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254A - 세탁용 시트 - Google Patents

세탁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254A
KR20200035254A KR1020200036640A KR20200036640A KR20200035254A KR 20200035254 A KR20200035254 A KR 20200035254A KR 1020200036640 A KR1020200036640 A KR 1020200036640A KR 20200036640 A KR20200036640 A KR 20200036640A KR 20200035254 A KR20200035254 A KR 20200035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main
weight
sheet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714B1 (ko
Inventor
이정규
용가은
카이웨이 우
Original Assignee
(주)넥스트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트업 filed Critical (주)넥스트업
Publication of KR2020003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11D11/0017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2Water soluble or water disintegrable containers or substrates 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or additives for clea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3Ester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6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42Amino alcohols or amino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11D1/523Carboxylic alkylolamides, or dialkylolamides, or hydroxycarboxylic amides (R1-CO-NR2R3), where R1, R2 or R3 contain one hydroxy group per alk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4Carboxylates or sulfonates est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탁용 시트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주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제1 주계면활성제와 제2 주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탄소수 8~18의 알킬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는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이고, 다른 하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전체 중량 대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30 내지 40 중량%,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20 내지 36 중량%,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14 내지 22 중량% 포함되는 세탁용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용 시트{Laundry Detergent Sheet}
본 발명은 세탁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용 세제로는 지금까지 분말형 세제, 액상 세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분말형 세제는 분말이 날린다는 단점이 있었고, 액상 세제는 무거워서 운반하거나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새로운 유형의 세제로서 미국등록특허 제4,605,509호에는 액상세제 성분 및 섬유유연제를 수용성 필름 봉지에 포장한 세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품의 보관 또는 운반 시 밀봉이 터져 내용물이 누출되는 현상, 필름의 표면으로 유효성분들이 스며 나오는 현상 등 제품의 보관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량하여 새로운 세탁용 시트로서 시트형 고형 세제가 개발되었으나 알칼리성을 나타내어 피부에 대한 자극과 손상을 초래할 염려가 있고, 시트 자체의 용해성도 썩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미국등록특허 제4,605,509호
본 발명은 시트 세제로서 세척력이 우수하며 용해성, 유연성 등 여러 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세탁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탁용 시트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주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제1 주계면활성제와 제2 주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상이하며,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8~18의 알킬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는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이고, 다른 하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탁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용 시트는 시트 세제로서 사용하기 편리하며, 물에 완전하게 용해되어 세탁 후 제거할 필요가 없고, 세척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피부에 대한 자극도 덜하고 유연성도 우수하다.
도 1~도 2는 각각 보조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세척력, 피부자극 시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은 FMEE를 사용하였을 때의 생분해성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도 6은 각각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샘플을 물에 넣고 30초가 경과한 후의 용해도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도 9는 각각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샘플을 물에 넣고 60초가 경과 후의 용해도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탁용 시트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탁용 시트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주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제1 주계면활성제와 제2 주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상이하며,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8~18의 알킬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는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이고, 다른 하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탁용 시트를 제공한다.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는 세탁용 시트를 형성하는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시트 형성 기재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아미드 보다 시트 제형성이 우수하고, 셀룰로오스보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를 형성하는 주성분으로서 불용성 또는 난용성 소재인 부직포, 직포 대신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소재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세탁시 시트가 물에 쉽게 용해될 수 있다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의 분자량은 세탁용 시트를 형성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60,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의 검화도 또한 세탁용 시트를 형성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세탁시트의 세정 활성 성분으로서 주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주계면활성제는 세탁용 시트에 포함된 주된 세정 활성 성분을 의미하고, 보조계면활성제는 주계면활성제 외에 추가적으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세정 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주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세탁용 시트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6 중량%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주계면활성제는 2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 중 함량이 더 많은 것을 제1 주계면활성제로, 함량이 더 적은 것을 제2 주계면활성제로 일컫는다. 제1 주계면활성제와 제2 주계면활성제는 세탁용 시트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각각 10 내지 18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탄소수 8~18의 알킬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탄소수가 상이하거나 알칼리 금속의 종류가 상이하거나 이 둘 모두가 상이할 수 있으나, 알칼리 금속의 종류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은 탄소수가 12~16인 경우, 필름 형성 기재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다는 점으로 인하여 바람직하다. 금속은 알칼리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듐 또는 칼륨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주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 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주계면활성제 외에 보조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계면활성제는 상기 탄소수 8~18의 알킬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 주계면활성제 외에 세정활성성분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보조계면활성제로서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량이 높은 것부터 제1 보조계면활성제, 제2 보조계면활성제의 순으로 명명한다.
