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389A -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 Google Patents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389A
KR20200036389A KR1020180115979A KR20180115979A KR20200036389A KR 20200036389 A KR20200036389 A KR 20200036389A KR 1020180115979 A KR1020180115979 A KR 1020180115979A KR 20180115979 A KR20180115979 A KR 20180115979A KR 20200036389 A KR20200036389 A KR 2020003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main material
angle
reinforcing
typ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래훈
김건영
조용원
조원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1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6389A/ko
Publication of KR2020003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3)의 내측면을 감싸는 내측 보강재(110)와 상기 내측 보강재(110)가 상기 앵글형 주주재(3)의 내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앵글형 주주재(3)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내측 보강재(110)와 고정되는 외측 보강재(120) 및 상기 내측 보강재(110)와 상기 외측 보강재(120)가 상기 앵글형 주주재(3)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주주재에 크랙 발생시 주주재 교체가 아닌 보강으로 크랙의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하고 주주재의 단면적 증가로 굽힘에 대한 내력을 증가하므로 보강기구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타 보강방법에 비해 주주재에 홀 가공을 하지 않아 강도를 저하하지 않으며, 주주재를 교체하는 것 대비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REINFORCEMENT DEVICE FOR ANGLE TYPE TOWER POST}
본 발명은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탑 등의 주주재를 보강하기 위한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1)은 기초(2) 위에 4개의 기둥인 주주재(3)가 설치되고, 주주재(3)와 주주재(3)의 사이에는 주주재(3)의 보강을 위한 수평재(4)와 보조재(5)가 설치된다.
철탑(1)의 주주재(3)는 철탑(1)의 하중을 견디는 부분으로 철탑(1)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주주재(3)는 ㄱ형강들(3a)을 볼트(3b)로 조여 연결한 구조로 되며, ㄱ형강의 두께와 ㄱ형강들을 연결하는 볼트의 개수 등을 조절하여 허용응력 기준을 충족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철탑(1)은 지상 구조물로 자연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 주주재(3)에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주주재(3)에 크랙 발생시 크랙 발생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철탑 기울어짐, 철탑 전복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크랙이 발생한 주주재(3)의 교체가 필요하다.
주주재(3)에 크랙 발생시 주주재(3) 교체를 위해서는, 철탑(1)에 연결된 전력선을 철거하고 철탑(1)에 부목 등의 보조재를 설치 후 주주재(3)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주주재(3)는 철탑(1) 및 전력선의 모든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큰 힘이 전달되고, 주주재(3)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철탑(1)에서 전력선 철거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교체할 주주재(3) 대신 보조재(부목)를 설치 후 주주재(3)를 교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주재(3)는 큰 하중을 견디고 있어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하면 교체가 쉽지 않고, 주주재(3)의 교체시 휴전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계통 불안정 상태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319784호(2013.10.1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철탑 등의 주주재에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하면 주주재의 크랙 발생 구간을 교체가 아닌 보강을 통해 크랙의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하고, 주주재의 내력을 증가시키도록 한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주재에 홀을 가공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고 주주재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부, 본 발명은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의 내측면을 감싸는 내측 보강재와 상기 내측 보강재가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내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내측 보강재와 고정되는 외측 보강재와 상기 내측 보강재와 상기 외측 보강재가 상기 앵글형 주주재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보강재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되고, 상기 외측 보강재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는 ㄱ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는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단에서 더 연장되고 볼트홀이 형성된 양단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일측 외측면에 밀착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더 연장되고 상기 내측 보강재의 접속부와 대응되며 상기 접속부의 볼트홀과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일단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일단 접속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고정홀이 형성된 타단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단 접속부는 상대편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상대편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고정홀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에 상기 외측 보강재의 일단 접속부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보강재의 볼트홀과 상기 외측 보강재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볼트홀과 체결홀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고정홀과 상기 