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219A -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 Google Patents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219A
KR20200034219A KR1020180113716A KR20180113716A KR20200034219A KR 20200034219 A KR20200034219 A KR 20200034219A KR 1020180113716 A KR1020180113716 A KR 1020180113716A KR 20180113716 A KR20180113716 A KR 20180113716A KR 20200034219 A KR20200034219 A KR 20200034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screen
unit
badminton
la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8011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4219A/en
Publication of KR2020003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of a screen badminton system in which a user can return a shuttlecock shot from the rear of a screen on which a badminton content image is outputted and, more specifically, to a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which opens and closes a screen cover for shooting the shuttlecock and recovers the shuttlecock fallen to the floor from shuttlecock shooting to be re-shot so that the smooth operation can be achieved; and to a system therefor.

Description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스크린 스포츠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배드민턴 콘텐츠 영상이 출력되는 스크린의 후방으로부터 발사되는 셔틀콕을 받아치는 방식의 스크린 배드민턴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 셔틀콕 발사를 위한 스크린 덮개의 개폐 및 셔틀콕 발사로부터 바닥에 떨어진 셔틀콕을 재발사할 수 있도록 회수하며 원활한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creen sports, and in detail, in the operation of a screen badminton system in which a shuttlecock is fired from the rear of a screen on which a badminton content image is output, opening and closing of a screen cover for shuttlecock firing and from shuttlecock firing to the floor. It relates to a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for recovering a dropped shuttlecock so that it can be re-launched and for smooth operation.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의 코트에서 네트를 사이에 두고 라켓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서로 셔틀콕을 쳐서 주고받으며, 셔틀콕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진행되는 스포츠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 중 하나로 많은 인기가 있는 종목이다.Badminton is a sport that prevents the shuttlecock from falling on the floor by using a racket on the outdoor or indoor court with a net between them, and the shuttlecock does not fall on the floor. It is a popular item.

이러한 배드민턴을 배워나가는 과정에서 초보자는 상급자가 셔틀콕을 하나씩 넘겨주고, 이를 받아치는 방식의 연습이 많이 필요하나 동호회 모임 등에서 상급자가 초보자와 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많고 자신의 수준에 맞는 연습 상대를 찾지 못할 경우, 결국 혼자서 제한적인 연습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In the process of learning badminton, beginners need to pass the shuttlecock one by one, and they need a lot of practice in the way of catching it.However, in group gatherings, etc. In the case,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practice limited practice by yourself.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1052호와 같은 셔틀콕을 자동으로 발사시켜주는 장치가 개발되어 초보자도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져 발사된 셔틀콕을 치며 효과적으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ly, a device for automatically launching a shuttlecock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31052 has been developed by the applicant, so that even beginners can hit their launched shuttlecock and improve their skills effectively.

이와 더불어 근래 급속히 발전하는 IT 기술이 스포츠와 결합한 형태의 스포츠 가상현실이 많은 관심을 받는 가운데 운동과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혼합되어 몰입감 높은 스포츠 경험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스포츠 기구와 관련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가 결합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Along with this, the rapidly developing IT technology combined with sports attracts a lot of interest in sports virtual reality, and sports and entertainment elements are mixed to provide an immersive sports experience service.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sports equipment and related interfaces and A system in which content is combined is emerging.

이러한 스포츠 가상현실 시스템의 한 분류인 체감 현실형 가상현실 스포츠는 사용자의 동작인식을 기반으로 한 체감형 상호작용으로 각종 스포츠를 게임형태로 구현한 가상현실 시스템으로, 근래 많은 인기를 얻고 골프, 야구를 비롯하여 사격, 격투기, 댄스 등의 스포츠 시뮬레이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접목하여 본인의 수준에 맞는 가상의 경기가 가능한 스크린 배드민턴 시스템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A tangible reality virtual reality sport, which is a category of such a sports virtual reality system, is a virtual reality system that embodies various sports in a game form through tangible interaction based on the user's motion perception. In addition, sports simulators such as shooting, martial arts, and dance are being developed, and by combining them, a screen badminton system capable of virtual matches suitable for one's level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스크린 배드민턴 시스템은 콘텐츠가 출력되는 스크린과 셔틀콕의 발사, 감지, 회수 및 재발사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가 유기적으로 동작함으로 현실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들의 효과적인 제어방안이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다.Such a screen badminton system can increase the reality by operating various devices for the screen output of the content and the launch, detection, recovery, and re-release of the shuttlecock, and thus effective control methods thereof are constantly being studied.

등록특허공보 제10-01586462호(2016.01.1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1586462 (2016.01.12) 등록특허공보 제10-1790747호 (2017.10.2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90747 (October 20, 2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어방안의 연구를 통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배드민턴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 셔틀콕 발사를 위한 스크린 덮개의 개폐 및 셔틀콕 발사로부터 바닥에 떨어진 셔틀콕을 재발사할 수 있도록 회수하는 일련의 절차를 원활히 지원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hrough the study of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screen badminton system so that the shuttlecock dropped on the floor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creen cover for the shuttlecock firing and the shuttlecock firing can be re-launched. It is to provide a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a system for smoothly supporting a series of recovering procedur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빔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콘텐츠가 전면에 투사되되, 전후로 뚫린 형태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막을 수 있는 덮개와, 외부 신호에 의해 상기 덮개를 움직여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 스크린부; 상측에 셔틀콕의 콕크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적층되는 수납부와,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노출된 셔틀콕을 상기 관통부를 통해 발사하는 발사수단을 구비하는 발사부; 상기 스크린부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이송 및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로 공급하는 이송부; 상기 스크린부 전면에 접촉하는 셔틀콕을 감지하는 인식수단과, 영상콘텐츠 초기 또는 상기 인식수단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덮개를 개방 후 상기 발사부를 통해 셔틀콕을 발사시키고 상기 덮개를 폐쇄하는 송구진행부와, 상기 인식수단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이송진행부를 구비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object is in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the image content output from the beam projector is projected on the front, through the front and rear piercing portion, the cover to block the through portion, and an external signal A screen part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part by moving the cover; The upper portion has a storage portion stacked so that the cock portion of the shuttlecock faces downward, a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and a launching means for launching the shuttlecock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ion through the through portion. Launching part; A transfer section for transferring and arranging the shuttlecock that has fallen to the front of the screen section and supplying it to the storage section; Recognition means for sensing the shuttlecock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creen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nitial detection of the image content or the recognition means, and launches the shuttlecock through the launching unit and closes the cover, A control unit having a transfer progress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ecognit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이때 상기 수납부는 투명한 재질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수납부 하부에서 셔틀콕을 감지하는 제1감지수단과, 상기 수납부 상부에서 셔틀콕을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진행부는 상기 제1감지수단을 통한 감지가 안 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수단을 통한 감지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torage por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cylindrical shape, the detection means is composed of a firs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huttlecock under the storage portion, and a seco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huttlecock at the top of the storage portion,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fer progress unit operates the transfer unit from a time when the detection through the first detection means is not detected to a time when the detection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means is made.

