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032A -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032A
KR20200035032A KR1020207002740A KR20207002740A KR20200035032A KR 20200035032 A KR20200035032 A KR 20200035032A KR 1020207002740 A KR1020207002740 A KR 1020207002740A KR 20207002740 A KR20207002740 A KR 20207002740A KR 20200035032 A KR20200035032 A KR 20200035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dianhydrohexitol
weight
composition
dr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윌
레옹 멘틴크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20003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1,4:3,6 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치료학적 용도, 뿐만 아니라 보습제로서 적어도 하나의 1,4:3,6 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국소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본 발명의 주제는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기반, 바람직하게는 이소소르바이드 기반 조성물의 비-치료학적 용도이다.
오늘날, 화장품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부 보습제는 글리세롤이다. 특히, 이는 크림, 로션, 샤워 겔 및 샴푸와 같은 다수의 국소용 화장품에 함유되어 화장품에 보습 특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글리세롤은 다량으로 사용될 때 감각 수준에 대해 몇 가지 단점들을 갖는다. 특히, 선택되는 국소 제제에 따라, 상기 제제의 중량에 대해 20 중량% 초과, 또는 심지어 단지 10 중량% 초과의 글리세롤 함량은, 피부에 불쾌한 것으로 여겨지는 번들거리고 끈적이는 감촉을 초래한다.
특허 출원 EP 1 891 929 A1호에는 크림 또는 로션과 같이 피부를 위한 화장품용 제제에서 주름 방지제로서의 이소소르바이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출원에 따르면, 이소소르바이드는 광노화에 의해 유발되는 표피의 농화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주름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소소르바이드의 보습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도 않고 제안되어 있지도 않다.
글리세롤의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번들거리고 끈적이는 감촉의 이러한 단점들을 갖지 않는, 글리세롤에 대한 대체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제품들, 특히, 다양한 폴리올들을 이용한 집중적인 조사 및 연구 후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목적이 피부에 번들거리거나 끈적이는 감촉을 남기지 않으면서 높은 보습력을 갖는 특정 폴리올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보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특히, 이소소르바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또한 보습제로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국소용 조성물의 비-치료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은 특히 이소소르바이드이다.
모든 예상과 달리,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특히, 이소소르바이드는 즉각적으로 그리고 오래 지속되는 방식 둘 모두로 우수한 보습력을 갖는 피부 보습제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글리세롤과 달리,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형화된 국소용 제제는 피부에 건조하고 보송한(powdery) 감촉을 남긴다. 심지어 이것이 다량으로, 즉, 10 건조 중량% 초과 또는 심지어 20 건조 중량% 초과로 사용될 때에도,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번들거리고 끈적이는 감촉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더욱이, 그리고 매우 유리하게는, 이는 글리세롤보다 더 큰 산뜻한 감촉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출원인은 글리세롤로 제형화된 대조 제제보다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형화된 국소용 제제가 피부 상에 더 쉽게 발라지고, 피부에 더 잘 스며든다는 것을 주지하였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보습력은 표피의 표면 층을 보습하는 국소용 제제의 능력과 관련된다: 상기 제제에 함유된 물은 이러한 층으로 수송될 것이다. 감각 측면에서, 이는 산뜻한 감촉을 야기한다. 이러한 보습력은, 예를 들어, 피부의 표면 층의 수화를 측정하기 위한 과학적으로 인정된 방법인 코네오메트리(corneometry)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이의 사용은 실시예 섹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보습력은, 피부의 표면에서 측정되고 표피의 층에서는 측정되지 않는 다른 특성들과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이는 감촉에 해당된다. 감촉의 특정 특징은 보습력에 좌우되지 않는다: 따라서, 국소용 제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롤에 기반할 경우에는 번들거리고 끈적이는 감촉이 생기게 할 수 있거나, 반대로 본 발명의 경우에서와 같이 건조하고 보송한 감촉이 생기게 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감촉은 보습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표피 상층의 보다 우수한 수화가 피부를 더 부드럽고 더 탄력 있게 만든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든, 감촉은 표피의 층에서가 아니라 피부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특성과 관련된다.
