빔 블레이드들은, 브라켓형 블레이드들의 횡방향 안정성을 갖지 못하며, 그리고 그들의 곡률이 윈드쉴드에 대해 너무 날카로울 때 랩핑(wrapping)(즉, 와이퍼 블레이드의 외측 에지들과 윈드쉴드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동반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빔 블레이드들은, 본래의 장비(즉, 자동차들 상에 제조업체들에 의해 설치된, 그러한 자동차를 위해 특수하게 설계된, 와이퍼 블레이드들)를 위해 양호하게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부품 시장용 와이퍼 블레이드들(즉, 어떤 차량 상에 블레이드가 사용될 것인지 제조업체가 알지 못하는 경우인, 다양한 상이한 윈드쉴드들 상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되는 교체 블레이드들)로서 설계되는 경우에, 어떤 차량들 상에서 문제점들을 경험할 수 있다.
더불어, 와이퍼 블레이드 아암들은, 차량마다 균일하지 않으며, 그리고 부품 시장용 와이퍼 블레이드 제조업체들은 종종, 본 명세서의 도 15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 시장용 와이퍼 블레이드들을 다양한 와이퍼 아암 유형들과 연결하기 위한, 범용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들을 필요로 한다.
개발된 제1 세대의 하이브리드 와이퍼 블레이드들은, 이러한 환경에서 빔 블레이드 성능에 관해 개선되었다. 이러한 블레이드들은, 밴딩(banding)을 동반하는 문제점을 생성하지 않는 가운데, 빔-유사 특성을 갖는 브라켓들의 사용과 조합된다. 전통적인 브라켓들과 빔들 또는 평면형 브라켓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한 하나의 그러한 개선예가, 그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미국 특허출원 제13/776,376호에서 앞서 개시되었다. 본 개시는, 범용 커넥터들 및 커넥터 조립체들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들을 제공한다.
뒤따르는 것은,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단순화된 개요를 제시한다. 이러한 개요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모든 실시예에 대한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다. 이러한 개요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핵심 또는 중요 요소들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고, 본 개시의 범위를 기술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개요의 단 하나의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본 개시의 일부 개념을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가,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을 와이퍼 아암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제1 부분, 제1 부분에 대해 종방향으로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중심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측벽은, 상측 표면 및 하측 표면을 갖는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 상의 측벽 쌍 사이에 한정되는 커넥터 채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커넥터 채널은, 와이퍼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 상의 리벳을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리벳 절개부(rivet cutout)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부가적으로,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리벳 절개부로부터 이격되는, 후크 단부 정지부(hook end stop)를 구비할 수 있으며, 후크 단부 정지부는, 후크-스타일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접경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가,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을 와이퍼 아암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종방향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개별적인 제1 부분에 대해 선회 가능하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에 고정 가능한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와이퍼 아암과 연결 가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의 실시예 및,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을 와이퍼 아암과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뒤따르는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제시한다. 이러한 양태들은, 그러나, 본 개시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의 일부만을 나타내며, 그리고 다양한 실시예들은, 모든 그러한 양태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이점들 및 신규의 특징들이,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뒤따르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갖지 않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 측방 섹션들을 갖지 않는, 도 2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와이퍼 스트립을 갖지 않는, 도 3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를 갖지 않는, 도 4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커버 중심 섹션을 갖지 않는 그리고 일차적 리벳을 갖지 않는, 도 5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차적 프레임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일차적 프레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일차적 프레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의 일차적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7의 일차적 프레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7의 일차적 프레임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7의 일차적 프레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7의 일차적 프레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이차적 프레임과 커플링되는 일차적 프레임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이차적 프레임과 커플링되는 일차적 프레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절반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7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7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17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17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17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17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이차적 프레임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도 25의 이차적 프레임 및 도 17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2-피스형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도 34의 2-피스형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제1 피스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도 34의 2-피스형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제2 피스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도 24의 이차적 프레임 및 도 34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한 쌍의 삼차적 프레임과 연결되는, 이차적 프레임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9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0은 도 39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1은 도 39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2는 도 39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도 39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4는 도 39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5는 도 39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6은 도 39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47은 삼차적 프레임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도 47의 삼차적 프레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도 47의 삼차적 프레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0은 도 47의 삼차적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51은 도 47의 삼차적 프레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2는 도 47의 삼차적 프레임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3은 도 47의 삼차적 프레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4는 도 47의 삼차적 프레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5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6은, 이차적 프레임 및 삼차적 프레임에 연결되는, 도 55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7은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한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8은, 이차적 프레임 및 삼차적 프레임에 연결되는, 도 57의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9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한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0은, 이차적 프레임에 연결되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1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2는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3은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4는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5는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6은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7은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8은 도 67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9는 도 67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70은 도 67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1은 도 67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2는 도 67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3은 도 67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74는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5는 도 7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6은 도 7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7은 도 7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78은 도 7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9는 도 7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0은 도 7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1은 도 7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82는 도 74의 와이퍼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3은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4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가 제거된, 도 83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5는 도 8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6은 도 8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7은 도 83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 그리고 일차적 프레임 및 일차적 프레임 리벳의 실시예에 대한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8은 도 61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9는 도 88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0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1은 도 90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2는 도 90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커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3은 도 90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4는 도 90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5는 도 90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6은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7은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8은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9는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00은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1은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02는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3은 도 92의 커넥터 커버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4는, 커넥터 커버, 커넥터 및 어댑터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5는, 커넥터 커버가 제거된, 도 10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6은 도 10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7은, 커넥터 커버가 제거된, 도 10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8은 도 10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9는 도 108의 어댑터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0은 도 108의 어댑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11은 도 108의 어댑터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12는 도 108의 어댑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3은 도 108의 어댑터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4는 도 108의 어댑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5는 도 108의 어댑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16은 도 104의 커넥터 커버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7은 도 116의 커넥터 커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8은 도 116의 커넥터 커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19는 도 116의 커넥터 커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20은 도 116의 커넥터 커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1은 도 116의 커넥터 커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22는 도 116의 커넥터 커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3은 도 116의 커넥터 커버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4는 도 104의 와이퍼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5는 도 124의 와이퍼 커넥터 조립체와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6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7은 도 126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8은 도 126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된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9는 도 126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0은 도 126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1은, 일차적 프레임, 장착 베이스 및 리벳을 포함하는, 일차적 프레임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2는 도 131의 일차적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3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4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제1 측방 섹션, 중심 섹션, 및 제2 측방 섹션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 133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분해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5는 도 133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6은 도 133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7은 도 133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38은 