또한, 상기 발사수단은, 중앙의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도록 회전 속도제어가 가능한 한 쌍의 롤러와, 수납부 하단의 셔틀콕을 이동동선에 따라 상기 롤러로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롤러를 상하 및 좌우로 각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aunching means includes a pair of rol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so as to launch the central shuttlecock forward,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shuttlecock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to the roller along the movement line, and the roller up and down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from side to side.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스크린부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상기 스크린부 하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후방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 상측으로 이송하는 리프터와, 상측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에 적층되도록 하는 정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the conveyor to transfer the shuttlecock to the front of the screen portion to the rear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the lifter for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rear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shuttlecock to the upper side aligned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alignment means to be laminated to the storage unit.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은, 셔틀콕을 수납부에 적층시켜 보관하되,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를 감지하는 준비단계; 스크린부에 형성된 관통부의 덮개를 개방하는 사전단계; 스크린부 후방의 발사부를 통해 상기 관통부를 통과시키며 셔틀콕을 스크린부 전면으로 발사하는 발사단계; 스크린부에 형성된 관통부의 덮개를 닫는 사후단계; 스크린부에 접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여 결과를 판정하는 판정단계; 상기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사전단계와 발사단계 및 사후단계를 반복하거나 점수를 판정하는 진행단계;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크린부 전면 바닥의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로 이송하여 삽입 및 적층시키는 보충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for the above-described purpose, the shuttlecock is stack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preparation step of sensing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A preliminary step of opening a cover formed in the screen portion; A launching step of passing the through part through the launching part behind the screen part and launching the shuttlecock to the front of the screen part; A post step of closing the cover of the penetrating portion formed on the screen portion; A determination step of detecting a shuttlecock in contact with the screen unit and determining a result; A repeating step of repeating the pre-step, the firing step and the post-step or determining a sco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judging step; When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 supplementary step of transferring and inserting and stacking the shuttlecock at the botto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unit to the storage uni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이때 상기 발사단계는, 전면으로 발사되는 셔틀콕의 상하 및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단계와, 발사되는 셔틀콕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ing ste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rection adjusting step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launched to the front, and a speed adjusting step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shuttlecock launched.

또한, 상기 보충단계는, 상기 스크린부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상기 스크린부 하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잉단계와, 후방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 상측으로 이송하는 리프팅단계와, 상측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에 적층되도록 하는 정렬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plenishment step includes: a conveyor step of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hat has fallen to the front of the screen part to the rear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part, and a lifting step of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hat has been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art, and transferring it to the upper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lignment transfer step of aligning the shuttlecock to be stacked o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은 스크린 배드민턴 시스템을 통해 상대가 없더라도 1인 또는 2인이 1팀을 이루어 가상의 캐릭터와 함께 경기 및 연습을 진행함에 있어, 셔틀콕 발사 전후 스크린의 개구부를 개폐하여 영상콘텐츠 출력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발사장치에 일정 수준의 셔틀콕이 상시 적층 수납되도록 하여 시간지연 없이 원활하고 현실감 있는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도록 지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opponent through the screen badminton system, when one or two people form a team and play and practice with a virtual characte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creen before and after the shuttlecock is opened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video content output. In the meantime, a certain level of shuttlecocks are stored in the launcher and are always stacked to support smooth and realistic progression without de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부 및 발사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부의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셔틀콕 발사각 조정부를 포함한 셔틀콕 발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셔틀콕 발사각 조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low chart of a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pecific flow chart of the launch ste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specific flow chart of the replenishment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of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creen unit and the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adjustment structure of the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huttlecock launch device including a shuttlecock launch angle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huttlecock launch angle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badminton and a system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의 순서도로서, 기재된 일련의 절차들은 기본적으로 후술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행되므로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은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과 함께 설명한다.1 is a flow chart of a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ries of procedures described are basically performed based on a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부 및 발사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종래의 다양한 종목의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스크린부(100)와, 빔프로젝터(600)가 구비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reen unit and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the screen unit 100 and the beam projector 600 are provided as in the conventional screen sports system of various sports.

본 발명에서 상기 빔프로젝터(600)는 컴퓨터와 연계하여 배드민턴 경기나 연습 진행을 위한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에 상기 빔프로젝터(600)에서 출력되는 영상콘텐츠가 투사된다. 이러한 빔프로젝터(600) 및 스크린부(100)의 구성은 타 종목의 스크린 스포츠에도 동일하게 구축되는 구성으로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projector 600 is configured to output various video contents for a badminton game or practice in connection with a computer, and the image content output from the beam projector 600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unit 100. Is projected. The configuration of the beam projector 600 and the screen unit 100 is the same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in other sports screen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o preven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from being blurred.

기본적으로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에 사용자가 위치한 배드민턴 코트 및 네트가 구비된다.Basically, a badminton court and a net in which a user is located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screen unit 100.

배드민턴은 상대와 셔틀콕을 주고받는 형태로 진행되므로, 영상 콘텐츠 상의 캐릭터가 서브나 사용자가 날린 공을 치는 동작에 대응하여 스크린부(100) 측으로부터 셔틀콕이 발사되어야 함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100)에는 전후로 뚫린 형태의 관통부(110)가 형성된다.Since the badminton is in the form of exchanging a shuttlecock with an opponent, as the character on the video content serves as a sub or a user hitting a blown ball, as the shuttlecock must be fired from the screen 100 side, the screen 100 Through-holes 110 are formed in a forward and backward shape.

상기 관통부(110)는 스크린부(100) 후방에 위치한 발사부(200)에서 발사된 셔틀콕을 스크린부(100) 전방, 즉 사용자 측으로 날려보내기 위한 통로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크린부(100)의 중앙부에 단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비함으로 보다 역동적으로 셔틀콕 발사위치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through part 110 is a passage for blowing the shuttlecock fired from the launch part 200 located behind the screen part 100 to the front of the screen part 100, that is, to the user side, preferably the central part of the screen part 100 It may be formed alone, or provided with a plurality if necessary, more dynamically change the shuttlecock firing position may be made.

이러한 관통부(110)는 투사되는 영상 콘텐츠의 일부를 가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상기 관통부(110)를 막을 수 있는 덮개(120)가 구비되어 셔틀콕이 발사되는 시점 외에는 닫혀 전체 영상 콘텐츠가 원활히 투사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신호에 의해 상기 덮개(120)를 움직여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130)이 구비된다.Since the through part 110 covers a part of the projected image content, a cover 120 capable of blocking the through part 110 is provided so that the entire image content is smoothly closed except when the shuttlecock is fired. It can be project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portion by moving the cover 120 by an external signal is provided.

마찬가지로 상기 개폐수단(130)은 영상 콘텐츠 투사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스크린부(100) 후방에 설치되되, 전동모터를 통해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식으로 상기 덮개(120)를 개폐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바람직한 예로 상기 덮개(120) 상측으로 와이어를 연결하고 이를 전동방식으로 당겨 상하 방향으로 덮개(12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닫이 형식의 개폐수단(130)에서는 상기 덮개(120)를 지지하며 개폐방향을 가이드하는 브라켓을 구비함으로 안정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Likewise, the opening / closing means 13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creen unit 1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projection of the image content, and opens / closes the cover 120 in a casement or sliding door form through an electric motor. The attached drawing show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cover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nnecting a wire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120 and pulling it in a motorized manner as an example, and in the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ans 130, the A bracket for guiding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cover 120 is provided to enable a stable opening / closing operation.

