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927A -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 Google Patents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927A
KR20200034927A KR1020190103662A KR20190103662A KR20200034927A KR 20200034927 A KR20200034927 A KR 20200034927A KR 1020190103662 A KR1020190103662 A KR 1020190103662A KR 20190103662 A KR20190103662 A KR 20190103662A KR 20200034927 A KR20200034927 A KR 2020003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roll direction
adhesive
reinforced viny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순
장동석
장서형
Original Assignee
장용순
장서형
장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순, 장서형, 장동석 filed Critical 장용순
Priority to KR102019010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4927A/ko
Publication of KR2020003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6Foams
    • E02D2300/005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6PV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S1)→PE 폼→부직포(S2)」 또는 「직포(F)→PE 폼→부직포(S2)」의 3중 적층구조(T)이면서 롤 방향(R)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된 오버랩 봉제선(E)과, 그리고 오버랩 봉제선(E)내의 공간부(K)에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일정간격으로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봉제됨으로써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다수 개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적층구조가 일체로 결합·고정되어 일체로 거동될 뿐 아니라 그 고정수단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효율적·경제적이 되게 하는 한편, 3중 적층구조와 함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구획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방수층(O)과 3중층 구조(T)와의 접착매개재가 되게 하여 압밀침하 시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을 따라 면 접착보강비닐(V)만 분리되면서 3중층 구조(T)가 아래로 슬립되고, 방수층(O)의 슬립면에는 면 접착보강비닐(V)이 그대로 접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슬립면의 방수층(O)의 접착력이 흙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3-layer structure of unity with the guide sewing lines}
본 발명은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부직포(S1)→PE 폼→부직포(S2)」 또는 「직포(F)→PE 폼→부직포(S2)」의 3중 적층구조(T)이면서 롤 방향(R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된 오버랩 봉제선(E)과, 그리고 오버랩 봉제선(E)내의 공간부(K)에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일정간격으로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봉제됨으로써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다수 개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적층구조(T)가 일체로 결합·고정되어 일체로 거동될 뿐 아니라 그 고정수단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효율적·경제적이 되게 한 발명이다.
그뿐 아니라 3중 적층구조(T)와 함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구획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방수층(O)과 3중층 구조(T)와의 접착매개재가 되게 하여 압밀침하 시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을 따라 면 접착보강비닐(V)만 분리되면서 3중층 구조(T)가 아래로 슬립되고, 방수층(O)의 슬립면에는 면 접착보강비닐(V)이 그대로 접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슬립면의 방수층(O)의 접착력이 흙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되게 한 발명이다.
또한 오버랩 봉제선(E)과, 그리고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한 번에 3중 적층의 3중층 구조(T)가 일체화됨으로써 종래 주머니형태와는 달리 열융착 등의 다른 수단이 생략되어 3중 적층의 일체화가 용이하고 효율적이어서 경제적인 일체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통상 지중구조물의 외벽(P)에는 도1에서와 같이 방수층(A)이 설치된다. 방수층(A)이 외벽(P)에 설치된 상태에서 오픈된 공간으로 되메움재(F)가 낙하된다. 방수층(A)은 방수층 보호재(C)에 의해 보호된다. 이는 낙하되는 되메움재(F)로 인한 방수층(A)의 손상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되메움재(F)에는 토사, 뾰족한 돌, 쇄석, 날카로운 쇠붙이 등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낙하높이가 높을수록 충격도 커지게 된다. 방수층(A)이 관통되게 되면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지중구조물로는 지하주차장, 공동구의 지하외벽, 지하철의 지하외벽, 원자력발전소의 지하외벽, 지하보차도, 통신구, 전력구, 정수장, 배수지, 하수처리장, 빗물처리장, 지하저류조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방수층 보호재(C)로서 공개특허 10-2017-002058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을 중심으로 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주머니형상의 3중 구조이다. 주머니는 양면이 부직포(Sa)(Sb)로 싸여지고, 주머니 내부에는 PE 폼이 삽입된 3중 구조이다(도면2b 및 도면2c 참조). 이때 3중 구조는 2가지 타입이다. 하나의 타입은 접착구조(도면2b)타입이고, 다른 타입은 슬립(slip)구조(도면2c)타입이다.