도 13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커버 측방 섹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39는 도 138의 커버 측방 섹션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40은 도 138의 커버 측방 섹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1은 도 138의 커버 측방 섹션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2는 도 138의 커버 측방 섹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3은 도 138의 커버 측방 섹션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44는 도 138의 커버 측방 섹션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5는 도 134의 커버 중심 섹션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6은 도 145의 커버 중심 섹션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7은 도 145의 커버 중심 섹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48은 도 145의 커버 중심 섹션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49는 도 145의 커버 중심 섹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0은 도 145의 커버 중심 섹션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51은 도 145의 커버 중심 섹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2는 도 145의 커버 중심 섹션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3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와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와이퍼 아암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54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5는 도 15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6은 도 15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57은 도 15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58은 도 15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9는 도 15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60은 도 15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1은 도 154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2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3은 도 162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4는 도 162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65는 도 162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66은 도 162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67은 도 162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68은 도 162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9는 도 162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반대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0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1은 도 170의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2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3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실시예에 대한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4는, 폐쇄 위치에서, 도 173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과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5는, 도 174의 폐쇄 위치에서의, 와이퍼 아암,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6은, 도 174의 개방 위치에서의, 와이퍼 아암,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관련 분야의 당업자가 이러한 실시예들을 이루고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도시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순수하게 본질적으로 예시이며 그리고, 어떤 식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는 것은 아니며 그리고 어떤 경우에, 제작 및 조립에 대한 세부사항과 같은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하지 않은, 세부사항이 생략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첨부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지시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가, 차량의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제1 측방 부분, 제2 측방 부분, 및 제1 측방 부분과 제2 측방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측벽은, 제1 측방 부분 및 중심 부분의 에지를 따라 제공되며 그리고 각 측벽은, 상측 표면 및 하측 표면을 갖는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또한, 한 쌍의 커넥터 커버 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각 커넥터 커버 구멍은, 제1 측방 부분에서 대향하는 측벽 상에 제공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는, 한 쌍의 커넥터 구멍 로드(connector hole rod)를 구비하며, 각 커넥터 구멍 로드는, 제1 부분 내의 대향하는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커넥터 커버 축이, 커넥터 커버 구멍 쌍을 통해 양호하게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커넥터 구멍 로드는, 커넥터 커버 구멍들 중의 하나와 연결 가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커넥터 커버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추가적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제2 측방 부분 상의 선반(shelf)을 더 포함하고, 선반은, 한 쌍의 날개 및 날개들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섹션을 포함한다. 커넥터 채널이, 선반의 중심 섹션 위에 그리고 측벽 쌍 사이에 한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커넥터는, 커넥터 채널을 따라 와이퍼 아암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는, 각각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한 쌍의 커넥터 커버 탭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은, 커넥터 커버가 폐쇄 위치에 놓일 때, 날개의 하측면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날개 쌍 중의 하나는, 다른 날개보다 종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는,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커넥터 탭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들의 하측 표면은, 제2 측방 부분에서의 높은 위치보다 제1 측방 부분에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측벽들의 하측 표면의 높은 위치는, 날개들의 하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리벳 절개부가, 측벽들의 하측 표면의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에서, 중심 부분 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외향 돌출부가, 리벳 절개부와 제1 측방 부분 사이에서, 각 측벽의 중심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측방 부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상측 표면은, 중심 부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부터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제1 측방 부분에 내측 렛지(inner ledge)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렛지는,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는, 상측 표면 및 외팔보(cantilever)에 의해 상측 표면에 연결되는 탄력적 버튼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는,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선반의 중심 섹션은, 외팔보로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섹션은, 립부(lip)를 구비하는 기둥(pillar)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중심 섹션 기둥은, 커넥터가 후크를 구비하는 제1 와이퍼 아암과 맞물리게 되는 경우, 아래로 눌리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기둥의 립부는, 제2 와이퍼 아암의 후방 탭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가, 차량의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제1 측방 부분, 제2 측방 부분, 및 제1 측방 부분과 제2 측방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각 측벽은 제1 측방 부분 및 중심 부분의 에지를 따라 제공되며 그리고 각 측벽은 상측 표면 및 하측 표면을 갖는 것인, 한 쌍의 측벽; 한 쌍의 커넥터 커버 구멍으로서, 각 커넥터 커버 구멍은 제1 측방 부분에서의 대향하는 측벽 상에 제공되는 것인, 한 쌍의 커넥터 커버 구멍; 및 제2 측방 부분 상에 제공되는 선반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한 쌍의 커넥터 구멍 로드를 구비하며, 각 커넥터 구멍 로드는, 제1 부분 내의 대향하는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제1 부분에 제공되는 제1 클립 및, 제2 부분에 제공되며 그리고 선반의 하측면과 맞물릴 수 있는, 제2 클립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 축이, 커넥터 커버 구멍 쌍을 통해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커넥터 구멍 로드는, 커넥터 커버 구멍들 중의 하나와 연결 가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커넥터 커버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와 연결 가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와 연결될 때,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가 폐쇄 위치에 놓임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상측 표면 및, 외팔보에 의해 상측 표면에 연결되는 탄력적 버튼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낮은 위치 및 높은 위치를 갖는 하측 표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어댑터가 커넥터와 연결될 때, 낮은 위치는 선반에 인접하게 놓이며 높은 위치는 커넥터의 측벽들의 상측 표면에 인접하게 놓인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가,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을 와이퍼 아암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제1 부분, 제1 부분에 대해 종방향으로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중심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측벽은, 상측 표면 및 하측 표면을 갖는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 상의 측벽 쌍 사이에 한정되는 커넥터 채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커넥터 채널은, 와이퍼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 상의 리벳을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리벳 절개부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부가적으로,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리벳 절개부로부터 이격되는, 후크 단부 정지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후크 단부 정지부는, 후크-스타일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접경하도록 배치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제1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표면은,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표면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그리고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표면은, 제2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내측 표면은, 내측 렛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내측 렛지는, 일차적 프레임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은,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은, 제2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과 상이한 높이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리벳 절개부는, 중심 부분 및 제2 부분 근처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크 단부 정지부는, 제2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립부가, 상측 채널 내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외팔보에 의해 후크 단부 정지부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리벳 절개부는, "L"자-형상을 형성하는 리벳 통로 및 리벳 클립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일 실시예가,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을 와이퍼 아암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종방향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개별적인 제1 부분에 대해 선회 가능하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에 고정 가능한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선반을 구비할 수 있고, 선반은, 커넥터 채널과 정렬되는 중심 섹션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측벽들 중의 하나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은, 폐쇄 위치에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날개와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1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표면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표면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표면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은, 커넥터 커버의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상측 부분과 상이한 높이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하측면이,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커버 탭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커넥터 측벽들 중의 하나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외향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후방 커버 탭은, 커버가 폐쇄 위치에 놓일 때, 돌출부의 바닥 측면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1 부분은, 한 쌍의 커넥터 커버 수용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은, 내향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커넥터 커버 수용 구멍들과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커넥터 구멍 로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하측면이, 후크 정지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에서의 제1 높이에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에서의 제2 높이에, 하측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상측 표면에 외팔보형으로 연결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버튼의 원위 에지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모깎기된 표면을 구비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들은,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종방향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사이에 고정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선반을 구비할 수 있고, 선반은, 커넥터 채널과 정렬되는 중심 섹션 및 측벽들 중의 하나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제1 클립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제2 클립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클립은, 커넥터 채널을 통해 삽입 가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클립의 원위 에지가, 선반의 중심 섹션의 하측면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은, 폐쇄 위치에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날개와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커넥터 측벽들의 상측 표면을 접촉시키는, 하부 에지를 구비하는 어댑터 측벽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실시예가, 와이퍼 스트립, 지지 구조물, 지지 구조물과 연결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지지 구조물과 연결 가능한 와이퍼 스트립, 및 지지 구조물과 연결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에 대해 선회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임의의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위한 지지 구조물의 실시예가, 일차적 프레임, 이차적 프레임, 및 삼차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 제1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1 측방 부분, 제2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2 측방 부분, 그리고 제1 측방 부분과 제2 측방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일차적 프레임의 제2 측방 부분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 제1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1 측방 부분, 제2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2 측방 부분, 그리고 제1 측방 부분과 제2 측방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적 프레임은, 이차적 프레임의 제1 측방 부분에서, 이차적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서, 일차적 프레임은 각 부분에 측벽들을 구비할 수 있고,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은, 측방 부분들에서의 측벽들보다 더욱 횡방향 내향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은, 복수의 커버 맞물림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각 커버 맞물림 돌출부는, 측방 부분들 중의 하나에서의 측벽들 중의 하나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심 부분 근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의 제2 측방 부분은, 측벽들 사이에 상측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서의 각 측벽은, 제2 측방 부분의 상측 표면 위에 배치되는, 일차적 구멍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서의 각 측벽은, 한 쌍의 정지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정지부가 일차적 구멍의 각 측부에 제공된다.
