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776A - 진공 흡입 장치 및 음식물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흡입 장치 및 음식물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776A
KR20200034776A KR1020207005508A KR20207005508A KR20200034776A KR 20200034776 A KR20200034776 A KR 20200034776A KR 1020207005508 A KR1020207005508 A KR 1020207005508A KR 20207005508 A KR20207005508 A KR 20207005508A KR 20200034776 A KR20200034776 A KR 2020003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
lower cover
suction device
vacuum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705B1 (ko
Inventor
젠페이 쉬
룽 류
단 우
샹허 쩡
옌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91056.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23635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318955.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93505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91228.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23642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318266.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01055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90565.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242538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318371.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51063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7Mounting of a cylinder block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20/00Application
    • F04C2220/10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진공 흡입 장치 및 음식물 조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진공 흡입 장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맞춤되어 수용 챔버로 둘러싸이고, 하부에 연결부가 설치되되, 상기 수용 챔버의 챔버벽에는 기체 흡입홀 및 기체 배출홀이 개구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커버 및/또는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는 장착 브래킷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에 연통되는 기체 진입구와 상기 기체 배출홀에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의 조립 효율이 높고, 구조 안정성이 높다.

Description

진공 흡입 장치 및 음식물 조리 장치
본 출원은 조리 장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진공 흡입 장치 및 해당 진공 흡입 장치를 적용한 음식물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식재료들은 공기와 접촉한 후 산화되거나 세균이 발생하여 쉽게 변질하게 된다. 예컨대 쥬스가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쥬스가 산화되어 쥬스의 식감에 쉽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일부의 식재료는 공기와 격리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진공 흡입 기능을 구비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에 있어서, 진공 흡입 장치는 일반적으로 베이스와 고정되어, 진공 흡입 장치의 전반적인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제조와 조립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본 출원의 주요 목적으로서, 진공 흡입 장치를 제공하고, 진공 흡입 장치의 구조를 간략시키고, 진공 흡입 장치의 조립 편리성 및 구조 안정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위하여, 본 출원에서 제출하는 진공 흡입 장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맞춤되어 수용 챔버로 둘러싸이고, 하부에 연결부가 설치되되, 상기 수용 챔버의 챔버벽에는 기체 흡입홀 및 기체 배출홀이 개구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커버 및/또는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는 장착 브래킷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에 연통되는 기체 진입구와 상기 기체 배출홀에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수용 챔버를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분리되게 형성하고,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하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장착 브래킷에 의해 클램핑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전력 공급 모듈은 상기 상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및/또는,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상부 커버 및/또는 하부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대안으로, 상기 장착 브래킷의 상기 상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는 제1 장착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제1 잠금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제1 장착 구조와 상기 제1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상기 상부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의 상기 하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는 제2 장착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는 제2 잠금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 브래킷은 제2 장착 구조와 상기 제2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상기 하부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대안으로, 상기 장착 브래킷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구조는 기판의 상기 상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 구조는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 스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클 중의 하나는 상기 제1 스냅홈 중의 하나 내에 스냅인된다.
대안으로, 상기 제1 장착 구조는 상기 기판의 상기 상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제1 연결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기둥 내에는 제1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잠금 구조는 상기 상부 커버에 개구된 제1 잠금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홀은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잠금홀에 맞춤 연결된다.
대안으로, 상기 제2 장착 구조는 기판의 상기 하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구조는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2 스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클 중의 하나는 상기 제2 스냅홈 중의 하나 내에 스냅인된다.
대안으로, 상기 제2 장착 구조는 상기 기판의 상기 하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 원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연결 원통에 연통되는 제2 잠금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잠금 구조는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 벽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제2 연결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기둥 내에는 제2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홀은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잠금홀에 맞춤 연결된다.
대안으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기체 흡입홀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 커버 또는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기체 배출홀이 개구되된다.
대안으로, 상기 진공 펌프의 기체 진입구과 상기 기체 흡입홀 사이에는 기체 흡입홀에서 기체 진입구로의 방향에서 도통되는 체크 밸브가 더 연결된다.
대안으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압력 방출홀이 개구되고, 상기 수용 챔버 내에는 압력 방출 개폐 어셈블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에는 기체 진입홀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폐 어셈블리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압력 방출홀과 기체 진입홀에 연통된다.
대안으로, 상기 진공 흡입 장치는, 커버 밀봉 방식으로 진공 흡입될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을 에워싸게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연결 고리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기체 흡입홀의 주위를 에워싸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연결 고리 외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또는,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고리형 슬롯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슬롯은 상기 기체 흡입홀의 주위에 에워싸이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고리형 슬롯 내에 임베딩된다.
대안으로, 상기 하부 커버의 외벽에는 격리 완화 챔버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격리 완화 챔버는 상기 기체 흡입홀과 진공 흡입될 용기에 연통되고, 상기 격리 완화 챔버는 상기 하부 커버의 저부에 위치한다.
대안으로,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홈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은 상기 홈 본체의 저벽에 개구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는 커버판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홈 본체의 개구에 커버되어 상기 격리 완화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판 상에는 상기 격리 완화 챔버에 연통되는 쳇눈이 개구된다.
대안으로, 상기 쳇눈은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쳇눈의 폭 치수는 B로 정의되고, 0mm<B≤0.8mm이다.
대안으로, 상기 커버판과 상기 홈 본체의 저벽 사이의 간격은 L이고, 1mm<L≤10mm이다.