접착구조(도면2b)타입은 주머니 속에 삽입된 PE 폼과 양측면의 부직포(Sa)(Sb)가 서로 일체로 접착된 형태이다. 이들에 의한 3중 구조가 하나로 일체화된 형태이다. 이는 압밀침하 시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에 걸린 하향 인장력에 대하여 3중구조전체가 일체로 저항하는데 유리하게 하기위해서다.
슬립(slip)구조(도면2c)타입은 접착구조(도면2b)타입과는 달리 주머니 속에 삽입된 PE 폼과 양측면의 부직포(Sa)(Sb)이 서로 자유롭게 슬립되는 형태이다. 다시 말하면, PE 폼이 주머니 속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로서 주머니와 PE 폼이 제각기 따로 움직이는 형태이다. 이는 방수층측의 부직포(Sb)에 걸리는 하향인장력에 대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슬립(slip)구조(도면2c)타입이든 접착구조(도면2b)타입이든 부직포 및 PE 폼 모두 후렉시블한 재질이다. PE 폼은 그 두께가 10mm정도만 되도 되메움재(F)의 낙하에 대한 충격흡수가 좋은 점이 그 이점이다.
먼저, 종래기술 3중 구조의 주머니 형태가 갖는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본다.
첫째, 후렉시블한 PE 폼을 부직포의 주머니 속에 삽입해야하므로 그 삽입이 어려워 삽입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둘째, 후렉시블한 부직포의 주머니 속에 두께가 얇은 PE 폼을 삽입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부직포의 주머니의 폭과 높이를 50cm이상 크게 할 수 없는 제한성을 갖는 것이므로 이러한 소규모의 3중구조로서는 많은 횟수의 설치작업이 불가피하여 시공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통상 사용되는 부직포로서 보호재를 사용할 경우 그 부직포는 롤상이고, 그 폭은 140cm이다. 롤상이므로 보통 수직으로 시공된다. 시공의 효율을 위해서다. 예컨대 수직높이 5m를 시공할 경우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시공된다. 140cm의 폭으로 그 다음 부직포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게 한다. 오버랩부가 접합부이다. 140cm의 폭으로 설치되므로 효율적이다. 이에 반해 종래기술의 주머니형태는 기껏해야 50cm x 50cm 밖에 되지 않으므로 재단과 여러 번 반복시공이 뒤따르기 때문에 시공이 비효율적이다.
셋째, 방수층과 주머니 형태의 3중 구조와의 부착은 방수층과 3중 구조사이에 개재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관계이다. 부착매개재인 벨크로 테이프는 화스너침이 있는 일면과 화스너침이 없는 타면으로 이루어진다. 화스너침은 부직포(Sb)에 결착되면서 화스너침이 없는 매끄러운 면은 방수층에 부착된 관계이다. 화스너침이 없는 매끄러운 면과 방수층과의 부착은 고무화 아스팔트점착성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고무화 아스팔트점착성 접착제의 도포는 2가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나의 방식은 그 점착성 접착제가 방수층의 표면에 도포된 상태에서 부착매개재인 벨크로 테이프에 압력을 가하면서 부착되게 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의 방식은 벨크로 테이프의 매끄러운 면에 그 점착성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방수층에 압력을 가하면서 부착되게 하는 방식이다. 2가지 방식의 어느 경우나 3중구조가 방수층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기 위해서는 3중 구조를 방수층을 향하여 압력을 가해야한다. 방수층의 부착표면이 육안으로 보아 수직면처럼 보여도 크고 작은 무수히 많은 요철과 굴곡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가압해야한다. 그런데 벨크로 테이프는 직조된 천위에 화스너침이 형성된 것이므로 직조천의 두께가 얇지 않아 미세요철까지 밀착되기에는 그 한계가 있어 되메움재(F)로 인해 3중 구조가 탈리될 우려의 문제가 있다. 여기에다 3중 구조를 통해 가압이 이루어지므로 벨크로 테이프의 직조천이 미세요철사이에까지 밀착되기에는 더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방수층과 접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압밀침하로 인해 방수층을 뜯어내면서 슬립 됨으로써 방수층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압밀침하 시 슬립되면서 벨크로 테이프가 방수층으로부터 이탈되어 그 상태로 6개월 이상 방치되게 되면 자외선에 의해 심하게 열화되어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후속설치작업이 힘들고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착매개재인 벨크로 테이프 일면의 화스너침은 3중 구조의 부직포와 벨크로 테이프의 타면은 점착성 접착제에 의해 방수층에 부착된 보호구조이다. 