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636B1 -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 Google Patents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636B1
KR102384636B1 KR1020200077688A KR20200077688A KR102384636B1 KR 102384636 B1 KR102384636 B1 KR 102384636B1 KR 1020200077688 A KR1020200077688 A KR 1020200077688A KR 20200077688 A KR20200077688 A KR 20200077688A KR 102384636 B1 KR102384636 B1 KR 102384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unit
angle adjusting
fi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0124A (en
Inventor
송봉화
Original Assignee
송봉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봉화 filed Critical 송봉화
Priority to KR102020007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636B1/en
Publication of KR2022000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2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giving 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Abstract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셔틀콕 저장통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홈부가 형성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적재부; 상기 인출홈부의 하부로 셔틀콕을 하나씩 인출시키는 셔틀콕 추출부; 상기 셔틀콕 추출부에 의해 인출된 셔틀콕을 일시적으로 안착시시키는 셔틀콕 안착부재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에 설치되는 셔틀콕 타격부재와, 상기 셔틀콕의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셔틀콕 발사부재와,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되는 셔틀콕 발사부; 상기 셔틀콕 발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마련하여 저장통에 다수의 셔틀콕을 수납하여 셔틀콕을 지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고, 셔틀콕 발사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셔틀콕을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셔틀콕을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셔틀콕을 계속 날리면서 연습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t relates to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comprising: a shuttlecock loading unit comprising a fixed plate in which a withdrawal groove is formed to withdraw a shuttlecock stored in a shuttlecock storage bin; a shuttlecock extraction unit for withdrawing the shuttlecocks one by on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groove; A shuttlecock seating member for temporarily seating the shuttlecock drawn out by the shuttlecock extraction unit, a shuttlecock striking member installed 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and a shuttlecock firing installed in front of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so that the shuttlecock can fly a shuttlecock firing unit having a member, a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for rotating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for rotating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huttlecock launch unit is provid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shuttlecocks in a storage bin and continuously fire the shuttlecock, and by rotating the shuttlecock launch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uttlecock can be fir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practice while continuously flying the shuttlecock in any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by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is obtained.

Description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본 발명은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저장된 셔틀콕을 낙하시켜 임시 저장하였다가 임시 저장된 셔틀콕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시킴은 물론 셔틀콕을 원하는 상하 각도로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dminton shuttlecock that allows a plurality of stored shuttlecocks to be dropped and temporarily stored, then the temporarily stored shuttlecocks are fir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s well as to fire the shuttlecocks at a desired vertical angle. It relates to the shuttlecock launcher.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라켓과 셔틀콕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서로 셔틀콕을 쳐서 주고 받으며, 셔틀콕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이다.In general, badminton is a sport that can be easily enjoyed by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in which a shuttlecock is struck with each other by using a racket and a shuttlecock in a narrow space, either outdoors or indoors, and prevents the shuttlecock from falling to the floor.

또한 배드민턴 경기 방식은 테니스와 같이 코트 중앙에 설치된 네트를 사이에 두고, 라켓으로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의 코드 바닥에 셔틀콕이 떨어지도록 하여 득점을 얻는 것으로, 1대1로 행하는 남녀 단식과 2대2로 행하는 남녀 복식 및 혼합 복식이 있으며, 아마추어의 경우 나이와 실력에 따라 등급을 나눠서 경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운동 경기이다.Also, the badminton game method is like tennis, with a ne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ourt in between, and hitting the shuttlecock with a racquet so that the shuttlecock falls on the floor of the opponent's code to score points. There are men's and women's doubles and mixed doubles, and in the case of amateurs, the game is divided into grades according to age and ability, so it is an athletic event that can be enjoyed by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이와 같은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코치나 교재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면서 배드민턴의 각종 기술을 연습하게 되는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연습 상대가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 라켓을 들고 스윙, 스텝 등의 개인 연습만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beginner starting badminton like this, they practice various techniques of badminton while correcting their posture through a separate coach or textbook. There was a problem that only individual practice was required.

이는 배드민턴의 경우 초보자의 실력과 중급자 또는 상급자의 실력이 워낙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으로, 초보자의 경우에는 중급자 또는 상급자와 함께 게임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될 때까지 혼자서 연습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배드민턴에 대한 흥미가 떨어져 쉽게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badminton,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skill of a beginner and that of an intermediate or advanced person. However, if this time is prolonged, interest in badminton is lost and there is a problem of giving up easily.

한편 시간과 공간이 허락하지 않고 대신 이러한 경기를 혼자서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놀이기구 또는 연습장치가 마련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ime and space do not allow and instead you have to play these games by yourself, various play equipment or practice devices are being prepared so that you can enjoy them alone.