본 출원은 음식물 조리 장치를 더 제출하고, 해당 음식물 조리 장치는,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닫겨지고 상기 컵 본체에 연통되는 내부 챔버의 개구가 개구되는 컵 커버를 포함하는 교반컵 어셈블리; 및 상기 컵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공 흡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 흡입 장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맞춤되어 수용 챔버로 둘러싸이고, 하부에 연결부가 설치되되, 상기 수용 챔버의 챔버벽에는 기체 흡입홀 및 기체 배출홀이 개구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커버 및/또는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는 장착 브래킷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에 연통되는 기체 진입구와 상기 기체 배출홀에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챔버에 연통된다.
대안으로,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서 연결부 내에 홈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은 상기 홈 본체의 저벽에 개구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는 커버판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홈 본체의 개구에 커버되어 상기 격리 완화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판 상에는 상기 격리 완화 챔버에 연통되는 쳇눈이 개구된다.
대안으로, 상기 진공 흡입 장치는, 커버 밀봉 방식으로 진공 흡입될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을 에워싸게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면적은 S1로 정의되고, 상기 하부 커버 상에서 상기 개스킷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 고리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S2로 정의되고, 상기 개스킷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S3으로 정의되며, S2<S1<S3이다.
대안으로, 상기 컵 커버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오목홈의 저부에 개구되고, 상기 개스킷의 주변 가장자리는 상기 오목홈의 홈 벽에 맞대어진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진공 흡입 장치의 장착 브래킷을 상부 커버 및/또는 하부 커버에 연결시켜,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맞춤되어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진공 펌프는 장착 브래킷에 의존하여 장착 고정을 진행하며, 이로써, 진공 흡입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진공 펌프, 제어 회로 기판, 전력 공급 모듈 등의 부재는 장착 브래킷에 의존하여 모듈화 조립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어서 장착 브래킷을 이용하여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커버 조립 조작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반적인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착 브래킷의 고정 방식에 의존하여, 전반적인 진공 흡입 장치 내부의 부재(예컨대, 진공 펌프, 제어 회로 기판, 전력 공급 모듈 등)의 구조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으며, 구조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 이용하여야 할 첨부된 도면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진행하고자 하며, 아래의 설명 중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는 진보성 노동이 없이도 이러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기타의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을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분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진공 흡입 장치의 개략적 부분 분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진공 흡입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진공 흡입 장치의 상부 커버의 개략적 구조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진공 흡입 장치의 장착 브래킷의 개략적 구조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중의 진공 흡입 장치의 하부 커버의 개략적 구조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 중의 커버판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 중의 A-A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실시예를 결부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목적의 실현, 기능 특점 및 장점에 대한 진일보의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에 대한 명확하고 완정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성 노동이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의 실시예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해당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중의 모든 방향성 지시(예컨대, 상, 하, 좌, 우, 전, 후……)는 단지 임의의 특정된 자태(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각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운동 상황 등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특정된 자태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해당 방향성 지시도 상응하게 변화하게 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명확하게 달리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는 한, 용어 "연결", "고정" 등은 광범위하게 이해하여야 하며, 예컨대, "고정"은 고정 연결일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형일 수 있고, 명확하게 달리 한정하지 않는 한, 기계적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 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도 있으며, 2개의 요소 내부의 연통이거나 2개의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구체적인 정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제1", "제2" 등에 해당되는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그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되며,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표명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 사이의 기술적 방안은 상호 결합될 수 있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현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하며, 기술적 방안의 결합이 상호 충돌되거나 실현할 수 없을 경우, 이러한 기술적 방안의 결합이 존재하지 않으며 본 출원에서 청구하는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시인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진공 흡입 장치(100)를 제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100)는 진공 흡입될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용기 내부에 대해 진공 흡입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진공 흡입 장치(100)는 상부 커버(110), 장착 브래킷(120), 하부 커버(130), 진공 펌프(140), 제어 회로 기판(150) 및 전력 공급 모듈(160)을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120)의 일측은 상부 커버(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 커버(130)는 장착 브래킷(120)의 다른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 커버(130)와 상부 커버(110)는 맞춤되어 수용 챔버(110a)로 둘러싸이고, 수용 챔버(110a)의 챔버벽에는 기체 흡입홀(130a)과 기체 배출홀(110d)이 개구되고, 진공 펌프(140)는 장착 브래킷(120)에 고정 연결되고, 진공 펌프(140)는 장착 브래킷(120)에 고정 연결되고, 진공 펌프(140)의 기체 진입구는 기체 흡입홀(130a)에 연통되고, 진공 펌프(140)의 기체 배출구는 기체 배출홀(110d)에 연통되며, 제어 회로 기판(150)은 장착 브래킷(120)에 고정 연결되고 진공 펌프(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 공급 모듈(160)은 수용 챔버(110a) 내에 위치하고 제어 회로 기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장착 브래킷(120)은 단지 상부 커버(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단지 하부 커버(13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하부 커버(130)의 하부에 연결부(133)가 설치되고, 해당 연결부(133)는 진공 흡입 과정이 보다 간단하고 연결 과정이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 있도록, 진공 흡입되어야 할 기타의 용기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장착 브래킷(120)은 상부 커버(110) 및/또는 하부 커버(13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커버(110), 하부 커버(130)와 장착 브래킷(120) 사이에는 착탈 가능한 연결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고정 연결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일체형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한 연결 방식을 이용한다.
