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080A - 유체 제품을 분배하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체 제품을 분배하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080A
KR20200035080A KR1020207005363A KR20207005363A KR20200035080A KR 20200035080 A KR20200035080 A KR 20200035080A KR 1020207005363 A KR1020207005363 A KR 1020207005363A KR 20207005363 A KR20207005363 A KR 20207005363A KR 20200035080 A KR20200035080 A KR 20200035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piston
reservoir
rfid ta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노 다르뜨벨르
헤지스 쟈끄마르
Original Assignee
아프타르 프랑스 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타르 프랑스 사 filed Critical 아프타르 프랑스 사
Publication of KR2020003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004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8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e.g. this latter being surrounded by an enclosure, or the means for deforming i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3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supply being effected by follower in container, e.g. membrane or floating piston, or by deformation of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5Pen-lik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2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유체 저장소(4), 디스펜서 부재(5), 및 디스펜서 오리피스(62)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조립체로서, 상기 유체 저장소(4)는 저장소의 실질적인 완충 상태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와, 저장소의 실질적인 공백 상태에 대응하는 종료 위치 사이로 정의된 최대 행정에 걸쳐서 슬라이드 실린더(41) 내에서 밀봉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2)을 포함하고, 디스펜서 조립체는 피스톤(42)에 고정된 RFID 태그(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제품을 분배하는 조립체
본 발명은 유체 저장소, 디스펜서 부재 및 디스펜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장소는 저장소의 실질적인 완충 상태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와, 저장소의 실질적인 공백 상태에 대응하는 종료 위치 사이로 정의된 최대 행정에 걸쳐서 슬라이드 실린더 내에서 밀봉 슬라이딩 접촉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립체는 피부와 같은 대상에 유체를 바르는 것을 가능케 한다. 물론, 본 발명에 관한 응용의 유리한 분야는 화장품 분야이나, 약학 분야일 수도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문서 FR 2 832 134는 펌프 본체 상에 장착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를 구비한 디스펜서를 기술한다. RFID 태그는 펌프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하다: 이것이 펌프에 장착된 이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자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목적을 위하여 유체 디스펜서에 동일한 RFID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펜서를 부수거나 그의 저장소를 비우지 아니하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RFID 태그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피스톤에 고정된 RFID 태그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은 슬라이드 실린더 안에 배치되고, 그 결과, 저장소가 비었을 때만 접근 가능하다. 그러나, 비어있을 때에는, 디스펜서를 위조하거나 또는 그의 출처를 지울 목적으로 RFID 태그를 제거할 더 이상의 이유가 없다. 피스톤 상에 RFID 태그를 위치시키는 것은 그래서 매우 유리하다. 피스톤은 수직 축 대칭의 형상이 두드러진 디스펜서에서 매우 적은 평평한 표면들 중 하나를 제공하기 때문에 더더욱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피스톤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두 개의 피스톤 링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RFID 태그는 평평한 판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유체와 접촉하지 않는 면 상에 접착식으로 본딩될 수 있고, 또는 실제로, 이것은 피스톤의 판에 (오버몰딩에 의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때때로 디스펜서 저장소의 충전 및 빈 상태에 관해 알기를 바란다. 어떤 경우에는, 저장소를 투명한 물질로 만드는 것이 가능해서, 사용자가 저장소에 남아있는 것을 보도록 한다.