화스너침의 결착과, 그리고 점착성 접착제에 의한 방수층의 부착이 견고하다고 전제한다면, 압밀침하 시의 슬립과정에서 방수층이 뜯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종래 3중구조의 보호구조가 갖는 가장 취약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후렉시블한 PE 폼을 부직포의 주머니 속에 삽입하기가 어려워 그 삽입작업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주머니 형태 및 그 규모가 갖는 한계성 때문에 주머니제작이 번거롭고 비효율적이고, 또한 주머니의 폭이 좁아 여러 번 반복ㆍ설치해야하므로 시공이 비효율적이며, 부착매개재인 벨크로 테이프의 직조천이 방수층의 미세한 요철과 굴곡에까지 밀착되게 하는데 그 한계가 주어지므로 방수층과의 부착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부직포(S1)→PE 폼→부직포(S2)」 또는 「직포(F)→PE 폼→부직포(S2)」의 3중 적층구조이면서 롤 방향(R)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된 오버랩 봉제선(E)과, 그리고 오버랩 봉제선(E)내의 공간부(K)에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일정간격으로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봉제됨으로써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다수 개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적층구조가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될 뿐 아니라 그 수단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효율적·경제적이 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3중 적층구조(T)가 아직 봉제·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획이 예정된 롤 방향 구간(R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 또는 직포(F) 위에 면 접착보강비닐(V)도 함께 놓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다수 개 롤 방향 구간(RA)을 구획하고, 봉제된 면 접착보강비닐(V)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이를 부착된 방수층(O)과 3중층 구조(T)와의 접착매개재가 되게 함으로써 압밀침하 시 면 접착보강비닐(V)의 가이드 봉제선(G)이 면 접착보강비닐(V)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이 되어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을 따라 면 접착보강비닐(V)만 분리되면서 3중층 구조(T)가 아래로 슬립되고, 방수층(O)의 슬립면에는 면 접착보강비닐(V)이 그대로 접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슬립면의 방수층(O)의 접착력이 흙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T)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롤 방향 구간(RA)이 다 수개 구획된「부직포(S1)→PE 폼→부직포(S2)」의 3중층 구조(T)이다. [폭 방향(B)] x [롤 방향(R)]으로 이루어진 3중층 구조(T)는 「부직포(S1)→PE 폼→부직포(S2)」순으로 된 적층구조이고, [폭 방향(B)] x [롤 방향(R)]에 대하여 [롤 방향(R)]에 평행된 봉합선에 의해 다 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적층구조가 일체로 고정되게 하되 롤 방향(R)의 양단 테두리에는 [롤 방향(R)]에 평행된 오버랩 봉제선(E)이, 그리고 양단 오버랩 봉제선(E)사이의 공간부(K)에는 일정간격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봉제되고, 이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3중층 구조(T)가 일체로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여기에다, 3중층 구조의 「부직포(S1)+PE폼+부직포(S2)」에서 부직포S1은 방수층(0)쪽이고, 부직포S2는 되메움쪽이다.
면 접착보강비닐(V)은 방수층(O)에 대면되는 3중층 구조(T)의 부직포(S1)상에 놓이고, 이때 면 접착보강비닐(V)은 물론 3중층 구조(T)도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이 아직 봉제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면 접착보강비닐(V) +부직포(S1)+PE폼 +부직포(S2)」가 일체로 봉제·결합되어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함된 다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그뿐 아니라,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를 중앙구간에 위치된 롤 방향 구간(RA)을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또한,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가 양측 오버랩 봉제선(E)에 인접된 롤 방향 구간(RA)이 되게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과 오버랩 봉제선(E)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그리고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또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를 도포하되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이 면 접착보강비닐(V)의 외곽선의 안쪽에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먼저, 3중층 구조(T)에 추가된 「면 접착보강비닐(V)」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면 접착보강비닐(V)」은 3중층 구조(T)의 「부직포(S1)」상에 놓인다. 즉, 「면 접착보강비닐(V)+직포(F)+PE폼+부직포(S2)」가 된다.