상대편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두 고정홀을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너트 및 상기 고정너트는 와셔와 함께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 및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와 상기 외측 보강재가 일단 접속부의 사이에는 필요 두께의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일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는 120도 간격을 두고 대칭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일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폭과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와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의 크랙 발생 구간을 내측과 외측에서 감싸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주재에 크랙 발생시 주주재 교체가 아닌 보강으로 크랙의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하므로 주주재를 교체하는 것 대비 공사비가 절감되고, 주주재를 감싸 보강하므로 주주재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굽힘에 대한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주재에 홀을 뚫지 않고도 주주재의 보강이 가능하므로 홀을 뚫는 과정에서 추가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홀 가공으로 인해 주주재의 인장력이 감소할 수 있는 문제, 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고 더욱이 보강기구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탑의 주주재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로 철탑의 주주재를 보강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가 철탑의 주주재에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가 철탑의 주주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횡단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1)의 주주재(3)의 크랙 발생 구간을 감싸 보강한다. 주주재(3)에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100)를 감싸 주주재(3)의 크랙 발생 구간을 보강하면, 크랙의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하고 주주재(3)의 단면적 증가로 굽힘에 대한 내력이 증가한다.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100)는 주주재(3)의 크랙 발생 구간 마다 설치되어 주주재(3)를 보강할 수 있다. 주주재(3)는 ㄱ형강들을 볼트로 조여 연결한 구조로 된다. 또한, 주주재(3)는 ㄱ형강의 두께와 ㄱ형강들을 연결하는 볼트의 개수 등을 조절하여 허용응력 기준을 충족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주주재(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크랙이 진행되어 철탑 무너짐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크랙이 발생한 구간을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100)로 감싸 보강함으로써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100)는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를 포함한다. 하나의 내측 보강재(110)와 두 개의 외측 보강재(120,120')로 주주재(3)를 감싸도록 보강하여 주주재(3)의 크랙 발생 구간을 보강한다. 즉, 내측 보강재(110)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되고, 외측 보강재(120)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되어 주주재(3)를 감싸 보강한다.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는 상호 볼트 체결하여 주주재(3)에 설치 완료된다. 즉,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가 맞닿은 단부가 볼트 체결되고, 외측 보강재(120)와 외측 보강재(120')가 맞닿은 단부가 볼트 체결되어 주주재(3)에 설치 완료된다. 이는 주주재(3)에 홀을 가공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고 주주재(3)를 보강할 수 있다. 이는 주주재(3)에 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주주재(3)에 추가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보강재(110)는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3)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된다. 앵글형 주주재(3)는 ㄱ형강으로 된다. 내측 보강재(110)는 앵글형 주주재(3)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감싸도록 앵글형 주주재(3)의 ㄱ형강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큰 ㄱ형강으로 이루어진다. ㄱ형강은 등변 ㄱ형강일 수 있다.
내측 보강재(110)는 앵글형 주주재(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11)와 밀착부(111)의 양단에서 더 연장되고 볼트홀(114,115)이 형성된 양단 접속부(112,113)를 포함한다.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는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와 고정된다.
내측 보강재(110)의 밀착부(111)는 주주재(3)의 내측면의 폭에 대응되고,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의 폭(m)은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 및 타단 접속부(124)의 폭(m)에 각각 대응된다. 볼트홀(114,115)은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며, 실시예에서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에 각각 3개의 볼트홀(114,115)이 형성된다. 내측 보강재(110)는 주주재(3)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외측 보강재(120)는 앵글형 주주재(3)의 일측 외측면에 밀착되는 접촉부(121)와 접촉부(121)에서 더 연장되고,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 중 하나와 대응되며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의 볼트홀(114,115)과 대응되는 체결홀(123)이 형성된 일단 접속부(122)를 포함한다.
외측 보강재(120)는 접촉부(121)에서 일단 접속부(12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촉부(121)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타단 접속부(124)를 더 포함한다. 타단 접속부(124)에는 고정홀(125)이 형성된다. 고정홀(125)은 외측 보강재(120)와 외측 보강재(12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고정홀(125)은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에 일정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된다.