문서 WO 2015/170048도 공지되었으며, 이것은 종동(follower) 피스톤을 구비한 저장소를 사용하는 디스펜서 조립체를 설명한다. 문서 US 2012/267390, JP 2007/153415, 및 US 2012/267391도 공지되었으며, 이들은 슬라이드 실린더 내에 종동 피스톤의 위치의 시각적 표시자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모두 수동적이어서, 사용자가 반드시 시각적 표시자를 찾아보아야 하고, 정보를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톤에 고정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피스톤 저장소의 충전 및 빈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분명하고, 신뢰성 있고, 지각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선행기술의 유체 디스펜서 조립체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체 디스펜서 조립체는 RFID 태그에 신호를 송신하고 RFID 태그가 전송한 리턴 신호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안테나를 포함한다. 리턴 신호는 RFID 태그와 안테나 사이의 거리에 관한 지시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도, 디스펜서 조립체는: RFID 태그가 전송한 리턴 신호의 출력 준위(power level)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출력 측정 수단; 및 사용자에게, 저장소의 기결정된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기결정된 출력 준위가 측정되었음을 알려주는 경고 수단을 더 포함한다. 현실적인 구현에 있어서, 경고 수단은 휴대용 컴퓨터, 유리하게는 스마트 폰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이것은 외부적인 것이고: 따라서 스마트 폰은 어떠한 프로토콜, 가령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Zigbee), 로라(LoRa), Sigfox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디스펜서 조립체와 통신한다. 또한 경고 수단이 디스펜서 조립체에 내재된 것으로서, 가령 (선택적으로 가청의) 진동, 가청 신호(삐 소리), LED, 또는 화면인 것을 상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피스톤이 그의 시작 위치로부터 그의 최대 행정의 75%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심지어 100%를 통과해 이동되었을 때 경고 위치에 도달한다. 그러나, 다른 추가적인 경고 위치들, 가령 피스톤의 최대 행정의 절반에서, 또는 그 행정의 4분의 1에서 상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피스톤은 종료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경고 위치들에 도달할 수 있고, 경고 위치들은 감지된 출력 준위들로부터 연속적으로 추정되고, 복수의 구별되는 개별적인 경고 신호들을 촉발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전송 안테나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출력 측정 수단은 RFID 태그가 전송하고 두 개의 전송 안테나 각각이 수신한 리턴 신호의 개별적인 출력 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출력 준위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수단이 제공되어 그로부터 저장소의 충전 상태를 추정한다. 두 개의 안테나에 의해 감지된 출력 준위에 관한 정보는 대조-검토, 상호 관련, 또는 교차-참조되어 RFID 태그를 지지하는 피스톤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전력 측정 수단, 및 비교 수단은 인쇄 회로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저장소, 디스펜서 부재, 및 디스펜서 오리피스는 하나의 디스펜서로 형성되며, 이는 애플리케이터 표면을 형성하고 유체 저장소, 디스펜서 부재, 및 디스펜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인쇄 회로를 통합하는 케이싱에 착탈식으로 삽입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슬라이드 실린더와 접촉하거나, 또는 그와 바로 근접한 곳에 위치하여, 그와 피스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포착되는 출력 준위는 더 강해지고 어느 잠재적인 외부 방해에 대해 덜 민감해진다.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피스톤은 종동 피스톤으로서 유체 저장소 내 유체가 흡입 하에 있을 때 이동한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피스톤은 추진 피스톤(pusher piston)으로서, 저장소 내 유체를 압력 하에 둘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RFID 태그를 피스톤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쉽게 조작할 수 없는 방식으로 디스펜서 내 유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있다. 게다가, RFID 태그가 전송한 출력 준위를 사용하여 그로부터 저장소의 충전 및 빈 상태를 추정함으로써 RFID 태그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도면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를 관통하는 실질적인 실제 크기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단 부분의 큰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A-A 상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위 도면들의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유체 디스펜서의 부재 상태에서 본 도 1의 도시와 유사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를 관통하는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6 디스펜서의 평면도;