「면 접착보강비닐(V)」과 3중층 구조(T)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면 접착보강비닐(V)」이 일체로 봉합된 3중층 구조(T)위에 단순히 접착되거나 부착되는 것이 아니다. 3중층 구조(T)의 봉합 시 「면 접착보강비닐(V)」도 함께 봉합·결합된다. 즉, 「면 접착보강비닐(V)+직포(F)+PE폼+부직포(S2)」로 적층된 상태이나 아직은 각기 분리된 상태다.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분리 상태의 「면 접착보강비닐(V)+부직포+PE폼+부직포」를 한 번에 결합되게 하는 구조다. 4개의 층이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한 번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작업이 효율적이다. 「면 접착보강비닐(V)」은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방향의 구간(RA)의 일부 또는 전체 선택이 가능하다.
이때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설되는 롤 방향의 구간(RA)의 선택은 좌우 대칭이 바람직하다. 무게중심의 균형을 위해서다.
다음으로, 일체로 봉제·결합된 3중층 구조(T) 또는 「면 접착보강비닐(V)」이 추가된 적층구조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3중층 구조(T)는 낙하되는 되메움재(F)의 충격이 부직포 및 PE폼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충격이 완화되어 방수층(O)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방수층(O)의 보호기능이 효율적이다.
둘째, 「면 접착보강비닐(V)」은 방수층(O)과 3중층 구조(T)를 접착시키는 접착매개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셋째, 압밀침하 시 3중층 구조(T)는 중력방향으로 끌려 내려간다.
「면 접착보강비닐(V)」이 가이드 봉제선(G)을 따라 분리·유도된다. 「면 접착보강비닐(V)」이 외벽방수층(O)에 단단히 접착되어있기 때문이다. 이때 가이드 봉제선(G)은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역할을 하게 된다.
넷째, 3중층 구조(T)가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을 따라 내려가면서 「면 접착보강비닐(V)」이 분리되지만 3중층 구조(T)가 아래로 슬립된 방수층(O)의 슬립면에는 분리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그대로 접착된 채로 남게 된다. 슬립면의 방수층(O)의 접착력이 흙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섯 째, 그뿐만 아니라 방수층(O)의 슬립면이 이와 같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손상에 대한 보정작업 없이 3중층 구조(T)의 연속설치가 용이하고 효율적이 된다. 외벽방수층(O)은 시트방수, 도막방수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에 「면 접착보강비닐(V)」의 포설에 대하여 설명한다.
「면 접착보강비닐(V)」은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의 폭보다 약간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한 일체의 봉제결합을 위해서다.
여기에다 「면 접착보강비닐(V)」에 점착성 접착제(U)의 도포는 롤 방향의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의 안쪽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롤 방향의 구간(RA)에 「면 접착보강비닐(V)」을 봉제결합하고, 점착성 접착제(U)를 도포할 수도 있다.
(나) 롤 방향 구간(RA)이 다 수개 구획된 「부직포(S2)→PE 폼→직포(F)」의 3중층 구조이다.