예를 들어, 야구에서는 야구공이 발사되도록 하는 야구공 피칭머신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칭머신을 이용하여 야구선수들이 배팅연습을 하게 되고, 야구놀이시설에도 설치되어 야구배팅 게임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피칭머신을 응용하는 경우에는 테니스공도 발사될 수 있는 것으로, 테니스 연습도 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baseball, a baseball pitching machine that allows a baseball to be fired is most widely used. Baseball players practice batting using such a pitching machine, and it is also installed in a baseball play facility to play a baseball batting game. Of course, if a pitching machine is applied, a tennis ball can also be launched, so you can practice tennis.

이와 같이 피칭머신을 이용할 수 있는 야구, 테니스 등은 야구공 및 테니스공 등이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칭머신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baseball, tennis, and the like that can use the pitch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the pitching machine can be used because baseballs and tennis balls ar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즉, 야구공 및 테니스공 등은 날아갈 때 방향성이나 위치 등이 동일한 구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쉽게 발사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since a baseball and a tennis ball have the same spherical shape when fly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can be easily launched.

그러나 배드민턴의 경우, 이러한 피칭머신으로 발사시키게 되면, 날아가는 배드민턴의 방향을 정할 수 없어서, 연습할 수 있는 상태로 발사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이는 배드민턴의 셔틀콕은 해드 부분과 날개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바, 날아가는 셔틀콕은 해드 부분이 먼저 날아가는 전방으로 향하도록 해야만 안정적으로 원하는 장소와 방향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of badminton, if it is fired with such a pitching machine, the direction of the flying badminton cannot be determined, so it is difficult to shoot in a state that can be practiced. This is because the shuttlecock of badminton consists of a head part and a wing part, and the flying shuttlecock can be sent stably to the desired place and direction only when the head part is directed toward the flying front first.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발사되는 셔틀콕이 안정적으로 방향과 위치를 이루도록 하고, 특히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날아가는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배드민턴 연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shuttlecock that is launched stably forms the direction and position, and in particular, because the head of the shuttlecock faces forward, it is fired in the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so that users can easily enjoy badminton practice or play. A badminton practice device is being develope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multi-directional automatic launch device for badminton shuttlecocks' is disclosed.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셔틀콕보관통이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셔틀콕공급부와, 상기 셔틀콕공급부의 외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셔틀콕발사대가 구비되고 상기 셔틀콕발사대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봉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다수의 셔틀콕발사통이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셔틀콕발사부와, 상기 셔틀콕공급부와 셔틀콕발사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를 포함한다.A badminton shuttlecock multi-directional automatic launch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base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a shuttlecock supply unit disposed on the base and a plurality of shuttlecock cylinders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utside of the shuttlecock supply unit A shuttlecock fir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shuttlecock firing cylinders disposed in the interior and provided with a shuttlecock firing table for firing the shuttlecock forward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therein for guiding a guide rod fixed to the shuttlecock firing station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fixing part for rotatably fixing the shuttlecock supply part and the shuttlecock launch part.

상기 셔틀콕공급부와 셔틀콕발사부를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셔틀콕공급부의 가운데를 관통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에 상하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셔틀콕발사부의 외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셔틀콕발사대에 고정된 가이드 봉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봉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콕발사대를 상기 셔틀콕발사통의 후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셔틀콕발사통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무한궤도식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벨트 구동부와, 상기 셔틀콕발사대의 가이드 봉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걸림쇠로 이루어진 발사대장전부를 포함한다.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huttlecock supply unit and the shuttlecock firing unit around the fixed unit; a support part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huttlecock supply unit and extending downwardly fixed to the base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outer side and in contact with a guide rod fixed to the shuttlecock launcher to guide the guide rod, and the length of the shuttlecock launcher to move the shuttlecock launcher moving along the guide rail to the rear end of the shuttlecock launcher A launch pad loading unit comprising a caterpillar conveyor belt installed in the direction, a conveyor belt driving unit rotating the conveyor belt, and a plurality of catche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conveyor bel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rod of the shuttlecock launch pad do.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s a 'transfer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to a shuttlecock'.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셔틀콕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대기부 및 상기 저장부가 결합되는 발사부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shuttlecock damage preventi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a shuttlecock is stored, a standby unit in which the shuttlecock is dropped from the storage unit and stored, and a launch unit plate to which the storage unit is coupled.

상기 대기부로부터 낙하되어 안착되는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를 포함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일정하게 배치되어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통을 포함하는 저장부몸체와, 상기 저장부몸체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저장부몸체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판과, 상기 대기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낙하방지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낙하공을 포함하는 낙하방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Including;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launch unit that fires a shuttlecock that is dropped from the standby unit and is se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erein the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body including a storage bin in which the shuttlecock is stored, and the storage unit body A rotation part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all prevention plat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body, and a fall prevention plate including a fall hole penetrating the drop prevention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standby part. .