상기 관통부(110) 후방에는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기 위한 발사부(2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발사부(200)는 기본적으로 상측에 셔틀콕의 콕크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적층되는 수납부(210)와, 상기 수납부(210)의 하부에 노출된 셔틀콕을 상기 관통부(110)를 통해 발사하는 발사수단을 구비하며, 이러한 발사부(200)는 공개특허 제10-2018-0047645호(2018.05.10), 등록특허 제10-1731052호(2017.04.21) 등 본 출원인 또는 발명자에 의해 출원 및 공지된 기술의 전체 또는 일부를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At the rear of the through part 110, a launch part 200 for launching a shuttlecock forward is provided. The launch unit 200 is basically a storage portion 210 stacked so that the cock portion of the shuttlecock on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shuttlecock ex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210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0 It has a launching means for launching, and such launching unit 200 is filed by the applicant or the inventor, such as published patent No. 10-2018-0047645 (2018.05.10), registered patent No. 10-1731052 (2017.04.21) And it can be realized through all or part of the known technology.

이때 첨부된 도면과 같이 다수개의 수납부(210)가 원형으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셔틀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수납부(210)에는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11)이 구비된다. 다양한 방식으로 수납부 내의 셔틀콕을 감지할 수 있으며 셔틀콕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비롯하여 근접센서나 광학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사용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210 ar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the shuttlecock by rotation, and the storage unit 210 includes sensing means 211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 Is provided. The shuttlecock in the storage unit can be sensed in various ways, and a detection may be made using various sensors such as a proximity sensor or an optical sensor, as well as a mechanical switch capable of detecting contact of the shuttlecock.

정확한 셔틀콕의 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210)는 투명한 재질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수단(211)은 상기 수납부(210) 하부에서 셔틀콕을 감지하는 제1감지수단(212)과, 상기 수납부(210) 상부에서 셔틀콕을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213)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detect the exact amount of shuttlecock,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unit 2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cylindrical shape, and the detection means 211 is a firs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huttlecock under the storage unit 210 It consists of 212 and a second detection means 213 for detecting a shuttlecock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210.

또한, 보다 현실감 있는 진행을 위해 상기 발사부(200)는 셔틀콕을 발사하는 방향 즉 상하좌우의 각도를 비롯하여 발사속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구질을 구현하며 난이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for more realistic progress, the launching unit 200 implements various pitches by controlling the firing speed, including the angle of vertical,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for launching the shuttlecock, and the difficulty is adjus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부의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이를 위해 상기 발사수단(230)은, 중앙의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도록 회전 속도제어가 가능한 한 쌍의 롤러(240)와, 수납부(210) 하단의 셔틀콕을 이동동선에 따라 상기 롤러(240)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20)과, 상기 롤러를 상하 및 좌우로 각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되는 방향조절단계(S 31)와, 속도조절단계(S 32)와 함께 설명한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unc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launc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ollers 240 that are capable of rotational speed control so as to fire the shuttlecock forward, and supply means 220 for supplying the shuttlecock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210 to the roller 240 along the movement line, and It will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for angle adjustment of the roller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the direction adjustment step (S 31) and the speed adjustment step (S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더불어 경기 또는 연습진행 중 상기 스크린부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이송 및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210)로 공급하는 이송부(30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transfer unit 300 is provided to transfer and align the shuttlecock that has fallen to the front of the screen unit during a game or practice, and supply it to the storage unit 210.

상기 이송부(300)는 기본적으로 컨베이어 구조를 통해 셔틀콕을 이송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상기 스크린부(100) 하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310)와, 후방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 상측으로 이송하는 리프터(320)와, 상측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에 적층되도록 하는 정렬수단(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part 300 basically transports the shuttlecock through a conveyor structure, and specifically, a conveyor 310 that transfers the shuttlecock that has fallen to the front of the screen part 100 backwar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part 100, and the rear part. It may be composed of a lifter 320 for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an alignment means 330 for arranging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to be stacked on the storage unit.

상기 컨베이어(310)는 코트 바닥의 일부를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함으로 상측, 즉 스크린부(100) 전면 바닥에 떨어진 셔틀콕을 스크린부(100) 하측을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e conveyor 310 is configured to transfer a shuttlecock that has fallen on the upper side, that is, the front bottom of the screen portion 100, to the rear side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100 by configuring a part of the coat bottom as a belt conveyor.

이때 상기 발사부(200)가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310)를 통해 스크린부(100) 후방으로 모인 셔틀콕을 상기 발사부(200)에 설치된 수납부(210)에 넣기 위한 높이까지 상승시켜야만 하며, 이를 위해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컨베이어(310)를 통해 이송된 셔틀콕을 상기 수거부의 상측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는 리프터(320)를 통해 이송하여 발사부(200)에 설치된 수납부(210)로 셔틀콕을 공급한다.At this time, as the launch unit 2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the height for putting the shuttlecock collected behind the screen unit 100 through the conveyor 310 into the storage unit 210 installed in the launch unit 200. To this e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31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on part and transferred through the lifter 320 to drop it, and is installed in the launching part 200 Shuttlecock to 210 is supplied.

이러한 리프터(320)는 경사를 갖되 셔틀콕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경사형 컨베이어를 비롯하여 등록특허 제10-1783835호의 내용 등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The lifter 320 may have a slope, bu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variety of known technologies, such as the content of Patent No. 10-1783835, including an inclined conveyor with a protrusion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support a shuttlecock,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Do.

이와 같은 리프터(320)의 구성을 통해 상측으로 올려져 한쪽 상측에서 낙하되는 방식으로 셔틀콕을 공급시 콕크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정렬 이송하여 수납부(210)에 적층시키기 위해 정렬수단(330)을 이용하게 된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er 320, the alignment means 330 is arranged to be stacked on the storage unit 210 by arranging and transferring the cock portion toward the lower side when supplying the shuttlecock in a manner that is raised to the upper side and falls from one upper side. To use.

상기 정렬수단(330)은 기본적으로 셔틀콕의 콕크 부분 및 콘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수납부(210) 상측에서 떨어뜨리게 된다. 셔틀콕의 경우 무게 중심이 콕크 쪽에 있어 떨어진 셔틀콕은 그대로 수납부(210)로 들어가 동일한 자세로 연속적으로 적층된다.The alignment means 330 is basically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portion of the cock portion and the cone portion of the shuttlecock can be inserted,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ropp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10. In the case of the shuttlecock, the shuttlecock, which has a center of gravity on the side of the cockpit, enters the storage unit 210 as it is and is stacked continuously in the same posture.

첨부된 도면에서는 셔틀콕의 콕크 부분 및 콘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피치를 통해 삽입부를 구성하는 스크루 또는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이의 회전을 통해 셔틀콕을 이송시키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of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hrough its rotation is made of a screw or spring shape constituting the insertion portion through a pitch at which a portion of the cockcock portion and the cone portion of the shuttlecock can be inserted.

상기 제어부(400)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 및 빔프로젝터(600)와 연계한 출력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이에 연동하는 제어회로의 구성으로,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에 접촉하는 셔틀콕을 감지하는 인식수단(410)과, 영상콘텐츠 초기 또는 상기 인식수단(410)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덮개(120)를 개방 후 상기 발사부(200)를 통해 셔틀콕을 발사시키고 상기 덮개(120)를 폐쇄하는 송구진행부(420)와, 상기 인식수단(410)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부(300)를 제어하는 이송진행부(430)를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400 is a configuration of a computer or a control circuit interlocked therewith that performs video content reproduction and output in connection with the beam projector 600, and recognition means for detecting a shuttlecock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unit 100 410,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ver 1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mage content initial or the recognition means 410, launches a shuttlecock through the launching unit 200 and closes the cover 120. The unit 420 and a transfer progress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ecognition means 410 are provided.

