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600B1 -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8600B1 KR101818600B1 KR1020150113852A KR20150113852A KR101818600B1 KR 101818600 B1 KR101818600 B1 KR 101818600B1 KR 1020150113852 A KR1020150113852 A KR 1020150113852A KR 20150113852 A KR20150113852 A KR 20150113852A KR 101818600 B1 KR101818600 B1 KR 1018186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proof layer
- nonwoven fabric
- adhesive
- velcro tape
- trip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4—Watertight packings for use under hydraulic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8—Membranes multi-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 폼(P)과 그 양면을 감싼 부직포(Sa)(Sb)로 이루어진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고, 3중 구조를 갖는 방수층 보호재와 방수층의 접착은 벨크로 테이프와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3중 구조의 부직포(Sa)와 일체로 결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방수층에 도포된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가 서로 접착되는 방식으로 3중 구조를 갖는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에 설치되는 한편, 압밀침하 시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대로 타고 내려오게 함으로써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3중 구조의 부직포(Sa)에 의하여 PE 폼(P)의 충격파괴가 방지되고, 3중 구조의 부직포(Sb)와의 결착이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하여 침하된 길이만큼 다시 올려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재 점착이 가능하여 침하에 대한 보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PE 폼(P)과 그 양면을 감싼 부직포(Sa)(Sb)로 이루어진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고, 3중 구조를 갖는 방수층 보호재와 방수층의 접착은 벨크로 테이프와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3중 구조의 부직포(Sa)와 일체로 결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방수층에 도포된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가 서로 접착되는 방식으로 3중 구조를 갖는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에 설치되는 한편, 압밀침하 시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대로 타고 내려오게 함으로써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3중 구조의 부직포(Sa)에 의하여 PE 폼(P)의 충격파괴가 방지되고, 3중 구조의 부직포(Sb)와의 결착이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하여 침하된 길이만큼 다시 올려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재 점착이 가능하여 침하에 대한 보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되메움재측의 3중 구조의 부직포(Sa)에 의하여 표면엠보싱 및 굴곡변형이 방지되어 부직포(Sa)의 표면마찰계수가 최소화되게 하고, 그 결과 방수층 보호재의 하향 이동거리가 최소화됨으로써 재 포설설치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뿐 아니라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 상호간에 벨크로 네이프에 의해 고정설치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재설치가 용이하며 이음 오버랩 접합역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오버랩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지중에 설치되는 지하주차장, 공동구의 지하외벽, 지하철의 지하외벽, 원자력발전소의 지하외벽, 지하보차도, 통신구, 전력구, 정수장, 배수지, 하수처리장, 빗물처리장, 지하저류조 등의 지하외벽에는 방수층이 설치된다.
먼저, 지하외벽(P)과, 방수층(A)과, 방수층 보호재(C)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참조)
첫째, 지하외벽(P)이 굴착 공간에 노출된 상태이어야 방수층(A)의 부착시공이 가능하다.
지하외벽(P)이 굴착 공간에 노출되지 않으면 방수층(A)을 부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방수층(A)이 지하외벽(P)에 시공되어 완전건조 양생 상태에서 방수층(A) 위에 방수층 보호재(C)를 설치한다.
방수층(A)과 방수층 보호재(C)가 지하외벽(P)에 부착된 상태에서 되메움재(G)에 의하여 굴착 공간을 되메움한다. 이때 되메움재(G)의 낙하 충격으로 인하여 방수층(A)이 탈락되거나 파괴되지 않아야한다. 방수층 보호재(C)는 방수층(A)을 보호하기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방수층(A)이 탈락되거나 파괴되면 방수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되메움재(F)에는 토사뿐 아니라 뾰족한 큰 돌이나 날카로운 쇄석이나 쇠붙이가 포함되어있다. 이들이 방수층 보호재(C)에 부딪치게 되면 방수층 보호재(C)가 관통되고, 심지어는 방수층(A)까지 관통된다. 관통의 정도는 낙하높이가 높을수록, 형상이 뾰족하거나 날카로울수록 가중된다. 관통된 방수층(A)은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층(A)은 아스팔트가 주로 사용된다. 이때 방수층(A)으로 사용된 아스팔트는 완전건조 양생되면 점착력이 없는 재질이므로 지하외벽(P)과 방수층(A)과의 접착은 점착력을 갖는 아스팔트 접착제에 의하여 점착된다.