본 출원의 상부 커버(110), 하부 커버(130) 및 장착 브래킷(120)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으며, 전반적인 진공 흡입 장치(100)는 대체적인 기둥체 형상을 구성하고, 즉,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30)는 모두 일단에 커버판이 구비된 원통체 형상이고, 진공 흡입 장치(100)의 단면 형상은 원형, 정방형 또는 다변형일 수 있으며, 물론, 진공 흡입 장치(100)의 형상은 기타의 구조일 수도 있으며, 예컨대 구체 형상을 구성하며, 즉,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30)는 모두 반구체 형상이고, 하부 커버(130)에는 기체 흡입홀(130a)이 개구되고, 진공 흡입 장치(100)의 조립 과정에서,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30)는 장착 브래킷(120)을 통해 함께 고정 연결되며, 제어 회로 기판(150)과 진공 펌프(140)(펌프 본체 및 구동 모터를 포함)는 모두 장착 브래킷(120)에 의존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전력 공급 모듈(160)은 수용 챔버(110a) 내에 설치된 전력 공급 리튬 배터리, 건전지 등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수용 챔버(110a) 내에 설치되고 상부 커버(110) 또는 하부 커버(130)에 대응되는 개구(221)가 설치되는 전력 공급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인터페이스), 핀을 구비한 전원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전력 공급 모듈(160)이 전기 어네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일 경우, 진공 흡입 장치(100)는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전력 공급 모듈(160)이 전원 인터페이스일 경우, 전력 공급 모듈(160)에 의해 접속되고 변압된 상용 전원일 수도 있다. 용기와 진공 흡입 장치(100) 사이에는 밀봉 구조가 더 설치되고, 밀봉 구조는 용기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진공 흡입 장치(100) 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밀봉 구조는 용기 또는 진공 흡입 장치(100) 상에 설치된 개스킷(18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연결부(133)는 하부 커버(130)의 상부 커버(110)에 대향하는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 고리(133)이고, 연결 고리(133)는 기체 흡입홀(130a)의 주위에 에워싸이고, 개스킷(180)은 연결 고리(133) 외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또는, 하부 커버(130)의 상부 커버(110)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고리형 슬롯(미도시)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리형 슬롯은 기체 흡입홀(130a) 주위를 에워싸고, 개스킷(180)은 고리형 슬롯 내에 임베딩된다. 진공 흡입 장치(100)의 사용 과정에서, 진공 흡입 장치(100)는 용기의 개구(221)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고, 하부 커버(130)는 용기의 개구(221) 가장자리에 오버랩되며, 진공 흡입 장치(100)를 작동시킬 경우, 진공 펌프(140)는 용기 내의 공기를 구동하여 기체 흡입홀(130a)을 통해 진입하고 기체 배출홀(110d)을 통해 배출된다. 진공 흡입이 종료된 이후, 진공 흡입 장치(100)와 용기를 직접적으로 분리하여 단독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100)는 장착 브래킷(120)을 통해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30)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30)가 맞춤되어 수용 챔버(110a)를 형성하고, 진공 펌프(140)는 장착 브래킷(120)에 의존하여 장착 고정을 진행하며, 이로써, 진공 흡입 장치(100)의 조립 과정에서, 진공 펌프(140), 제어 회로 기판(150), 전력 공급 모듈(160) 등의 부재는 장착 브래킷(120)에 의존하여 모듈화 조립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어서 장착 브래킷(120)을 이용하여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30)의 커버 조립 조작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반적인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착 브래킷(120)의 고정 방식에 의존하여, 전반적인 진공 흡입 장치(100) 내부의 부재(예컨대, 진공 펌프(140), 제어 회로 기판(150), 전력 공급 모듈(160) 등)의 구조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으며, 구조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나아가, 본 출원의 장착 브래킷(120)은 수용 챔버(110a)를 상부 챔버(110c)와 하부 챔버(110b)로 분리되게 형성하고, 진공 펌프(140)는 하부 챔버(110b) 내에 위치하고 하부 커버(130)와 장착 브래킷(120)에 의해 클램핑되어 고정되고, 제어 회로 기판(150)과 전력 공급 모듈(160)은 상부 챔버(110c) 내에 위치한다.
진공 흡입 장치(100)의 기체 흡입홀(130a)은 하부 커버(130)에 설치되고,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100)에는 장착 브래킷(120)이 설치되어 수용 챔버(110a)를 상부 챔버(110c)와 하부 챔버(110b)의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고, 진공 펌프(140)와 제어 회로 기판(150) 및 전력 공급 모듈(160)에 대해 합리한 배치를 진행하며, 진공 펌프(140)는 기체 흡입 과정에서 습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100)는 진공 펌프(140)를 하부 챔버(110b) 내에 설치하고, 제어 회로 기판(150) 및 전력 공급 모듈(160)을 상부 챔버(110c) 내에 설치하며, 이러한 배치 방식을 통해, 진공 흡입 장치(100)의 사용 과정에서 습기 등의 요소가 제어 회로 기판(150) 및 전력 공급 모듈(160)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진공 펌프(140) 자체가 상대적으로 무거우므로, 진공 펌프(140)는 하부 챔버(110b)에 배치되고, 진공 흡입 장치(100)의 중력 중심을 아래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로써 진공 흡입 장치(100)가 용기에 배치될 경우, 전반적인 구조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반적인 진공 흡입 장치(100)의 조립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120)의 상부 커버(110)를 향한 일측에는 제1 장착 구조가 설치되고, 상부 커버(110)에는 제1 잠금 구조가 설치되고, 장착 브래킷(120)은 제1 장착 구조와 제1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상부 커버(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장착 브래킷(120)의 하부 커버(130)를 향한 일측에는 제2 장착 구조가 설치되고, 하부 커버(130)에는 제2 잠금 구조가 설치되며, 장착 브래킷(120)은 제2 장착 구조와 제2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하부 커버(13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출원의 상기 장착 브래킷(120)은 기판(121)을 포함하고, 제1 장착 구조는 기판(121)의 상부 커버(110)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버클(122)을 포함하고, 제1 잠금 구조는 상부 커버(11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 스냅홈(111)을 포함하고, 제1 버클(122) 중의 하나는 제1 스냅홈(111) 중의 하나 내에 스냅인된다.