상기 인식수단(410)은 스크린부(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라켓 등으로 쳐서 스크린부(100) 측으로 향하는 셔틀콕을 감지하되, 이의 스크린부(100) 접촉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동작센서, 광학센서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진행부(430)는 상기 제1감지수단(212)을 통한 감지가 안 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수단(213)을 통한 감지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상기 이송부(30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The recognition means 41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unit 100 to detect a shuttlecock directed toward the screen unit 100 by a user hitting it with a racket or the like, but is configured in various ways to detect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creen unit 100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motion sensor, an optical sensor, etc., and the transfer progress unit 430 is sensed through the second sensing means 213 from a time when the first sensing means 212 is not sensing. 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transfer unit 300 until the point in time.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은 준비단계(S 10)와, 사전단계(S 20)와, 발사단계(S 30)와, 사후단계(S 40)와, 판정단계(S 50)와, 진행단계(S 60)와, 보충단계(S 70)로 이루어진다.The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implemented through such a system includes a preparation step (S 10), a pre-step (S 20), a firing step (S 30), a post-step (S 40), and a determination step (S 50). , Consisting of a progress step (S 60) and a replenishment step (S 70).

상기 준비단계(S 10)는 셔틀콕을 수납부(210)에 적층시켜 보관하되,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를 감지한다. 즉, 셔틀콕을 다수 개 적층시켜 하단에 콕크 부분이 노출되도록 보관하며, 많은 수의 셔틀콕을 보관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된 수납부(210)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211)을 통해 수납부에 적층된 셔틀콕의 수를 감지하되 구체적으로 제1감지수단(212)을 통해 하단에 돌출된 셔틀콕의 유무 및 제2감지수단(213)을 통해 수납부 내 셔틀콕의 수량이 설정치만큼 있는 여부를 상시 감지하게 된다.In the preparation step (S 10), the shuttlecock is stack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to sense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That is, a plurality of shuttlecocks are stacked and stored so that the cock portion is exposed at the bottom, and sequentially supplied to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2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ylindrical circumference to store a large number of shuttlecocks. At this time, the number of shuttlecocks stack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ensing means 211 is detected, but specifical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huttlecock protruding to the bottom through the first sensing means 212 and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econd sensing means 213. It always detects whether the quantity of my shuttlecock is equal to the set value.

상기 사전단계(S 20)는 스크린부(100)에 형성된 관통부(110)의 덮개(120)를 개방한다. 즉 상기 개폐수단(130)을 통해 덮개(120)를 개방하여 셔틀콕을 발사할 준비를 하게 된다.The pre-step (S 20) opens the cover 120 of the through portion 110 formed in the screen portion 100. That is, the cover 12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eans 130 to prepare to launch the shuttlecock.

상기 발사단계(S 30)는 상기 관통부(110)를 통해 셔틀콕을 스크린부(100) 전면으로 발사한다. 이는 상기 발사부(200)를 통해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 하단에 노출된 셔틀콕을 감지하여 파지한 후 이동동선에 따라 공급수단(220) 및 발사수단(230)으로 이동시키면서 셔틀콕의 위치를 제1측정수단(231)을 통해 감지하며, 롤러(240)로 공급한다.In the firing step (S 30), the shuttlecock is fire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0 to the front of the screen portion 100. This is made through the launching unit 200 and specifically detects and grips the shuttlecock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and then moves the supply means 220 and the launching means 230 according to the movement line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huttlecock. 1 is sensed through the measuring means 231, and is supplied to the roller 240.

상기 제1측정수단(231)은 상기 발사수단(230)의 위치이동에 따라 특정위치에서 셔틀콕의 이동을 감지하며, 공급되는 셔틀콕을 제1모터(241)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240) 사이로 진입시켜 관통부(110)를 통해 스크린부(100) 전방으로 날린다. 이때 양측에 위치한 상기 롤러(240) 사이로 셔틀콕의 콕크 부분이 진입하며 뒤의 콘 부분 손상을 방지한다.The first measuring means 231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huttlecock at a specific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firing means 230, and enters the supplied shuttlecock between the rollers 240 rotated by the first motor 241 To the front of the screen portion 100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cock portion of the shuttlecock enters between the rollers 240 located on both sides and prevents damage to the rear cone por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로서, 사용자에 따른 난이도 조절과 현실감 있는 송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발사단계(S 30)는 전면으로 발사되는 셔틀콕의 상하 및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단계(S 31)와, 발사되는 셔틀콕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단계(S 32)를 더 포함하게 된다.2 is a specific flow chart of the launch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ching step (S 30) is a direction control step of adjusting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huttlecock fired to the front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difficulty level and make a realistic throw. (S 31), and further comprises a speed control step (S 32)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shuttlecock being fired.

상기 방향조절단계(S 31)는 구체적으로 상하조절단계와 좌우조절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하조절단계와 상기 좌우조절단계를 순서에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진행하여 전방으로 날려지는 셔틀콕의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스크린부(100) 전방에 위치한 배드민턴 코트의 전 구역에 대해 선택된 방향 및 속도로 송구하여 초보, 중급, 고급의 실력에 맞춘 경기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rection adjustment step (S 31) may be subdivided into up and down adjustment step and left and right adjustment step in detail, and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shuttlecock which are blown forward by separately performing the up and down adjustment step and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step in any order. By adjusting the, the gam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kills of th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by sending the ball in a selected direction and speed for all areas of the badminton court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unit 100.

이때 상기 수납부(210)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연속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수납부(210) 하부로 노출된 셔틀콕을 제1감지수단(212)에 의해 감지하여 상기 공급수단(220)으로 파지하게 되며, 셔틀콕이 파지되면 상기 발사수단(230)을 전진하여 상기 공급수단(220)이 하강하면서 셔틀콕을 인출시킨 후 상기 발사수단(230)이 제1측정부재(231a)에 감지되면 셔틀콕을 상기 발사수단(230)의 안착판(232)으로 낙하시킨다.At this time, the shuttlecock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210 is sensed by the first sensing means 212 to be gripped by the supply means 220 so that a continuous operation of drawing and supplying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is performed. When the shuttlecock is gripped, the firing means 230 is advanced to pull out the shuttlecock while the supply means 220 descends, and when the firing means 230 is detected by the first measuring member 231a, the shuttlecock is retracted. It is dropped to the seating plate 232 of the launching means 230.

이후 낙하된 셔틀콕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제2측정부재(231b)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셔틀콕을 롤러(240)에 진입시킨다. 상기 제2측정부재(231b)에서 감지된 이후 상기 발사수단(230)은 후진하여 제3측정부재(231c)에서 감지되는 위치로 후진한다.Thereafter, the dropped shuttlecock is moved forward, and the shuttlecock is entered into the roller 240 at a position sensed by the second measurement member 231b. After being sensed by the second measuring member 231b, the launching means 230 moves backward and moves back to a position detected by the third measuring member 231c.

이러한 작동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수단(230)의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20)이 승하강하여 셔틀콕을 인출하여 상기 발사수단(230)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수단(220)에는 형성된 가이드돌기(222)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is opera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firing means 230 is moved, the supply means 220 may elevate and take out the shuttlecock and fall to the firing means 230. To this end, a guide protrusion 222 formed in the supply means 220 is formed.