[폭 방향(B)] x [롤 방향(R)]로 이루어지면서 PE 폼을 중심으로 그 일면에는 부직포(S2)가, 타면에는 직포(F)가 「직포(F)→PE 폼→부직포(S2)」순으로 된 적층구조이고, [폭 방향(B)] x [롤 방향(R)]에 대하여 [롤 방향(R)]에 평행된 봉합선에 의해 다 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적층구조가 일체로 고정되게 하되 롤 방향(R)의 양단 테두리에는 [롤 방향(R)]에 평행된 오버랩 봉제선(E)이, 그리고 양단 오버랩 봉제선(E)사이의 공간부(K)에는 일정간격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봉제되고, 이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3중층 구조(T)가 일체로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여기에다,
면 접착보강비닐(V)은 방수층(O)에 대면되는 3중층 구조(T)의 직포(F)상에 놓이고, 이때 면 접착보강비닐(V)은 물론 3중층 구조(T)도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이 아직 봉제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면 접착보강비닐(V) +직포(F)+PE폼+부직포(S2)」가 일체로 봉제·결합되어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함된 다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또한,
방수층(O)에 대면되는 직포(F)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가 중앙구간의 롤 방향 구간(RA)이 되게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과 오버랩 봉제선(E)과 오버랩 봉제선(E)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그뿐 아니라,
방수층(O)에 대면되는 직포(F)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가 양측 오버랩 봉제선(E)에 인접된 롤 방향 구간(RA)을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과 오버랩 봉제선(E)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또한,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그뿐 아니라,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를 도포하되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이 면 접착보강비닐(V)의 외곽선의 안쪽에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이다
「직포(F)→PE 폼→부직포(S2)」의 3중층 구조(T)에도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부직포(S1)→PE 폼→부직포(S2)」와 「면 접착보강비닐(V)+부직포(S1)+PE폼+부직포(S2)」에 대한 기술내용이 그대로 적용된다. 상기 3중층 구조(T) 중 하나의 「부직포(S)」대신 「직포(F)」가 사용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직포(F)」는 외벽방수층(O) 측이고, 부직포(S2)는 되메움재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층(O)과의 접착이 잘 이루어지게 하기위해서다. 여기서는 「부직포(S1)→PE 폼→부직포(S2)」와 「면 접착보강비닐(V)+부직포(S1)+PE폼+부직포(S2)」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 본 발명은 「부직포(S1)→PE 폼→부직포(S2)」 또는 「직포(F)→PE 폼→부직포(S2)」의 3중 적층구조이면서 롤 방향(R)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된 오버랩 봉제선(E)과, 그리고 오버랩 봉제선(E)내의 공간부(K)에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일정간격으로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봉제됨으로써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다수 개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적층구조가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될 뿐 아니라 그 고정수단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효율적·경제적이 되는 효과가 있고,
⒝ 3중 적층구조(T)가 아직 봉제·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획이 예정된 롤 방향 구간(R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 또는 직포(F) 위에 면 접착보강비닐(V)도 함께 놓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다수 개 롤 방향 구간(RA)을 구획하고, 봉제된 면 접착보강비닐(V)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이를 부착된 방수층(O)과 3중층 구조(T)와의 접착매개재가 되게 함으로써 압밀침하 시 면 접착보강비닐(V)의 가이드 봉제선(G)이 면 접착보강비닐(V)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이 되어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을 따라 면 접착보강비닐(V)만 분리되면서 3중층 구조(T)가 아래로 슬립되고, 슬립면의 방수층(O)의 접착력이 흙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지하외벽에 방수재 보호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2a] 종래기술의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사시도
[도2b] 도2a의 x-x의 단면도
[도2c] 도2a의 다른 실시예
[도3] 본 발명 롤상의 3중층 구조(T)를 구조물 외벽(M)에 포설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4] 본 발명의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일체로 구획된 3중층 구조(T)의 사시도
[도5] 도4에서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 또는 직포(F) 상에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설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6a] 도5의 A-A, 단면도
[도6b] 도6a의 면 접착보강비닐(V)위에 점착성 접착제(U)가 도포된 상태도
본 발명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를 지하 외벽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 방향 구간(RA)이 다 수개 구획된 「부직포(S1)→PE 폼→부직포(S2)」의 3중층 구조의 시공방법이다. 지하구조물 외벽(M)의 방수층(O)에 그 보호재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 「부직포(S1)→PE 폼→부직포(S2)」가 적층되고, 또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 상에는 면 접착보강비닐(V)이 더 포설된 상태에서 롤 방향(R)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된 오버랩 봉제선(E)과, 그리고 오버랩 봉제선(E)내의 공간부(K)에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일정간격의 가이드 봉제선(G)이 봉제되고, 상기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함된 다수개의 롤 방향의 구간(RA)이 일체로 구획·형성되게 제작하는 단계;
⒝ 상기 3중층 구조(T)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를 도포 하는 단계;
⒞ 상기 점착성 접착제(U)가 도포된 제1의 3중층 구조(T)를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지하 외벽방수층(O)에 설치되는 단계;
⒟ 수직방향인 롤 방향의 제1의 3중층 구조(T)에 대하여 오버랩 봉제선(E)에서 서로 오버랩되게 지하 외벽(M) 횡방향으로 제2의 3중층 구조(T)를 설치하되 제1, 2의 오버랩 부분의 연결은 통상의 연결방식으로 고정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이어 오버랩되게 제3, 4,ㆍㆍㆍ의 3중층 구조(T)를 반복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를 지하 외벽에 시공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부직포(S2)→PE 폼→직포(F)」가 적층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를 지하 외벽에 시공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를 중앙구간에 위치된 롤 방향 구간(RA)을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를 지하 외벽에 시공하는 방법이다.