도 8은 도 6과 도 7의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체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를 관통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문서 WO 2015/170048의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와 유사한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원격 검출을 추가하여 도시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는 길쭉한 또는 가느다란 모양으로서 펜 모양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관찰되어야 하는 것은 바닥에서 상단까지 상당히 변화하기 때문에 그의 단면이 일정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그의 바닥 단부 근접한 곳에서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는 대체로 둥근 또는 원형인 단면을 나타내는 반면, 일반적으로 상단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절단선 A-A에서,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는 계란형(도 3)인 단면을 나타낸다. 조립체의 상단면은 일측을 향해 기울어진 또는 경사진 애플리케이터 표면(S)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볼 수 있다. 우선, 관찰되어야 할 것은 세 개의 주요한 구별되는 유닛들, 즉 디스펜서 유닛(D), 수용 유닛(B), 및 애플리케이터 유닛(A)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디스펜서 유닛(D)은 유체 디스펜서로서, 유리하게는 착탈식으로 수용 유닛(B) 안에 수용되고, 수용 유닛은 텅 빈 내부를 갖는 단일 부재인 수용 본체(1)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터 유닛(A)은 본체(1)위 및 안에, 유리하게는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그래서, 두 유닛(D 및 A)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두 반대쪽 단부(17 및 12)들로부터 본체(1) 위 및 안에 착탈식으로 수용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 유닛(B)의 본체(1)는 그의 상단과 바닥 단부(12, 17)들이 열려서, 유닛(A 및 D)들을 수용할 수 있다. 바닥 단부(17)의 내부는 유리하게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착탈 가능한 단부 벽(7)을 나사 결합으로 수용한다. 착탈 가능한 단부 벽은 바닥 벽(73)과 원통형 측벽(71)이 있는 작은 항아리 모양을 나타내고, 원통형 측벽은 본체(1)의 바닥 단부(17)의 피치와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사(72)가 형성된 상단 부분을 갖는다. 관찰되어야 하는 것은 그의 바닥 벽(73)의 상단 위에, 착탈 가능한 단부 벽(7)은 발포 또는 탄성중합체일 수 있는 하나의 탄성 물질(74)을 구비한다. 착탈 가능한 단부 벽(7)의 내부는 본체(1) 내부와 위쪽으로 연통하는 공간(70)을 형성하고, 이는 그 자체가 수용 공간(1a)을 정의한다. 수용 공간(1a)을 넘어서, 본체(1)의 내부는 분리 격벽(13)에 의해 두 칸(1b 및 1c)으로 분할된다. 칸(1b)은 공간(1a)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계속해서 연장하고, 반면 칸(1c)은 본체(1)가 그의 계란형을 정의하는 곳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격벽(13)의 바닥 단부는 후술할 스냅-체결 가장자리(14)를 형성한다. 칸(1b)이 있는 높이에서, 본체(1)는 수용 본체(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가로질러 움직일 수 있는 측방향 푸셔(15)를 구비한다. 푸셔(15)는 온전히 병진이동할 수 있고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탄성중합체 물질을 사용하여, 수용 본체(1) 상에 푸셔(15)를 몰딩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또한 푸셔(15)가 본체(1)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푸셔(15)를 포함하지 않고 단지 개구만 갖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관찰되어야 하는 것은 분리 격벽(13)이 상단 단부(12) 근처로 연장한다는 것이다. 수용 본체(1)는 단순히 사출 성형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금속으로 까지도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터 유닛(A)은 애플리케이터 헤드(2) 및 파동-생성 모듈(3)을 조합한 것으로부터 기인한다. 도 1 및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터 헤드(2)는 축방향 하우징(22)을 포함하고, 이는 복잡한, 가령 초승달 모양인 기하구조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을 갖는 원통형 튜브로 형성된다. 하우징(220은 위쪽으로 애플리케이터-표면 영역(21)과 연결되고, 이는 이 실시예에선 두 개의 개구들, 즉 하우징(22)의 입에 대응하는 제1 개구 및 모듈(3)을 위한 제2 개구와 함께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모듈(3)은 헤드(2)의 애플리케이터-표면 영역(21)이 완전히 연속적이고 매끈하게 만들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헤드(2)의 대응하는 개구를 폐쇄하는 애플리케이터-표면 부분(31)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자면, 모듈(3)은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개구에 끼워 맞춰져서, 모듈(3)의 애플리케이터-표면 부분(31)이 어떠한 돌출 또는 함몰된 불연속을 생성함이 없이 헤드(2)의 애플리케이터-표면 영역을 갈무리한다. 결론적으로, 모듈(3)과 헤드(2)를 함께 조립하는 것은, 이 단계에선, 하우징(22)의 입으로 형성된 단일 개구를 갖는 애플리케이터 표면(S)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및 도 2에서, 관찰되어야 할 것은 애플리케이터-표면 부분(31)이 애플리케이터 표면(S)의 가장 경사진 부분을 점유한다는 것이다. 애플리케이터 헤드(2)는 또한 중공 본체(1)의 상단 단부(12)에 들어맞는 주변 스커트(23)를 포함한다. 게다가, 파동-생성 모듈(3)은 수용 공간(1c) 내부에서 연장한다.