이러한 보조계면활성제는 알킬에스터 알콕실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알킬에스터 알콕실레이트 외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보조계면활성제로 완충액(buffer)도 사용될 수 있다.
보조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fatty acid alkyl ester alkoxylate) 에서 알킬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C1-C6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콕실레이트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메톡실레이트, 에톡실레이트, 포르폭실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방산 메틸 에스터 에톡실레이트(이하 'FMEE' 또는 'FAMEE')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의 경우 알킬 에톡실레이트 (alkyl ethoxylates (AEO)),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alkyl polyglucoside (APG))에 비하여 세척력, 피부자극성 등에서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보조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코코넛 디에탄올 아미드(coconut diethanolamide), 지방산알칸올아민(fatty acid alkanolamine),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polyglucoside), 메틸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methyl polyethylene alkyl ether) 또는 슈가 에테르(sugar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alkyl polyglucoside (APG))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특히 코코넛 디에탄올 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보조계면활성제로 사용할 경우 각각의 보조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시트의 성형성이나 세정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보조계면활성제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외에 완충제로 사용되는 성분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2-모르폴리노에탄올설폰산 모노하이드레이트(2-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MES) Monohydrate),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설폰산(N-Tris(hydroxymethyl)m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 TE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MES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들의 함량의 합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4 내지 2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계면활성제로서 3종 이상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 제1 보조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보조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3 보조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조계면활성제, 제2 보조계면활성제, 제3 보조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상기 언급된 보조계면활성제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제1 보조계면활성제로서 완충제로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MES 모노하이드레이트, 제2 보조계면활성제로서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 제3 보조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다음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표 1 참조).
성분 함량 (중량%)
글리세린 0.5~6.0
수용성 실리콘 오일 1.0~2.0
향료 0.3~1.0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3~1.0
시트르산(Citric acid) 0.1~0.2
효소 0.01~0.02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탁용 시트는 세척 성능 또는 필름 제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관 안정성, 제조 용이성 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붕해제, 붕해보조제, 향료, 효소, 형광증백제, 알칼리 빌더, 섬유 유연제, 표백제, 살균 소독제, 등의 기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붕해제/붕해보조제로는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염화나트륨, 구연산,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효소로는 셀룰라아제, 프로테아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빌더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알칼리 규산 나트륨, 중성 규산 나트륨, 트리폴리 인산나트륨, 피로인산 나트륨, 붕산 나트륨, 제올라이트(알루미노규산나트륨), 세스키탄산나트륨, MEA, TEA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백제로는 예를 들면, 과붕산염, 과탄산염, 과인산염, 디아실, 테트라아실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살균 소독제로는 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나트륨,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용 시트 두께는 1 ㎛ 내지 1 ㎝인 것이 바람직하며, 5 ㎛ 내지 0.5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시트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강도가 충분하지 않으며 유효성분을 충분하게 담기 어려워 원하는 성능을 갖기 힘들며, 시트의 두께가 1 ㎝를 초과하면, 용해 시간이 길어져 세척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탁용 시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1) 유화기에 폴리비닐알코올(PVA)을 넣고 저어주면서 여기에 주계면활성제를 추가로 넣어 원료들이 균일하게 완전히 용해되어 혼합되도록 한다.
2) 원료가 균일하게 혼합되면 향료, 방부제를 넣고 용해시켜 혼합한다.
3) 이후 차례로 보조계면활성제, 기타 필요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를 넣고 저어주면서 균일하게 용해시킨다.