그뿐 아니라, 상기 ⒜단계에서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를 양측 오버랩 봉제선(E)에 인접된 롤 방향 구간(RA)을 대칭적으로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를 지하 외벽에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3중층 구조(T)는 「부직포(S1)+PE폼+부직포(S2)」를 기본 층으로 하면서 여기에다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에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함된 구조이다. 3중층 구조(T)는 오버랩 봉제선(E)과, 그리고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된 구조다. 오버랩 봉제선(E)내의 공간부(K)에는 일정간격으로 가이드 봉제선(G)이 봉제된다. 면 접착보강비닐(V)은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다.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에는 점착성 접착제(U)가 도포된다.
3중층 구조(T)의 면 접착보강비닐(V)이 방수층(O)에 접착됨으로써 압밀침하 시 면 접착보강비닐(V)의 가이드 봉제선(G)이 면 접착보강비닐(V)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이 되어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을 따라 면 접착보강비닐(V)만 분리되면서 3중층 구조(T)가 아래로 슬립되고, 방수층(O)의 슬립면에는 면 접착보강비닐(V)이 그대로 접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방수층(O)의 슬립면의 방수층(O)의 접착력이 흙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되는 이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S; 부직포,
F; 직포,
T; 3중층 구조
E; 오버랩 봉제선
K; 공간부
W; 분리유도 가이드라인
G; 가이드 봉제선
RA; 롤 방향 구간
V; 면 접착보강비닐
U; 점착성 접착제
M; 구조물 외벽
O; 방수층

Claims (12)

  1. [폭 방향(B)] x [롤 방향(R)]으로 이루어진 3중층 구조(T)는 「부직포(S1)→PE 폼→부직포(S2)」순으로 된 적층구조이고, [폭 방향(B)] x [롤 방향(R)]에 대하여 [롤 방향(R)]에 평행된 봉합선에 의해 다 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적층구조가 일체로 고정되게 하되 롤 방향(R)의 양단 테두리에는 [롤 방향(R)]에 평행된 오버랩 봉제선(E)이, 그리고 양단 오버랩 봉제선(E)사이의 공간부(K)에는 일정간격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봉제되고, 이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3중층 구조(T)가 일체로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면 접착보강비닐(V)은 방수층(O)에 대면되는 3중층 구조(T)의 부직포(S1)상에 놓이고, 이때 면 접착보강비닐(V)은 물론 3중층 구조(T)도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이 아직 봉제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면 접착보강비닐(V) +부직포(S1)+PE폼+부직포(S2)」가 일체로 봉제·결합되어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함된 다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를 중앙구간에 위치된 롤 방향 구간(RA)을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방수층(O)에 대면되는 부직포(S1)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가 양측 오버랩 봉제선(E)에 인접된 롤 방향 구간(RA)이 되게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과 오버랩 봉제선(E)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를 도포하되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이 면 접착보강비닐(V)의 외곽선의 안쪽에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7. [폭 방향(B)] x [롤 방향(R)]로 이루어지면서 PE 폼을 중심으로 그 일면에는 부직포(S2)가, 타면에는 직포(F)가 「직포(F)→PE 폼→부직포(S2)」순으로 된 적층구조이고, [폭 방향(B)] x [롤 방향(R)]에 대하여 [롤 방향(R)]에 평행된 봉합선에 의해 다 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적층구조가 일체로 고정되게 하되 롤 방향(R)의 양단 테두리에는 [롤 방향(R)]에 평행된 오버랩 봉제선(E)이, 그리고 양단 오버랩 봉제선(E)사이의 공간부(K)에는 일정간격의 분리유도 가이드라인(W)의 가이드 봉제선(G)이 오버랩 봉제선(E)에 평행되게 봉제되고, 이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되면서 상기 3중층 구조(T)가 일체로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면 접착보강비닐(V)은 방수층(O)에 대면되는 3중층 구조(T)의 직포(F)상에 놓이고, 이때 면 접착보강비닐(V)은 물론 3중층 구조(T)도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이 아직 봉제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오버랩 