파동-생성 모듈(3)은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 진동파, 등 즉, 방사선, 가령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또는 마이크로파, 등, 또는 초음파까지도, 또는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듈(3)은 또한 열 또는 냉을 생성할 수 있어서(열전도파) 피부와의 접촉에 영향을 주는 열 또는 냉을 부여한다. 또한 이것은 이온도입법(iontophoresis)을 사용할 수 있다. 모듈은 기능하는데 그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이들 중 일부는 인쇄 회로(37) 상에 장착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다 분명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 유닛 즉 유체 디스펜서(D)는 유체 저장소(4), 펌프(5), 및 디스펜서 단부편(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서, 저장소(4)는 슬라이드 실린더(41)의 형태를 할 수 있고, 여기에는 저장소로부터 유체가 추출됨에 따라 실린더(41) 내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적응되는 동종 피스톤(follower piston)(42)이 수용되어 있다. 동종 피스톤(42)은 슬라이드 실린더(41)와 밀봉 슬라이딩 접촉하는 피스톤-링 테두리(43)를 형성하는 상단 단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부싱(42a)을 포함한다. 부싱(42a)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납작 또는 평평하고, 유체와 접촉하지 않는 그의 바닥면 상에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RFID 태그(40)를 가지고 제공되는 환형 판(44)이 연장되어 있다.
펌프(5)는 저장소(4)의 목(45)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 체결 링(54)을 포함한다. 펌프(5)는 그의 바닥 단부에, 예를 들어 슬롯 형성된 셔터의 형태를 한 유입 밸브(51)를 구비하는 펌프 챔버(50)를 포함한다. 그의 상단 단부에, 펌프 챔버(50)는 예를 들어, 슬롯 형성된 셔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배출 밸브(52)를 포함한다. 더욱이, 펌프 챔버(50)는 펌프 챔버(50)의 작동 체적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유체에 힘을 가해 배출 밸브(52)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는 측방향 작동기(53)를 포함한다. 측방향 작동기(53)는 디스펜서(D)의 길이방향 축(X)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은 병진이동이거나 또는 탄성 변형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실시에에 있어서, 작동기(53)는 예를 들어, 이중 사출 또는 오버몰딩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펌프 챔버(50)의 가요성 벽의 형태이다. 따라서, 펌프(5)는 가요성-다이어프램 펌프로도 불릴 수 있고, 이는 유체를 압력하에 두기 위하여 챔버의 이동 가능한 벽이 직접적으로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착 우물(56)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우물(56) 안에 단부편(6)의 각도상의 지향을 강제할 수 있게 하는, 돌출 프로파일 또는 오목부의 형상을 한 키잉 수단(keying means)(55)을 구비한다.
따라서 디스펜서 단부편(6)은 장착 우물(56) 내부에 맞물리는, 그리고 유리하게는 스냅 장착되는 장착 토막(65)을 포함한다. 장착 토막(56)은 우물(56)의 키잉 수단(55)에 완벽하게 맞아 떨어지는 키잉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펌프(5) 위에 디스펜서 단부편(6)의 각도상의 지향을 강제한다. 이 방식으로, 단부편은 항상, 펌프(5)의 일 측면에서만 연장하는 측방향 작동기(53)에 대해 항상 같은 방향으로 지향된다. 장착 토막(65) 위에, 디스펜서 단부편(6)은 애플리케이터 헤드(2)로 형성되는 하우징(22)의 모양과 대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을 갖는 삽입 부속물(63)을 형성한다. 이 모양은 도 7에서 보다 명확히 볼 수 있고: 초승달 모양과 유사하다. 삽입 부속물(63)의 측벽은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비-원형 실린더일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돌출 밀봉 비드들이 제공되어 하우징(22) 내부의 밀폐를 구축하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 그의 상단 단부에서, 부속물(63)은 부속물(63)과 장착 토막(65)을 관통하는 배출 덕트(60)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오리피스(62)로 천공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배출 표면(61)을 형성하며, 도 2 및 도 6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일단 디스펜서 단부편(6)이 펌프(5)에 장착되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 밸브(51)가 직접적으로 배출 덕트(60)와 연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측방향 작동기(53)를 눌러서, 펌프 챔버(50)의 작동 체적을 감소키시면, 압력을 받은 유체는 여기서부터 배출 표면(61)에 위치한 디스펜서 오리피스(62)에 도달할 때까지 배출 덕트(60)를 관통해 흐를 수 있어서, 강제로 배출 밸브(52)를 통과하게 된다. 측방향 작동기(53) 상의 압력이 풀리면, 배출 밸브(52)는 닫히고 유입 밸브(51)는 펌프 챔버(50)에 생성된 흡입의 영향을 받아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저장소(4)로부터 유체가 빨아들여질 수 있고, 그러면 종동 피스톤(42)이 펌프(5) 쪽으로 이동한다.