지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차적 프레임은, 이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서 일차적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구조물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는,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 및,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내부 통로 및 이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한 쌍의 측방 개구를 구비할 수 있는,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은, 제2 측방 부분에 한 쌍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구멍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은, 이차적 커넥터 축을 따라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구멍들 및 내부 통로를 통해 상호 삽입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이차적 커넥터 축을 중심으로 일차적 프레임에 대해 선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은, 계곡부(valley)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한 쌍의 중앙 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하나의 중앙 구멍이, 계곡부의 각 측부 상에 제공되며, 그리고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은, 각각 중앙 구멍들 중의 하나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은, 2개의 연결 가능한 절반부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의 제1 측방 부분은, 이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둔각으로 경사질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제1 측방 부분 및 중심 부분을 따라 이차적 프레임의 상측 표면 위에서 연장되는, 강화 비드(strengthening bead)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이차적 프레임의 제1 측방 부분을 따르는 이차적 프레임의 상측 표면 상의 제1 강화 비드, 이차적 프레임의 제1 측방 부분 및 중심 부분을 따르는 이차적 프레임의 상측 표면 상의 제2 강화 비드, 제2 측방 부분을 따르는 이차적 프레임의 상측 표면 상의 제3 강화 비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적 프레임은, 제1 강화 비드와 제2 강화 비드 사이에서 이차적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은, 제2 강화 비드와 제3 강화 비드 사이에서 이차적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은, 계곡부 및, 제2 강화 비드와 제3 강화 비드 사이에 제공되는, 한 쌍의 중앙 구멍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구조물은, 이차적 프레임의 제2 측방 부분에서, 이차적 프레임과 연결되는, 부가적인 삼차적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은, 상측 부분,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목 부분을 구비하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삼차적 커넥터 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삼차적 프레임은, 중앙 커넥터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목 부분은, 삼차적 커넥터 구멍 및 중앙 커넥터 구멍 양자 모두를 통해 상호 수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부분은, 이차적 프레임 근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측 부분은, 삼차적 프레임 근처에 배치된다.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는, 이차적 프레임의 상측 표면 위에 배치되는 상측 부분에서의 캡 및 삼차적 프레임의 하측면 아래에 배치되는 하측 부분에서의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날개들의 상측 표면이, 라운드형일 수 있을 것이다. 캡은, 캡의 하측면 상에 제공되는 한 쌍의 하측면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고, 하측면 돌출부들은, 날개들과 수직으로 배향된다. 목 부분은,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한정되는 중앙 간극을 구비할 수 있고, 중앙 간극은, 하측 부분 내로 연장된다. 목 부분은,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한정되는 중앙 간극을 구비할 수 있고, 중앙 간극은, 상측 부분 내로 연장된다. 삼차적 프레임은, 한 쌍의 측방 부분 및 측방 부분들을 결합하는 곳에 제공되는 중앙 커넥터 구멍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적 프레임은, 각각 중앙 커넥터 구멍 근처의 삼차적 프레임의 횡방향 에지 상에 제공되는, 한 쌍의 측벽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측방 부분은, 강화 비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지지 구조물의 실시예가, 일차적 프레임, 이차적 프레임,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제1 삼차적 프레임, 제1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 제2 삼차적 프레임, 및 제2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 제1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1 측방 부분, 및 제2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2 측방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 제1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1 측방 부분, 제2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2 측방 부분, 그리고 제1 측방 부분과 제2 측방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은, 이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서 일차적 프레임의 제2 측방 부분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차적 프레임의 각 측방 부분은, 삼차적 커넥터 구멍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 및,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내부 통로 및 이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한 쌍의 측방 개구를 구비할 수 있는,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삼차적 프레임은, 이차적 프레임의 제1 측방 부분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삼차적 프레임은, 중앙 커넥터 구멍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는, 상측 부분,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목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목 부분은, 이차적 프레임의 중앙 커넥터 구멍들 중의 하나 그리고 제1 삼차적 프레임의 삼차적 커넥터 구멍 양자 모두를 통해 상호 수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삼차적 프레임은, 이차적 프레임의 제2 측방 부분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는, 상측 부분,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목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목 부분은, 이차적 프레임의 중앙 커넥터 구멍들 중의 하나 그리고 제2 삼차적 프레임의 삼차적 커넥터 구멍 양자 모두를 통해 상호 수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가, 지지 구조물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구조물은, 일차적 프레임, 제1 이차적 프레임, 및 제2 이차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 제1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1 측방 부분, 제2 종방향 단부 근처에 한정되는 제2 측방 부분, 그리고 제1 측방 부분과 제2 측방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이차적 프레임은, 일차적 프레임의 제1 측방 부분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차적 프레임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이차적 프레임은, 일차적 프레임의 제2 측방 부분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차적 프레임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는, 제1 측방 섹션 및 제2 측방 섹션 그리고 제1 측방 섹션과 제2 측방 섹션 사이의 중심 섹션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는, 일차적 프레임 및 이차적 프레임 위에 부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일차적 프레임은, 각 부분에서의 측벽들로서,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이 측방 부분들에서의 측벽들보다 더 횡방향 내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인, 측벽들, 및 복수의 커버 맞물림 돌출부로서, 각 커버 맞물림 돌출부는 측방 부분들 중의 하나에서의 측벽들 중의 하나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심 부분 근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인, 복수의 커버 맞물림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각 측방 섹션은, 각각 커버 맞물림 돌출부들 중의 하나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각 측방 섹션은, 이차적 프레임들 중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들 중의 하나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원위 홈(distal groove)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원위 홈은, 렛지(ledge)에 의해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중심 섹션은, 일차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서의 측벽들의 하측면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파지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중심 섹션은, 2개의 랩 오버 부분을 구비할 수 있고, 각 랩 오버 부분은, 중심 섹션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랩 오버 부분은, 일차적 프레임 위로 연장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의 중심 섹션은, 랩 오버 부분들 중의 하나 근처에 만입된 영역(recessed area)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 및 연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실시예들은, 차량들 상에서 발견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 아암 유형(20)과 연결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아암 유형들(20)의 많은 실시예들 중의 일부가, 도 153에 도시된다. 와이퍼 아암 유형들은, 하나 이상의 텅부, 핀, 후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가, 지지 구조물(100),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300), 및 와이퍼 블레이드 스트립(40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전통적인 프레임 지지 구조물, 빔 지지 구조물, 전통적인 프레임들 및 빔들 또는 빔-유사 프레임들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시된 개념들을 갖는, 임의의 지지 구조물(100)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100)은, 일차적 프레임(110), 일차적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이차적 프레임(130), 및 각각 이차적 프레임(13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삼차적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차적 프레임(110)이,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120)를 사용하여 서로 반대편에 놓이는 종방향 단부들(10A, 10B)에서 이차적 프레임(130)과 연결되며, 그리고 2개의 삼차적 프레임(150)이,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를 사용하여 서로 반대편에 놓이는 종방향 단부들(10A, 10B)에서 각각의 이차적 프레임(130)과 연결된다. 각 삼차적 프레임(150)은, 와이퍼 스트립(400)을 유지하거나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이차적 프레임들이, 개시된 개념들에 따라, 하나의 단부 또는 양자 모두의 단부 상에서 직접적으로, 와이퍼 스트립을 유지하거나 지지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300)가, 지지 구조물(100)의 대부분을 기상 조건으로부터 커버하거나 차폐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는, 단일 부품이거나 또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섹션형일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가, 한편으로 지지 구조물(100)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와이퍼 아암(20)과 상호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아래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여러 상이한 유형의 아암들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커넥터 커버를 포함하며 그리고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는, 연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들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커넥터, 어댑터 또는 연결 시스템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종방향에 대한 본 개시에서의 기준은, 종방향 단부들(10A, 10B)과 일치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횡방향에 대한 기준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폭에 상응하여, 종방향에 직교한다. 상측 표면들 또는 단부들이, 예를 들어, 커넥터 조립체(200)에 더 가까운, 방향 또는 측부에 대응하는 가운데, 하측 표면들 또는 단부들이, 예를 들어, 와이퍼 스트립(400)에 더 가까운, 방향 또는 측부에 대응한다. 근위 단부들 또는 측부들이, 차량에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부분에 가장 가까운 방향에 대응한다. 원위 단부들 또는 측부들이, 차량에 연결되는 와이퍼 아암의 부분으로부터 가장 먼 방향 또는 측부에 대응한다. 내측 단부들 또는 측부들이, 커넥터, 일차적 리벳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방향 또는 측부에 대응한다. 외측 단부들 또는 측부들이, 커넥터, 일차적 리벳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방향 또는 측부에 대응한다.