상기 대기부는 상기 낙하공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 관통되어 형성되는 대기부몸체와, 상기 대기부몸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대기부몸체에 저장된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1고정수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대기부몸체에 저장된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고정수단을 포함한다.The waiting unit includes a waiting unit body formed by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rop hole, a first fixing means positioned below the waiting unit body and configured to fix and release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waiting unit body, and the first fixing means and the first fixing means and a second fixing mean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means in the upper direction to fix and release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standby unit body.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60132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6013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07655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76557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7831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831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셔틀콕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시킴은 물론 셔틀콕을 원하는 상하 각도로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capable of not only launching the shuttlecock at regular time intervals but also firing the shuttlecock at a desired vertical ang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틀콕을 원하는 위치로 발사시킬 수 있도록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셔틀콕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발사할 수 있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capable of freely firing the shuttlecock in a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by a user by rotating i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the shuttlecock can be fired to a desired posi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다수개의 셔틀콕 저장통(110)과, 상기 셔틀콕 저장통(110)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홈부(131)가 형성된 고정판(130)과, 상기 셔틀콕 저장통(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가 내장된 회전축(150)으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적재부(100); 상기 인출홈부의 하부로 셔틀콕을 하나씩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셔틀콕 추출부(200);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에 의해 인출된 셔틀콕을 일시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셔틀콕 안착부재(310)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안착된 셔틀콕이 발사되도록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설치되는 셔틀콕 타격부재(330)와,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의 타격에 의해 발사되는 상기 셔틀콕의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콕 발사부재(350)와,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부재(370)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부재(390)가 구비되는 셔틀콕 발사부(300); 상기 셔틀콕의 인출 및 상기 셔틀콕의 발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틀콕 적재부(100),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huttlecock storage bins 110 in which shuttlecocks are stored, and a withdrawal groove portion 131 to withdraw the shuttlecocks stored in the shuttlecock storage bin 110 . ) formed on a fixed plate 130, and a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comprising a rotating shaft 150 having a motor built-in to rotate the shuttlecock storage container 110; a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installed under the fixing plate 130 so that the shuttlecocks can be drawn out one by on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groove; A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installed to temporarily seat the shuttlecock drawn out by the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and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so that the shuttle seat seated 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is launched.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nstalled in the 350), a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installed to rotate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and the shuttlecock firing a shuttlecock launch unit 300 having a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so as to rotate the member 350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the shuttlecock extracting unit 200, and the shuttlecock launching unit 300 so that the shuttlecock is drawn out and the shuttlecock is fired.

상기 셔틀콕 발사부(300)는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에 의해 상기 셔틀콕의 발사 방향을 상부 및 하부로 조절하며,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에 의해 상기 셔틀콕의 발사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lecock firing unit 300 controls the firing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upward and downward by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and horizontally adjusting the firing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red to a desired position by adjusting the direction.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는 상기 고정판(130)의 하부의 서포트(15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211); 상기 장착프레임(21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212); 상기 한 쌍의 구동모터(2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콕추출프레임(213); 상기 셔틀콕의 추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11)의 저면에 설치되는 셔틀콕 감지센서(214);를 포함하며,The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includes a mounting frame 211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151 under the fixing plate 130; a pair of driving motors 21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211; a shuttlecock extraction frame 213 rotatably installed by the pair of driving motors 212; It includes; a shuttlecock detection sensor 214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ounting frame 211 to detect the extraction of the shuttlecock.

상기 셔틀콕추출프레임(213)은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lecock extraction frame 21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는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11); 상기 고정프레임(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312); 상기 고정축(312)의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가 회전되게 안내홈부(314)가 형성된 전방프레임(313); 상기 전방프레임(313)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315);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315)에 상기 셔틀콕이 안착되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착판(3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includes a fixed frame 31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so as to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a fixed shaft 312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311; a front frame 313 formed in front of the fixed shaft 312 and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14 to rotate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a pair of vertical fixing frames 315 that are vertically fixed at one end of the front frame 313; and a pair of seating plates 316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eat the shuttlecock on the pair of vertical fixing frames 315.