1)~3)에서 모든 원료는 기존에 배합된 원료가 충분히 용해된 후에 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시트제작기를 세척한 후 가열한 다음 1)~3)을 거쳐 혼합된 원료를 주입해 시트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상기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시트의 성분 및 함량은 아래 표 2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PVA 39.1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5.83
포테슘라우릴설페이트 12.10
MES 모노하이드레이트 9.31
FMEE 7.76
아미드계 또는 아민계 보조계면활성제 3.10
글리세린 4.66
수용성 실리콘 오일 1.86
향료 0.47
페녹시에탄올 0.61
시트르산 0.12
효소 0.01
잔량(5.06)
비교예 1
폴리비닐알콜,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포함하며, 1, 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소듐 아세테이트, 향료 등을 포함하는 세탁 시트를 비교예 1로 하였다(엘지생활건강, '테크 한장빨래'로 시판). 비교예 1의 시트는 계면활성제를 30% 이상(고급알코올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고급알코올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포함하며, 효소, 알칼리제, 향료, 제형화제, 안정화제, 베이킹소다(세탁 보조제)를 포함한다.
비교예 2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PVA를 29 중량% 포함하고, 포테슘 도데실 설페이트를 25 중량%, 소디움 라두릴 설페이트를 20 중량% 포함하며, 보조계면활성제로서 라우레스(Laureth)-7을 10 중량%, 라우레스(Laureth)-9를 2 중량% 포함하고 기타 충전제, 시트르산, 향료, 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세탁용 시트를 비교예 2로 하였다.
실험예 1 - 보조계면활성제에 따른 세척력 시험
(1) 보조계면활성제로서 15% FMEE를 사용하여 카본블랙, 단백질, 지방질에 대한 세척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 15% APG(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를 사용하여, 카본블랙, 단백질, 지방질에 대한 세척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2) 보조계면활성제로서 15% FMEE, 15% AEO, 15% APG를 사용하여 각각 피부에 대한 자극 테스트를 수행하고 9일이 경과하는 동안 피부자극수치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3) 보조계면활성제로서 FMEE를 사용하고 생분해성 시험(OECD 301, B 테스트)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4) 다양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에 대하여 생물독성(Ecotoxicity)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테스트
방법
파라미터 C12C14-알킬
pg(mg/L)
C10C12-알킬
pg(mg/L)
C8C10-알킬 pg(mg/L) Ref.a FMEE
(mg/L)
AEO
(12A8N)
(mg/L)
Fish test LC50 (96h) 3.0 - 101 12 70.5 3.0
2.5-5.5 - - 13
5.5 39.8 167 14
Water flea test EC50
(49h)
7.0 - 20 12 79.2 1.9
12 - - 13
14.9 53.6 60 14
Algal test EC50
(72h)
6.0 - 21 12 >100 1.2
11b - - 13
7.4 43.9 75 14
시험결과, FMEE는 APG에 비하여 세척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백질, 지방질의 세척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에 대한 자극도 더 적을 뿐 아니라 생분해성이 높고 생물독성도 낮아 친환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 롤링(압연) 및 유연도 시험
실시예 1의 시트 일부를 절단하여 50 mm 직경의 실린더에 감고 30초 경과 후 균열이나 손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트 어디에서도 균열이나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유연도(softness)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6 - 세척력 시험
GB/T13174-2008의 방법에 따라 20HZ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면서 오염된 옷 6 x 6 cm에 대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시트를 이용하여 세정한 후 세정 전후의 백색도를 측정하여 세척력을 평가하였다(실험을 5회 반복한 후 오염된 부분의 숫자를 수치화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먼저 카본 오염에 대한 세척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세정 전 세정 후 차이
실시예 1 9.6 16 6.4
비교예 1 9.3 13.5 4.2
비교예 2 9.5 13.6 4.1
카본 블랙으로 오염된 옷에 대한 세척력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시트가 세척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비교예 2, 비교예 1 순으로 세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단백질 오염에 대한 세척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세정 전 세정 후 차이
실시예 1 7.6 9.5 1.9
비교예 1 7.7 9.6 1.9
비교예 2 8.0 10.3 2.3
단백질로 오염된 옷에 대한 세척력 평가 결과 비교예 2의 시트가 세척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은 세척력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Sebum 오염에 대한 세척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세정 전 세정 후 차이
실시예 1 41.0 47.8 6.8
비교예 1 40.7 46.0 5.3
비교예 2 41.0 47.5 6.5
Sebum으로 오염된 옷에 대한 세척력 평가 결과 실시에 1 시트가 세척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비교예 2, 비교예 1 순으로 세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실험예 3~5의 세척력을 모두 고려하여 세척력을 종합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세정 전
실시예 1 15.1
비교예 1 11.4
비교예 2 12.9
종합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시트가 세척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비교예 2, 비교예 1 순으로 세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7 PH 시험 (피부 자극 시험)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시트를 GB/T 6368에 의하여 수용성 용액 1% 용해도에서의 pH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8과 같다.