이러한 특성들이 본 출원에서 실시예 및 특징규명의 요지인 경우, 이에 관한 시험은 선택되는 준거 틀을 명확하게 확립한다: 보습력의 경우에 표피의 표면 층, 및 감촉의 경우에 표피의 표면.
디안하이드로헥시톨 또는 이소헥사이드로도 간단히 지칭되는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은 소르비톨, 만니톨 및 이디톨과 같은 C6 폴리올(헥시톨)의 이중 내부 탈수의 생성물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은 이소소르바이드(1,4:3,6-디안하이드로소르비톨), 이소만나이드(1,4:3,6-디안하이드로만니톨), 이소아이다이드(1,4:3,6-디안하이드로이디톨)를 포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단일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바람직하게는 이소소르바이드, 또는 상기 언급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임의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고체, 바람직하게는 결정질 형태로, 특히 분말 또는 플레이크의 형태, 또는 액체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 고체 형태에서, 조성물은 반드시 완전히 무수인 것은 아니고, 따라서 소량, 특히, 대략 최대 5 중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에, 이는 일반적으로 1 중량% 내지 95 중량%일 수 있는 고형물 함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페이스트 또는 수용액이다. 바람직하게는, 물류 비용 및 저장 비용의 이유로, 뿐만 아니라 국소용 제제의 생산 동안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농축 용액, 즉, 3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초과, 및 보다 더욱 우수하게는 70 중량% 초과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농축 용액이 선택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특히, 75 중량% 내지 85 중량%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은 전분의 전환으로부터 유래된 천연 생성물이므로, 이들은, 예를 들어, 캐러멜화 당(caramelized sugar), 및 열 또는 메일라드 반응(Maillard reaction)으로부터 유래된 생성물과 같은 불순물을 여전히 함유한다. 이는 이들이 건조 중량 함량이 단일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조성물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유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표현 "건조 중량 함량이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는 적어도 75 중량%(건조/건조)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건조/건조)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함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의 순도, 또는 다시 말해서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이의 건조 중량 함량 자체가 이의 피부 보습력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이지 않더라도, 관능, 감각 또는 안전성 이유 때문에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이의 건조 중량 함량은 가능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건조 중량 함량이, 특히 증류 또는 결정화 단계 후에 수득되는, 가장 정제된 가능한 형태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조성물이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정제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조성물 중 일부가 함유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캐러멜화 당, 및 열 또는 메일라드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생성물과 같은, 착색 또는 악취 불순물의 존재는 조성물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해 2% 미만, 보다 더욱 우수하게는 1% 미만, 및 보다 더욱 더 우수하게는 0.5% 미만의 건조 중량 함량으로 제한될 것이다. 이상적으로, 착색 또는 악취 불순물의 존재는 이러한 고형물 함량에 대해 0.2% 미만, 및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고형물 함량에 대해 0.1% 미만이다.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조성물은 무색이고, 완전히 무취(odor-neutral)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건조 중량 함량이 단일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고, 이러한 건조 중량 함량은 적어도 9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5%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여러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또는 단일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바람직하게는 이소소르바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국소용 제제의 제형화를 위해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다른 제품, 예컨대, 특히, 다른 보습제, 예컨대, 베타인, 소르비톨, 자일리톨, 글리세롤 또는 아세트아미도에톡시에탄올 또는 그 밖에, 예를 들어, 전분과 같이 피부와 관련하여 유효하거나 감각 효과를 갖는 다른 제품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이 이소소르바이드인 조성물이 사용된다. 상기 지시된 바와 같이, 이는 바람직하게는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해 적어도 98.5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건조 중량%, 및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 적어도 99.5 건조 중량%의 이소소르바이드의 함량을 갖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이소소르바이드는 액체 형태로 사용된다. 