봉제선(E) 및 가이드 봉제선(G)에 의해 「면 접착보강비닐(V) +직포(F)+PE폼+부직포(S2)」가 일체로 봉제·결합되어 면 접착보강비닐(V)이 포함된 다수개의 롤 방향 구간(RA)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방수층(O)에 대면되는 직포(F)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가 중앙구간의 롤 방향 구간(RA)이 되게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과 오버랩 봉제선(E)과 오버랩 봉제선(E)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방수층(O)에 대면되는 직포(F)상에 포설되는 면 접착보강비닐(V)의 위치가 양측 오버랩 봉제선(E)에 인접된 롤 방향 구간(RA)을 선택하되 상기 선택된 면 접착보강비닐(V)이, 선택된 롤 방향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과 오버랩 봉제선(E)에 의해 일체로 봉제·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롤 방향의 구간(RA)에 포설된 면 접착보강비닐(V)표면에 점착성 접착제(U)
    를 도포하되 선택된 롤 방향의 구간(RA)의 가이드 봉제선(G)이 면 접착보강비닐(V)의 외곽선의 안쪽에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KR1020190103662A 2019-08-23 2019-08-23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KR20200034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62A KR20200034927A (ko) 2019-08-23 2019-08-23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62A KR20200034927A (ko) 2019-08-23 2019-08-23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065 Division 2018-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927A true KR20200034927A (ko) 2020-04-01

Family

ID=7027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62A KR20200034927A (ko) 2019-08-23 2019-08-23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4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8072A (zh) * 2023-08-29 2023-11-14 河北军通电子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充气式顶棚生产方法及批量生产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8072A (zh) * 2023-08-29 2023-11-14 河北军通电子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充气式顶棚生产方法及批量生产设备
CN117048072B (zh) * 2023-08-29 2024-02-20 河北军通电子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充气式顶棚生产方法及批量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86688A (ja) トンネル止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00034927A (ko) 가이드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3중층 구조
JP5300549B2 (ja) 土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991687B1 (ko) 폐기물 매립장의 배수층 시공매트
KR100776243B1 (ko) 방수시트 이음부의 수밀보강용 방수보호시트 및방수보호시트를 이용한 방수 보호층 시공방법
KR102037135B1 (ko)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용 겹침이음 설치형 보호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외방수공법
KR101734105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봉함재 설치 공법 및 그 구조
JP2017133142A (ja) 保護シート
KR101818600B1 (ko)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JP4793736B2 (ja) 遮水シートの接合構造
JPH0270814A (ja) 埋立てにおける遮水構造及び遮水シート
JP2001011837A (ja) 止水用膜状材の接続工法
JP2006305414A (ja) 廃棄物処分場の構造
JP5388646B2 (ja) 土木用複合体及び土構造物の構築方法
JP3153725U (ja) トンネル用止水シート
JP3295702B2 (ja) 産廃物廃棄処分場用の遮水壁と産廃物廃棄処分場システム
JP4260763B2 (ja) 廃棄物処分場の構造
JP6777831B1 (ja) 雨水貯留施設及び雨水貯留施設の施工方法
JP3095528B2 (ja) 防水層の保護材及びその施工法
TW201739988A (zh) 地下儲水槽的儲水構造及儲水工法
JPH05187012A (ja) 地盤表層排水工法
JPS64479Y2 (ko)
JP4378153B2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遮水シートの保護構造
JP652935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スペーサ
JPH0569928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