세정 전
실시예 1 7.6
비교예 1 9.82
비교예 2 6.90
비교예 1의 경우 손으로 세정하는 동안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나 실시예 1, 비교예 2의 경우 중성에 가까워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다.
실험예 8 용해도 시험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시트를 3 cm x 3 cm 크기로 절단하고 물에 담근 다음 30초 경과한 후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도 4~도 6은 각각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시트에 대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실시예 1이 비교예 1, 2에 비하여 용해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9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시트를 3 cm x 3 cm 크기로 절단하고 물에 담근 다음 60초 경과한 후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도 7~도 9는 각각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시트에 대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실시예 1의 시트는 거의 완전히 용해된 반면, 비교예 1, 2의 시트는 용해되지 않고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9)

  1.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탁용 시트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주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제1 주계면활성제와 제2 주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상이하며,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8~18의 알킬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는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이고, 다른 하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전체 중량 대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30 내지 40 중량%,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20 내지 36 중량%,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14 내지 22 중량% 포함되는 세탁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소듐 이외의 다른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계면활성제는 포테슘 도데실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계면활성제는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18 중량% 포함되는 세탁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코코넛 디에탄올 아미드(coconut diethanolamide), 지방산알칸올아민(fatty acid alkanolamine),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polyglucoside), 메틸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methyl polyethylene alkyl ether), 슈가 에테르(sugar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세탁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가 지방산 메틸 에스터 에톡실레이트인 세탁용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3종 이상의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는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이고, 다른 하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나머지 하나는 MES 모노하이트레이트인 세탁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전체 중량 대비,
    상기 지방산 알킬 에스터 알콕실레이트가 5 내지 8 중량%,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2 내지 4 중량%,
    상기 MES 모노하이드레이트가 7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세탁용 시트.
KR1020200036640A 2018-05-02 2020-03-26 세탁용 시트 KR102216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65 2018-05-02
KR20180050665 2018-05-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664A Division KR102096260B1 (ko) 2018-05-02 2019-05-02 세탁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254A true KR20200035254A (ko) 2020-04-02
KR102216714B1 KR102216714B1 (ko) 2021-02-18

Family

ID=685772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664A KR102096260B1 (ko) 2018-05-02 2019-05-02 세탁용 시트
KR1020200036640A KR102216714B1 (ko) 2018-05-02 2020-03-26 세탁용 시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664A KR102096260B1 (ko) 2018-05-02 2019-05-02 세탁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53847B2 (ko)
JP (1) JP7231650B2 (ko)
KR (2) KR102096260B1 (ko)
CN (1) CN112041418A (ko)
RU (1) RU276418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49B1 (ko) * 2019-11-19 2020-04-09 주식회사 티에스티코리아 종이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5171B1 (ko) * 2020-03-26 2021-09-28 (주)넥스트업 세탁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20029B1 (ko) * 2020-04-29 2020-06-08 주식회사 태균 세탁용 하이브리드 캡슐 세제 조성물
IT202200010724A1 (it) * 2022-05-24 2023-11-24 Orlandi Spa Detergente solido per superfici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5509A (en) 1973-05-11 1986-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aluminosilicate builders
JP2001262197A (ja) * 2000-03-14 2001-09-26 Lion Corp シート状洗剤およびシート状洗剤製品