상기 셔틀콕타격부재(330)는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설치된 전방프레임(313)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31); 상기 고정플레이트(33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32); 상기 구동모터(332)에 의해 셔틀콕의 타격이 가능하도록 전방프레임(313) 사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33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333); 상기 셔틀콕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333)에 고정되는 타격봉(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ncludes a fixing plate 331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ront frame 313 installed 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a driving motor 332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331; a rotating plate 333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331 between the front frames 313 so that the shuttlecock can be hit by the driving motor 332; and a striking rod (334) fixed to the rotating plate (333) so as to strike the shuttlecock.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는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프레임(351); 상기 전면프레임(351)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 상기 셔틀콕이 전방으로 날아가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의 상부에 동기화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윙(353);을 포함하며,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ncludes a front frame 351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a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35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351; A pair of wings (353) rotatably installed in a synchronized sta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352) so that the shuttlecock flies forward;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는 상기 전면프레임(3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371);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모터(3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3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72);을 포함하며,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37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351; A rotating shaft 372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riving motor 352 to rotate the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352 and rotatably installed by the second driving motor 371; includes,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는 서포트(151)에 설치되는 받침프레임(391); 상기 받침프레임(391)의 선단에 회전모터가 내장되는 회전모터(392); 상기 회전모터(39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93); 상기 회전축(393)이 상기 회전모터(392)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393)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394);을 포함하고,The second angle adjustment member 390 includes a support frame 391 installed on the support 151; a rotary motor 392 having a built-in rotary motor at the tip of the support frame 391; a rotating shaft 393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otor 392; and a fixing bracket 394 fixed to the rotation shaft 393 so that the rotation shaft 393 rotat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motor 392.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는 상기 제1 구동모터(352)에 의해 상기 전면프레임(351)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윙(353)을 회전시키며,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rotates the wing 353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frame 351 by the first driving motor 352,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는 상기 회전모터(39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 셔틀콕 타격부재(330) 및 상기 셔틀콕 발새부재(35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angle adjustment member 390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tation motor 392 to rotate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and the shuttlecock feet member 350 do it wi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에 의하면, 저장통에 다수의 셔틀콕을 수납하여 셔틀콕을 지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고, 셔틀콕 발사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셔틀콕을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셔틀콕을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셔틀콕을 계속 날리면서 연습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huttlecocks can be stored in a storage bin to continuously fire the shuttlecock, and the shuttlecock can be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rotate the shuttlecock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he effect is obtained that the user can practice while continuously flying the shuttlecock in any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by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에 의하면, 제2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셔틀콕의 위치 및 방향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배드민턴 운동을 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 및 운동선수의 취약 부분으로 셔틀콕을 반복적으로 날려 약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및 운동 선수가 셔틀콕을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로이 셔틀콕을 날려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dminton exercise can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left or right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and in particular, the shuttlecock is repeatedly used as a vulnerable part of users and athletes. The weakness can be compensated for by blowing it, and the effect is obtained that the user and the athlete can freely blow the shuttlecock to the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three-dimensional view of a part of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three-dimensional view of a part of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다수개의 셔틀콕 저장통(110)과, 상기 셔틀콕 저장통(110)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홈부(131)가 형성된 고정판(130)과, 상기 셔틀콕 저장통(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가 내장된 회전축(150)으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적재부(100)와, 상기 인출홈부의 하부로 셔틀콕을 하나씩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셔틀콕 추출부(200)와,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에 의해 인출된 셔틀콕을 일시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셔틀콕 안착부재(310)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안착된 셔틀콕이 발사되도록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설치되는 셔틀콕 타격부재(330)와,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의 타격에 의해 발사되는 상기 셔틀콕의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콕 발사부재(350)와,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부재(370)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부재(390)가 구비되는 셔틀콕 발사부(300)와, 상기 셔틀콕의 인출 및 상기 셔틀콕의 발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틀콕 적재부(100),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huttlecock storage bins 110 in which shuttlecocks are stored, and a fixing plate 130 having a withdrawal groove 131 formed therein so that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shuttlecock storage bin 110 can be withdrawn. ), a shuttlecock loading part 100 comprising a rotating shaft 150 having a motor built-in to rotate the shuttlecock reservoir 110, and the fixing plate 130 so that the shuttlecock can be drawn out one by one into the lower part of the take-out groove part. The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nstalled 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so that the seated shuttlecock is fired, and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so that the shuttlecock that is fired by the striking of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s made to fly ) a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nstalled rotatably in front, a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installed to rotate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and a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so as to rotate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shuttlecock launch unit 300 to be used, and the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the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and the shuttlecock launch unit 300 so that the shuttlecock is taken out and the shuttlecock is fired. ) is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stereoscopic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4 is an enlarg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는 셔틀콕을 발사시킴은 물론 셔틀콕을 상하 방향으로 발사시킴과 함께 셔틀콕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방향 등으로 자유롭게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1 to 6,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fires the shuttlecock, but also fires the shuttlec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es the shuttlec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desired angle, It allows you to fire freely in any direction, etc.

상기 셔틀콕 적재부(100)는 셔틀콕(10)을 수직으로 담을 수 있는 셔틀콕 저장통(110)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저장통(110)은 중앙의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The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uttlecock storage bins 110 that can hold the shuttlecock 10 vertically, and the storage bins 110 are radially arranged around a central rotational shaft 150 .