상기 제1 장착 구조는 기판(121)의 상부 커버(110)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제1 연결 기둥(123)을 더 포함하고, 제1 연결 기둥(123) 내에는 제1 연결홀이 설치되고, 제1 잠금 구조는 상부 커버(110)에 개구된 제1 잠금홀(112)을 더 포함하고, 제1 연결홀은 연결 부재를 통해 제1 잠금홀(112)에 맞춤 연결된다.
상기 제2 장착 구조는 기판(121)의 하부 커버(130)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 버클(124)을 포함하고, 제2 잠금 구조는 하부 커버(13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2 스냅홈(131)을 포함하고, 제2 버클(124) 중의 하나는 제2 스냅홈(131) 중의 하나 내에 스냅인된다.
상기 제2 장착 구조는 기판(121)의 하부 커버(130)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 원통(125)을 더 포함하고, 기판(121)에는 연결 원통(125)에 연통되는 제2 잠금홀이 설치되고, 제2 잠금 구조는 하부 커버(130)내측 벽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제2 연결 기둥(132)을 더 포함하고, 제2 연결 기둥(132) 내에는 제2 연결홀이 설치되고, 제2 연결홀은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잠금홀에 맞춤 연결된다.
본 출원의 상부 커버(110)와 장착 브래킷(120)은 제1 장착 구조와 제1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커버(110)와 장착 브래킷(120)의 조립 과정에서, 제1 버클(122)과 제1 스냅홈(111)의 맞춤은 상부 커버(110)와 장착 브래킷(120)의 조립 과정에서 초보적인 고정 위치 확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버클(122)과 제1 스냅홈(111)의 수량은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력 공급 모듈(160)과 제어 회로 기판(150)은 먼저 장착 브래킷(120) 상에 고정되고, 장착 브래킷(120) 상에는 다수의 위치 한정 리브가 설치되고, 다수의 위치 한정 리브는 전력 공급 모듈(160)과 제어 회로 기판(150)에 대한 클램핑 고정을 실현하고, 진일보로 나사를 통해 고정을 진행할 수 있으면 되며, 이어서, 제1 버클(122)과 제1 스냅홈(111)을 정렬시키고, 상부 커버(110)와 장착 브래킷(120)의 초보적인 고정을 실현하고, 이어서 연결 부재(나사)와 제1 연결홀과 제1 잠금홀(112)의 맞춤을 통해 양자의 고정 조립을 실현할 수 있으면 된다.
하부 커버(130)와 장착 브래킷(120)은 제2 장착 구조와 제2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버클(124)과 제2 스냅홈(131)의 맞춤은 하부 커버(130)와 장착 브래킷(120)의 조립 과정에서 초보적인 고정 위치 확정을 제공하며, 제2 버클(124)과 제2 스냅홈(131)의 수량은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진공 펌프(140)에 대해 클램핑 고정을 진행하기도 하며, 장착 브래킷(120) 또는 하부 커버(130) 상에는 장착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진공 펌프(140)는 장착홈 내에 임베딩되고, 이어서 연결 부재(나사)와 제2 연결홀과 제2 잠금홀의 맞춤을 통해 양자의 고정 조립을 실현할 수 있으면 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본 출원은 장착 브래킷(120)의 양측에 모두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30)와의 맞춤 연결 구조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진공 흡입 장치(100)의 조립 과정의 간략화를 실현하고, 전반적인 진공 흡입 장치(100)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본 출원의 진공 흡입 장치(100)의 내부에는 하부 커버(130) 상에 설치된 기체 흡입홀(130a), 진공 펌프(140), 수용 챔버(110a) 및 기체 배출홀(110d)로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진공 흡입 기체 통로가 형성되고, 기체 배출홀(110d)은 상부 커버(110) 또는 하부 커버(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 브래킷(120)과 상부 커버(110) 또는 하부 커버(130)의 내벽 사이에는 틈새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틈새는 상기 기체 배출홀(110d)을 형성하며, 물론, 수용 챔버(110a)에 연통된 기체 배출홀(110d)과 진공 펌프(140)의 기체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기체 배출홀(110d)은 하부 커버(130)에 단독으로 개구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하부에 위치한 진공 펌프(140)의 기체 배출구와 기체 배출홀(110d)이 연통되도록, 장착 브래킷(120)에는 중공 구멍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 설치를 통해, 진공 흡입 장치(100)의 기체 통로 설계가 상대적으로 간결해지고, 아울러, 기체 배출 과정에서, 기류의 유동을 통해 진공 펌프(140)와 제어 회로 기판(150) 등의 전자 소자의 열량을 가져갈 수도 있으며, 틈새 또는 중공 구멍이 모두 장착 브래킷(1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부분적인 기류의 유동이 존재하더라도, 쉽게 제어 회로 기판(150)과 전력 공급 모듈(140) 상에 머물지 않음을 설명하고자 하며, 물론, 본 출원은 기판(121)의 상부 커버(110)를 향한 일측에서 장착 브래킷(120)에 인접한 가장자리에 방수 격벽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수분이 있는 기류가 전력 공급 모듈(140)과 제어 회로 기판(150)에 직접적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진공 흡입 장치(100)의 운행 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기체 흡입홀(130a)에 기체 투과성 수분 차단 재료층이 커버될 수 있으며, 이로써 기체 흡입 과정에서 쉽게 음식물이 기체 흡입홀(130a)에 흡입되어 진공 흡입 기체 통로가 막히지 않게 된다. 