도 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D)의 디스펜서 유닛은 착탈 가능한 단부 벽(7)을 제거한 후에, 그의 바닥 단부(17)를 통해 중공 본체(1)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디스펜서(D)는 공간(1a)을 관통한 이후 디스펜서 단부편(6)이 애플리케이터 헤드(2)의 하우징(22)으로 뚫고 들어갈 때까지 공간(1b)을 관통해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의 삽입 부속물(63)이 하우징(22) 내부에 맞물리도록, 디스펜서(D)를 각도상에서 지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각도 지향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각도 지향이다. 따라서 배출 표면(61)이 애플리케이터 표면(S)과 함께 이를 갈무리하게 되는 높이에 이를 때까지 부속물(63)을 하우징(22) 내부에 완전히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도 2에서 볼 수 있다. 배출 표면(61)은 이를 갈무리하도록 헤드(2)의 애플리케이터-표면 영역(21)과 완전히 동일 평면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스펜서 오리피스(62)만이 애플리케이터 표면(S)의 연속성을 깬다. 부속물(63)이 하우징(22)에 완전히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저장소(4)의 단부 벽과 접촉하게 되어서 이를 밀어 올리고, 하우징(22)에 밀폐를 구축하는 가요성 물질(64)을 갖는 착탈 가능한 단부 벽(7)을 사용한다. 이 관점에서, 관찰되어야 할 것은 저장소(4)의 바닥 단부는 착탈 가능한 단부 벽(7)이 제거되면 중공 본체(1)로부터 튀어 나와서, 그 저장소(4)에 의해 디스펜서를 쥐기 쉽게 만들어 이를 중공 본체(1)로부터 제거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펜서(D)는 착탈식으로 중공 본체(1) 및 헤드(2)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관찰되어야 할 것은 하우징(22) 내 부속물(63)의 강제된 각도상의 지향은 중공 본체(1)의 푸셔(15)를 마주하는 측방향 작동기(53)의 배치를 가능케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배치를 보여주며, 여기서 그의 계란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서, 생성기 모듈(3)은 측방향 푸셔(15)로 덮인 그의 측방향 작동기(53)를 갖는 펌프(5)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분리 격벽(13)에 의해 정의되는 칸(1c)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중공 본체(1) 내부에서, 모듈(3)과 푸셔(15) 사이에 펌프(5)가 배치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을 가지고, 애플리케이터 유닛(A)은 수용 유닛(R) 위에 그리고 안에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게다가, 디스펜서(D)의 디스펜서 유닛은 또한 수용 유닛(R) 내부 및 애플리케이터 유닛(A)의 하우징(22) 내부에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펜서(D) 및 애플리케이터 유닛(A)은 필요한 기능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특정 유체를 분배하는 특정 디스펜서가 특정 애플리케이터 유닛과 연합하는 것을 상정해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수용 유닛(R)에 두 개의 유닛(A 및 D)들을 장착하는 것으로 족하다. 유닛(A 및 D)들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수용 유닛(R)에서 이들 각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관찰되어야 하는 것은 디스펜서(D)가 분배하는 유체가 애플리케이터 표면(S)에서만 디스펜서를 떠나서, 일단 디스펜서가 제거되면 어떤 유체도 수용 유닛(R) 안에 남아 있을 수 없다. 더욱이, 애플리케이터 표면(S)이 완전히 매끄럽고 연속적이기 때문에, 문지르고 닦아서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교체하길 원한다면, 사용자가 사전에 애플리케이터 표면(S)을 청소한 다음 디스펜서를 제거하고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어떠한 오염이나 유체 침전물도 관찰될 수 있지 않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실시예에 있어서, 파동-생성기 모듈(3)은 애플리케이터-표면 부분(31)을 형성한다. 파동-생성기 모듈(3)이 애플리케이터 표면(S)의 일부분을 형성하지 아니하고서 구성되는 것을 상정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은 하나의 특정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모듈(3)은 애플리케이터 표면(S) 바로 밑에서 애플리케이터 헤드(2)와 연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터 표면은 파동을 퍼트리는 분산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디스펜서(D)와 애플리케이터 유닛(A) 간의 완전한 독립성은, 하우징(22)에서 조립될 때를 제외하곤, 두 유닛들을 완전히 무관하게 만들 수 있어서, 이들은 전혀 다른 공급자들, 즉 디스펜서 설계에 특화된 공급자와, 전자 파동-생성기 모듈의 설계에 특화된 공급자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 특정 조립체에서, 피스톤(42)은 통상적인 방식의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는 RFID 태그(40)를 구비한다. 모든 종류의 수동 RFID 태그가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근거리 통신(NFC)과 초고주파(UHF) 기술들이 선호된다. 태그(40)는 쉽게 환형 판(44) 밑에 접착식 본딩될 수 있고 또는 오버몰딩으로 판에 통합될 수 있다. 종동 피스톤이 저장소(4)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RFID 태그(40)의 위치는 이것이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RFID 태그(40)는 저장소(4)를 파괴하거나 그로부터 종동 피스톤(42)을 빼내기 위해 저장소를 비워야만 접근할 수 있다.