지금부터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구조물(100)은, 지지 구조물(100) 내부의 중앙에 제공될 수 있는, 일차적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110)은, 강성일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110)은, 중앙 부분(111) 및, 중앙 부분(111)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부분(111)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과 직교할 수 있는, 한 쌍의 측벽(113)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측방 부분들(112)은 각각, 한 쌍의 측벽(113) 및 상측 표면(114)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부분(111)의 측벽들(113)은, 측방 부분들(112)의 측벽들(113)보다 더 횡방향 내향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부분(111)의 측벽들(113) 사이의 더 좁은 거리가, 일차적 프레임(110)과 연결될 때,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의 회전 또는 요동(rocking)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방 부분들(112)의 측벽들(113) 사이의 폭 또는 거리는, 커넥터 커버(230)의 폭 및/또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300)의 중심 섹션의 폭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심 부분(111)의 측벽들(113)은, 도 131 및 도 132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와 같이, 측방 부분들(112)의 측벽들(113)과 동일한 폭일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들, 플라스틱, 및 다른 합성 또는 복합 재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 구멍들(115)이, 리벳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중심 부분의 측벽들(113)의 상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들이, 제한 없이, 리벳 대신에 내향 돌출부들 또는 외향 돌출부들을 사용하는, 구멍들, 클립들 또는 리세스들이, 커넥터 등에 배치되는 리벳 또는 돌출부들을 수용하는, 와이퍼 아암들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와이퍼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구조물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연결된 커넥터 조립체(200)의 선회 또는 요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선회 또는 요동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정지부들(116)이, 일차적 프레임 구멍들에 인접한 중심 부분의 측벽들(113)의 상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측벽들은, 측벽들의 베이스를 향해 일차적 프레임 구멍들(115)로부터 경사질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직사각형 측벽들, 또는 임의의 다른 요구되는 형상의 측벽들이, 개시된 개념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 구멍(115)은, 측방 부분들(112)의 상측 표면(114) 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일차적 구멍(115)은, 측방 부분들(112)의 상측 표면(114)과 일직선 상에, 또는 그 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일차적 프레임 구멍들(115)의 각 측부에 하나의 정지부씩, 각 측벽(113) 상에 2개씩, 총 4개의 정지부(116)가, 제공된다. 커버 맞물림 돌출부들(117)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일차적 프레임 커버 맞물림 구조물이, 또한, 일차적 프레임(110)의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300)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 커버 맞물림 돌출부들(117)은, 중심 부분(111) 근처의 또는 그에 가까운 측방 부분들(112) 상의 측벽들(113)의 하단부를 향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 커버 맞물림 돌출부들(117)은, 커버(300)의 일부분과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논의될 것으로서, 특히 복수-섹션형 커버의 중심 부분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제한 없이, 클로들(claws) 또는 파지부들(grips), 또는 다른 형상-맞춤 구조물들을 사용하는, 커버 부분들로부터의 맞물림 돌출부들을 수용하는, 일차적 프레임 상의 구멍들 또는 리세스들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커버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임의의 형태가, 개시된 개념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선회 연장 벽들(118)이, 측방 부분들(112)의 종방향 단부들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회 연장 벽들(118)은 각각,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일차적-대-이차적 구멍(119)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구멍들(119)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일부로서, 리벳, 로드, 또는 다른 원통형 구성요소를 상호 수용하도록,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들이, 제한 없이, 리벳 대신에 내향 돌출부들 또는 외향 돌출부들을 사용하는, 구멍들, 클립들 또는 리세스들이, 이차적 프레임 등에 배치되는 리벳 또는 돌출부들을 수용하는, 이차적 프레임과 일차적 프레임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이차적 프레임에 일차적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구조물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일 참조하면, 일차적 프레임(110)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120)에 의해 이차적 프레임(130)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121)이, 횡방향으로 한정된 이차적 커넥터 축을 따라, 일차적 프레임(110)의 구멍들(119) 및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122)의 리벳 통로(123) 서로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논의된 바와 같이,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들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이차적 프레임에 일차적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구조물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120)는, 그를 통한 이차적 프레임(130)의 일부분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측방 개구(124)를 구비하는, 베이스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12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그리고 본 명세서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12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이차적 프레임(130)의 부분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121)과 합치하도록 성형되는 그리고 일단 연결되면 이차적 프레임(130)으로부터의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122)의 분리를 추가로 방지하기 위한, 홈 또는 계곡부(136)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122)은, 이차적 커넥터 축에 대해 대칭일 수 있으며, 그리고 리벳(121) 및 이차적 프레임(130)의 삽입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중심을 향해 더 두꺼울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 프레임(110)과 이차적 프레임(130)이 연결되는 동안에,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120)의 상기 구조물은, 이차적 커넥터 축을 중심으로 일차적 프레임(110)에 대한 이차적 프레임(130)의 선회 또는 요동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장 벽들(118)은, 이러한 요동 또는 선회를 허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상측 표면(114)을 포함하는 일차적 프레임(110)의 나머지로부터의, 이차적 커넥터 구조물(122)의 틈새를 제공하도록 치수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120)는, 이차적 프레임(130) 둘레에 성형될 수 있는,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는, 복수 부품으로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120)는, 수직의 종방향 평면을 따라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를 분할함에 의해, 2개의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120a)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측방 개구들(124)은,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 구조물(122a)과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 실린더(128) 사이에 형성되는, 이차적 프레임의 계곡부(136)를 고정하도록 돕는, 통로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절반부는, 이차적 프레임의 중앙 구멍들(138)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5)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인 돌출부들 및 리세스들이, 2개의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120a)를 서로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 각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120a)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2개의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120a)는, 리벳(121)에 의해, 및/또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제들, 일차적 프레임(110)의 연장 벽들(118) 내부에 리벳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것, 리세스들과 맞물리는 돌출부들, 및 다른 형상-맞춤 연결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2개의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를 고정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함께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3 내지 도 37에 대해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들이, 개시된 개념들의 범위 이내에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25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이차적 프레임(130)이, 제1 측방 부분(131), 제2 측방 부분(132), 및 중심 부분(133)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측방 부분(131, 132)이, 중심 부분(133)에 대해 경사질 수 있으며, 그리고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방 부분(131)은, 중심 부분(133)으로부터 하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중심 부분과 둔각을 형성하는 가운데, 제2 측방 부분(132)은, 경사지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측방 부분(131, 132)이, 하나 이상의 강화 비드(134)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강화 비드(134)는, 이차적 프레임(130)을 따라 종방향으로 제공된다. 3개의 강화 비드(134)가,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데: 종방향 단부(10A/10B) 근처의 제1 부분(131) 상에 제공되는 제1 비드(134A); 제1 부분(131) 뿐만 아니라 중심 부분(133) 상에 제공되며 그리고 제1 비드(134A)로부터 이격되는, 제2 비드(134B); 및 제2 부분(132) 상의 제3 비드(134C)가, 제공된다. 비드들(134)은, 이차적 프레임(130)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거나 또는 호(arc)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하측면 상에서, 비드들(134)은, 균일한 두께가 이차적 프레임(130)을 가로질러 유지되도록, 중공형이거나 또는 만입될 수 있을 것이다. 비드들(134)을 구비함으로써, 이차적 프레임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 도중에 이차적 프레임(130)에 의해 경험되는 힘으로부터의 파손에 저항하기 위한, 증가된 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비드 구멍(135)이, 강화 비드(134) 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부분(133)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 리벳(121)과 합치하는 형상을 갖는 계곡부(136) 내로 부분적으로 만곡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중앙 구멍(138)이, 계곡부(136)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측방 부분들(131, 132)은 또한,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치수결정되고 성형되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계란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측방 부분들(131, 132)은, 동일한 길이일 수 있으며 또는, 측방 부분(131)이 측방 부분(132)보다 더 긴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측방 부분(131)의 외측 단부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와이퍼 커버(300)와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측방 부분(131)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더 긴 와이퍼 블레이드들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들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빔들은 아니지만, 이차적 프레임들은, 빔-유사형일 수 있으며, 그리고 스프링-탄성 스틸 또는 다른 금속들과 갖은 탄력적 스프링-탄성 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차적 프레임은, 강성일 수 있으며, 그리고 금속들 및 플라스틱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강성의 전통적 프레임들, 다른 빔-유사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또는 이차적 프레임들이 빔들에 의해 교체되는 실시예들에, 이차적 프레임들의 상이한 형상들과 설계들 또는 다른 이차적 힘 분산 구조물들이, 개시된 개념들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33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도 33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에 커플링되는, 이차적 프레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37은,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120)가 수평 종방향 평면을 따라 절반부 구조물들(122a, 122b)로 분할되는,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 커넥터 절반부(122a, 122b)의 내부 돌출부들(125)은, 다른 절반부의 2개의 리세스(126) 및 이차적 프레임의 중앙 구멍들(138)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내측 돌출부들(127)이,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 구조물(122b)에 대해 계곡부(136)를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차적 커넥터 절반부 구조물(122a)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들이, 종래 기술에 현재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절한 설계의 이차적 프레임 커넥터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지금부터 도 38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삼차적 프레임(150)이,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에 의해 이차적 프레임(130)과 각각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삼차적 프레임(150)이, 각 측방 부분(131, 132)에 하나씩, 이차적 프레임(130)과 연결된다. 본 개시는 추가로, 양 측방 부분(131, 132)에 연결되는 단지 하나의 삼차적 프레임(150)을 예상한다.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는, 상측 부분(141), 하측 부분(142), 및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목 부분(143)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목 부분(143)은,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보다 더 좁을 수 있으며, 그리고 목 부분(143)은,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 내부에 끼워지도록 치수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목 부분(143)은,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을 통해 한정되는 삼차적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는 이차적 프레임(130)에 대한 삼차적 프레임(150)의 선회 또는 요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라운드형 외측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부분(141)은, 캡(144)을 구비할 수 있고, 캡은, 이차적 프레임(130)의 상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캡의 하측면 상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캡(144)은, 이차적 프레임(130) 내의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크기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캡은 추가로, 캡이 이차적 프레임에 대해 90도 회전될 때, 캡의 개별적인 횡방향 측면들이,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의 횡방향 측면들보다 더 크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캡(144)이, 이차적 프레임(130)을 삼차적 프레임(150)에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크기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하측 부분(142)은, 날개들(145)을 구비할 수 있고, 날개들은, 삼차적 프레임(150)의 하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그들의 상측 표면들 상에서 라운드형으로 또는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날개들(145)을 포함하는, 하측 부분(142)은, 이들이 삼차적 프레임 내의 중앙 삼차적 커넥터 구멍(15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크기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날개들(145)을 포함하는, 하측 부분(142)은, 삼차적 커넥터(140)가 90도 회전될 때, 날개들(145)의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날개들이 삼차적 프레임(150)을 이차적 프레임(130)에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하기 위해, 중앙 구멍(152)의 횡방향 측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도록, 크기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55 내지 도 60에 대해 이하에 설명되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들, 및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모든 다른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이차적 프레임을 삼차적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프레임 커넥터가, 개시된 개념들의 범위 이내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들 및 금속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7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삼차적 프레임(150)은, 삼차적 측방 부분들(151) 및, 중앙 삼차적 커넥터 구멍(152)으로부터 돌출하는, 중심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중앙 삼차적 커넥터 구멍(152)은,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의 하측 부분(142)이 하나의 배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리고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가 90도 회전될 때 자체를 고정하도록,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삼차적 커넥터 구멍은,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의 크기 및 형상과 상보적인, 임의의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측방 부분들(151)은, 중앙 구멍(152)으로부터 하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반대편 삼차적 측방 부분과 둔각을 형성한다. 