방수층 보호재(C)로서 통상 충격흡수능력이 좋은 ‘스치로폼 또는 EVA 폼’이 사용된다.
‘스치로폼 또는 EVA 폼’은 큐션 작용이 좋기 때문이다.
방수층 보호재(C)로서 충격흡수능력이 좋은 ‘스치로폼 또는 EVA 폼(이하 이를 스치로폼(S)이라 한다)’이 주로 사용된다.
방수층 보호재(C)로서의 ‘스치로폼(S)’과 방수층(A)과의 접착은 ‘스치로폼(S)’위에 도포된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
그런데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는 물과 상극인 성질을 갖는다.
방수층(A) 표면에 물 또는 습기가 있으면 ‘스치로폼(S)’이 방수층(A)에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가 물 또는 습기에 의하여 접착력이 상실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스치로폼(S)’이 방수층(A)에 전면 접착된 경우라 하더라도 압밀침하 등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일단 ‘스치로폼(S)’이 방수층(A)에서 탈리되게 되면 ‘스치로폼(S)’이 방수층(A)에 다시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일단 탈리된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에는 그 성질상 이미 접착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스치로폼(S)’이 방수층(A)에서 이탈 또는 탈락되게 되면, ‘스치로폼(S)’과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와의 강력한 접착으로 인하여 ‘스치로폼(S)’이 뜯겨져 나가거나 방수층(A)이 뜯겨져나감으로써 ‘스치로폼(S)’이 방수층 보호재(C)로서 기능을 할 수 없게 되거나 방수층(A)이 방수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층(A)에서 ‘스치로폼(S)’이 이탈 또는 탈락되게 되면, 뾰족한 큰 돌이나 날카로운 쇄석이나 쇠붙이가 포함된 되메움재(F)의 낙하충격이 직접 방수층에 전달되게 되어 방수층이 파괴됨으로 인해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압밀침하로 인하여 ‘스치로폼(S)’이 방수층(A)으로부터의 탈락과 탈락된 ‘스치로폼(S)’의 접착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압밀침하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하외벽(P)에 방수층(A)→‘스치로폼(S)’순으로 접착되어있는 상태에서 굴착공간에 되메움재(F)에 의해 되메움된다. 되메움의 높이는 통상 4~6m이다.
압밀은 되메움재(F) 토사에서 물이 제거됨으로써 침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물이 되메움재(F) 토사에서 제거되게 되면 되메움재(F) 토사는 제거된 만큼 다져지면서 침하를 동반하게 된다.(도2참조)
둘째, 압밀침하로 인한 ‘스치로폼(S)’의 탈락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하외벽(P)에 방수층(A)→‘스치로폼(S)’순으로 접착되어있는 상태에서 되메움은 되메움재(F)의 낙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되메움재(F)에 매설된 ‘스치로폼(S)’은 되메움재(F)의 압밀침하와 함께 ‘스치로폼(S)’도 아래로 끌려 내려오게 된다. 압밀침하는 ‘스치로폼(S)’을 아래로 끌고 내려오는 반면, 이에 대응되는 방수층(A)은 움직이지 않고, 제 위치에 그대로 있으려는 힘이 작용된다.
결과적으로 압밀침하로 인하여 되메움재(F)측의 ‘스치로폼(S)’은 하향력이, 그리고 방수층(A)의 ‘스치로폼(S)’은 이에 반대되는 상향력이 작용된다. 상향력과 하향력사이의 균형이 깨짐으로써 방수층(A)에서 ‘스치로폼(S)’이 탈락되게 된다.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는 일단 탈락하게 되면 점착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 다시 접착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는 물과 상극이고 이물질에 잘 접착되지 않을 뿐 아니라 가열한다 해도 접착력이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재 접착이 불가능하므로 탈락된 부분에 대해서는 ‘스치로폼(S)’을 새것으로 교체 시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재시공 및 교체작업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스치로폼(S)’이 접착제로부터 탈락하게 되면 방수층(A)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이는 되메움재(F)의 낙하로 인하여 방수층(A)이 파괴될 뿐 아니라 방수층(A)의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한편, ‘스치로폼(S)’이 아래로 끌려 내려오는 원인으로는 압밀침하이외에도 ‘스치로폼(S)’에 발생되는 엠보싱 요철과, 그리고 ‘스치로폼(S)’의 굴곡변형이 마찰계수를 크게 하는 요인이다. 되메움재(F) 토사가 낙하될 때 엠보싱 요철과, 굴곡변형이 되메움재(F)에 대하여 마찰력으로 작용되기 때문이다. (도3 참조)
엠보싱현상은 토압으로 인한 ‘스치로폼(S)’의 불규칙한 압착현상이다. 엠보싱현상은 ‘스치로폼(S)’의 공극률이 클수록, 토압이 클수록, 비가교 성형에서 더 많이 발생된다.