상표명 POLYSORB® 하에 본 출원인 회사에 의해 판매되는 이소소르바이드 범위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이소소르바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국소용 제제에 혼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국소용 제제는 인간 또는 동물 피부와 접촉시키고자 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따라서 화장품용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국소용 제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로션, 크림, 세럼, 겔, 연고, 밤(balm), 액상 비누, 또는 샤워 겔, 샴푸, 무스, 파운데이션, 발한억제제 및 데오도란트가 포함된다. 이러한 제제는,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 외에, 예를 들어, 화장품용, 약제학적 및/또는 수의학적 유효 성분과 같이 국소용 제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구성성분, 및 애주번트, 예컨대, 보존제, 가용화제 또는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른 보습제, 예컨대, 베타인, 소르비톨, 자일리톨, 글리세롤 또는 아세트아미도에톡시에탄올 또는 그 밖에, 예를 들어, 전분과 같이 피부와 관련하여 유효하거나 감각 효과를 갖는 다른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보습력 및 이의 우수한 감각 특성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국소용 제제에서 보습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세롤에 대한 완전 또는 부분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글리세롤을 완전히 대체한다. 이러한 경우에, 국소용 제제는 글리세롤을 함유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국소용 제제는 낮은 함량, 특히,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및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 1 중량% 이하의 글리세롤을 함유할 수 있다.
국소용 제제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총 함량은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0.1 건조 중량% 내지 5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1 건조 중량% 내지 40 건조 중량%,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 5 건조 중량% 내지 30 건조 중량%, 및 보다 더욱 우수하게는 10 건조 중량% 내지 25 건조 중량%일 수 있다. 국소용 제제에서의 함량의 문맥에서 단수형의 용어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은 단일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또는 여러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함량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습제로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점들을 갖는다. 매우 특별하게는, 보습제로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의 사용은 심지어 고함량, 특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 건조 중량% 이상의 총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함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번들거리고/번들거리거나 끈적이는 감촉을 주지 않고, 건조하고 보송한 감촉을 준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국소용 제제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함량은 유리하게는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10 건조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건조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건조 중량% 이상이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함량은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4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건조 중량%, 및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25 건조 중량%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보습제를 포함하는 국소용 제제로서, 상기 보습제가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인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성물은 특히 글리세롤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상술된 바와 같은 국소용 제제의 피부 표면에 대한 도포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을 위한 방법이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가 이에 의해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이하의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예시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다양한 폴리올들을 국소용 제제로서 바디 밀크(body milk)에 혼입하였다. 5명의 패널리스트들이, 0.2 g의 제품을 팔뚝 상에 1 cm × 5 cm의 표면적에 걸쳐 바르되, 10회 회전 및 2분의 대기 시간으로 바른 후에, 각 포뮬러의 도포 후 피부에 대한 감촉을 평가하였다.
로션의 조성은 하기와 같았다(중량%/총 중량):
Figure pct00001
절차
1/ 자성 교반과 함께, 혼합물 A 및 B를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70℃까지 가열한다.
2/ 로터 스테이터(rotor stator)로 A를 B에 2분 동안 첨가한 후, 혼합물을 온화한 교반과 함께 분산제에 통과시킨다.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1): 외관: 무색 및 완전 무취의 투명한 액체 - 고형물 함량: 80% - 순도: 99.5% 고형물 함량에 대해 최소의 이소소르바이드 - 불순물: 고형물 함량에 대해 0.5% 미만 - 40% 수용액에서 7.5의 pH
이러한 결과는 시험된 폴리올들 중에서 이소소르바이드만이 번들거리지도 않고 끈적이지도 않는 감촉을 갖는 바디 밀크를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분명히 나타낸다. 더욱이, 이소소르바이드는 피부에 매우 쾌적한 건조하고 보송한 감촉을 부여한다.
실시예 2:
이소소르바이드의 보습 효율을 소르비톨, 자일리톨, 베타인 및 글리세롤의 보습 효율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이러한 폴리올들을 겔 형태의 국소용 화장품용 제제에 혼입하였다.