개별적인 측방 부분들(151)은, 길이 및 하강 각도 양자 모두에 대해, 대칭일 수 있고, 또는 비대칭일 수 있을 것이다. 각 측방 부분(151)의 종방향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와이퍼 스트립(400)을 파지하도록 치수결정되는 클로(153)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비드(154)가 또한, 이차적 프레임(130) 상에 제공되는 비드들(134)과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측방 부분(151)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측벽(155)이 또한, 삼차적 커넥터(140)의 하측 부분(142)을 보호하기 위해, 특히 중앙 구멍(152) 근처에서, 삼차적 프레임(150)의 하측면을 차단 또는 차폐하도록, 삼차적 프레임(150)의 횡방향 단부들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측벽들(155)은 또한, 삼차적 프레임(15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개념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강성 및/또는 탄성 금속들 및 플라스틱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는, 삼차적 프레임들과 함께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5 내지 도 60은, 삼차적 커넥터들 및/또는 이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들(137, 152)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55 내지 도 58을 참조하면,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도 55 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측 부분이나 (예를 들어 도 57 및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측 부분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목 부분(143)을 통한 중앙 간극(147)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간극(147)의 에지들은, 내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할 수 있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 측벽들(146)에 의해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들(145)이, 측벽들(146)로부터, 또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날개들(145)은, (예를 들어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각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은, 각도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날개들(145)은, 이들이 삼차적 프레임(150)을 이차적 프레임(130)에 대해 유지하도록 크기결정되고 성형되어, 삼차적 프레임(150)이 이차적 프레임(130)과 연결될 때, 이차적 프레임(130)의 하측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간극(147)이 상측 부분(141)으로부터 연장되는 실시예에서, 캡(144)은, 각각 이차적 프레임의 상측 표면과 합치하도록 조립되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하측 표면을 구비하는, 측벽들(146)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별개의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간극(147)이 하측 부분(142)으로부터 연장되는 실시예에서, 캡(144)은, 이차적 프레임(130)의 상측면과 합치하도록 조립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면형 하측 표면을 구비한다.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2개의 날개(145)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도 55 내지 도 5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들(140)이, 날개들(145) 및/또는 캡(144)이 구멍을 통과할 때까지 측벽들이 내향으로 편향되도록 그리고 일단 날개들(145) 또는 캡(144)이 구멍들(137, 152)을 통과하면 측벽들이 제자리에 스냅 고정되도록, 구멍들(137, 152) 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이상에 논의된 바와 같은, 캡/날개들은, 구멍들(137, 152)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고정 위치로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들(137, 152)은, 대체로 "T"자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리고 T자의 상측 바(top bar)와 T자의 하측 부분 사이에 더 좁은 목부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날개들(145) 및/또는 캡(144)은, "T"자의 상측 바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어서 제자리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측벽들(146)은, 삼차적 커넥터가 "T"자의 하측 부분 내로 더 좁은 목부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편향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형상들 및 구조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이, 일차적, 이차적 또는 삼차적이든지 간에, 프레임을 프레임에 확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개시된 개념들의 범위 이내에서, 조합되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59 및 도 60을 참조하면,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의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하측면 돌출부(144a)를 갖는 캡(144)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측면 돌출부들(144a)은, 이차적 프레임(130) 내의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 내부에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를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캡 하측면 돌출부(144a)가, 목 부분(143)의 서로 반대편에 놓이는 측부들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캡 돌출부들(144a)은, 삼차적 커넥터 구멍 내에 삽입될 때,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은, 날개들(145)을 포함하는 삼차적 프레임 커넥터(140)의 하측 부분(142)이, 하나의 배향에서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크기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적 커넥터는 이때,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 내부에 하측면 돌출부들(144a)을 끼우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캡(144)은, 캡이 삼차적 커넥터 구멍(137)을 통해 끼워지지 않도록, 크기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61 내지 도 89를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가, 복수 유형의 와이퍼 아암(20)과, 지지 구조물(100)을 연결하기 위해, 더욱 구체적으로 일차적 프레임(110)의 와이퍼 커넥터 리벳(102)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230)는, (도 68 내지 도 72에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되는) 커넥터 커버(230)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 사이에 삽입되는 와이퍼 아암(20)을 고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또는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커넥터들(210), 어댑터들(250) 및 커넥터 커버들(230)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200)의 부품들은, 플라스틱, 또는 종래기술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당업자는,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들이 예시적이라는 것을, 그리고 개시된 개념들이, 다른 커넥터들, 어댑터들 및 커넥터 커버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커넥터 조립체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는, 제1 측방 부분(211), 제2 측방 부분(212), 및 중심 부분(213)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측방 부분은, 커넥터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는 가운데, 제2 측방 부분은, 커넥터의 근위 단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14)이, 각 부분(211, 212, 213) 중의 하나 이상에 걸쳐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의 각 횡방향 에지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측 부분들 뿐만 아니라 외측 부분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한 쌍의 측벽(214)이, 제1 측방 부분(211)과 중심 부분(213)을 따라 제공된다. 제1 측방 부분(211)에서의 측벽들(214)의 상측 표면(215)은, 중심 부분(213)에서의 측벽들(214)의 상측 표면(215)에 대해, 하방으로 그리고 예각으로 경사질 수 있을 것이다. 측벽들(214)의 하측 표면(216)은, 측벽들(214)의 부분에 의존하여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측 표면(216)은, 제1 측방 부분(211) 및 제1 측방 부분 근처의 중심 부분(213)에서 제1 높이에 배치되는 가운데, 외측 측벽의 하측 표면(216)은, 제2 측방 부분(212) 근처의 중심 부분(213)에서 더 높은 제2 높이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내측 측벽의 하측 부분은, 후크 단부 정지부(226) 근처에서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측 표면(216)의 제1 높이와 제2 높이 사이에, 삽입된 와이퍼 커넥터 리벳(102)을 수용하기 위한 리벳 절개부(217)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리벳 절개부(217)는, 리벳 클립에 인접한 측벽들(214)과 커넥터의 중심 부분(213)의 바닥에 배치되는 리벳 통로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리벳 클립 및 리벳 통로는, "L"자-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리벳(102)은, 그 내부에 스냅 결합(snap fit)으로 삽입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측방 부분(211)에서, 측벽(214)의 내측 표면은, 일차적 프레임 정지 절개부(219)를 포함하는 내측 렛지(21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7에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적 프레임(110) 상의 정지부들(116)이, 제2 측방 부분(212)에서 하측 표면(216)과 접촉 가능할 수 있는 가운데, 제1 측방 부분(211)에 인접한 정지부들(116)이, 커넥터(210)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 절개부들(219)과 접촉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절개부들(219)이, 제2 측방 부분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측방 부분(211) 상에, 커넥터 커버 수용 구멍들(220) 또는 리세스들과 같은, 커넥터 커버 수용 구조물들이, 각 측벽(214)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커넥터 커버 구멍(220)은, 커넥터 커버(230)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커넥터 구멍 로드(233)와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로드들 또는 돌출부들이 커넥터(210) 상에 존재하는 가운데 리세스들 또는 구멍들이 커넥터 커버(230) 상에 존재하도록, 이러한 관계가 반전될 수 있다는 것을, 그리고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연결 구조가 개시된 개념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제2 측방 부분(212) 상에, 중심 섹션(222) 및 횡방향 날개들(223)을 구비하는, 선반(221)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보강 리브들이, 선반(221)의 상측 표면을 따라 중심 섹션과 횡방향 날개들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내부 측벽들(214)은, 선반(221)의 하측 표면 아래에서 보강 리브들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선반(221)의 중심 섹션(222)은, 도 61 내지 도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날개들(223)과 통합될 수 있으며, 또는 중심 섹션은, 도 126 내지 도 130에 도시되며 그리고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외팔보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횡방향 날개들(223)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 탭들(234)이, 커넥터 커버(230)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커넥터 커버 탭들(234)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날개들(223)과 스냅 결합에 의해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개시된 개념들의 범위 이내에서, 커넥터 커버 상의 구멍들, 리세스들, 또는 선반들과 맞물리는, 커넥터(210) 상의 클로들 또는 돌출부들로, 서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는, 커넥터 커버 수용 구멍들(220)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커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방 위치에서, 커넥터 커버(230)는, 커넥터(210) 내로의 와이퍼 아암(20)의 삽입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어서, 커넥터 커버(230)가 탭들(234)의 날개들(223)과의 맞물림에 의해 폐쇄 위치에 잠금고정되는 가운데, 삽입된 와이퍼 아암(20)을 고정하기 위해, 폐쇄 위치로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측벽이 또한, 제1 측방 부분(211) 근처의 중심 부분(213) 상에 배치되는 외향 돌출부(224)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는,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놓이는 단부들에 한정되는, 제1 부분(231) 및 제2 부분(23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분은, 커넥터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는 가운데, 제2 부분은, 커넥터의 근위 단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쌍의 상기한 커넥터 구멍 로드(233)가, 제1 부분(231)의 대향하는 내측 표면들 상에 제공될 수 있는 가운데, 각 로드(233)는 구멍(220)과 맞물리도록 내향으로 돌출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관계는, 서로 바뀔 수 있고, 또는 종래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연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쌍의 상기한 커넥터 커버 탭(234)이, 제2 부분(232)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관계는, 서로 바뀔 수 있고, 또는 종래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연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는 또한, 하부 에지(235)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에지(235)는, 커넥터 커버(230)의 제1 부분(231)에서 제1 낮은 높이를 그리고 제2 부분(232)에서 제2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높이 변경은, 와이퍼 아암(20)의 클로들(23)을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도록, 90도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의 실시예들은, 잠금고정된 또는 고정된 위치에서 커넥터(210)의 실시예들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대체로 도시되고 설명된다. 그러나, 커넥터 커버(230)가 단지 커넥터(210)의 상당히 더 적은 부분만을 커버하는 실시예들이, 본 개시 내에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커버 탭들(234)은, 대체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부분(212) 대신에, 커넥터(210)의 제1 부분(211)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더 짧은 커넥터 커버 실시예의 예가, 그의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미국 가특허출원 제62/538,368호의 도 13에 도시된다.