‘스치로폼(S)’의 마찰계수를 크게 하는 엠보싱의 요철과 ‘스치로폼(S)’의 굴곡변형이 압밀침하와 동반해서 작용하게 되면 ‘스치로폼(S)’이 중력방향으로 더 많이 끌려 내려오게 된다. 이때 일부방수층도 함께 침하하여 방수층에 손상을 주기도 한다.
‘스치로폼(S)’에 가해지는 중력방향으로의 힘이 방수층(A)과 ‘스치로폼(S)’의 접착력보다 크게 되면 도2와 같이 방수층 보호재(C)가 방수층에서 탈락되게 된다.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되메움재(F)의 압밀침하와, 그리고 엠보싱의 요철과 굴곡변형에 의한 마찰계수가 ‘스치로폼(S)’의 탈락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탈락ㆍ노출된 방수층(A)이 되메움재(F)에 의하여 파괴되어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한편, 탈락과 함께 우레탄 접착제나 아크릴 접착제의 접착력도 상실되어 우레탄 접착제의 재 접착이 불가능하고, 그 결과 방수층(A)과 ‘스치로폼(S)’의 교체시공이 불가피함으로써 교체시공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PE 폼과, 그리고 그 양면을 부직포(Sa)(Sb)로 감싼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형성하되 한쪽 부직포(Sa)는 되메움재(F)측에, 다른 한쪽 부직포(Sb)는 방수층측에 설치되는 한편, 방수층과 방수층 보호재의 접착고정은 방수층과 방수층 보호재사이에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와 벨크로 테이프를 개재하여 부직포(Sb)와 화스너 침에 의하여 결착ㆍ일체화된 벨크로 테이프와, 그리고 방수층에 도포된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가 서로 접착ㆍ고정되게 함으로써 벨크로 테이프와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의 점착력에 의하여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부착ㆍ시공이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압밀침하 시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 탈락 및 방수층의 노출에 대하여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의 점착력이 유지되어 재 접착시공이 가능하고, 재 접착시공에 의하여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되며, 되메움재(F)측의 부직포(Sa)와 PE 폼(16)에 의하여 되메움재(F)의 충격파괴가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3중 구조의 판상형태에 의하여 표면엠보싱 및 굴곡변형이 방지되도록 하여 판상형태의 표면마찰계수가 최소화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또한 판상형태의 3중 구조를 슬립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압밀침하 및 마찰계수로 인해 걸린 되메움재(F)측 부직포(Sa)의 인장력이 PE 폼→방수층측 부직포(Sb)→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서 그 인장력이 최소화되고, 이에 의한 방수층측 부직포(Sb)의 탈락ㆍ이탈거리가 최소화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는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 침에 의하여 방수층측 부직포(Sb)와 일체로 결착됨으로써 그 결착작업이 용이하여 방수층과의 부착ㆍ시공역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에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고정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재설치가 용이하며 상호간의 이음부 오버랩 접합이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외벽의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수층 보호재에 있어서
PE 폼을 중심으로 그 양쪽에 부직포(Sa)(Sb)를 위치시켜 판상형태의 3중 구조로 형성하되 PE 폼의 한쪽에는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가, 다른 한쪽에는 방수층측의 부직포(Sb)가 위치되어 주머니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다.
또한 방수층측의 부직포(Sb)와 방수층의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사이에 벨크로 테이프가 위치되면서 이들과 부착되게 하되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은 방수층측의 부직포(Sb)와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침에 의해 결착되고, 벨크로 테이프의 다른 일면은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 접착되어 지하외벽(P)의 방수층을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다.