외측 보강재(120)의 접촉부(121)는 주주재(3)의 일측 외측면의 폭에 대응된다. 또한,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의 폭(m)과 타단 접속부(124)의 폭은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의 폭(m)에 대응된다. 외측 보강재(120)는 주주재(3)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외측 보강재(120)에서 접촉부(121)와 타단 접속부(124)의 각도는 120도 이다. 이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에 두 외측 보강재(120,120')의 일단 접속부(122,122')가 각각 고정되고, 두 외측 보강재(120,120')의 타단 접속부(124,124')가 상호 대응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는 상대편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와 접속되고, 상대편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에 형성된 고정홀(125')과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의 고정홀(125)이 연통되어 볼트 체결할 수 있다.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의 폭(m)과 길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가 앵글형 주주재(3)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고정수단은 체결볼트(131,141)와 체결너트(132,142), 고정볼트(151)와 고정너트(152)를 포함한다.
체결볼트(131,141)와 체결너트(132,142)는 내측 보강재(110)의 단부와 외측 보강재(12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체결볼트(131,141)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에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가 대응된 상태에서, 내측 보강재(110)의 볼트홀(114,115)과 외측 보강재(120)의 체결홀(123)을 관통한다. 체결너트(132,142)는 볼트홀(114,115)과 체결홀(123)을 관통한 체결볼트(131,141)의 단부에 체결된다.
고정볼트(151)와 고정너트(152)는 외측 보강재(120)와 외측 보강재(12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볼트(151)는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의 고정홀(125)과 상대편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의 고정홀(125')을 관통한다. 고정너트(152)는 두 고정홀(125,125')을 관통한 고정볼트(151)의 단부에 체결된다.
체결볼트(131,141)와 고정볼트(151)는 접합면에 강한 조임력을 제공하는 고력볼트르 사용할 수 있다. 체결너트(132,142) 및 고정너트(152)는 와셔(133,143,153)와 함께 체결볼트(131,141)의 단부 및 고정볼트(151)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와셔(133,143,153)는 스프링와셔, 평와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와 외측 보강재(120)가 일단 접속부(122)의 사이에는 필요 두께의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135,145)가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플레이트(135,145)는 내측 보강재(110)의 단부와 외측 보강재(120)의 단부가 맞닿는 접합면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체결볼트(131,141)에 체결되고,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와 외측 보강재(120)가 일단 접속부(1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필러 플레이트(135,145)는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가 체결볼트(131,141)로 고정된 상태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주주재(3)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는 120도 간격을 두고 대칭된다.
상기한 보강 구조는 하나의 내측 보강재(110)와 두 개의 외측 보강재(120,120')로 주주재(3)를 감싸 보강하는 구조로,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 및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는 120도 간격을 두고 대칭되고, 체결볼트(131,141)와 고정볼트(151)도 120도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위치에 체결된다. 또한, 내측 보강재(110)의 양단 접속부(112,113), 외측 보강재(120)의 일단 접속부(122), 외측 보강재(120)의 타단 접속부(124)의 폭과 길이는 동일하다. 이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100)가 주주재(3)를 균일한 하중으로 감싸 보강하도록 한다.
만약, 주주재(3)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 보강재(120)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작하면, 외측 보강재(120)와 내측 보강재(110)의 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주주재(3)의 여러 곳에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100)를 설치하는 경우 주주재의 내측으로 하중이 쏠리게 되어 주주재(3)가 비틀어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보강재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외측 보강재(120)를 두 개의 프레임으로 제작하여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주주재(3)를 균형있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보강 구조는 주주재(3)를 균형있게 감싸 보강하는 구조이고, 주주재(3)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굽힘에 대한 내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크랙 발생 부분(A)에 화살표 방향으로 균일한 압력을 주어 추가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한 보강 구조는 주주재(3)에 크랙 발생시 주주재 교체가 아닌 보강으로 크랙의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하므로 주주재(3)를 교체하는 것 대비 공사비가 절감되고, 주주재(3)에 홀을 뚫지 않고도 주주재(3)의 보강이 가능하므로 보강기구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보강 구조는 기존 주주재 교체 방식 대비 90% 공사비가 절감되고, 주주재에 홀을 뚫어 보강하는 것 대비 60% 공사비가 절감된다.