나아가, 진공 펌프(140)의 기체 진입구와 상기 기체 흡입홀(130a) 사이에는 기체 흡입홀에서 기체 진입구로의 방향에서 도통되는 체크 밸브가 더 연결되며, 이로써 기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기타의 진공 흡입 기체 통로에서, 장착 브래킷(120) 내부에는 기체 통로관 구성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체 통로관은 계속하여 연장되어 장착 브래킷(120)의 가장자리를 관통하고, 기체 통로관은 장착 브래킷(120)의 가장자리의 개구(221)에 위치하고 상부 커버(110) 또는 하부 커버(130) 상에 개구된 기체 배출홀(110d)에 연통되며, 진공 펌프(140) 의 기체 배출구는 장착 브래킷(120) 상의 기체 통로관 구성의 다른 일단의 개구(221)에 직접적으로 맞대어 연통되며, 이로써 전반적인 진공 흡입 장치(100)의 기체 통로 구조가 보다 간결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하부 커버(130)에는 압력 방출홀(130b)이 개구되고, 수용 챔버(110a) 내에는 압력 방출 개폐 어셈블리가 더 설치되고, 상부 커버(110) 또는 하부 커버(130)에는 기체 진입홀이 설치되고, 압력 방출 개폐 어셈블리는 장착 브래킷(120)에 고정 연결되어 압력 방출홀(130b)과 기체 진입홀에 연통된다.
본 출원은 압력 방출홀(130b)과 기체 진입홀 및 압력 방출 어셈블리(170)로 압력 방출 통로를 구성하며, 압력 방출 어셈블리(170)는 압력 방출 밸브와 일부의 관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 방출홀(130b)과 기체 흡입홀(130a)은 이격되게 설치되고, 기체 진입홀은 기체 배출홀(110d)과 분리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공동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있어서, 상부 커버(110) 상에는 진공 펌프(140)와 압력 방출 밸브에 대응되는 작동 버튼이 더 설치되며,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진공 흡입 장치(100)가 용기에 대한 진공 흡입 조작을 실현하고 진일보의 식재료 처리를 진행한 후, 상부 커버(110) 상의 압력 방출 밸브의 작동 버튼을 누름으로써, 압력 방출 밸브를 오픈할 수 있으며, 이로써 외부 공기의 진입을 실현하고, 용기 내의 압력의 내부 및 외부 균형을 실현하며, 압력 방출 밸브를 제거하기에 편리해진다.
구체적으로, 일부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식재료를 진공 흡입 장치(100) 외부에 막아내기 위하여,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커버(130)의 상부 커버(110)에 대향하는 표면은 연결 고리(133) 구조를 통해 홈 본체(미도시)가 형성되고, 기체 흡입홀(131a)은 홈 본체의 저벽에 개구되고, 하부 커버(130)에는 커버판(190)이 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버판(190) 상에는 격리 완화 챔버(133a)에 연통된 쳇눈(191)이 개구된다.
하부 커버(130)의 상부 커버(110)에 대향하는 표면에 홈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기체 흡입홀(131a)은 해당 홈 본체의 저벽에 개구되고, 하부 커버(130)에는 홈 본체 개구를 닫는 커버판(190)이 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버판(190) 상에는 격리 완화 챔버(133a)에 연통된 쳇눈(191)이 개구되어, 해당 커버판(190)은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식재료를 진공 흡입 장치(100) 외부에 막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가 커버판(190) 상의 쳇눈(191)을 통해 기체 흡입홀(131a)에 연통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의 공기가 여전히 기체 흡입홀(131a)을 통과하고 진공 펌프(140)의 작용을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또한, 커버판(190)을 통해 하부 커버(13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커버판(190)을 제거함으로써, 격리 완화 챔버(133a)의 내벽을 편리하게 세척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쳇눈(191)은 원형 구멍, 정방형 구멍 또는 선형 구멍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판(190)은 홈 본체와 나사 연결, 버클 연결 또는 자기 연결될 수 있으며, 커버판(190)이 홈 본체와 버클 연결될 경우, 커버판(190)은 유연한 재료, 예컨대 실리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식재료를 막아내는 작용을 보다 잘 실현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쳇눈(191)은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고, 쳇눈(191)의 폭 치수는 B로 정의되고, 0mm<B≤0.8mm이다.
쳇눈(191)을 스트립 형상으로 설치하고, 해당 쳇눈(191)의 폭 치수 B를 0mm<B≤0.8mm에 만족시킴으로써, 쳇눈(191)은 대부분의 식재료를 막아내는 상대적으로 적합한 효과를 구비한다. B>0.8mm일 경우, 쳇눈(191)의 폭 치수가 너무 넓어, 아주 많은 식재료가 해당 쳇눈(191)을 통과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식재료가 먼저 격리 완화 챔버(133a)의 내벽에 접착되어,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에 기체 흡입홀(131a)이 막히게 되어, 진공 흡입 장치(100)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190)의 쳇눈(191)이 구비되는 영역의 두께는 D이고, 0.2mm<D≤1.2mm이다.