도 83 내지 도 8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들(21)들을 구비하는 와이퍼 아암들(20)들은, 개방 위치에 커넥터 커버(230)를 배치함에 의해, 와이퍼 아암(20)의 후크 단부를 커넥터(210) 내로 삽입함에 의해, 와이퍼 아암이 커넥터 채널(225) 내로 꼭 맞게 끼워질 때까지 그리고 후크의 단부가 커넥터(210)의 바닥 측면 상의 후크 단부 정지부(226)와 접촉하도록 와이퍼 아암(20)을 당김에 의해, 그리고 커넥터 커버(230)를 그의 폐쇄 위치로 회전시킴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의 하측 표면 상에, 커넥터 커버(230)가 폐쇄 위치에 놓일 때 후크 타입의 만곡된 단부를 안정적으로 추가로 고정하기 위한, 후크 정지부(236)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8 및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200)는 또한, 개구들(22) 및/또는 하측면 렛지들(23)을 구비하는 와이퍼 아암들(20)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탄력적 버튼(237)이, 커넥터 커버(230)의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버튼(237)은,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그리고 커넥터 커버(230)의 상측 표면 상의 외팔보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아암(20)이, 개구(22) 내로 삽입되는 버튼(237)에 의해 커넥터 커버(230)와 맞물릴 수 있는 가운데, 하측면 렛지들(23)이, 제2 부분(232) 상에서 높은 높이를 갖는 하측 표면(235)의 일부분일 수 있는, 하측 표면(235) 아래에 끼워진다. 버튼(237)은, 개구(22)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모깎기된 상측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90 내지 도 103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200)의 실시예가, 커넥터(210)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 커버(230A)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A)는, 커넥터 커버(230)보다 더 길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커넥터(210)는, 선반(221)의 일부로서 2개의 상이한 유형의 날개(223)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날개들은, 제1 거리만큼 종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날개(223A)를 포함할 수 있는 가운데, 제2 날개(223B)는, 제1 날개보다 더 긴 제2 거리만큼 종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제1 날개(223A)가 라운드형 모서리를 구비할 수 있는 가운데, 제2 날개(223B)가 더욱 직각의 모서리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2개의 상이하게 치수결정된 날개(223A, 223B)를 구비하는 것은, 상이하게 크기결정되고 및/또는 배치되는 탭들(234)을 구비하는 복수 크기의 커넥터 커버들(230)이 동일한 커넥터(210)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로, 도 15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프셋된 맞물림 부분을 구비하는 아암들 및 선형 맞물림 부분을 구비하는 아암들에, 커넥터(210)를 연결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A)는 또한, 커넥터 커버 측벽들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제1 부분(231)에서 또는 제1 부분(231) 근처에서의 커넥터 커버(230A)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내측 플랫폼(238)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로드들(233)이, 플랫폼들(238)로부터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3 내지 도 96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 및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230A)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와 연결되는 다양한 유형의 와이퍼 아암들(20)을 도시한다. 도 94 및 도 95는, 날개 부재들(24) 및 전방 텅부(25)를 구비하는 와이퍼 아암(20)을 도시한다. 커넥터 커버 탭들(234)이, 날개 부재들(24)을 고정하는데 순응하도록 치수결정될 수 있는 가운데, 전방 텅부(25)는 커버(230A)와 커넥터(210) 사이에 배치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아암은, 커넥터(210) 위에 그리고 커넥터 측벽들(214)과 커버(230A) 사이에 조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아암(20)은, 플랫폼(238)의 에지에 대해 압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5는, 어떻게 후방 텅부(25)를 구비하는 와이퍼 아암(20)이, 후방 텅부(25)가 채널(225)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04 내지 도 123을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가,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230B), 그리고 커넥터(210)와 커넥터 커버(230B)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25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B)는, 커넥터 커버(230A)보다 더 높을 수 있을 것이다. 어댑터(250)는, 제1 부분(251)과 제2 부분(252), 상측 표면(253), 및 한 쌍의 측벽(254)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분(251)은, 어댑터(250)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는 가운데, 제2 부분(252)은, 어댑터(250)의 근위 단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어댑터 버튼(255)이, 외팔보로부터 돌출할 수 있으며 또는 외팔보에 의해 상측 표면(253)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어댑터 측벽들(254)은, 엇갈리는 또는 상이한 높이들을 가질 수 있는, 하부 에지(256)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에지(256)는, 제2 부분(252)에서보다 제1 부분(251)에서 높은 높이를 갖는다. 더불어, 낮은 높이의 하부 에지(256)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은 와이퍼 아암(20)으로부터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257)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에지(256)의 높은 높이는, 커넥터(210)의 상측 에지(215)와 접촉할 수 있는 가운데, 하부 에지(256)의 낮은 높이는, 선반(221)의 상측면과,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 날개들(223)의 상측면과,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50)의 근위 단부의 상측 표면의 일측은, 더욱 만곡될 수 있는 가운데, 다른 단부는 더욱 직각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도 124에 도시되는 와이퍼 아암(20)과 같이 오프셋된 맞물림 부분을 구비하는, 아암들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클립(258)이, 어댑터(250)의 제1 부분(251)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클립(259)이, 제2 부분(252)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클립(258)은, 하방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그리고, 리벳 절개부(217) 근처의 커넥터(210)의, 와이퍼 아암 후크(21)가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질 수 있는 곳인, 만곡된 영역에 대해 스냅 끼워맞춤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클립(259) 또한, 하방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심 섹션(222)에서 선반(221)의 하측면을 클립고정한다. 제1 클립(258) 및 제2 클립(259)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커넥터(210)에 대한 어댑터(250)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4 및 도 125는, 개구(22)를 구비하는 와이퍼 아암(20)과 연결되는, 어댑터(250) 및 커넥터 커버(230B)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커버 탭들(234)이, 폐쇄 위치에서 아암(20)의 에지를 파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버튼(255)이, 와이퍼 아암 내의 개구(22)와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와이퍼 어댑터(250)는, 커넥터 조립체(200)가, 더 크거나 더 두꺼운 것들을 포함하는, 상이하게 치수결정된 와이퍼 아암(20)을 수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어댑터(250)의 사용은, 적어도 더 긴 측벽들을 구비하는 상이하게 치수결정된 커버(350B)를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126 내지 130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200)의 실시예가, 날개들(223) 사이에서 선반(22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는, 기둥(227)을 구비하는 커넥터(210A)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기둥(227)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와이퍼 아암(20) 상의 텅부와 탄력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상측 립부(229)까지 외팔보(228)에 의해 연장된다. 립부(229)는, 와이퍼 아암의 후방 텅부(25)와 맞물리도록, 크기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기둥(227)은, 총체적으로 리벳 절개부(217) 근처에서 커넥터(210A)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굽혀진 외팔보일 수 있는, 후크 단부 정지부(226)의 연장부일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커넥터(210A)는, 리벳 윈도우(217A)가 리벳 절개부(217)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점에 있어서, 리벳 윈도우(217A)는, 리벳 통로 및 리벳 클립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리벳 윈도우는, 하측 에지(216)를 통해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커버(230A)는 또한, 잠재적으로 돌출부(224)에서, 측벽(214)의 하측 에지(216)와 압입 연결하기 위한, 후방 탭들(234A)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200)는, 지지 구조물(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 일차적 프레임 구멍들(115) 상에 고정되는 커넥터 리벳(102)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1 및 도 132는, 장착 베이스(111A)가 일차적 프레임(110)의 나머지와 별개의 부품인, 일차적 프레임(1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착 베이스(111A)는, 용접, 크림핑(crimping),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을 통해, 일차적 프레임(110)에 확고하게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장착 베이스(111A)는, 낮은 윤곽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인접한 측방 부분들(112A)과 그의 종방향 에지들에서 맞물릴 수 있고, 그리고 측방 부분들(112A)은, 제거 가능한 장착 베이스(111A)가 그들 사이에 안착되는, 이웃하는 측벽들(113A)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133 내지 도 152를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300)가, 환경 조건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특히 지지 구조물(100)을, 커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300)는, 중심 섹션(310) 및 2개의 측방 섹션(33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섹션은, 중심 섹션(310)의 종방향 에지들에서 일차적 프레임(110)의 중앙 부분(111) 위로 연장되는, 2개의 랩 오버 부분(313) 사이의 측벽들(31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 중심 섹션은 바람직하게, 강성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질 수 있는 가운데, 커버 측방 섹션들은 바람직하게, 강성의 경질 플라스틱 또는 탄성의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들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들, 고무들,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들로 이루어지는 커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리브(314)가, 중심 섹션(310)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파지부(316)가, 일차적 프레임에 대한 중심 섹션(310)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일차적 프레임(110)의 측벽들(113)의 하측면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측벽들(312)의 하부 에지를 따라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파지부들(316)은, 측벽들(312)의 내측면 상의 리브들(314)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파지부들(316)이 예시적인 것이며 그리고 커버 중심 섹션(310)을 일차적 프레임(110)에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중심 섹션 측벽들(312)은 또한, 연결된 커넥터 조립체(200)의 선회 또는 요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만입된 영역(315)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렛지(317)가, 만입된 영역(315)에 인접한, 예각으로 하강하는 하방으로 경사진 섹션(318)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방으로 경사진 섹션(318)은, 좁은 부분(319)에서의 측벽들(312)의 외측 표면들 사이의 거리가, 커버 중심 섹션(310)의 다른 부분들에서의 측벽들(312)의 외측 표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하는, 좁은 부분(319)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측방 섹션들(330)은, 이차적 프레임(130)의 외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외측 단부 홈(33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외측 홈(332)은, 커버 측방 섹션(330)의 바닥 측면 상에 제공되는 렛지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더불어 렛지는 원위 단부 전체에 걸쳐 내향으로 돌출한다. 이차적 프레임(130)의 외측 에지는, 이때, 그러한 렛지 상에 끼워질 수 있을 것이다. 내측 돌출부들(339)이, 비드 구멍(135)과 같은, 이차적 프레임의 외측 단부의 구멍들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중간 버팀대(334)가 또한, 횡방향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일차적 프레임(110)과 같은 지지 구조물(100)을 고정하기 위해, 측방 섹션(330) 내부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하향 돌출부(336)가, 일차적 프레임 측방 부분들(112)의 내측 에지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가 이동하며 그리고 섹션들(310, 330)이 떨어지도록 힘을 받을 수 있을 때, 와이퍼 블레이드 커버 섹션들(310, 330) 사이의 간극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심 섹션(310) 근처의 측방 섹션(330)의 하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섹션(310)에 또는 중심 섹션 근처에, 일차적 프레임(110) 상의 커버 맞물림 돌출부들(117)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337)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 측방 섹션(330)의 측벽의 내측 표면은, 커버 맞물림 돌출부들(117)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멍들(337) 근처에서 만입될 수 있을 것이다. 장식 목적 뿐만 아니라 와이퍼 블레이드가 이동할 때 공기 역학적 목적으로, 이중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타이어 접지면형 요소(Tire treading)(338)가 또한, 측방 섹션들의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커버는, 스포일러 또는, 개시된 개념들의 범위 이내에서,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다른 기능적 또는 심미적 특징부들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커버 디자인이 예시이며 그리고 개시된 개념들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절한 커버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지금부터 도 154 내지 도 171을 참조하여, 커넥터(210b), 커넥터 커버(230c), 및 어댑터(250a)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200)의 추가적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된다. 도 154 내지 도 161은, 선반(221)의 중심 섹션(222) 상에 제공되는 선반 개구 또는 윈도우(222a)를 구비하는, 커넥터(210b)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노치(223a)가, 선반(221) 상에, 더욱 구체적으로 날개들(223)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노치(223a)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노치들(223a)의 위치설정 및 치수결정은, 대체로 삼각형 또는 굽혀진 형상을 갖는 돌출부들 또는 클로들의 단부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특정 실시예의 와이퍼 아암(20) 상의 대응하는 래치들(latches)과 함께 고정 인터페이스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에지 슬롯(216a)이 또한, 특정 실시예의 와이퍼 아암(20)을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더욱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5 및 도 1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적 프레임 정지 절개부(219)가 추가로, 더 내향으로, 즉 선회 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대응하는 조절이, 정지부들(116)의 위치설정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62 내지 도 169는, 커넥터 커버(230c)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커넥터 커버 탭들(234b)이, 대체로 삼각형 또는 굽혀진 형상을 갖는 와이퍼 아암 클로들 또는 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들(239)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커버(230c)는,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그리고 와이퍼 아암에 대해 커버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탭들(234b)의 하측면 상의 삼각형 형상 지지대들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측벽이 또한, 커넥터 또는 어댑터의 접경 부분들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0 및 도 171은, 어댑터(250a)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어댑터(250, 250a)의 실시예들은,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내향으로 지향되거나, 또는 제2 클립(259)이 어댑터(250a)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으로 지향될 수 있는, 클립들(258, 259)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외향 지향 제2 클립(259)이, 커넥터(210b)의 선반 윈도우(222a)와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끝단 정지부(260)가 또한, 제1 부분(251) 또는 제2 부분(252) 중의 어느 단부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 정지부(260)는, 제1 클립(258) 근처의 제1 부분(251)에 제공된다. 