이들 저장통(110)은 고정프레임(111)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11)은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축(150)의 하단에는 회전축(15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며, 상기 회전축(150)의 하부에는 셔틀콕 발사부(300)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서포트(151)가 설치된다.These storage tanks 110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xed frame 111 , and the fixed frame 111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rotating shaft 150 . That is,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150 is built i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150 , and a support 151 for supporting the shuttlecock launch unit 300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150 . is installed

상기 저장통(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저장통(110)을 받쳐주는 고정판(13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130)에는 셔틀콕(10)을 빼낼 수 있도록 인출홈부(131)가 형성된다.A fixing plate 13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torage bins 11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in 110 , and a pull-out groove 131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130 so that the shuttlecock 10 can be pulled out.

이러한 셔틀콕 적재부(100)는 다수의 저장통(110) 각각에 다수개의 셔틀콕(10)을 내장시켜 셔틀콕(10)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Such a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allows a plurality of shuttlecocks 10 to be buil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ins 110 to continuously supply the shuttlecocks 10 according to a set time.

상기 고정판(130)의 인출홈부(131) 하부에는 셔틀콕(10)을 하나씩 인출시키는 셔틀콕 인출부(200)가 설치된다.A shuttlecock withdrawing unit 200 for withdrawing the shuttlecocks 10 one by one is installed under the withdrawing groove portion 131 of the fixing plate 130 .

상기 셔틀콕 인출부(200)의 장착프레임(211)은 서포트(151)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프레임(211)의 상면에는 구동모터(21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12)에는 셔틀콕(10)을 하나씩 인출하는 셔틀콕추출프레임(21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mounting frame 211 of the shuttlecock lead-out part 2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151 , the driving motor 21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211 , and the shuttlecock 10 is installed on the driving motor 212 . ), the shuttlecock extraction frame 213 for withdrawing one by one is rotatably installed.

이들 셔틀콕추출프레임(213)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며, 이들 셔틀콕추출프레임(213)은 동기화된 구동모터(212)에 의해 동일하게 회전된다.These shuttlecock extraction frames 213 are install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and these shuttlecock extraction frames 213 are rotated equally by a synchronized driving motor 212 .

상기 셔틀콕추출프레임(213)은 인출홈부(131)의 하측으로 일부 인출되어 있는 셔틀콕(10)을 져장통(110)으로부터 하나씩 추출하게 된다.The shuttlecock extraction frame 213 extracts the shuttlecocks 10 partially drawn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withdrawal groove 131 from the storage bin 110 one by one.

아울러 상기 장착프레임(211)의 하부에는 셔틀콕(10)의 인출을 감지하는 셔틀콕 감지센서(214)가 설치된다. 즉, 셔틀콕 감지센서(214)에 의해 셔틀콕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shuttlecock detection sensor 214 for detecting the withdrawal of the shuttlecock 10 is installed under the mounting frame 211 . That is, whether the shuttlecock is drawn out by the shuttlecock detection sensor 214 is detected.

상기 셔틀콕 인출부(200)의 하부에는 셔틀콕(10)을 비행시키는 셔틀콕 발사부(300)가 설치된다. A shuttlecock launch unit 300 for flying the shuttlecock 1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uttlecock withdrawing unit 200 .

상기 셔틀콕 발사부(300)는 셔틀콕 인출부(200)에서 인출된 셔틀콕(10)이 일시적으로 안착되는 셔틀콕 안착부재(310)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안착된 셔틀콕(10)을 타격하는 셔틀콕 타격부재(330)와, 상기 셔틀콕(10)의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셔틀콕(10)을 발사하는 셔틀콕 발사부재(350)와,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상하(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각도조절부재(370)와, 상기 셔틀콕 발사부(30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각도조절부재(390)로 이루어진다.The shuttlecock launch unit 300 strikes a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on which the shuttlecock 10 pulled out from the shuttlecock withdrawal unit 200 is temporarily seated, and the shuttlecock 10 seated 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to make the shuttlecock 10 fly, the shuttlecock launching member 350 for firing the shuttlecock 10 so that the flight of the shuttlecock 10 is made, and the shuttlecock launching member 350 is rotated in the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It consists of a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and a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for rotating the shuttlecock launch unit (300)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는 셔틀콕 인출부(200)에서 인출된 셔틀콕(10)이 일시적으로 안착되게 하여 셔틀콕 타격부재(330)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allows the shuttlecock 10 drawn out from the shuttlecock withdrawing part 200 to be temporarily seated so that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s used to strike the shuttlecock.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의 고정프레임(311)은 제2 각도조절부재(39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각도절부재(390)의 회전축(393)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311)의 상단에는 고정축(312)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312)에는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313)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fixed frame 311 of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393 of the second angle cutting member 390 so as to be rotated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and the fixed frame ( A fixed shaft 31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311 , and the front frame 313 formed in a straight lin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shaft 312 .