겔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중량%/총 중량): 물 중의 6 중량%의 이소소르바이드, 소르비톨, 자일리톨, 베타인 또는 글리세롤 및 1 중량%의 겔화 카보머. 플라세보는 물 중의 1 중량%의 겔화 카보머로만 구성된다.
각각의 국소용 제제들의 보습 효율을 코네오메트리에 의해 평가하였다. 코네오메트리는 피부 표면 층의 수화를 측정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인정된 방법이다. 이는 표피상 각질층의 정전용량의 측정에 기반한다.
18세 내지 65세 연령의 10명의 건강한 지원자들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실에서 팔뚝 안쪽 면 상에 이를 도포한 지 1시간, 2시간 및 4시간 후에 각각 5개의 포뮬러 각각의 보습 효율을 평가하였다. 제품 도포 전(T0) 측정된 수화도와 제품을 도포한 영역의 수화도를 1시간(T1h), 2시간(T2h) 및 4시간(T4h) 후 비교함으로써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포뮬러의 경우, 대략 2 mg/cm2의 양을 비-차단 표피 방식으로 3 × 3 cm의 면적에 도포하였다. 5개의 포뮬러로 처리된 영역 외에, 두 개의 추가 영역을 평가하였다: 하나는 플라세보 처리 및 다른 하나는 연구 기간 동안 처리 없음.
Multiprobe Adapter System MPA®(Courage-Khazaka GmbH, 독일)에 포함된 Corneometer® CM285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기기는 대략 15 μm의 깊이에서 표피의 정전 용량을 결정하는데, 이는 이의 물 함량에 비례한다. 이 방법은 81인 물의 유전율과 다른 물질들의 유전율(<7) 간의 차이에 기반한다. 연필로 미리 경계를 정한 시험 영역에 수직으로 Corneometer의 프로브(49 mm2의 표면적)를 위치시킨다. 정전 용량의 측정을 1초 동안 지속한다. 각 측정을 2회 수행하고, 2회 측정의 평균을 기록한다. 기기에 의해 ±3%의 오차 한계로 0 내지 130 범위의 임의 단위의 값이 제공된다.
각 지원자는 과도한 발한 또는 스트레스로 인한 비정상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 Corneometer®을 이용한 각 측정 전에 공기-조화실에서 대략 1분 동안 휴식하였다.
하기 표 2는 임의 단위(AU)로 표시된 평균 수화 값을 보고한 것이다. T0과 T1h, T2h와 T4h 사이의 수화 변화는 각각 표 3에 주어져 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T...h - T0 / T0 * 100
주목할 만하게는 그리고 놀랍게는, 모든 폴리올들이 즉각적인 수화(단기간, 즉, 1시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수화의 유지(즉, 2시간 또는 4시간) 둘 모두의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주지된다. 이소소르바이드가 제외된 대부분의 폴리올들은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의 수화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오로지 이소소르바이드만이 단기간 수화와 시간 경과에 따른 수화 유지(T0 대 T4h) 간에 매우 우수한 절충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소소르바이드는 겔에 베타인의 보습력과 비슷한 만족스러운 보습력을 제공한다.
실시예 3:
하나는 보습제로서 이소소르바이드를 갖고 다른 하나는 글리세롤을 갖는, 국소용 제제로서의 두 개의 바디 밀크에 대한 블라인드 판별 감각 분석을 질감 감각 분석 전문가인 37명의 패널리스트로 수행하였다.
평가된 두 개의 바디 밀크의 조성은 실시예 1에 주어져 있는 것들에 상응한다.
시험의 구현
두 개의 바디 밀크를 비교로 제공하고, 각 패널리스트에 대하여 무작위화시킨다. 세션 당 두 쌍의 제품을 평가한다.
각 제품의 경우, 패널리스트는 표피의 표면에서 다음 기술어들을 평가해야 한다: 산뜻함, 발림성, 번들거림, 끈적임, 부드러움, 침투성.