RFID 태그(40)는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와 관련된 정보 또는 실제로 디스펜서(D)와 관련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정보는 안테나가 송신한 요청 이후, RFID 태그(40)에 의해 전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는 RFID 태그(40)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요청 신호의 출력에 따라, 안테나와 RFID 태그(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그리고 안테나와 RFID 태그 사이에 개재된 요소들의 특질에 따라 정해진 출력 준위를 갖는 정보 신호를 돌려 받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펜서 조립체는 저장소(4)의 충전 및 빈 상태에 관한 시각 및/또는 청각 표시 또는 정보를 조립체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정보는 디스펜서 조립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거기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와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RFID 태그(40)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안테나는 디스펜서 조립체에, 보다 정확하게는 디스펜서(D)에, 그리고 보다 더 정확하게는 인쇄 회로(37)에 통합된다. 안테나는 또한 연성 회로(flex circuit) 또는 코일 안테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도움되기 위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회로(37)는 디스펜서(D)를 따라서, 보다 특히 그의 슬라이드 실린더(41)를 따라서, 본체(1)의 거의 전체 높이에 걸쳐 쭉 연장한다. 인쇄 회로(37)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전송 안테나(32a 및 32b)를 포함해서, 복수의 부품들을 지지한다. 안테나(32a)는 저장소(4)가 비었을 때 종동 피스톤(42)의 높이에 위치하고(도 2), 그리고 안테나(32b)는 중공 본체(1)의 바닥 단부의 높이, 즉 종동 피스톤(42)의 행정의 3분의 1 높이에 위치한다. 도면들에서, 관찰되어야 하는 것은 두 개의 안테나(32a 및 32b)들은 RFID 태그(40)를 지지하는 종동 피스톤(42)으로부터 그들을 분리시키는 슬라이드 실린더(41)와 거의 접촉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쇄 회로(37)는 RFID 태그(40)가 전송한 리턴 신호의 출력 준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출력 측정 수단(33)을 지지한다. 두 개의 안테나(32a 및 32b)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각각은 상이한 전력 준위를 감지하며, 이 전력 준위들은 반대 방향으로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종동 피스톤(42)이 저장소(4)의 바닥에서 그의 행정을 시작할 때, 안테나(32b)가 포착한 출력 준위는 그의 최대치 또는 거의 최대치에 있고, 반면 안테나(32a)가 포착한 출력 준위는 그의 최소치이다. 종동 피스톤(42)이 정확히 두 안테나(32a 및 32b)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할 때 포착되는 출력 준위들은 동일하다.