그 뿐만 아니라 판상형태의 3중 구조의 부직포(Sa)(Sb)는 PE로 이루어지고, 부직포(Sa)(Sb)의 물성은 중량이 50~1,000g/m2(KS K ISO 9864에 의함)이고, 두께가 0.3~6.0mm(KS K ISO 9863에 의함)이며, 인장강도(KS K0743에 의함)가 11~420kgf이고, 인열강도(ASTM 4533에 의함)가 MD=63~1,380N, CD=59~1,210N이며, 신도 MD가 50~110%(KS K0743에 의함)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다.
또한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가 방수층측의 부직포(Sb)보다 큰 인열강도를 갖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다.
그리고 방수층측의 부직포(Sb)는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침이 잘 부착되는 형상을 갖는 부직포이고,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는 마찰계수가 작은 매끈한 표면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다.
또한 판상형태의 3중 구조의 부직포(Sa)(Sb)는 PE, PP, LLDPE, LDPE, HDPE, EVA중 하나의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다.
본 발명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는 PE 폼과 부직포(Sa)(Sb)로 이루어진 3중 구조이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참조)
첫째, PE 폼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E 폼은 되메움재의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PE 폼은 쿠션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PE 폼뿐만 아니라 PP, LLDPE, LDPE, HDPE, EVA중 하나의 재질로 사용해도 바람직하다.
둘째, 3중 구조의 부직포(Sa)(Sb)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E 폼은 되메움재의 낙하충격에 대하여 취약하다.
①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는 되메움재의 낙하충격에 대하여 PE 폼을 보호하고 있다.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가 없다면 낙하충격이 PE 폼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PE 폼이 쉽게 파괴되게 된다. PE 폼이 보호되기 위해서는 방수층측의 부직포(Sb)는 그 인장강도나 인열강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② 방수층측의 부직포(Sb)는 낙하충격을 직접 받는 곳이 아니므로 방수층측의 부직포(Sb)는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보다 인장강도나 인열강도가 크지 않아도 된다. 방수층측의 부직포(Sb)는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 침과 결착되는 곳이므로 매끄러운 표면이 아닌 실올을 많이 노출된 거친 부직포가 유리하다.
되메움재의 낙하충격에 대하여 PE 폼을 보호하고 있는 것이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이다.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는 되메움재의 낙하충격을 직접 받는 곳이므로 방수층측의 부직포(Sb)보다 인장강도나 인열강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판상형태의 3중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중 구조는 PE 폼을 사이에 두고 양 부직포(Sa)(Sb)에 의하여 판상형태로 이루어졌다 (도4, 5참조).
판상형태로는 주머니 형태이다. (도6, 7참조)
주머니 형태의 봉합은 주로 봉제선에 의하여 봉합되든지 열융착, 접착 등에 의하여 봉합된다. 주머니 형태의 상하부는 PE 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봉제, 열융착, 접착제나 띠상의 벨크로 테이프 막음재로 마감한다.
3중 구조는 2가지 경우이다. 접착구조와 슬립(slip)구조이다.
먼저, 접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구조는 PE 폼과 양 부직포(Sa)(Sb)가 서로 접착된 경우이다.
접착구조의 판상형태는 되메움재(F)의 압밀침하 시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에 걸린 하향 인장력에 대하여 3중 구조전체가 함께 저항하게 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슬립(slip)구조를 설명한다.
슬립(slip)구조는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에 걸린 하향 인장력에 대하여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에 제일 크게 걸린다.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에 걸린 인장력은 PE 폼→방수층측의 부직포(Sb)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나 슬립구조이기 때문에 접착구조에 비해 방수층측의 부직포(Sb)에 걸리는 하향인장력은 아주 작은 편이다. 이에 따라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로부터 방수층측의 부직포(Sb)가 아래로 끌려 내려오는 이동거리가 작아 방수층의 노출길이가 작게 된다.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에 걸린 하향 인장력은 압밀침하가 클수록, 되메움재측 부직포(Sa)의 마찰계수와 굴곡변형이 클수록 커진다.
한편, 방수층측의 부직포(Sb)에는 화스너 침에 의하여 벨크로 테이프가 전면,또는 국부적으로 결착된다.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 침의 이면과 방수층이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
이때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는 벨크로 테이프의 이면에 도포하거나 방수층에 도포한다. 벨크로 테이프의 이면에 도포된 경우에는 이면지에 의해 점착성을 보호한다.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는 점착성이 크기 때문에 압밀침하로 인하여 방수층측의 부직포(Sb)가 탈리되지 않는다. 점착성접착제를 타고 그대로 이동될 뿐이다. 또한 이물질이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 묻어있다 하더라도 조금만 가열하면 쉽게 그 점착성이 회복된다.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는 방수층의 아스팔트와 잘 접착된다.