커버판(190)의 쳇눈(191)이 구비되는 영역의 두께 D를 0.2mm<D≤1.2mm로 설치함으로써, 커버판(190)은 일정한 충격 강도를 감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양호한 기체 통과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커버판(190)의 쳇눈(191)이 구비되는 영역의 두께가 D≤0.2mm일 경우, 커버판(190)의 두계가 상대적으로 작아, 쳇눈(191)이 개구된 후의 커버판(190)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지며, D>1.2mm일 경우, 커버판(19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 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나아가, 커버판(190)과 홈 본체의 저벽 사이의 간격을 L로 정의하고, 1mm<L≤10mm이다.
커버판(190)과 홈 본체의 저벽 사이의 간격 L을 1mm<L≤10mm로 설치함으로써, 격리 완화 챔버(133a)는 흡착된 식재료를 용납하기에 상대적으로 적합한 공간을 구비하여, 기체 흡입홀이 식재료에 의해 쉽게 막히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양호한 기체 진입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커버판(190)과 홈 본체의 저벽 사이의 간격이 L≤1mm일 경우, 격리 완화 챔버(133a)의 챔버 본체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아, 식재료가 아주 빠르게 챔버 본체에 충진되어, 사용자가 격리 완화 챔버(133a)의 챔버 본체 내벽을 빈번하게 세척할 필요가 존재하게 되며, 커버판(190)과 홈 본체의 저벽 사이의 간격이 L>10mm일 경우, 격리 완화 챔버(133a)의 챔버 본체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어, 챔버 본체 내에 일정한 식재료가 누적된 후 기체 흡입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은 음식물 조리 장치(300)를 더 제출하며, 해당 음식물 조리 장치(300)는 교반컵 어셈블리(20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컵 어셈블리(200)는 컵 본체와, 컵 본체의 상단부에 닫겨지는 컵 커버(220)를 포함하고, 컵 커버(220)에는 컵 본체에 연통되는 내부 챔버의 개구(221)가 개구되며, 음식물 조리 장치(300)는 예컨대 진공 흡입 장치(100)를 더 포함하고, 진공 흡입 구조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며, 진공 흡입 장치(100)는 상기 컵 커버(2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진공 흡입 장치(100)는 개구(221)를 통해 컵 본체의 내부 챔버에 연통된다. 본 출원은 상술한 모든 실시예의 모든 기술적 방안을 이용하므로, 적어도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에서 실현하는 모든 유익한 효과를 구비하며, 이에 해단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음식물 조리 장치(300)는 진공 흡입 장치(100)의 설치를 통해 진공 흡입 장치(100)가 사용 과정에서 컵 커버(220)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면 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조립 과정이 편리하고, 조립 과정에서의 편리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은 하부 커버(130)에 제1 자기 부재(자석일 수 있으며, 자기 금속일 수도 있음)가 고정되고, 컵 커버(220) 상에 제2 자기 부재(자석일 수 있으며, 자기 금속일 수도 있음)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는 고리형일 수 있으며, 또는 이격되게 다수개를 설치하여 고리형 배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로써, 진공 흡입 장치(100)를 배치할 경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의 자기 흡착을 통해 신속한 위치 확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사용이 보다 편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개구(221)의 면적은 S1로 정의되고, 하부 커버(130) 상에서 개스킷(180)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 고리(133)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S2로 정의되며, 개스킷(180)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S3으로 정의되며, S2<S1<S3이다.
본 출원의 개구(221)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며, 정방형 등일 수도 있으며, 개구(221), 연결 고리(133) 및 개스킷(180)은 동일한 수평면의 투영에 슬리브 설치되며, 이로써 진공 흡입 시 밀봉이 엄밀하고 조립이 보다 편리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컵 커버(220)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개구(221)는 오목홈의 저부에 개구되며, 개스킷(180)의 주변 가장자리와 오목홈의 홈 벽은 맞대어지며, 오목홈의 설치는 진공 흡입 장치(100)이 사용 과정에 정렬되게 배치될 경우에 비해 보다 편리하며, 진공 흡입 과정에서 개스킷(180)은 부착되어 컵 커버(220)의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의 특허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발명 사상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동등한 구조 또는 동등한 흐름이 변화되거나 기타 관련된 기술 분야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운용되는 것은 모두 동등하게 본 출원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300 음식물 조리 장치 124 제2 버클
200 교반컵 어셈블리 125 연결 원통
210 교반컵 130 하부 커버
220 컵 커버 131 제2 스냅홈
221 개구 132 제2 연결 기둥
100 진공 흡입 장치 130a 기체 흡입홀
110 상부 커버 130b 압력 방출홀
111 제1 스냅홈 133 연결부
112 제1 잠금홀 133a 격리 완화 챔버
110a 수용 챔버 140 진공 펌프
110b 상부 챔버 150 제어 회로 기판
110c 하부 챔버 160 전력 공급 모듈
110d 기체 배출홀 170 압력 방출 어셈블리
120 장착 브래킷 180 개스킷
121 기판 190 커버판
122 제1 버클 191 쳇눈
123 제1 연결 기둥

Claims (20)

  1. 진공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맞춤되어 수용 챔버로 둘러싸이고, 하부에 연결부가 설치되되, 상기 수용 챔버의 챔버벽에는 기체 흡입홀 및 기체 배출홀이 개구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커버 및/또는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는 장착 브래킷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에 연통되는 기체 진입구와 상기 기체 배출홀에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수용 챔버를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분리되게 형성하고,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하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장착 브래킷에 의해 클램핑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전력 공급 모듈은 상기 상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및/또는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상부 커버 및/또는 하부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의 상기 상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는 제1 장착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제1 잠금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제1 장착 구조와 상기 제1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상기 상부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의 상기 하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는 제2 장착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는 제2 잠금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 브래킷은 제2 장착 구조와 상기 제2 잠금 구조의 맞춤을 통해 상기 하부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구조는 기판의 상기 