끝단 정지부(260)는, 제1 클립(258)을 지나도록 종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상측 표면(253)을 향해 만곡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부분(251)의 단부 근처에서 상측 표면(253)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하는 상벽(261)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벽(261)은, 커버(230b) 상의 하측벽에 대해 압박 또는 접경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아암(20)의 단부를 수용하거나, 와이퍼 아암(20)의 단부와 접경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와이퍼 아암(20)의 단부에 대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어댑터(250a)는, 또한 와이퍼 아암의 단부를 수용하거나, 와이퍼 아암의 단부와 접경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대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정지 벽(262)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어댑터(250a) 내의 절개부들(257)은 추가로, 와이퍼 아암(20)의 돌출부들 또는 클로들을 수용하거나, 와이퍼 아암(20)의 돌출부들 또는 클로들과 접경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와이퍼 아암(20)의 돌출부들 또는 클로들에 대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정지부들(263)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2를 참조하면, 일차적 프레임 정지 절개부(219)는, 내측 렛지 대신에 측벽들(214)의 하측 표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날개들(223)은, 선반(221)으로부터 대신에 측벽들(214a)로부터의 종방향 돌출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날개들(223)은 또한, 와이퍼 아암(20)의 측벽들 상의 하측 에지들(26)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3 내지 도 176을 참조하면, 커넥터 커버(230)가 커넥터(210)의 상당히 더 적은 부분을 커버하는 실시예들이, 본 개시 내에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커버 탭들(234)은, 대체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부분(212) 대신에, 커넥터(210)의 제1 부분(211)과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상측 탭(236a)이, 하측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아암의 전방 텅부(24)와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기술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그리고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의미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에 부가되는,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한 수정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개념의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문헌에서 인용되거나 설명되는 각각의 특허, 특허 출원, 및 공개문헌은, 그들 전체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개시와 일치하는 가능한 구현예들에 대한 상기한 설명은, 설명된 모든 그러한 구현예들 또는 구현예들의 모든 변형예들의 포괄적인 목록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 대한 설명은, 다른 구현예를 배제할 의도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숙련자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균등예들 및 대안예들을 사용하여, 어떻게 실시예들을 많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더불어, 앞선 설명에서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구현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중 어느 것도 개시된 실시예들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이 뒤따르는 청구항들에 의해 지시되는 가운데, 실시예들은 예시로서 간주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100)을 와이퍼 아암(20)과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로서:
    제1 부분(211), 제1 부분에 대해 종방향으로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212),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213)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로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중심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214)으로서, 각각 상측 표면(215) 및 하측 표면(216)을 갖는 것인, 한 쌍의 측벽(214),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상기 제2 부분 상의 상기 측벽 쌍 사이에 한정되는 커넥터 채널(225)로서, 상기 와이퍼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커넥터 채널(225),
    상기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 상의 리벳을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리벳 절개부(217), 및
    상기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리벳 절개부로부터 이격되는 후크 단부 정지부(226)로서, 후크-스타일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접경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후크 단부 정지부(226)
    를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
    를 포함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표면은, 상기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표면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그리고 상기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표면은,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내측 표면이, 내측 렛지(inner ledge)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 렛지는, 일차적 프레임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은, 상기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하측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은,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과 상이한 높이에 놓이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절개부는, 상기 중심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후크 단부 정지부는, 상기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측 립부(229)가, 상측 채널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외팔보(228)에 의해 상기 후크 단부 정지부와 연결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절개부는, "L"자-형상을 형성하는 리벳 통로 및 리벳 클립을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9.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100)을 와이퍼 아암(20)과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로서:
    제1 부분(211), 제1 부분에 대해 종방향으로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212),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213)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로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중심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214)으로서, 각각 상측 표면(215) 및 하측 표면(216)을 갖는 것인, 한 쌍의 측벽(214),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상기 제2 부분 상의 상기 측벽 쌍 사이에 한정되는 커넥터 채널(225)로서, 상기 와이퍼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커넥터 채널(225),
    상기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 상의 리벳을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리벳 절개부(217), 및
    상기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리벳 절개부로부터 이격되는 후크 단부 정지부(226)로서, 후크-스타일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접경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후크 단부 정지부(226)
    를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 및
    제1 부분(231) 및 제1 부분의 종방향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232)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230)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상기 제1 부분(231)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개별적인 상기 제1 부분(211)에 대해 선회 가능하며,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상기 제2 부분(232)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에 고정 가능한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230)
    를 포함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선반(221)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커넥터 채널과 정렬되는 중심 섹션(222) 및 상기 측벽들(214) 중의 하나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223)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234)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은, 폐쇄 위치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표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표면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표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상측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과 상이한 높이에 놓이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하측면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측벽들의 상기 하측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커버 탭(234A)을 더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커넥터 측벽들(214) 중의 하나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외향 돌출부(22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방 커버 탭은, 커버가 폐쇄 위치에 놓일 때, 상기 돌출부의 바닥 측면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1 부분은, 한 쌍의 커넥터 커버 수용 구멍(220)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은, 내향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상기 커넥터 커버 수용 구멍들과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커넥터 구멍 로드(223)를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하측면이, 후크 정지부(236)를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1 부분에서의 제1 높이에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에서의 제2 높이에, 하측 표면(235)을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상측 표면에 외팔보형으로 연결되는 버튼(237)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버튼의 원위 에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상기 상측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모깎기된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7. 제9항에 있어서,
    제1 부분(251) 및 제1 부분의 종방향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252)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사이에 고정 가능한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선반(221)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커넥터 채널과 정렬되는 중심 섹션(222) 및 상기 측벽들(214) 중의 하나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223)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제1 클립(258)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제2 클립(259)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클립은, 상기 커넥터 채널을 통해 삽입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클립의 원위 에지가, 상기 선반의 상기 중심 섹션의 하측면과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의 제2 부분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234)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커버 탭은, 폐쇄 위치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어댑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커넥터 측벽들의 상측 표면을 접촉시키는, 하부 에지(256)를 구비하는 어댑터 측벽들(254)을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
  20. 와이퍼 아암(20)과 연결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지지 구조물(100);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100)을 상기 와이퍼 아암(20)과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부분(211), 제1 부분에 대해 종방향으로 반대편에 놓이는 제2 부분(212),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중심 부분(213)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21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중심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214)으로서, 각각 상측 표면(215) 및 하측 표면(216)을 갖는 것인, 한 쌍의 측벽(214),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의 상기 제2 부분 상의 상기 측벽 쌍 사이에 한정되는 커넥터 채널(225)로서, 상기 와이퍼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커넥터 채널(225),
    상기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지지 구조물 상의 리벳을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되는, 리벳 절개부(217), 및
    상기 하측 표면 근처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리벳 절개부로부터 이격되는 후크 단부 정지부(226)로서, 후크-스타일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접경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후크 단부 정지부(226)
    를 구비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207005889A 2017-07-28 2018-07-30 윈드쉴드 와이퍼 커넥터 및 조립체 KR202000373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8368P 2017-07-28 2017-07-28
US62/538,368 2017-07-28
US201762587111P 2017-11-16 2017-11-16
US62/587,111 2017-11-16
US201862625335P 2018-02-01 2018-02-01
US62/625,335 2018-02-01
US201862646498P 2018-03-22 2018-03-22
US62/646,498 2018-03-22
US201862651435P 2018-04-02 2018-04-02
US62/651,435 2018-04-02
US201862671539P 2018-05-15 2018-05-15
US62/671,539 2018-05-15
PCT/US2018/044423 WO2019023711A1 (en) 2017-07-28 2018-07-30 CONNECTION AND WIP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321A true KR20200037321A (ko) 2020-04-08

Family

ID=6504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889A KR20200037321A (ko) 2017-07-28 2018-07-30 윈드쉴드 와이퍼 커넥터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370394B2 (ko)