각 패널리스트는 0 내지 10의 척도로 기술어들을 기록한다.
평가 프로토콜
미리 팔뚝을 씻는다. 그 다음, 제품의 평가를 위해 각 패널리스트의 팔뚝 상에 5 cm2(1 × 5)의 표면적을 갖는 두 개의 도포 영역을 그린다. 0.2 g의 각 제품을 평가하기 위해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도포한다.
제품의 발림성과 연관된 기술어들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은 하기 표 4에 주어져 있으며, 이들은 각각 표 5 및 표 6에서 감촉과 연관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두 개의 바디 밀크 각각에 대한 각 기술어에 대한 평균은 표 7에 주어져 있다.
Figure pct00008
이러한 결과들은 보습제로서 이소소르바이드를 함유하는 바디 밀크가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비교 바디 밀크보다 유의하게 덜 끈적이고 번들거린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이는 더 우수하게 발라지고, 더 큰 산뜻한 감촉을 제공하고, 더 부드러우며, 더 잘 스며든다. 결론적으로, 글리세롤에 대한 완전 대체물로서 이소소르바이드의 사용은 글리세롤이 제공할 수 없는, 소비자가 요망하는 감각적 이점을 야기한다.

Claims (15)

  1. 피부 보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치료학적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은 이소소르바이드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 액체 형태로 사용되는, 용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고체, 바람직하게는 결정질 형태로, 특히, 분말 또는 플레이크의 형태로 사용되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국소용 제제에 혼입되는,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용 제제는 화장품용 제제, 약제학적 제제 또는 수의학적 제제인, 용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국소용 제제는 글리세롤을 함유하지 않는, 용도.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국소용 제제는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및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1 중량% 이하의 글리세롤 함량을 갖는, 용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용 제제는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0.1 건조 중량% 내지 5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1 건조 중량% 내지 40 건조 중량%,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5 건조 중량% 내지 30 건조 중량%, 및 보다 더욱 우수하게는 10 건조 중량% 내지 25 건조 중량%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함량을 갖는, 용도.
  10. 보습제를 포함하는 국소용 제제로서, 보습제는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은 이소소르바이드인, 제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제는 화장품용 제제, 약제학적 제제 또는 수의학적 제제인, 제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을 함유하지 않는, 제제.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및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1 중량% 이하의 글리세롤 함량을 갖는, 제제.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0.1 건조 중량% 내지 5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1 건조 중량% 내지 40 건조 중량%, 보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또한 5 건조 중량% 내지 30 건조 중량%, 및 보다 더욱 우수하게는 또한 10 건조 중량% 내지 25 건조 중량%의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함량을 갖는, 제제.
KR1020207002740A 2017-08-02 2018-08-01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KR20200035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7421 2017-08-02
FR1757421A FR3069775B1 (fr) 2017-08-02 2017-08-02 1,4 :3,6 dianhydrohexitols pour hydrater la peau
PCT/FR2018/051981 WO2019025730A1 (fr) 2017-08-02 2018-08-01 1,4 :3,6 dianhydrohexitols pour hydrater la p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032A true KR20200035032A (ko) 2020-04-01

Family

ID=6088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740A KR20200035032A (ko) 2017-08-02 2018-08-01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64726B2 (ko)
EP (1) EP3661483A1 (ko)
JP (1) JP7324742B2 (ko)
KR (1) KR20200035032A (ko)
CN (1) CN110944621A (ko)
BR (1) BR112020001992B1 (ko)
CA (1) CA3071546A1 (ko)
FR (1) FR3069775B1 (ko)
WO (1) WO2019025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4217A1 (fr) * 2019-03-28 2020-10-02 Roquette Freres Utilisation de dianhydrohexitol pour la conservation des préparations cosmétiques
EP3946235A1 (fr) * 2019-03-28 2022-02-09 Roquette Freres Utilisation de dianhydrohexitol pour éliminer les effets cosmétique de l'acné, des pellicules et des mauvaises odeurs