상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 구조는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 스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클 중의 하나는 상기 제1 스냅홈 중의 하나 내에 스냅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구조는 상기 기판의 상기 상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제1 연결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기둥 내에는 제1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잠금 구조는 상기 상부 커버에 개구된 제1 잠금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홀은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잠금홀에 맞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구조는 기판의 상기 하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구조는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2 스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클 중의 하나는 상기 제2 스냅홈 중의 하나 내에 스냅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구조는 상기 기판의 상기 하부 커버를 향한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 원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연결 원통에 연통되는 제2 잠금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잠금 구조는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 벽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제2 연결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기둥 내에는 제2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홀은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잠금홀에 맞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기체 흡입홀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 커버 또는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기체 배출홀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압력 방출홀이 개구되고,
    상기 수용 챔버 내에는 압력 방출 개폐 어셈블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에는 기체 진입홀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폐 어셈블리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압력 방출홀과 기체 진입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의 기체 진입구과 상기 기체 흡입홀 사이에는 기체 흡입홀에서 기체 진입구로의 방향에서 도통되는 체크 밸브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커버 밀봉 방식으로 진공 흡입될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을 에워싸게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 고리이고,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기체 흡입홀의 주위를 에워싸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연결 고리 외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또는,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고리형 슬롯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슬롯은 상기 기체 흡입홀의 주위에 에워싸이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고리형 슬롯 내에 임베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외벽에는 격리 완화 챔버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격리 완화 챔버는 상기 기체 흡입홀과 진공 흡입될 용기에 연통되고,
    상기 격리 완화 챔버는 상기 하부 커버의 저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서 연결부 내에 홈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은 상기 홈 본체의 저벽에 개구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는 커버판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홈 본체의 개구에 커버되어 상기 격리 완화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판 상에는 상기 격리 완화 챔버에 연통되는 쳇눈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쳇눈은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쳇눈의 폭 치수는 B로 정의되고, 0mm<B≤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과 상기 홈 본체의 저벽 사이의 간격은 L이고, 1mm<L≤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 장치.
  17. 음식물 조리 장치에 있어서,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닫겨지고 상기 컵 본체에 연통되는 내부 챔버의 개구가 개구되는 컵 커버를 포함하는 교반컵 어셈블리와,
    상기 컵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공 흡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 흡입 장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맞춤되어 수용 챔버로 둘러싸이고, 하부에 연결부가 설치되되, 상기 수용 챔버의 챔버벽에는 기체 흡입홀 및 기체 배출홀이 개구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커버 및/또는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는 장착 브래킷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에 연통되는 기체 진입구와 상기 기체 배출홀에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챔버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상부 커버에 대향하는 표면에서 연결부 내에 홈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은 상기 홈 본체의 저벽에 개구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는 커버판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홈 본체의 개구에 커버되어 상기 격리 완화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판 상에는 상기 격리 완화 챔버에 연통되는 쳇눈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 장치는,
    커버 밀봉 방식으로 진공 흡입될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흡입홀을 에워싸게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구의 면적은 S1로 정의되고, 상기 하부 커버 상에서 상기 개스킷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 고리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S2로 정의되고, 상기 개스킷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S3으로 정의되며, S2<S1<S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컵 커버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오목홈의 저부에 개구되고,
    상기 개스킷의 주변 가장자리는 상기 오목홈의 홈 벽에 맞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KR1020207005508A 2018-03-07 2018-08-07 진공 흡입 장치 및 음식물 조리 장치 KR10229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91056.8 2018-03-07
CN201810191056.8A CN110236359B (zh) 2018-03-07 2018-03-07 抽真空装置及食物料理机
CN201820318955.5U CN207935052U (zh) 2018-03-07 2018-03-07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CN201810191228.1A CN110236422B (zh) 2018-03-07 2018-03-07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CN201820318955.5 2018-03-07