측정된 출력 준위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 수단(34)이 제공되어 측정된 출력 준위들로부터 저장소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마지막으로, 경고 수단(35)은, 슬롯(16)을 통과하는 시각(LED) 또는 가청으로서, 사용자에게 저장소(4)의 기결정된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기결정된 출력 준위가 측정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한, 경고 수단은 휴대용 컴퓨터, 유리하게는 스마트 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RFID 태그(40)는 종동 피스톤(42)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특히 저장소(4)가 빈 상태에 대응하는, 도 2 에 도시된 그의 최종 위치를 결정한다. 그러면, 경고 신호는 발행된다. 그러나, 다른 추가적인 경고 위치들, 예를 들어 피스톤의 최대 행정의 절반, 또는 그 행정의 4분의 1에서 상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피스톤은 종료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경고 위치들에 도달할 수 있고, 경고 위치들은 감지된 출력 준위들로부터 연속적으로 추정되고, 복수의 구별되는 개별적인 경고 신호들을 촉발시킨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에는 디스펜서 및 애플리케이터 조립체가 단지 정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나, 슬라이드 실린더(41)를 형성하는 유체 저장소(R)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K)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P)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저장소(R) 내부에 저장된 유체는 스프링(K)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P)이 가하는 압력을 받는다. 그의 반대편 단부에서, 저장소(R)는 푸셔(15')에 의해 작동 가능한 디스펜서 밸브(V)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펜서 밸브(V)가 열리도록 푸셔(15') 위를 눌러서, 저장소(R) 내 압력 하에 저장된 유체가 열린 밸브를 관통한 다음 배출 덕트(60')를 관통하는 힘을 받아서, 애플리케이터 표면(21')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디스펜서 조립체에서, 저장소(R)는 또한 디스펜서 밸브(V)와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방식으로 디스펜서 조립체 안에 삽입 가능한 카트리지의 형상일 수 있다. 변형에에 있어서, 디스펜서 밸브(V)는 카트리지의 일체형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펜서 조립체는 또한 인쇄 회로(37')를 갖추고 있고, 여기에는 피스톤(P)을 구성하는 물질에, 가령 오버몰딩으로 내장된 RFID 태그(40)를 지지하는 피스톤(P)의 행정의 말단에 위치하는 전송 안테나(3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P)이 도 9에 도시된, 그의 초기 위치로부터, 안테나(32')가 있는 높이의 그의 최종 위치로 이동하면, RFID 태그(40)가 전송하는 신호의 출력 준위는 증가한다. 또한 인쇄 회로(37')는 RFID 태그(40)가 전송한 리턴 신호의 출력 준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출력 측정 수단(33')을 지지한다. 피스톤(P)이 기결정된 출력 준위에 대응하는 기결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경고 신호는, 인쇄 회로(37')에 장착될 수 있는, 가청 경고 시스템(35')으로 송신된다.
도 1 내지 도 8의 제1 디스펜서 조립체와 비교하여, 제2 디스펜서 조립체는 피스톤(P)이 종동 피스톤이 아니라 힘에 의해 구동되는, 가령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 피스톤(pusher piston)이라는 점에서 달리한다. 안테나(32')는 피스톤의 행정의 말단에 배치되지만, 어딘가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소를 포함하는 식별 가능한 디스펜서 조립체로서, 저장소 안에서 피스톤(종동 피스톤 또는 추진 피스톤)이 이동하고, 유리하게는 사용자와 대화할 수 있는 충전 및 빈 상태를 갖는 식별 가능한 디스펜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유체 저장소(4; R), 디스펜서 부재(5; V), 및 디스펜서 오리피스(62)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조립체로서,
    상기 유체 저장소(4; R)는, 저장소의 실질적인 완충 상태(full state)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와 저장소의 실질적인 공백 상태(empty state)에 대응하는 종료 위치 사이로 정의되는 최대 행정에 걸쳐서 슬라이드 실린더(41) 내에서 밀봉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2; P)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조립체는 상기 피스톤(42; P)에 고정된 RFID 태그(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40)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RFID 태그(40)가 전송한 리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안테나(32a, 32b; 32')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40)가 전송한 리턴 신호의 출력 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출력 측정 수단(33); 및
    저장소(4; R)의 기결정된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기결정된 출력 준위가 측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 수단(35);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은 휴대용 컴퓨터, 유리하게는 스마트 폰으로 형성되는, 디스펜서 조립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두 개의 전송 안테나(32a, 32b)들,
    상기 RFID 태그가 전송한 리턴 신호의 출력 준위들 각각을 측정하는 출력 측정 수단(33), 및
    상기 측정된 출력 준위들로부터 상기 저장소(4)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출력 준위들을 비교하도록 제공되는 비교 수단(34)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조립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출력 측정 수단(33), 및 비교 수단(34)은 인쇄 회로(37) 상에 장착되는, 디스펜서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4; R), 디스펜서 부재(5; V), 및 디스펜서 오리피스(62)는 하나의 디스펜서(D)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디스펜서(D)는, 애플리케이터 표면(S)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 저장소(R), 디스펜서 부재(5; V), 및 디스펜서 오리피스(62)를 포함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쇄 회로(37; 37')를 포함하는 케이싱(B)에 착탈식으로 삽입 가능한, 디스펜서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2a, 32b; 32')는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41)와 접촉하거나 바로 근접한 곳에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32a, 32b; 32')와 피스톤(42; P)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디스펜서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2)은, 상기 유체 저장소(4) 내 유체가 흡입 하에 있을 때 이동하는 종동 피스톤인, 디스펜서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2; P)은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링 테두리(43)로 둘러싸인 실질적으로 평평한 판(44)을 포함하고, 상기 RFID 태그(40)는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판(44)에 고정되는, 디스펜서 조립체.