또한, 상기 발사수단(230)에는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공급수단(220)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22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34)이 형성된 가이드판(233)이 결합된다. 이에 상기 발사수단(230)이 전진하면 상기 공급수단(220)은 상기 가이드홈(234)을 따라 하강하여 인출된 셔틀콕을 낙하시키고, 상기 발사수단(230)이 후진하면 상기 공급수단(220)은 상기 가이드홈(234)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저장통(210)에 저장된 셔틀콕은 감지하여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late 233 having a guide groove 234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222 is inserted is coupled to the launching means 230 to allow the supply means 220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ront-rear movement. Accordingly, when the launching means 230 advances, the supply means 220 descends along the guide groove 234 to drop the drawn shuttlecock, and when the launching means 230 reverses, the supply means 220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reservoir 210 ascending along the guide groove 234 may be sensed and gripped.

즉, 반복적인 움직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셔틀콕을 인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정수단(231)을 통해 특정위치에서의 셔틀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발사수단(230)이 제3측정부재(231c)에 감지되면, 상기 공급수단(220)은 셔틀콕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로 상승하며, 셔틀콕을 감지하여 파지한다.That is, repetitive movements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the shuttlecock can be pulled out, and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shuttlecock at a specific position through the first measuring means 231. First, when the launching means 230 is sensed by the third measuring member 231c, the supply means 220 rises to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shuttlecock, and senses and grips the shuttlecock.

이후 상기 발사수단(230)이 상기 제 1측정부재(231a)에 감지되면, 상기 공급수단(220)은 하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셔틀콕을 상기 발사수단(230)에 낙하시킨다. 상기 발사수단(2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측정부재(231b)에 감지되면, 낙하된 셔틀콕을 상기 롤러부(240)로 진입시킨다.Thereafter, when the launching means 230 is sensed by the first measuring member 231a, the supply means 220 drops the shuttlecock to the launching means 230 in a state in which the descent is made. When the launch means 230 moves forward, the second measurement member 231b is detected, and the dropped shuttlecock enters the roller unit 240.

이후, 상기 발사수단(230)은 셔틀콕을 상기 롤러(240)로 진입시킨 후 상기 제 3측정부재(231c)에 감지될때까지 후진한다.Thereafter, the launching means 230 enters the shuttlecock into the roller 240 and retracts until it is detected by the third measuring member 231c.

이를 통해 상기 발사수단(230)과 상기 공급수단(220)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셔틀콕을 감지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구동방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측정수단(231)에 의해 연계되는 작동으로 특정위치에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launching means 230 and the supplying means 220 are made in a separate driving method to detect and pull out a shuttlecock by mov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but are operated by the first measuring means 231. Can move accurately at a specific location.

상기 상하조절단계는 제2모터(251)에 의해 회전하는 캠(250)에 결합된 제2측정수단(252)을 이용해 기준각도를 설정한다. 설정된 기준각도의 위치에서 상기 캠(250)의 회전 중에 셔틀콕을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240)를 상하조절하여 상하방향의 송구각도를 임의로 변경한다.In the vertical adjustment step, the reference angle is set using the second measuring means 252 coupled to the cam 250 rotated by the second motor 251. While moving the shuttlecock during rotation of the cam 250 at the set reference angle, the roller 240 is vertically adjusted to arbitrarily change the throw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수납부(210), 발사수단(230), 공급수단(220) 및 롤러(240)가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캠(250)에 결합된 상기 제2측정수단(252)을 통해 기준각도로 조절한다. 후방은 힌지 결합하여 상기 캠(250)에 의해 전방 부분이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a), the storage unit 210, the firing means 230, the supply means 220 and the roller 240 in the upper position is disposed so that the cam 250 It is adjusted to the reference angle through the second measuring means 252 coupled to. Preferably, the rear part is configured to be hinge-coupled so that the front part is adjustable up and down by the cam 250.

이후, 회전하는 캠(250)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롤러(240)를 상하이동시켜 전방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셔틀콕을 전방에 송구한다.Thereafter, the roller 24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ng cam 250 to adjust the angle of the front, and the shuttlecock is sent to the front.

상기 좌우조절단계는 제3모터(261)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260)의 기준각도 및 좌우 회전범위를 제3측정수단(262)을 이용해 설정한다. 설정된 기준각도 및 회전범위 내에서 셔틀콕이 이동 중에 상기 롤러(240)를 좌우조절하여 좌우방향의 송구각도를 임의로 변경한다.In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step, the reference angle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range of the driven gear 260 rotated by the third motor 261 are set using the third measuring means 262. Within the set reference angle and rotation range, while the shuttlecock is moving, the roller 240 is adjusted left and right to arbitrarily change the throw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롤러(240)가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260)의 기준각도 및 회전범위를 조절한다. 이후, 종동기어(260)의 회전에 의해 좌우 각도를 조절하며 셔틀콕을 송구하되, 상기 제3측정수단(262)에 의해 제한된 범위 내에서 각도를 조절하여 코트 밖으로 송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8 (b), in a state in which the roller 240 is positioned on the top, the reference angle and rotation range of the driven gear 260 are adjusted. Thereafter, the left and right angles are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260 and the shuttlecock is thrown, but the angle is adjusted within a limited range by the third measuring means 262 to prevent being thrown out of the court.

여기서 상기 캠(250)과 종동기어(260)의 상하 위치는 상호 변경이 가능하며, 상부에 상기 수납부(210), 발사수단(230), 공급수단(220), 롤러(240)가 위치하여, 좌우 및 상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am 250 and the driven gear 260 are mutually changeable, and the storage part 210, the launching means 230, the supplying means 220, and the roller 240 are located at the top. ,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gle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상기 사후단계(S 40)는 스크린부에 형성된 관통부의 덮개를 닫는다. 즉 상기 개폐수단을 통해 덮개를 덮어 전방에서 스크린부(100)로 투사되는 영상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히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post-step (S 40) closes the cover of the through portion formed in the screen portion. That is, an image projected from the front to the screen unit 100 is covered with the cover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eans so that the image can be smoothly output without being disturbed.

상기 판정단계(S 50)는 스크린부에 접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여 결과를 판정한다. 즉 상기 인식수단을 통해 스크린부(100)에 접촉된 셔틀콕의 위치를 감별하여 인, 아웃 또는 감지된 셔틀콕이 감지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쳐내지 못한 상황을 판정하게 된다.In the determination step (S 50), the shuttlecock contacting the screen unit is detected to determine the result. That is, the location of the shuttlecock in contact with the screen unit 100 is discriminated through the recognition means to determine a situation in which an in, out, or sensed shuttlecock is not detected and thus cannot be hit by the user.

상기 진행단계(S 60)는 상기 판정단계(S 50)의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사전단계(S 20)와 발사단계(S 30) 및 사후단계(S 40)를 반복하거나 점수를 판정한다.In the proceeding step (S 60), the pre-step (S 20), the firing step (S 30) and the post-step (S 40) are repeated or the scor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ing step (S 50).

즉 상기 판정단계(S 50)의 판정결과가 인인 상태에서 영상 콘텐츠의 캐릭터가 사용자가 친 셔틀콕을 맞받아치는 경우 상기 사전단계(S 20)와 발사단계(S 30) 및 사후단계(S 40)를 반복하여 재송구가 이루어지며, 판정결과가 아웃인 경우 또는 사용자가 셔틀콕을 쳐내지 못한 상황에서 점수를 산정하게 된다.That is, if the character of the video content hits the shuttlecock hit by the user in the state in whic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ep S 50 is In, the pre-step S 20 and the launch step S 30 and the post-step S 40 are performed. Repeated replays are made, and the score is calculated when the judgment result is out or the user cannot hit the shuttlecock.