다섯 째, 3중 구조의 부직포(Sb)(Sa)는 되메움재 토사 내에서 지하수의 이동통로가 된다.
이동통로를 통해 압밀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 째, 벨크로 테이프와 부직포(Sb)는 탈·부착이 간편하여 방수보호재 시공후 탈락시 재시공이 간편하고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상호간의 이음부 오버랩 접합시공이 용이하다.
이제, 본 발명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물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중량이 50~1,000g/m2(KS K ISO 9864에 의함)이고, 그 두께가 0.3~6.0mm(KS K ISO 9863에 의함)이고, 신도가 MD방향으로 50~110%(KS K0743에 의함)인 PE 부직포의 인장강도와 인열 강도의 실험결과는 표-1과 같다. 여기서 인장강도의 시험은, KS K0743에 의하여, 그리고 인열강도는 ASTM 4533에 의하여 얻은 결과이다.
표-1.
인열강도가 MD방향으로 63~1,380N, CD방향으로 59~1,210N에서 굴착공간의 되메움시 쇄석이나 쇠붙이의 낙하물에 의하여 PE 부직포가 찢어지거나 관통되어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인열강도의 범위가 그 이하의 범위가 되게 되면 부직포가 찢어지거나 관통되어 손상을 입게 되고, 그 이상의 범위가 되면 두께가 두꺼워 롤상으로 말리지 않게 되어 비경제적이 된다.
부직포의 중량이 50~1,000g/m2이고, 그 두께가 0.3~6.0mm에서 롤상으로 말기가 쉽고 오버랩 시공이 용이하여 전체면적 방수층에 밀착 되게 시공할 수 있다.
부직포의 중량과 그 두께의 범위가 그 이하가 되면 낙하물에 의하여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가 찢어지거나 관통되어 손상을 입게 된다.
그 이상이 되면 롤상으로 말기가 어렵고, 맞댐 시공은 해야 하므로 방수보호재 시공이 비효율적이고 방수성능이 저하된다. 맞댐 시공은 그 두께가 두꺼워 오버랩 시공을 하게 되면 그 두께가 2배로 증가하여 턱이 생기며 방수층에 밀착시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신도는 MD방향으로 50~110%가 본 발명의 3중 구조에 적합하다.
판상형태의 3중 구조의 두께에 대하여 살펴본다.
판상형태의 3중 구조는 부직포(Sb)(Sa)의 두께가 얇으면서도 인열강도 및 인장강도가 크기 때문에 판상형태의 3중 구조의 두께가 얇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판상형태의 3중 구조의 두께가 얇게 됨으로써 코너부와 모서리부 등, 절곡부(도1의 a→c→b→e 부분)의 꺾임이 자유로워 밀착시공이 용이하고 한 몸으로 일체로 연속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효율적이고, 방수보호 성능이 탁월해진다. PE 폼(22)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롤상 운반이 가능할 뿐 아니라 위에서부터 수직으로 또는 수평설치가 용이하여 이음 없이 포설시공이 한 몸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 본 발명은 PE 폼과, 그리고 그 양면을 부직포(Sa)(Sb)로 감싼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형성하되 한쪽 부직포(Sa)는 되메움재(F)측에, 다른 한쪽 부직포(Sb)는 방수층측에 설치되는 한편, 방수층과 방수층 보호재의 점착성 접착고정은 방수층과 방수층 보호재사이에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와 벨크로 테이프를 개재하여 부직포(Sb)와 화스너 침에 의하여 결착ㆍ일체화된 벨크로 테이프와, 그리고 방수층에 도포된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가 서로 점착ㆍ고정되게 한 구성이므로 벨크로 테이프와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의 점착력에 의하여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부착ㆍ시공이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압밀침하 시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 탈락 및 방수층의 노출에 대하여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의 점착력이 유지되어 재 접착시공이 가능하고, 재 점착시공에 의하여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되며, 되메움재(F)측의 부직포(Sa)와 PE 폼(16)에 의하여 되메움재(F)의 충격파괴가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3중 구조의 판상형태에 의하여 표면엠보싱 및 굴곡변형이 방지되도록 하여 판상형태의 표면마찰계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고,
⒝ 또한 판상형태의 3중 구조를 슬립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압밀침하 및 마찰계수로 인해 걸린 되메움재(F)측 부직포(Sa)의 인장력이 PE 폼→방수층측 부직포(Sb)→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서 그 인장력이 최소화되고, 이에 의한 방수층측 부직포(Sb)의 탈락ㆍ이탈거리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는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 침에 의하여 방수층측 부직포(Sb)와 탈, 부착이 간편하고 방수보호재 시공 후 되메움 등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보호재 탈락시 재시공이 용이하며 방수층과의 점착성 접착시공 역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상호간의 이음부 오버랩 접합이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지하외벽에 방수재 보호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2] 되메움재의 압밀침하로 인해 종래의 방수층보호재가 탈리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3] 되메움재 토사의 토압으로 인하여 종래의 방수층보호재 PE 폼에 나타난 엠보싱 현상을 보인 단면도