또한, 상기한 주주재 보강 방법은 휴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계통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한 보강 구조에서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가 주주재(3)와 접촉하는 밀착부(111) 및 접촉부(121)는 평면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가 주주재(3)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밀착부(111)와 접촉부(121)에 미세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가 주주재(3)와 접촉하는 밀착부(111)와 접촉부(121)에 고무 등을 이용한 쿠션면을 두어 주주재(3)와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철탑 2: 기초
3: 주주재 3a: ㄱ형강
4: 수평재 5: 보조재
100: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110: 내측 보강재
111: 밀착부 112,113: 양단 접속부
114,115: 볼트홀 120: 외측 보강재
121: 접촉부 122: 일단 접속부
123: 체결홀 124: 타단 접속부
125: 고정홀 130: 고정수단
131,141: 체결볼트 132,142: 체결너트
133,143: 와셔 151: 고정볼트
152: 고정너트 153: 와셔
135,145: 필러 플레이트

Claims (13)

  1.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의 내측면을 감싸는 내측 보강재;
    상기 내측 보강재가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내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내측 보강재와 고정되는 외측 보강재; 및
    상기 내측 보강재와 상기 외측 보강재가 상기 앵글형 주주재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재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되고, 상기 외측 보강재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재는 ㄱ형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재는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양단에서 더 연장되고 볼트홀이 형성된 양단 접속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앵글형 주주재의 일측 외측면에 밀착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에서 더 연장되고 상기 내측 보강재의 접속부와 대응되며 상기 접속부의 볼트홀과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일단 접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일단 접속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고정홀이 형성된 타단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단 접속부는
    상대편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상대편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고정홀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에 상기 외측 보강재의 일단 접속부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보강재의 볼트홀과 상기 외측 보강재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
    상기 볼트홀과 체결홀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고정홀과 상기 상대편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두 고정홀을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 및 상기 고정너트는 와셔와 함께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 및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와 상기 외측 보강재가 일단 접속부의 사이에는 필요 두께의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일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는 120도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재의 양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일단 접속부, 상기 외측 보강재의 타단 접속부의 폭과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재와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의 크랙 발생 구간을 내측과 외측에서 감싸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KR1020180115979A 2018-09-28 2018-09-28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KR20200036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979A KR20200036389A (ko) 2018-09-28 2018-09-28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979A KR20200036389A (ko) 2018-09-28 2018-09-28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389A true KR20200036389A (ko) 2020-04-07

Family

ID=7029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979A KR20200036389A (ko) 2018-09-28 2018-09-28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63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3036A (zh) * 2021-12-10 2022-03-25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贯通式角钢输电杆塔加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784B1 (ko) 2011-07-01 2013-10-18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철탑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784B1 (ko) 2011-07-01 2013-10-18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철탑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3036A (zh) * 2021-12-10 2022-03-25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贯通式角钢输电杆塔加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6741B2 (ja) グラウト層補強具
US82150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energy dissipation of structural elements
KR20150126502A (ko) 강아치교의 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US7216467B2 (en) Column to structure attachment device
KR20150116733A (ko) 프리스트레스 강선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외부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KR20200025341A (ko) 강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공법
KR20200036389A (ko)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JP2006312822A (ja) 緊張材の定着構造
JP2016204996A (ja) 斜ケーブルの定着構造
KR102262951B1 (ko) 단차보정유닛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거더 및 그 시공방법
CN101050645A (zh) 混凝土套管防压曲支撑
KR101692046B1 (ko) 모멘트 감소와 처짐 방지구조를 구비한 강관 거더 및 강관 파일
JP2012017577A (ja) 鉄骨部材の固定構造
KR101672355B1 (ko) 강거더 교량의 지점부 인장도입을 위한 트러스 아암 설치구조
JP2023160391A (ja) 鋼材の接合構造
JP2021089024A (ja) 管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管状部材の固定方法
KR10050657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44611A (ko) 주주재 보강 장치
JP2001064916A (ja) 継手を含む橋梁の補強方法
KR101217790B1 (ko)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CN209293225U (zh) 一种自复位、快修复u型软钢消能支撑
KR100370177B1 (ko) 거더의 외부강선 보강을 위한 압축형 단부브라켓
JPH09291542A (ja) U字形アンカーボルトを用いた鉄骨柱脚
JP7379738B1 (ja) 座屈拘束ブレース、座屈拘束ブレースの取り付け方法、構造物、および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373522B1 (ko) 합성 정착보강부를 이용한 강판형교의 강선 보강공법 및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