KR1020207005363A 2017-07-25 2018-07-19 유체 제품을 분배하는 조립체 KR20200035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7067A FR3069465B1 (fr) 2017-07-25 2017-07-25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1757067 2017-07-25
PCT/FR2018/051845 WO2019020909A1 (fr) 2017-07-25 2018-07-19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080A true KR20200035080A (ko) 2020-04-01

Family

ID=6013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363A KR20200035080A (ko) 2017-07-25 2018-07-19 유체 제품을 분배하는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6615B2 (ko)
EP (1) EP3658296A1 (ko)
KR (1) KR20200035080A (ko)
CN (1) CN111132769B (ko)
FR (1) FR3069465B1 (ko)
WO (1) WO2019020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2917A1 (de) * 2022-03-28 2023-10-04 Aptar Radolfzell GmbH Spender für flüssigkeit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2134B1 (fr) 2001-11-09 2004-06-11 Valois Sa Organ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t distributeur comprenant un tel organe
US8893927B2 (en) * 2004-05-24 2014-11-25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Cartridge for an additive dispensing system
WO2006037112A2 (en) * 2004-09-27 2006-04-06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Laterally-actuated dispenser with one- way valve for storing and dispensing metered amounts of substances
FR2880001B1 (fr) * 2004-12-23 2011-01-21 Valois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JP4817173B2 (ja) 2005-12-07 2011-11-16 株式会社 資生堂 摺動蓋付き注出容器
FR2924695B1 (fr) * 2007-12-05 2012-11-16 Valois Sas Organ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8240508B2 (en) * 2008-12-29 2012-08-14 Gojo Industries, Inc. Low cost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ispensing systems
KR200459835Y1 (ko) 2009-12-11 2012-04-2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200458000Y1 (ko) 2010-01-07 2012-01-16 (주)아모레퍼시픽 잔량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화장품용기
GB2492010A (en) * 2010-04-08 2012-12-19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Point of sale inductive systems and methods
US9443357B2 (en) * 2011-07-11 2016-09-13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 use monitor
US9410392B2 (en) * 2012-11-08 2016-08-09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Wireless measurement of the position of a piston in an accumulator of a blowout preventer system
US10876523B2 (en) * 2013-08-13 2020-12-29 Ameriforge Group Inc. Well service pump system
FR3020748B1 (fr) 2014-05-07 2020-10-30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WO2016058124A1 (en) * 2014-10-14 2016-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article having piston with indic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69465A1 (fr) 2019-02-01
US11376615B2 (en) 2022-07-05
CN111132769A (zh) 2020-05-08
CN111132769B (zh) 2021-09-07
FR3069465B1 (fr) 2019-08-09
WO2019020909A1 (fr) 2019-01-31
US20210354153A1 (en) 2021-11-18
EP3658296A1 (fr)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6688A1 (en) Beverage dispense valve controlled by wireless technology
JP6936248B2 (ja) 流体吐出装置組立体
US20130099929A1 (en) Dispenser with sound generators
US10019609B2 (en) Container for a cosmetic product having a given period after opening and cartridge for such a container
US10406304B2 (en) Dispenser having electronic actuation detection
WO2015142839A1 (en) Closed system for venting a dispenser reservoir
US8991649B2 (en) Keyed dispens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194729B2 (en) Assembly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fluid product
KR20200035080A (ko) 유체 제품을 분배하는 조립체
JP7482965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及び評価ユニットからなるセット
KR20190121850A (ko)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EP3342309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identification means
KR100766797B1 (ko) 유체 토출 장치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CN115697154A (zh) 包括分配器和可更换液体容器的分配器系统
KR102263147B1 (ko) 뷰티 디바이스
CN115697153A (zh) 分配器中的插入模块
KR20240001197A (ko) 전방 커버 조립체에 전자 보드를 갖는 분배기
CN115697155A (zh) 包括可更换的液体容器的分配器
KR20080057451A (ko) 누름식 펌프장치
KR20180003148U (ko) 용기 장치
ITUB20154232A1 (it) Contenitore configurato per interrogare almeno un dispositivo elettronico dotato di tecnologia NFC, in particolare un dispositivo elettronico medico.
FR2854616A1 (fr)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