[도4] 본 발명의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가 지하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5] 본 발명의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사시도
[도6] 도5의 x-x의 단면도
[도7] 도5의 다른 실시예
[도2] 되메움재의 압밀침하로 인해 종래의 방수층보호재가 탈리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3] 되메움재 토사의 토압으로 인하여 종래의 방수층보호재 PE 폼에 나타난 엠보싱 현상을 보인 단면도
[도4] 본 발명의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가 지하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5] 본 발명의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사시도
[도6] 도5의 x-x의 단면도
[도7] 도5의 다른 실시예
본 발명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한쪽 부직포(Sa)는 되메움재(F)측에, 그리고 다른 한쪽 부직포(Sb)는 방수층측에 설치되면서 주머니형태로 형성된 공간부내에 PE 폼을 삽입하고 주머니 상하부에 봉제, 열융착, 접착제나 띠상의 벨크로 테이프 막음재로 막음하여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형성하는 단계;
⒝ 구조물의 외벽에다 일정높이의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방수층측에 설치되는 부직포(Sb) 전면 또는 국부적으로 벨크로 테이프를 결착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벨크로 테이프가 결착된 방수층측 부직포(Sb)를 상기 ⒝단계의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 접착하여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에 설치하는 단계;
⒠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과 함께 설치된 곳에 되메움재(F)를 실시한 다음, 압밀 침하가 이루어진 후, 압밀 침하로 인해 노출된 방수층에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끌어올려 재 접착시키면서 다시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구조물 외벽에다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이다.
또한 ⒜ 구조물의 외벽에다 일정높이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 한쪽 부직포(Sa)는 되메움재(F)측에, 그리고 다른 한쪽 부직포(Sb)는 방수층측에 설치되면서 주머니형태로 형성된 공간부내에 PE 폼을 삽입하고 주머니 상하부에 봉제, 열융착, 접착제나 띠상의 벨크로 테이프 막음재로 막음하여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방수층측에 설치되는 부직포(Sb) 전면 또는 국부적으로 벨크로 테이프를 결착하되 벨크로 테이프의 이면에는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가 도포되어있으면서 그 점착성을 보호하기위해 이면지가 붙어있는 채로 벨크로 테이프가 부직포(Sb)에 결착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이면지를 떼어내고, 노출된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를 방수층에 접면ㆍ부착시켜 벨크로 화스너 테이프와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에 설치하는 단계;
⒠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과 함께 설치된 곳에 되메움재(F)를 실시한 다음, 압밀 침하가 이루어진 후, 압밀 침하로 인해 노출된 방수층에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끌어올려 접착시키면서 다시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구조물 외벽에다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이다.
부직포(Sa)(Sb)의 물성은 중량이 50~1,000g/m2(KS K ISO 9864에 의함)이고, 두께가 0.3~6.0mm(KS K ISO 9863에 의함)이며, 인장강도(KS K0743에 의함)가 11~420kgf이고, 인열강도(ASTM 4533에 의함)가 MD=63~1,380N, CD=59~1,210N이며, 신도 MD가 50~110%(KS K0743에 의함)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이다.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가 방수층측의 부직포(Sb)보다 큰 인열강도를 갖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이다.