EP (1) EP3658426B1 (ko)
JP (1) JP7133621B2 (ko)
KR (1) KR20200037321A (ko)
CN (1) CN111051154B (ko)
AU (1) AU2018308154A1 (ko)
CA (1) CA3070567A1 (ko)
WO (1) WO20190237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232A (ko)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쏠리드 스펙트럼 공유 시스템과 연동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621B2 (ja) * 2017-07-28 2022-09-08 パイロン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コネクタおよびアセンブリ
EP4258629A1 (en) 2020-12-07 2023-10-11 Robo Garage Co., Ltd. Th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0292A (en) * 1948-09-25 1952-06-10 Gen Electric Frequency discriminator circuit
US3072756A (en) * 1960-01-29 1963-01-08 Tabet Mfg Company Inc Electrical switch assembly
FR2441517A1 (fr) * 1978-11-15 1980-06-13 Champion Spark Plug Co Dispositif d'attache d'un balai d'essuie-glace a son bras d'entrainement
FR2486476A3 (fr) * 1980-07-10 1982-01-15 Arman Spa Dispositif d'attache d'un balai d'essuie-glace a son bras d'entrainement
FR2560839B1 (fr) * 1984-03-06 1986-09-19 Journee Paul Sa Attache pour balai d'esuie-glace
FR2600292B1 (fr) * 1986-06-20 1990-02-23 Marchal Equip Auto Dispositif d'attache reliant un bras d'essuie-glace et un etrier portant une lame racleuse
US5289608A (en) * 1991-10-29 1994-03-01 Alberee Product Inc. Windshield wiper frame connector which accomodates different size wiper arms
FR2736025B1 (fr) * 1995-06-28 1997-08-01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onnecteur muni d'un capot articule
FR2786449B1 (fr) * 1998-11-30 2001-02-23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d'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1163188A (ja) * 1999-09-30 2001-06-19 Ngk Spark Plug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連結具
JP2002356143A (ja) * 2001-05-31 2002-12-10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ワイパアーム
DE60213068T2 (de) 2002-05-03 2006-11-30 Federal-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AU2003288140A1 (en) 2002-11-26 2004-06-18 Valeo Wischersysteme Gmbh Device for detachably linking a wiper blade with a driven wiper arm
US7207082B2 (en) * 2002-12-27 2007-04-24 Albert Lee Windshield wiper frame connector which accommodates different size wiper arms
FR2879986B1 (fr) 2004-12-23 2008-07-11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plat universel et connecteur amovible associe
FR2879987B1 (fr) 2004-12-23 2007-03-09 Valeo Systemes Dessuyage Support de liaison de balai d'essuie-glace plat
CA2541641C (en) 2005-04-04 2014-02-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CA2590443C (en) * 2006-10-12 2012-01-17 Adm21 Co., Ltd. Adaptor of wiper blade
DE102008027566A1 (de) * 2008-06-10 2009-12-17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sowie Wischarm
US8286298B2 (en) 2008-07-11 2012-10-16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DE102008041996A1 (de) * 2008-09-11 2010-03-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eines Scheibenwischers
DE102008049269B4 (de) 2008-09-26 2020-08-27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arm/Wischblatt-Verbindung sowie Wischblatt
DE102008049273A1 (de) * 2008-09-26 2010-04-01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sowie Wischblatt/Wischarmverbindung
US8341799B2 (en) * 2009-07-10 2013-01-01 Federal-Mogul Corporation Multifunction wiper blade connector and assembly
US20130227809A1 (en) *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DE102010007557A1 (de) 2010-02-10 2011-08-11 Valeo Wischersysteme GmbH, 74321 Wischvorrichtung für Fahrzeugscheiben und Wischblatt mit einer Heizeinrichtung
JP5637579B2 (ja) 2010-04-22 2014-12-10 フェデラル−モグル エス.エー.Federal−Mogul.S.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8397341B2 (en) 2010-05-13 2013-03-19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8261403B2 (en) 2010-05-13 2012-09-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CN101863265B (zh) 2010-06-17 2013-10-09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连接组件和雨刷组合
DE102010025687A1 (de) 2010-06-30 2012-01-05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FR2962092B1 (fr) 2010-06-30 2013-06-28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d'essuie-glace a contacts electriques
KR101170905B1 (ko) * 2010-09-10 2012-08-06 김인규 후크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CN102001327B (zh) 2010-11-19 2012-10-10 殷小恒 一种雨刮器
US9889821B2 (en) 2010-12-27 2018-02-13 Mitsuba Corporation Wiper blad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02582582A (zh) 2011-01-14 2012-07-18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
CN201998951U (zh) 2011-01-20 2011-10-05 程宝来 一种雨刮器中的雨刮臂接头
CN102653269A (zh) 2011-03-04 2012-09-05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臂连接器及雨刷
DE102011005171A1 (de) 2011-03-07 2012-09-1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scheibenwischvorrichtung
US10322699B2 (en) 2011-07-29 2019-06-18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202193060U (zh) 2011-08-24 2012-04-18 宁波鑫海爱多汽车雨刷制造有限公司 雨刷及其接头
PL2790979T3 (pl) 2011-12-14 2020-01-31 Federal-Mogul Corporation Urządzenie wycieraczkowe do szyby przedniej pojazdu
EP2790974B1 (en) 2011-12-14 2019-08-07 Federal-Mogul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147826B1 (ko) * 2011-12-20 2012-05-18 (주)에이치 에스 티 와이퍼 암 체결용 커넥터 장치
PL2797788T3 (pl) 2011-12-29 2020-05-18 Federal-Mogul Corporation Urządzenie wycieraczkowe szyby przedniej pojazdu
KR101350277B1 (ko) * 2012-01-27 2014-01-14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A2865295C (en) 2012-02-24 2017-03-14 Pylon Manufacturing Corp. Hinged wiper blade
CN104349950A (zh) * 2012-06-13 2015-02-1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适配器系统
US9145111B2 (en) 2012-09-10 2015-09-29 Alberee Products, Inc. Hybrid blade
CN202863398U (zh) 2012-09-12 2013-04-10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与雨刷杆的装配结构
US9925957B2 (en) 2012-12-11 2018-03-27 Qinghuai Shen Windscreen wiper strip support and windscreen wiper blade having same
KR101245363B1 (ko) * 2013-01-24 2013-03-19 동양기전 주식회사 오조립 방지 구조가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US9555775B2 (en) *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WO2014169271A1 (en) 2013-04-12 2014-10-16 Federal-Mogul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FR3005443B1 (fr) 2013-05-13 2017-09-08 Valeo Systemes Dessuyage Interface de connexion hydraulique et/ou electrique pour balai d'essuie-glace.
FR3005441B1 (fr) 2013-05-13 2015-05-29 Valeo Systemes Dessuyage Interface de connexion hydraulique et/ou electrique pour balai d’essuie-glace
FR3005442B1 (fr) 2013-05-13 2015-05-29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fixation d'essuie-glace et systeme d'essuyage comprenant ledit dispositif de fixation
FR3005446B1 (fr) 2013-05-13 2015-07-03 Valeo Systemes Dessuyage Ensemble pour la realisation d'un systeme d'essuyage de pare brise de ve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de connexion comprenant un tel ensemble
DE102013104902A1 (de) 2013-05-13 2014-11-13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anlage eines Kraftfahrzeugs, Wischblatt und Wischeinrichtung
FR3006964B1 (fr) 2013-06-12 2017-04-21 Valeo Systemes Dessuyage Ensemble d'une tete de bras et d'un adaptateur pour un systeme d'essuyage de pare brise, adaptateur et tete de bras correspondants et systeme d'essuyage obtenu
FR3008053B1 (fr) 2013-07-08 2015-08-28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entre un balai d'essuyage et un bras d'entrainement de systeme d'essuyage
FR3011211B1 (fr) 2013-09-30 2017-01-13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ou adaptateur pour systeme d'essuyage d'un pare-bris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CN104648329B (zh) 2013-11-19 2017-04-12 扬弘实业股份有限公司 刮水器用连接器及其刮水器组件
DE102013019805B4 (de) 2013-11-27 2022-06-15 Mercedes-Benz Group AG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sowie Wischblatt und Wischarm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erbindungsanordnung
US9505380B2 (en) *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EP3142904B1 (en) 2014-05-13 2018-04-04 Federal-Mogul Motorparts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6458162B (zh) 2014-07-03 2019-06-07 联邦莫古尔股份有限公司 风挡刮水器装置
US10507803B2 (en) 2014-08-08 2019-12-17 Mitsuba Corporation Wiper apparatus and nozzle unit
CN204506837U (zh) 2015-03-24 2015-07-29 美途汽配实业(厦门)有限公司 滑盖式新型雨刷连接器
CN204488738U (zh) * 2015-03-24 2015-07-22 美途汽配实业(厦门)有限公司 多功能雨刷臂连接器
KR101691427B1 (ko) 2015-04-17 2017-01-09 앨버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KR101691426B1 (ko) 2015-04-17 2016-12-30 앨버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FR3037897B1 (fr) 2015-06-26 2018-11-02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EP3362328B1 (en) 2015-10-14 2019-08-07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FR3043041B1 (fr) * 2015-11-04 2017-12-08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FR3043042B1 (fr) 2015-11-04 2017-12-15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PL3452341T3 (pl) 2016-05-02 2020-09-21 Federal-Mogul S.A. Pojazd zaopatrzony w co najmniej dwa urządzenia wycieraczkowe szyby przedniej pojazdu w rodzaju mających płaskie pióro
AU2017268019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AU2017267980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FR3056510B1 (fr) 2016-09-29 2021-10-15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la connexion d'un balai d'essuyage a un bras d'entrainement d'un systeme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56512A1 (fr) 2016-09-29 2018-03-30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constitutif d'un systeme d'essuyage
FR3056511B1 (fr) 2016-09-29 2022-01-1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constitutif d'un systeme d'essuyage
US10150452B2 (en) 2016-10-14 2018-12-11 Federal-Mogul Motorparts Llc Windscreen wiper device
JP7133621B2 (ja) * 2017-07-28 2022-09-08 パイロン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コネクタおよびアセンブ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232A (ko)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쏠리드 스펙트럼 공유 시스템과 연동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8426B1 (en) 2023-10-18
JP2020529946A (ja) 2020-10-15
WO2019023711A1 (en) 2019-01-31
US20190031153A1 (en) 2019-01-31
US11780408B2 (en) 2023-10-10
EP3658426A1 (en) 2020-06-03
CN111051154A (zh) 2020-04-21
AU2018308154A1 (en) 2020-02-06
US20220402461A1 (en) 2022-12-22
CN111051154B (zh) 2023-09-12
CA3070567A1 (en) 2019-01-31
JP7133621B2 (ja) 2022-09-08
US11370394B2 (en) 2022-06-28
EP3658426A4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0408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11180118B2 (en) Wiper blade
US20200282956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162520B2 (en) Dual material U-base fastener
US9738261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24551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10829092B2 (en)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JPS6220927B2 (ko)
KR20130038817A (ko) 와이퍼 암의 단부에 있는 결합 부재를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부재와 연접식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
CN114597692A (zh) 用于插接式连接器的保持框架和组装保持框架的方法
US6170249B1 (en) Energy-supply chain
KR10149822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CN111971208B (zh) 风挡擦拭器连接器和组件
US20210131527A1 (en) Separator for an energy chain
US20200207311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to a drive arm of a wip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220275672A1 (en) Coupling system
US20190275989A1 (en) Hybrid windshield wiper blade
US11465590B2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US11760312B2 (en) Windshield wiper blade
WO2022035883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JP2022516656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ブレード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