아울러 상기 전방프레임(313)에는 셔틀콕(10)을 타격하는 타격봉(334)이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홈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312)에는 수직으로 수직고정프레임(31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고정프레임(315)의 전방에는 셔틀콕(10)을 일시적으로 받쳐주는 안착판(316)이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314 is formed in the front frame 313 so that the striking rod 334 that strikes the shuttlecock 10 can move, and the vertical fixing frame 31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shaft 312 . and a seating plate 316 for temporarily supporting the shuttlecock 10 is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vertical fixing frame 315 .

상기 전방프레임(313)의 일측면에는 타격봉(334)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셔틀콕 타격부재(330)가 설치된다.A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for rotating the striking rod 334 by a predetermined angl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frame 313 .

상기 전방프레임(313)의 일측면에는 고정플레이트(331)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31)에는 타격봉(334)을 소정의 각도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2)가 설치된다.A fixing plate 33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frame 313 , and a driving motor 332 for reciprocating the striking rod 334 at a predetermined angle i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331 .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331)의 내측에는 구동모터(33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333)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333)에는 안내홈부(314)의 내측을 따라 회전되는 타격봉(334)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rotating plate 333 rotated by a driving motor 332 is installed inside the fixed plate 331 , and the rotating plate 333 has a striking rod 334 rotated along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314 . is installed

이러한 셔틀콕 감지센서(214)에서는 셔틀콕(10)의 낙하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셔틀콕(10)을 타격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332)가 회전되며, 이에 상기 타격봉(334)은 안착판(316)에 있는 셔틀콕(10)을 타격하게 된다.The shuttlecock detection sensor 214 detects the drop of the shuttlecock 10, and the driving motor 332 is rotated to hit the shuttlecock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and thus the striking rod ( 334 hits the shuttlecock 10 on the seating plate 316 .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의 전방(도 1의 좌측 방향)에는 셔틀콕(10)을 날려주는 셔틀콕 발사부재(350)가 설치된다.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는 제2 각도조절부재(390)의 전방에 설치되어 셔틀콕(10)을 원하는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S. 1 to 7 , a shuttlecock launching member 350 for blowing the shuttlecock 1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n the left direction of FIG. 1 ). The shuttlecock launch member 35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to allow the shuttlecock 10 to fly in a desired direction.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의 전면프레임(351)은 제2 각도조절부재(390)의 회전축(393)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프레임(351)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모터(352)에는 셔틀콕(10)을 날려주는 윙(35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frame 351 of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rotation shaft 393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and a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351 ( 352 is installed, and a wing 353 for flying the shuttlecock 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iving motor 352 .

이러한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는 타격봉(334)에 의해 이동된 셔틀콕(10)이 전방으로 날려주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는 동기화된 상태로 회전된다.The shuttlecock launch member 350 is blown forward by the shuttlecock 10 moved by the striking rod 334, and the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352 are rotated in a synchronized state.

이에 상기 타격봉(334)에 의해 이동된 셔틀콕(10)을 한 쌍의 윙(353)의 회전에 의해 셔틀콕(10)을 전방으로 날리게 된다. 즉, 회전되는 한 쌍의 윙(353)에 의해 셔틀콕(10)에는 전방으로 날라가게 된다.Accordingly, the shuttlecock 10 moved by the striking rod 334 is blown forward by the rotation of the pair of wings 353 . That is, the shuttlecock 10 is blown forward by the pair of rotating wings 353 .

또 상기 전면프레임(351)에는 제1 구동모터(352)와 윙(353)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조절부재(37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는 윙(353)을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셔틀콕(10)을 상측 방향으로 날려주거나 하측 방향으로 날려주게 된다.In addition, a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driving motor 352 and the wing 353 is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351 .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rotates the wing 353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blows the shuttlecock 10 upward or downward.

상기 전면프레임(351)에는 제2 구동모터(37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모터(37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7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72)은 제1 구동모터(352)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윙(353)도 함께 회전된다.A second driving motor 371 is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351 , a rotating shaft 372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motor 371 is installed, and the rotating shaft 372 is a first driving motor 352 . ) by rotating the wing 353 by a predetermined angle is also rotat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로서, 도 8(a)는 상기 제2 구동모터(352)와 윙(353)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제2 구동모터(352)와 윙(353)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riving motor 352 and the wing 353 are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동모터(352)와 윙(353)을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셔틀콕(10)은 윙(353)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날아가게 된다.As shown in FIG. 8 ,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352 and the wing 353 are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shuttlecock 10 flies upward by the wing 353 .