방수층측의 부직포(Sb)는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침이 잘 부착되는 형상을 갖는 부직포이고,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는 마찰계수가 작은 매끈한 표면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의 벨크로 화스너 테이프는 방수층과, 그리고 3중 구조의 방수층 보호재 사이에 위치된다.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 침은 3중 구조의 부직포(Sb)에 결착되고, 벨크로 테이프의 이면은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와 접착되는 곳이다.
이때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의 시공방법은 2가지 경우다. 한 가지는 방수층에 직접도포하여 점착성접착을 하는 경우이고, 다른 한 가지는 벨크로 테이프의 이면에 도포된 공장제조 방법으로 이면지가 붙어있는 경우이다. 계절적인 영향과 시공여건을 고려하고 되메움 토사 종류와 성토 깊이에 따라 벨크로 화스너 테이프 시공 면적을 전면 시공방법과 국부적 시공 방법을 선택하여 시공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시공방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PE 폼(P)과 그 양면을 감싼 부직포(Sa)(Sb)로 이루어진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이고, 3중 구조를 갖는 방수층 보호재와 방수층의 접착은 벨크로 테이프와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3중 구조의 부직포(Sa)와 일체로 결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방수층에 도포된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가 서로 접착되는 방식으로 3중 구조를 갖는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에 설치되는 한편, 압밀침하 시 고무화아스팔트 점착성 접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대로 타고 내려오게 함으로써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3중 구조의 부직포(Sa)에 의하여 PE 폼(P)의 충격파괴가 방지되고, 3중 구조의 부직포(Sb)와의 결착이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하여 침하된 길이만큼 다시 올려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재 접착이 가능하여 침하에 대한 보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되메움재측의 3중 구조의 부직포(Sa)에 의하여 표면엠보싱 및 굴곡변형이 방지되어 부직포(Sa)의 표면마찰계수가 최소화되게 하고, 그 결과 방수층 보호재의 히향 이동거리가 최소화됨으로써 재 접착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뿐 아니라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 상호간의 벨크로 화스너 테이프에 의해 고정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재설치가 용이하며 이음 오버랩 접합역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오버랩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삭제
10; 방수층 보호재
Sa; 되메움재측 부직포,
Sb; 방수층측 부직포
14; PE 폼(14)
20; 벨크로 테이프, 22; 화스너 침, 24; 이면지, 26; 막음재,
30;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
40; 방수층
S; ‘스치로폼(S)’
P; 지하외벽(P)
F; 되메움재(F)
Sa; 되메움재측 부직포,
Sb; 방수층측 부직포
14; PE 폼(14)
20; 벨크로 테이프, 22; 화스너 침, 24; 이면지, 26; 막음재,
30;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
40; 방수층
S; ‘스치로폼(S)’
P; 지하외벽(P)
F; 되메움재(F)
Claims (11)
- 삭제
- PE 폼을 중심으로 그 양쪽에 부직포(Sa)(Sb)를 위치시켜 판상형태의 3중 구조로 형성하되 PE 폼의 한쪽에는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가, 다른 한쪽에는 방수층측의 부직포(Sb)가 위치되어 주머니형상으로 형성된 지하외벽 방수층 보호재에 있어서
방수층측의 부직포(Sb)와 방수층의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사이에 벨크로 테이프가 위치되면서 이들과 부착되게 하되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은 방수층측의 부직포(Sb)와 벨크로 테이프의 화스너침에 의해 결착되고, 벨크로 테이프의 다른 일면은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 접착되어 지하외벽(P)의 방수층을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 한쪽 부직포(Sa)는 되메움재(F)측에, 그리고 다른 한쪽 부직포(Sb)는 방수층측에 설치되면서 주머니형태로 형성된 공간부내에 PE 폼을 삽입하고 주머니 상하부에 봉제, 열융착, 접착제 띠상의 벨크로 테이프 막음재로 막음하여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형성하는 단계;
⒝ 구조물의 외벽에다 일정높이의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방수층측에 설치되는 부직포(Sb) 전면 또는 국부적으로 벨크로 테이프를 결착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벨크로 테이프가 결착된 방수층측 부직포(Sb)를 상기 ⒝단계의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에 접착하여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에 설치하는 단계;