CN201820318266.4U CN208010550U (zh) 2018-03-07 2018-03-07 抽真空装置及食物料理机
CN201810190565.9 2018-03-07
CN201810191228.1 2018-03-07
CN201820318266.4 2018-03-07
CN201810190565.9A CN110242538A (zh) 2018-03-07 2018-03-07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CN201820318371.8 2018-03-07
CN201820318371.8U CN208551063U (zh) 2018-03-07 2018-03-07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PCT/CN2018/099075 WO2019169830A1 (zh) 2018-03-07 2018-08-07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776A true KR20200034776A (ko) 2020-03-31
KR102293705B1 KR102293705B1 (ko) 2021-08-24

Family

ID=6784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508A KR102293705B1 (ko) 2018-03-07 2018-08-07 진공 흡입 장치 및 음식물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92536B2 (ko)
EP (1) EP3718443B1 (ko)
JP (1) JP7096363B2 (ko)
KR (1) KR102293705B1 (ko)
WO (1) WO201916983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9274A1 (en) * 2015-04-22 2016-10-27 Hop Shing Metal & Plastic Manufactory Ltd. Vacuum food storage system
CN110697456A (zh) * 2019-10-23 2020-01-17 许令傅 一种农业稻谷晒后收集设备
CN110749971A (zh) * 2019-11-22 2020-02-04 东莞市亚登电子有限公司 Sma致动器、摄像模块和电子设备
CN220640365U (zh) * 2023-08-22 2024-03-22 杭州永创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瓶体自动装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3105A1 (en) * 2001-07-10 2004-09-09 Kyung-Soon Kim Multi-purpose blender which can produce vacuum packages
CN201899396U (zh) 2010-11-30 2011-07-20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搅拌机
CN202265056U (zh) 2011-09-15 2012-06-06 宁波东塑塑业有限公司 双卡扣式真空保鲜盒
KR20170068610A (ko) * 2012-10-05 2017-06-19 데스고무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리기
KR101356989B1 (ko) 2013-11-29 2014-01-29 김순련 핸드믹서를 이용한 진공압축장치
US9359121B1 (en) 2015-03-23 2016-06-07 Kuo Chin Hsieh Vacuum sealed container for storing foodstuffs
CN106308575B (zh) 2015-06-29 2019-10-01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真空食物处理装置
CN205053888U (zh) 2015-10-20 2016-03-02 谢其海 一种抽真空的食物料理机
CN105982504B (zh) 2015-11-10 2018-07-10 江门市贝尔斯顿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抽气制备食物汁液的方法及真空抽气料理机
EP3422911A4 (en) * 2016-03-04 2019-08-07 Cirku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MINABLE ADDITIVE DELIVERY
WO2017181838A1 (zh) 2016-04-22 2017-10-26 王晓东 真空食品粉碎搅拌机
CN205994362U (zh) 2016-04-29 2017-03-08 李功科 一种真空破壁料理机
CN107499567A (zh) 2016-07-26 2017-12-22 中山市峻国电器有限公司 便携式抽真空装置、抽真空储存装置及抽真空方法
CN206166749U (zh) 2016-07-30 2017-05-17 中山市索虹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抽真空杯盖及具有该杯盖的料理机
CN107499717A (zh) 2016-08-26 2017-12-22 中山市峻国电器有限公司 真空盖、具有该真空盖的搅拌装置及储存装置
CN206303794U (zh) 2016-08-29 2017-07-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破壁料理机
CN206213951U (zh) 2016-08-29 2017-06-0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KR101821786B1 (ko) 2016-08-29 2018-01-25 (주)포에스텍 진공 믹서기
CN206403656U (zh) 2016-10-26 2017-08-15 佛山市顺德区好生活电子科技有限公司 真空搅拌机
CN206565837U (zh) 2016-12-02 2017-10-20 江门市贝尔斯顿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装置的真空料理机
CN106667229A (zh) 2017-03-07 2017-05-17 中山市大毅电器科技有限公司 抽真空器及抽真空榨汁机
CN106974565B (zh) * 2017-05-10 2023-07-14 中山市索虹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真空破壁机
CN107550330A (zh) 2017-09-15 2018-01-0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用于食物料理的易清洗抽真空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9274A1 (en) * 2015-04-22 2016-10-27 Hop Shing Metal & Plastic Manufactory Ltd. Vacuum food storage system
CN110697456A (zh) * 2019-10-23 2020-01-17 许令傅 一种农业稻谷晒后收集设备
CN110749971A (zh) * 2019-11-22 2020-02-04 东莞市亚登电子有限公司 Sma致动器、摄像模块和电子设备
CN220640365U (zh) * 2023-08-22 2024-03-22 杭州永创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瓶体自动装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8443A1 (en) 2020-10-07
EP3718443B1 (en) 2024-03-20
JP7096363B2 (ja) 2022-07-05
JP2021510794A (ja) 2021-04-30
WO2019169830A1 (zh) 2019-09-12
KR102293705B1 (ko) 2021-08-24
EP3718443A4 (en) 2020-10-28
US20200284246A1 (en) 2020-09-10
US11692536B2 (en)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195A (en) Submersible pump
US20180220861A1 (en) Vacuum cleaner
WO2016041338A1 (zh) 用于电饭煲的盖体组件和具有其的电饭煲
KR20200064144A (ko) 조리기
KR20090118065A (ko) 멤브레인 흡입 펌프 유닛
WO2020192583A1 (en) A bowl cover, a bowl, and a food processor
KR20200034776A (ko) 진공 흡입 장치 및 음식물 조리 장치
CN110236422B (zh)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CN214326782U (zh) 一种具有保护结构的回水管整理收纳装置
CN114294736A (zh) 水箱组件及风扇
CN211434397U (zh) 一体式自动吸奶器
CN211062655U (zh) 一种家用电器的磁驱动的开关
CN110236359B (zh) 抽真空装置及食物料理机
WO2020221208A1 (en) Air extraction and pressure release assembly, vacuum head assembly, jar lid assembly and food processor
CN208551063U (zh)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CN215686936U (zh) 一种锅盖组件和烹饪器具
CN213371568U (zh) 一种食品加工机
CA2388411A1 (en) Water jet propeller
JP3798562B2 (ja) ウォッシャポンプ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CN216823038U (zh) 一种结构稳定的食品加工机
CN213031355U (zh) 衣物除菌机
CN221044789U (zh) 蒸汽阀、盖体及烹饪器具
CN208435399U (zh)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CN219037226U (zh) 冰箱
CN210864242U (zh) 一种隐形眼镜清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