또한 제2 구동모터(352)와 윙(353)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셔틀콕(10)은 윙(353)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날아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352 and the wing 353 are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huttlecock 10 is flown downward by the wing 353 .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의 하부에는 셔틀콕 안착부재(310), 셔틀콕 타격부재(330), 셔틀콕 발사부재(350) 및 제1 각도조절부재(37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각도조절부재(390)가 설치된다.A second angle for horizontally rotating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an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 An adjustment member 390 is installed.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의 받침프레임(391)은 서포트(151)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프레임(391)의 선단에는 회전브래킷(39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브래킷(392)에는 회전모터(미도시)가 내부에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391 of the second angle adjustment member 39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151 , and a rotation bracket 392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391 , and the rotation bracket 392 is rotated A motor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상기 회전브래킷(392)의 상부에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9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93)과 회전브래킷(392)에는 고정브래킷(394)이 설치된다.A rotation shaft 393 rotated by a rotation moto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rotation bracket 392 , and a fixing bracket 394 is install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393 and the rotation bracket 392 .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로써, 도 9(a)는 제2 각도절부재(390)에 의해 셔틀콕 발사부(300)가 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제2 각도조절부재(390)에 의해 셔틀콕 발사부(300)가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ws a state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FIG. 9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uttlecock launcher 300 is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in the drawing .

상기 회전축(393)은 회전브래킷(392)에 내장된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며, 이에 회전축(393)에 설치된 전면프레임(351) 및 고정프레임(311)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The rotation shaft 393 is rotated by a rotation motor (not shown) built into the rotation bracket 392 , and the front frame 351 and the fixed frame 311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393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셔틀콕 적재부(100), 셔틀콕 인출부(200) 및 셔틀콕 발사부(3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제어부(400)와 무선으로 연동되는 리모컨(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셔틀콕(10)의 발사 간격, 셔틀콕의 상하 방향, 셔틀콕의 위치 등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the shuttlecock withdrawing unit 200, and the shuttlecock launching unit 300, and the user controls the control unit 400 and a remote control (not shown) connected wirelessly. It is possible to freely set the firing interval of the shuttlecock 10,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the position of the shuttlecock, etc.

이에 따라 사용자는 셔틀콕(10)을 원하는 방향, 각도 및 위치로 발사시켜 배드민턴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enjoy badminton exercise by firing the shuttlecock 10 in a desired direction, angle and positio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셔틀콕 적재부 110: 셔틀콕 저장통
111: 고정프레임 130: 고정판
131: 인출홈부 150: 회전축
151: 서포트
200: 셔틀콕 인출부 211: 장착프레임
212: 구동모터 213: 셔틀콕추출프레임
214: 셔틀콕 감지센서
300: 셔틀콕 발사부 310: 셔틀콕 안착부재
311: 고정프레임 312: 고정축
313: 전방프레임 314: 안내홈부
315: 수직고정프레임 316: 안착판
330: 셔틀콕 타격부재 331: 고정플레이트
332: 구동모터 333: 회전판
334: 타격봉
350: 셔틀콕 발사부재 351: 전면프레임
352: 제1 구동모터 353: 윙
370: 제1 각도조절부재 371: 제2 구동모터
372: 회전축
390: 제2 각도조절부재 391: 받침프레임
392: 회전브래킷 393: 회전축
394: 고정브래킷
400: 제어부
100: shuttlecock loading unit 110: shuttlecock storage bin
111: fixed frame 130: fixed plate
131: withdrawal groove 150: rotation shaft
151: support
200: shuttlecock drawout 211: mounting frame
212: drive motor 213: shuttlecock extraction frame
214: shuttlecock detection sensor
300: shuttlecock launch unit 310: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1: fixed frame 312: fixed shaft
313: front frame 314: guide groove
315: vertical fixed frame 316: seating plate
330: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1: fixed plate
332: drive motor 333: rotating plate
334: strike rod
350: shuttlecock launch member 351: front frame
352: first driving motor 353: wing
370: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1: second driving motor
372: axis of rotation
390: second angle adjustment member 391: support frame
392: rotation bracket 393: rotation shaft
394: fixing bracket
400: control unit

Claims (5)