⒠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과 함께 설치된 곳에 되메움재(F)를 실시한 다음, 압밀 침하가 이루어진 후, 압밀 침하로 인해 노출된 방수층에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끌어올려 재 접착시키면서 다시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구조물 외벽에다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 구조물의 외벽에다 일정높이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 한쪽 부직포(Sa)는 되메움재(F)측에, 그리고 다른 한쪽 부직포(Sb)는 방수층측에 설치되면서 주머니형태로 형성된 공간부내에 PE 폼을 삽입하고 주머니 상하부에 봉제, 열융착, 접착제 띠상의 벨크로 테이프 막음재로 막음하여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방수층측에 설치되는 부직포(Sb)에 국부적으로 벨크로 테이프를 결착하되 벨크로 테이프의 이면에는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성접착제와 이면지가 붙어있어 이면지를 떼어내고 방수층과 부직포(sb)에 결착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점착성접착제를 방수층에 직접 도포하여 벨크로 테이프와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에 설치하는 단계;
⒠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가 방수층과 함께 설치된 곳에 되메움재(F)를 실시한 다음, 압밀 침하가 이루어진 후, 압밀 침하로 인해 노출된 방수층에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끌어올려 접착시키면서 다시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3중 구조의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구조물 외벽에다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부직포(Sa)(Sb)의 물성은 중량이 50~1,000g/m2(KS K ISO 9864에 의함)이고, 두께가 0.3~6.0mm(KS K ISO 9863에 의함)이며, 인장강도(KS K0743에 의함)가 11~420kgf이고, 인열강도(ASTM 4533에 의함)가 MD=63~1,380N, CD=59~1,210N이며, 신도 MD가 50~110%(KS K0743에 의함)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제9항에 있어서
되메움재측의 부직포(Sa)가 방수층측의 부직포(Sb)보다 큰 인열강도를 갖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852A KR101818600B1 (ko) | 2015-08-12 | 2015-08-12 |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852A KR101818600B1 (ko) | 2015-08-12 | 2015-08-12 |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0583A KR20170020583A (ko) | 2017-02-23 |
KR101818600B1 true KR101818600B1 (ko) | 2018-01-16 |
Family
ID=5831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3852A KR101818600B1 (ko) | 2015-08-12 | 2015-08-12 |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86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47643A1 (zh) * | 2020-09-02 | 2022-03-10 | 四川轻化工大学 | 一种环保复合型防绕渗柔性竖向隔离系统及安装方法 |
-
2015
- 2015-08-12 KR KR1020150113852A patent/KR10181860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0583A (ko) | 2017-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8130091A1 (en) | Un-vulcanized synthetic rubber sheets-waterproof material of self-adhesion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4790698B2 (ja) | 三次元のリバース・タンキング用膜 | |
US20220029578A1 (en) | Solar Energy System For Use With Tufted Geosynthetics On Sloping Ground | |
JP6352392B2 (ja) | 水圧を受ける構造物の継ぎ目を覆って防水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 |
US8932709B2 (en) | Ground cover for containment barriers | |
US10227749B2 (en) | Landfill liner system | |
KR100991687B1 (ko) | 폐기물 매립장의 배수층 시공매트 | |
JP5960715B2 (ja) | 型枠要素 | |
KR101818600B1 (ko) |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와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한 3중 구조를 갖는 판상형태의 방수층 보호재의 시공방법 | |
CN112513210B (zh) | 防鱼嘴的防水膜 | |
JP5300549B2 (ja) | 土構造物の構築方法 | |
CN104499508B (zh) | 一种填埋场特殊边坡土工膜固定结构及其固定方法 | |
JP5388646B2 (ja) | 土木用複合体及び土構造物の構築方法 | |
KR200483829Y1 (ko) | 결로방지 특성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된 복합패널 슬라이딩 보호재 | |
KR20090011441A (ko) | 베토나이트 방수 방법 및 방수 시트 | |
JP3974836B2 (ja) | 遮水シート用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 |
CN220225362U (zh) | 一种坡面固化结构 | |
JP2001011837A (ja) | 止水用膜状材の接続工法 | |
JP3062734B2 (ja) | 遮水シート用補強シート | |
RU88767U1 (ru) | Скальный лист | |
JPH07266482A (ja) | 複合防水シートの構造 | |
JP2001062420A (ja) | 保護用マットの固定構造 | |
JP4081659B2 (ja) | 遮水板、遮水板の連結構造及び遮水壁の施工方法 | |
JP2017095981A (ja) | 被覆シートの接合構造とその固定構造 | |
JPH01263155A (ja) | 滑動層を有するアスフアルト系防水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