FR3094215B1 (fr) * 2019-03-28 2021-03-26 Roquette Freres Utilisation de dianhydrohexitol pour éliminer les effets cosmétique de l’acn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1404B2 (en) * 2000-11-06 2010-04-06 Samyang Corporation Transdermal delivery system of diclofenac with improved water absorbability and adhesion properties
TWI312687B (en) 2005-04-21 2009-08-01 Kao Corporatio Skin lotion and wrinkle improving agent
KR101499257B1 (ko) * 2005-10-31 2015-03-05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이소소르비드 제제
JP4667336B2 (ja) 2006-09-28 2011-04-13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DK2210588T3 (da) * 2008-12-23 2011-06-27 Intendis Gmbh Opskummelig sammensætning, der er i alt væsentligt fri for farmaceutiske aktive indholdsstoffer, til behandling af menneskehud
US8496917B2 (en) * 2009-11-13 2013-07-30 Sytheon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US20130183257A1 (en) * 2009-11-13 2013-07-18 Sytheon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CN103083282B (zh) 2011-11-03 2015-11-18 杭州济迩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凝胶疤痕贴及其制备工艺
CN102757445B (zh) * 2012-07-27 2014-06-25 山东福田药业有限公司 一种异山梨醇的制备工艺
FR3005315B1 (fr) * 2013-05-02 2015-06-05 Roquette Freres Procede de stabilisation d'une composition contenant au moins un produit de deshydratation interne d'un sucre hydrogene, composition obtenue et ses utilisations
EP2839828A1 (en) * 2013-08-23 2015-02-25 Nitto Denko Corporation Compunds and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wounds
US9605108B2 (en) * 2014-04-24 2017-03-28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Isosorbide-derived epoxy resi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9417A (ja) 2020-10-08
WO2019025730A1 (fr) 2019-02-07
FR3069775B1 (fr) 2020-02-14
BR112020001992B1 (pt) 2024-02-15
FR3069775A1 (fr) 2019-02-08
US11464726B2 (en) 2022-10-11
EP3661483A1 (fr) 2020-06-10
JP7324742B2 (ja) 2023-08-10
BR112020001992A2 (pt) 2020-08-18
CA3071546A1 (fr) 2019-02-07
US20200230042A1 (en) 2020-07-23
CN110944621A (zh)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6967B2 (ja) 皮膚湿潤用グリセロール及びジグリセロール混合物
KR20200035032A (ko)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EP3886790B1 (en) Composition comprising hectorite and pectin
JPH03223206A (ja) 化粧料
KR101972925B1 (ko) 2&#39;-푸코실락토오스를 함유하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JPS61271205A (ja) 皮膚化粧料
EP3166583B1 (fr) Utilisation cosmetique de l&#39;acide spiculisporique comme actif deodorant
FR3117831A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e dérivés à chaîne grasse de diglutamide lysine comme actif déodorant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ES2811061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de las partículas de aerogel de sílice hidrofóbica y un polímero espesante acrílico
JP2511820B2 (ja) 皮膚化粧料
JP2018184426A (ja) 保湿化粧剤としてのアルキルオキサゾリジノンの使用及び皮膚の保湿方法
BR112015029492B1 (pt) Uso cosmético, processo cosmético para tratar o odor corporal e composição
KR20210046392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117875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cyclodextrin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BR112015008353B1 (pt) Uso cosmético, e método cosmético
KR101924705B1 (ko) 피부 라이트닝을 위한 화장용 조성물
JPH08291018A (ja) 化粧品用保湿剤
KR102212680B1 (ko) 메도우폼 델타-락톤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화를 위한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2029925A (ja) 皮膚化粧料
JPH0764701B2 (ja) 皮膚化粧料
KR20140083424A (ko) 에리오딕티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1852A (ko) 두피 자극을 감소시키고 상쾌함을 개선하는 모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