상기 보충단계(S 70)는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크린부 전면 바닥의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210)로 이송하여 삽입 및 적층시킨다.In the replenishment step (S 70), when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shuttlecock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screen unit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unit 210 to be inserted and stacked.

즉 상기 이송부(30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수납부에 셔틀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시 이송부(300)가 동작하는 것이 아닌 수납부에 존재하는 셔틀콕이 기준치 이하인 상태에서 기준치 이상이 될 때까지 이송부(300)를 작동시켜 셔틀콕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by operating the transfer unit 300, in the situation where the shuttlecock is present in the storage unit, the transfer unit 300 does not operate at all times until the shuttlecock present in the storage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in a state where the shuttlecock is below a reference value. Operate so that the shuttlecock is stor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로서, 상기 보충단계(S 70)는,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상기 스크린부(100) 하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잉단계(S 71)와, 후방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210) 상측으로 이송하는 리프팅단계(S 72)와, 상측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210)에 적층되도록 하는 정렬이송단계(S 73)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310)와, 리프터(320)와, 정렬수단(330)을 동시 내지는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셔틀콕의 수거가 이루어지게 된다.3 is a specific flow chart of the replenishment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plenishment step (S 70), the conveying step of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o the front of the screen portion 100 to the rear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100 (S 71), a lifting step (S 72) for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rear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210, and the alignment transfer to arrange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to be stacked on the storage unit 210. It is made in step (S 73). That is, the conveyor 310, the lifter 320, and the alignment means 330 are opera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o collect the shuttlecock.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10)가 원형으로 다수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은 공급 전 위치의 수납부(210)에 존재하는 셔틀콕을 감지하게 되되, 상기 제1감지수단(212)이 셔틀콕이 감지되지 못하면 상기 수납부(210)를 회전시켜 회전에 의해 노출된 상기 셔틀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급수단(20)의 위치에 정확한 위치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mentioned above, as the storage unit 21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the sensing means senses the shuttlecock existing in the storage unit 210 at a position before supplying the first sensing means 212. If this is not sensed, the storage part 210 is rotated to detect the shuttlecock exposed by rotation, and is configured to be finely adjusted to the correct position at the position of the supply means 20.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셔틀콕 발사각 조정부를 포함한 셔틀콕 발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셔틀콕 발사각 조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huttlecock launching device including a shuttlecock launching angle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 var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huttlecock launching angle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10에서는 앞서 언급한 발사부(200)의 선단, 즉, 한 쌍의 롤러(240) 전방에서 셔틀콕의 상하방향 발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발사각조정부(50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셔틀콕 발사각조정부(500)는 발사대(510), 상하이동수단, 센싱부(530)를 포함하게 된다.In FIGS. 9 and 10, a separate launch angle adjustment unit 500 is installed to adjust the launch angle of the shuttlecock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launch unit 200, that is, in front of the pair of rollers 240. have. The shuttlecock launch angle adjustment unit 500 includes a launch pad 510, a shanghai east means, and a sensing unit 530.

상기 발사대(510)는 상기 롤러 전면 하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전면으로 뻗는 자유단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은 외력에 의해 상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launch pad 510 has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roller,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a free end state extending to the front surface.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launch pad 51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vertical angle by external force.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사대(510)의 일단이 롤러 전면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탄성변형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위되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a configuration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is displaced by elastic deformation while one end of the launch pad 510 is fixed to the lower front of the roller, and one end is hing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by rotation. It can be configured as much as possible.

즉 셔틀콕의 상하각도 조절은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을 승강시켜 상기 발사대(510)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는 전동모터(55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면서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구성되는 캠(520)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을 상승시키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That is, 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of the shuttlecock is to change the angle of the launch pad 510 by elevating the other end of the launch pad 510.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periphery is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550 and rotates. The configuration of raising the other end of the launch pad 510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m 520 is configured differently.

센싱부(530)는 상기 상하구동수단에 직접 또는 인접하여 장착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한 상기 발사대(510)의 발사 각도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구동을 위한 캠(520)의 일면에서 상기 캠(52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원주상 경로를 따라 센싱부(530)가 설치되어 상기 발사대(510)의 각도를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530 is mounted directly or adjacent to the vertical driving means to sense the launch angle of the launch pad 510 by the vertical movement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unit 530 is installed along a circumferential path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am 520 on one surface of the cam 520 for driving up and down to sense the angle of the launch pad 510. .

이러한 센싱부(530)는 다양한 센싱방식을 통해 구현 가능며, 본 발명에서는 광센서(533)에 의한 감지방식을 예시하고 있다.The sensing unit 530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sensing method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ethod by the optical sensor 533 is illustrated.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부(530)는 상기 캠(5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차광부(53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540)에서 서포트(543)에 의해 상기 차광부(531)의 이동경로 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차광부(531)의 이동을 감지하는 광센서(533)를 포함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530 is supported by a light blocking unit 531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m 520 and a support 543 from the mounting bracket 54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250. A plurality of light sensors 533 are installed on a movement path of the light blocking portion 531 to detect movement of the light blocking portion 531.

상기 광센서(533)는 상기 캠(520)에 의해 2단계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2개소에 설치되고, 3단계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3개소에 설치된다. The optical sensor 533 is installed at two different locations to sense the height of the two stages by the cam 520, and is install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to sense the height of the three stages.

광센서(533)가 캠(520)에 의한 2단계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예로 상기 광센서(533)는 2개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광센서(533a, 533b)로 명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optical sensor 533 detects the height of the two stages by the cam 520. For example, two optical sensors 533 are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ensors 533a, 533b).

상기 캠(520)은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경로가 복수 개소 존재하기 때문에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 의도된 길이를 복수개 설정하고, 그 의도된 길이에 해당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원주방향 지점에 광센서(533)를 설치하면, 그 지점이 최상점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차광부(531)를 광센서(533)가 감지하게 하여 상기 발사대(510)를 의도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cam 520 has a plurality of paths having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 plurality of intended lengths are se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nd light is generated at a circumferential point corresponding to a path corresponding to the intended length. When the sensor 533 is installed, the light sensor 533 detects the light blocking portion 531 at a position where the point reaches the highest point, so that the launch pad 510 can be adjusted to the intended angle.

즉 상기 캠(520)에 의해 2단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520)의 일면에 장착되는 차광부(531)가 제1광센서(533a)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상기 캠(520)의 최상점이 가장 낮은 위치로 배치되게 설정하고, 제2광센서(533b)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상기 캠(520)의 최상점이 가장 높은 위치로 배치되게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two stages can be adjusted by the cam 520, as shown in FIG. 4, the light blocking unit 531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am 520 is the first light sensor 533a. The highest point of the cam 520 may be set to the lowest position at the position sensed by,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cam 520 may be set to the highest position at the position sensed by the second optical sensor 533b. have.

한편, 제어부(400)는 설정된 발사각도에 대응되는 캠(520)의 위치로 설정되는 센싱부(530)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모터(550)를 조절하여 상하이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설정된 발사각도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상기 캠(520)이 회전하도록 전동모터(550)를 구동하여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센싱부(530)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전동모터(550)를 정지시키고, 상기 각도와 다른 각도로 캠(520)이 위치되게 상기 캠(520)을 회전시키도록 전동모터(550)를 구동하고 그 의도된 각도에 대응되는 센싱부(530)의 감지값이 감지되면 다시 전동모터(550)를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전동모터(550)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hanghai means by adjusting the electric motor 550 using the sensed value of the sensing unit 530 set to the position of the cam 520 corresponding to the set launch angle. . That is, the electric motor 550 is driven to rotate the cam 520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t firing angle to stop the electric motor 550 when the sensing unit 530 corresponding to the point is detected, The electric motor 550 is driven to rotate the cam 520 so that the cam 520 is position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angle, and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unit 530 corresponding to the intended angle is sensed, the motor is driven again. The electric motor 550 is controlled by stopping the motor 550.