KR20100096985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시트형 세제,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6292B1 (ko) * 2011-05-13 2012-05-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라우릴설페이트 염을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KR20150095815A (ko) * 2012-12-11 2015-08-21 더다이얼코포레이션 비누 조각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및 제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70066078A (ko) *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열 소자, 면상 발열체, 가열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5379A3 (en) 1989-12-22 1991-07-31 Akzo N.V. Suspension, coating, agglomeration and uses of imidoperoxycarboxylic acids
TW399096B (en) * 1996-07-03 2000-07-21 Kao Corp The sheet-like article for laundry
AU5444100A (en) 1999-05-26 2000-12-12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etergent compostitions comprising polymeric suds enhancers which have improved mildness and skin feel
US6827795B1 (en) 1999-05-26 2004-12-07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polymeric suds enhancers which have improved mildness and skin feel
JP2001294899A (ja) * 2000-04-12 2001-10-23 Lion Corp シート状洗濯用製品
CN1421519A (zh) 2001-11-23 2003-06-04 吕秀娟 薄片状卫生洗涤用品、制造方法及其用途
KR100653637B1 (ko) 2003-09-02 2006-12-05 김승원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4088793B2 (ja) 2004-02-24 2008-05-21 ライオン株式会社 ノニオン界面活性剤含有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洗剤組成物
WO2006081496A2 (en) 2005-01-27 2006-08-03 Nalco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WO2008057287A1 (en) * 2006-10-27 2008-05-15 S. C. Johnson & Son, Inc. Multifunctional laundry sheet
DE102007016684A1 (de) 2007-04-04 2008-10-09 Dr. Schumacher Gmbh Biologisch abbaubares Mehrschichtsystem
CN102666824A (zh) 2009-12-21 2012-09-12 丹尼斯科美国公司 能够改进经脂肪酶处理的脂质基污渍的清洁的表面活性剂
CN107828567B (zh) * 2011-05-13 2019-06-14 Lg生活健康株式会社 用于洗涤的片
KR101472533B1 (ko) 2012-04-03 2014-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연속면과 불연속면이 형성된 세탁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7105131A1 (ko) 2015-12-17 2017-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능성 과립을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CN105886145A (zh) * 2016-06-01 2016-08-24 茗燕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超浓缩洗衣片及其制作方法
CL2016002241A1 (es) 2016-09-06 2018-06-15 Solubag Spa Composición detergente en forma de lamina
CN106916659B (zh) * 2017-01-24 2020-05-12 纳爱斯集团有限公司 一种多层洗衣片及其制备方法
CN107760479B (zh) 2017-11-06 2020-01-03 广东嘉丹婷日用品有限公司 用于清洁衣服组合物、洗衣片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5509A (en) 1973-05-11 1986-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aluminosilicate builders
JP2001262197A (ja) * 2000-03-14 2001-09-26 Lion Corp シート状洗剤およびシート状洗剤製品
KR20100096985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시트형 세제,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6292B1 (ko) * 2011-05-13 2012-05-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라우릴설페이트 염을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KR20150095815A (ko) * 2012-12-11 2015-08-21 더다이얼코포레이션 비누 조각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및 제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70066078A (ko) *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열 소자, 면상 발열체, 가열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260B1 (ko) 2020-05-28
JP7231650B2 (ja) 2023-03-01
RU2764182C1 (ru) 2022-01-14
KR102216714B1 (ko) 2021-02-18
US20210222096A1 (en) 2021-07-22
CN112041418A (zh) 2020-12-04
JP2021520439A (ja) 2021-08-19
US11453847B2 (en) 2022-09-27
KR20190126733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260B1 (ko) 세탁용 시트
KR102642561B1 (ko) 세탁용 시트
JP6676351B2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411559B1 (ko) 세탁용 시트
KR101358923B1 (ko) 세탁용 시트
KR101146292B1 (ko) 라우릴설페이트 염을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RU2141999C1 (ru) Состав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отбеливания, удаления пятен с тканей или удаления известковых отложений
EP4047076A1 (en) Synergistic effects of iminodisuccinic acid on an ethanol and peg400 blend for rheology control
KR102305171B1 (ko) 세탁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2444A (ko) 액체 세제 조성물
KR102414998B1 (ko) 세탁용 시트
KR102440149B1 (ko) 시트형 세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1085017A (ja) 繊維製品用洗浄剤物品
JP4476659B2 (ja) 繊維製品の洗浄方法
JP2021046502A (ja) 洗浄剤組成物
JPH08245995A (ja) 漂白剤組成物
JP5291910B2 (ja) リネンサプライ用粉末洗剤組成物
WO2019212266A1 (ko) 세탁용 시트
JP2022534415A (ja) ポリオールまたは金属イオン塩化物を含む溶解性洗濯用シート
JP2002138298A (ja) リネンサプライ用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