상기 장착 브라켓(540)은 상기 발사부(200)에 발사각조절부(50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의 저면에 부착되는 수평판(541)과, 상기 수평판(541)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동모터(550)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공(542a)이 구비되며 상기 전동모터(550)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결합공(542b)이 형성된 수직판(542)으로 구성된다.The mounting bracket 540 is for mounting the firing angle adjustment unit 500 to the launch unit 200, the horizontal plate 541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250, and the horizontal plate 541 To the vertical plate 542 is provide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hrough-hole 542a through which the axis of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550 pass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542b to which the electric motor 550 can be coupled is formed.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캠(520)에 장착되어 상기 캠(520)이 전동모터(550)의 회전축에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캠(520)과 수직판(542)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스페이서(5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r 521 is mounted on the cam 520 to allow the cam 520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electric motor 550 and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cam 520 and the vertical plate 542. ) May be further provided.

예를 들어 낮은 각도인 1단계와, 높은 각도인 2단계로 변경된 발사대(510)와 캠(520)에서, 각 단계는 캠(520)의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설정되며, 1단계는 캠(520)의 중심으로부터 최상점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길이이고, 2단계는 상대적으로 가장 긴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launcher 510 and the cam 520, which have been changed to the first step of the low angle and the second step of the high angle, each step is set by us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am 520 to the outer periphery.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am 520 to the highest point is the relatively shortest length, and step 2 may be determined as the relatively longest length.

그리고 각 단계에 대응되게 센싱부(530)가 설치되어 캠(5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캠(520)에 의해 발사대(510)의 높이가 변경되게 한다. 즉, 차광부(531)가 캠(520)의 중심에서 오른쪽에 배치되게 상기 캠(520)이 회전하여 제1광센서(533a)에 의해 상기 차광부(531)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전동모터(550)의 구동을 정지하여 캠(520)이 발사대(510)의 각도를 가장 낮게 유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 sensing unit 53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step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cam 520 so that the height of the launch pad 510 is changed by the cam 520. That is, when the light blocking portion 531 is detected by the first light sensor 533a by rotating the cam 520 so that the light blocking portion 531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cam 520,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lectric motor The driving of the 550 is stopped so that the cam 520 maintains the lowest angle of the launch pad 510.

이러한 가장 낮은 발사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롤러의 회전에 의해 송구되는 셔틀콕은 상기 발사대(510)를 따라 발사각도가 가이드되어 낮은 각도로 송구되고, 그 각도로 송구되면서 상기 롤러의 회전속도의 고저에 따라 발사거리의 장단이 조정된다.When maintaining the lowest firing angle, the shuttlecock transmitted by rotation of the roller is guided at a low angle by being guided by the firing angle along the launch pad 510, and at the height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er while being thrown at that angle. The long and long distances are adjusted accordingly.

또한, 차광부(531)가 캠(520)의 중심에서 왼쪽에 배치되게 상기 캠(520)이 회전하여 제2광센서(533b)에 의해 상기 차광부(531)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전동모터(550)의 구동을 정지하여 캠(520)이 발사대(510)의 각도를 가장 높게 유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light blocking unit 531 is rotated so that the cam 520 is rotated so that the light blocking unit 531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am 520, the second light sensor 533b detects the light blocking unit 531,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ctric motor. The driving of the 550 is stopped so that the cam 520 maintains the angle of the launch pad 510 the highest.

이러한 가장 높은 발사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롤러의 회전에 의해 송구되는 셔틀콕은 상기 발사대(510)를 따라 발사각도가 가이드되어 높은 각도로 송구되고, 그 각도로 송구되면서 상기 롤러의 회전속도의 고저에 따라 발사거리의 장단이 조정된다.When maintaining the highest firing angle, the shuttlecock transmitted by rotation of the roller is guided at a high angle by being guided by the firing angle along the launch pad 510, and at the height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er while being thrown at that angle. The long and long distances are adjusted accordingly.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차광부(531)에 대해 2개의 광센서(533), 즉, 제1 및 제2광센서(533a, 533b)가 원주방향으로 180° 이격 배치하여 전동모터(550)에 의한 캠(520)의 180° 회전으로 2단계의 각도가 조절되게 설정되지만, 만일 3단계 이상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각 단계에 대응하는 캠(520)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광센서(533)를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차광부(531)가 어느 광센서(533)에 감지되는지에 따라 캠(520)의 최상부 높이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셔틀콕의 발사각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light sensors 533,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ght sensors 533a, 533b are disposed 180 °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light blocking portion 531, and the electric motor 550 The angle of the two stages is set to be adjusted by the 180 ° rotation of the cam 520 by, but if it is desired to adjust the angle of three or more stages, the optical senso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cam 520 corresponding to each stage ( 533). In this case, the uppermost height of the cam 5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light sensor 533 is detected by the light blocking unit 531,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aunch angle of the shuttlecock.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these many variations.

100: 스크린부 110: 관통부
120: 덮개 130: 개폐수단
200: 발사부 210: 수납부
211: 감지수단 212: 제1감지수단
213: 제2감지수단 220: 공급수단
230: 발사수단 240: 롤러
300: 이송부 310: 컨베이어
320: 리프터 330: 정렬수단
400: 제어부 410: 인식수단
420: 송구진행부 430: 이송진행부
500 : 발사각 조정부 510 : 발사대
520 : 캠 521 : 스페이서
530 : 센싱부 531 : 차광부
533 : 광센서 540 : 장착 브라켓
550 : 전동모터 600: 빔프로젝터
100: screen portion 110: penetrating portion
120: cover 130: opening and closing means
200: launching unit 210: storage unit
211: detection means 212: first detection means
213: second detection means 220: supply means
230: launch means 240: roller
300: transfer unit 310: conveyor
320: lifter 330: alignment means
400: control unit 410: recognition means
420: Songgu progress unit 430: Transfer progress unit
500: launch angle adjustment unit 510: launch pad
520: cam 521: spacer
530: sensing unit 531: light blocking unit
533: optical sensor 540: mounting bracket
550: Electric motor 600: Beam projector

Claims (7)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빔프로젝터(600)에서 출력되는 영상콘텐츠가 전면에 투사되되, 전후로 뚫린 형태의 관통부(110)와, 상기 관통부(110)를 막을 수 있는 덮개(120)와, 외부 신호에 의해 상기 덮개(120)를 움직여 상기 관통부(11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130)을 구비한 스크린부(100);
상측에 셔틀콕의 콕크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적층되는 수납부(210)와,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11)과, 상기 수납부(210)의 하부에 노출된 셔틀콕을 상기 관통부(110)를 통해 발사하는 발사수단(230)을 구비하는 발사부(200);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이송 및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210)로 공급하는 이송부(300);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에 접촉하는 셔틀콕을 감지하는 인식수단(410)과, 영상콘텐츠 초기 또는 상기 인식수단(410)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덮개(120)를 개방 후 상기 발사부(200)를 통해 셔틀콕을 발사시키고 상기 덮개(120)를 폐쇄하는 송구진행부(420)와, 상기 인식수단(410)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부(300)를 제어하는 이송진행부(430)를 구비하는 제어부(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
In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The image content output from the beam projector 600 is projec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through portion 110 in a front and rear shape, a cover 120 to block the through portion 110, and the cover by an external signal ( A screen portion 100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130 for mov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portion 110 by moving 120;
The storage portion 210 is stacked so that the cock portion of the shuttlecock on the upper side, the sensing means 211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and the shuttlecock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210 through the A launching unit 200 having launching means 230 for launching through the unit 110;
A transfer unit 300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the shuttlecock that has fallen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unit 100 and supplying it to the storage unit 210;
Recognition means 410 for detecting a shuttlecock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unit 100, and opening the cover 1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nitial image content or the recognition means 410, and then the launch unit 200 It is provided with a transfer progress unit 430 for firing a shuttlecock through and closing the cover 120, and a transfer progress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ecognition means 410. Control unit 400;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10)는 투명한 재질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수단(211)은 상기 수납부(210) 하부에서 셔틀콕을 감지하는 제1감지수단(212)과, 상기 수납부(210) 상부에서 셔틀콕을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2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진행부(430)는 상기 제1감지수단(212)을 통한 감지가 안 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수단(213)을 통한 감지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상기 이송부(300)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portion 210 is made of a transparent cylindrical shape,
The sensing means 211 is composed of a first sensing means 212 for detecting a shuttlecock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part 210, and a second sensing means 213 for detecting a shuttlecock at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part 210. ,
The transfer progress unit 430 is characterized in that to operate the transfer unit 300 from the time when the detection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means 213 is not detected from the point of time through the first detection means 212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230)은,
중앙의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도록 회전 속도제어가 가능한 한 쌍의 롤러(240)와, 수납부(210) 하단의 셔틀콕을 이동동선에 따라 상기 롤러(240)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20)과, 상기 롤러(240)를 상하 및 좌우로 각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aunching means 230,
A pair of rollers 240 that are capable of rotational speed control to fire the central shuttlecock forward, and supply means 220 for supplying the shuttlecock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ection 210 to the roller 240 according to the movement line, A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ngle-adjusting the roller 24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상기 스크린부(100) 하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310)와, 후방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210) 상측으로 이송하는 리프터(320)와, 상측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210)에 적층되도록 하는 정렬수단(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300,
Conveyor 310 that transfers the shuttlecock that has fallen to the front of the screen portion 100 to the rear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100, and lifter 320 that transfers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rea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10. And,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lignment means 330 to be stacked on the storage unit 210 to align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에 있어서,
셔틀콕을 수납부(210)에 적층시켜 보관하되,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를 감지하는 준비단계(S 10);
스크린부(100)에 형성된 관통부(110)의 덮개(120)를 개방하는 사전단계(S 20);
스크린부(100) 후방의 발사부(200)를 통해 상기 관통부(110)를 통과시키며 셔틀콕을 스크린부(100) 전면으로 발사하는 발사단계(S 30);
스크린부(100)에 형성된 관통부(110)의 덮개(120)를 닫는 사후단계(S 40);
스크린부(100)에 접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여 결과를 판정하는 판정단계(S 50);
상기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사전단계(S 20)와 발사단계(S 30) 및 사후단계(S 40)를 반복하거나 점수를 판정하는 진행단계(S 60);
적층된 셔틀콕의 높이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 바닥의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210)로 이송하여 삽입 및 적층시키는 보충단계(S 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In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performed based on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system,
The shuttlecock is stack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but a preparation step (S 10)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A pre-step (S 20) of opening the cover 120 of the through portion 110 formed in the screen portion 100;
A launching step (S 30) of passing the through part 110 through the launching part 200 behind the screen part 100 and launching the shuttlecock to the front of the screen part 100;
A post-step (S 40) of closing the cover 120 of the penetrating portion 110 formed on the screen portion 100;
A determination step (S 50) of determining a result by detecting a shuttlecock in contact with the screen unit 100;
A progress step (S 60) of repeating the pre-step (S 20) and the firing step (S 30) and the post-step (S 40) or determining a sco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height of the stacked shuttlecock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 supplementary step of transferring and inserting and stacking the shuttlecock on the front bottom of the screen portion 100 to the storage unit 210 (S 70);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단계(S 30)는,
전면으로 발사되는 셔틀콕의 상하 및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단계(S 31)와, 발사되는 셔틀콕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단계(S 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launching step (S 30),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rection control step (S 31)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fired to the front, and a speed control step (S 32)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shuttlecock fir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단계(S 70)는,
상기 스크린부(100) 전면으로 떨어진 셔틀콕을 상기 스크린부(100) 하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잉단계(S 71)와, 후방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상기 수납부 상측으로 이송하는 리프팅단계(S 72)와, 상측으로 이송된 셔틀콕을 정렬하여 상기 수납부에 적층되도록 하는 정렬이송단계(S 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replenishment step (S 70),
Conveying step (S 71) of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which fell to the front of the screen portion 100 to the rear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100, and the lifting step of transferring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rea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S) 72), and the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ignment transfer step (S 73) to align the shuttlecock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so as to be stacked in the storage.
KR1020180113716A 2018-09-21 2018-09-21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2000342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16A KR20200034219A (en) 2018-09-21 2018-09-21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16A KR20200034219A (en) 2018-09-21 2018-09-21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19A true KR20200034219A (en) 2020-03-31

Family

ID=7000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16A KR20200034219A (en) 2018-09-21 2018-09-21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42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3739A (en) * 2020-05-14 2020-09-01 海宁世正贸易有限公司 Badminton bulb punches and corrects auxiliary device with automatic dial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62B1 (en) 2015-10-02 2016-01-19 (주)나라소프트 Tennis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KR101790747B1 (en) 2016-06-30 2017-10-26 (주)나라소프트 System for Support a Screen Badminton G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62B1 (en) 2015-10-02 2016-01-19 (주)나라소프트 Tennis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KR101790747B1 (en) 2016-06-30 2017-10-26 (주)나라소프트 System for Support a Screen Badminton G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3739A (en) * 2020-05-14 2020-09-01 海宁世正贸易有限公司 Badminton bulb punches and corrects auxiliary device with automatic dial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4855B2 (en) Ball game practice equipment
EP2480297B1 (en) Apparatus for golf simulation
KR101992961B1 (en) Automatic table tennis exerciser
KR101434251B1 (en) Shuttlecock automatic collecting and carrying apparatus for badminton exercising
KR101894950B1 (en) Screen Badminton Exercise Device
KR101505931B1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it
KR101783835B1 (en) Badminton Simulation Device
US20140038751A1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JP2005510269A (en) Simulation system for golf practice
KR101731052B1 (en) Badminton exercise device
KR101782898B1 (en) screen baseball pit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it
US20130296079A1 (en) Lacrosse Training and Competitive Game Installation With Variable Trajectory Control
US20200298087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915052B1 (en) Badminton exercise device
KR101564191B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table tennis
KR101145443B1 (en) Screen golf device for adjusting putting distance
KR20200034219A (en) Screen badmint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120021465A (en) The playing appratus of shooting a ball
KR101882760B1 (en) Ball throwing device for pitching machine
KR102261890B1 (en) Stroke exercise apparatus for table tennis and system for the same
TWI573618B (en) Multi-angle table tennis serving device
WO2017131262A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aseball game
KR20180042060A (en) System for baseball batting training and method for providing baseball batting training service thereof
KR102384636B1 (en)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KR102551993B1 (en) Golf simulator with fixed hole c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