셔틀콕이 저장되는 다수개의 셔틀콕 저장통(110)과, 상기 셔틀콕 저장통(110)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홈부(131)가 형성된 고정판(130)과, 상기 셔틀콕 저장통(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가 내장된 회전축(150)으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적재부(100);
상기 인출홈부의 하부로 셔틀콕을 하나씩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셔틀콕 추출부(200);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에 의해 인출된 셔틀콕을 일시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셔틀콕 안착부재(310)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안착된 셔틀콕이 발사되도록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설치되는 셔틀콕 타격부재(330)와,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의 타격에 의해 발사되는 상기 셔틀콕의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콕 발사부재(350)와,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부재(370)와,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부재(390)가 구비되는 셔틀콕 발사부(300);
상기 셔틀콕의 인출 및 상기 셔틀콕의 발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틀콕 적재부(100),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300)는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에 의해 상기 셔틀콕의 발사 방향을 상부 및 하부로 조절하며,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에 의해 상기 셔틀콕의 발사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발사시키되,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는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11);
상기 고정프레임(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312);
상기 고정축(312)의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셔틀콕 타격부재(330)가 회전되게 안내홈부(314)가 형성된 전방프레임(313);
상기 전방프레임(313)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315);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315)에 상기 셔틀콕이 안착되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착판(316);을 포함하고,
상기 셔틀콕타격부재(330)는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에 설치된 전방프레임(313)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31);
상기 고정플레이트(33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32);
상기 구동모터(332)에 의해 셔틀콕의 타격이 가능하도록 전방프레임(313) 사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33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333);
상기 안착판에 있는 셔틀콕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333)에 고정되는 타격봉(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A plurality of shuttlecock storage bins 110 in which shuttlecocks are stored, a fixing plate 130 having a withdrawal groove 131 formed therein so as to withdraw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shuttlecock storage bin 110, and the shuttlecock storage bin 110 can be rotated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made of a rotating shaft 150 with a built-in motor so that;
a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installed under the fixing plate 130 so that the shuttlecocks can be drawn out one by on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groove;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is installed to temporarily seat the shuttlecock drawn out by the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and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so that the shuttle seat seated 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is launched. A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nstalled in the 350), a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installed to rotate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and the shuttlecock firing a shuttlecock launch unit 300 provided with a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so as to rotate the member 350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shuttlecock loading unit 100, the shuttlecock extracting unit 200, and the shuttlecock launching unit 300 so that the shuttlecock is drawn out and the shuttlecock is fired.
The shuttlecock firing unit 300 controls the firing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upward and downward by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and horizontally adjusting the firing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 Adjust the direction to fire to the desired positi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includes a fixed frame 31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so as to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a fixed shaft 312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311;
a front frame 313 formed in front of the fixed shaft 312 and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14 to rotate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a pair of vertical fixing frames 315 that are vertically fixed at one end of the front frame 313;
and a pair of seating plates 316 that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huttlecock is seated on the pair of vertical fixing frames 315;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includes a fixing plate 331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ront frame 313 installed on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a driving motor 332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331;
a rotating plate 333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331 between the front frames 313 so that the shuttlecock can be hit by the driving motor 332;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comprising a; striking rod (334) fixed to the rotating plate (333) so as to hit the shuttlecock on the sea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추출부(200)는 상기 고정판(130)의 하부의 서포트(15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211);
상기 장착프레임(21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212);
상기 한 쌍의 구동모터(2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콕추출프레임(213);
상기 셔틀콕의 추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11)의 저면에 설치되는 셔틀콕 감지센서(214);를 포함하며,
상기 셔틀콕추출프레임(213)은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huttlecock extraction unit 200 includes a mounting frame 211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151 under the fixing plate 130;
a pair of driving motors 21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211;
a shuttlecock extraction frame 213 rotatably installed by the pair of driving motors 212;
It includes; a shuttlecock detection sensor 214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ounting frame 211 to detect the extraction of the shuttlecock.
The shuttlecock extraction frame 213 is a badminton shuttlecock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는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프레임(351);
상기 전면프레임(351)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
상기 셔틀콕이 전방으로 날아가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의 상부에 동기화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윙(35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는 상기 전면프레임(3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371);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모터(3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모터(3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3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7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는 서포트(151)에 설치되는 받침프레임(391);
상기 받침프레임(391)의 선단에 회전모터가 내장되는 회전모터(392);
상기 회전모터(39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93);
상기 회전축(393)이 상기 회전모터(392)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393)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39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각도조절부재(370)는 상기 제1 구동모터(352)에 의해 상기 전면프레임(351)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윙(353)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2 각도조절부재(390)는 상기 회전모터(39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셔틀콕 안착부재(310), 셔틀콕 타격부재(33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재(35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includes a front frame 351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a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35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351;
A pair of wings (353) rotatably installed in a synchronized state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first drive motors (352) so that the shuttlecock flies forwar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37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351;
A rotating shaft 372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riving motor 352 to rotate the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352 and rotatably installed by the second driving motor 371; includes,
The second angle adjustment member 390 includes a support frame 391 installed on the support 151;
a rotary motor 392 having a built-in rotary motor at the tip of the support frame 391;
a rotating shaft 393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otor 392;
and a fixing bracket 394 fixed to the rotation shaft 393 so that the rotation shaft 393 rotat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motor 392.
The first angle adjusting member 370 rotates the wing 353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frame 351 by the first driving motor 352,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mber 390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tation motor 392 to rotate the shuttlecock seating member 310, the shuttlecock striking member 330, and the shuttlecock firing member 350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KR1020200077688A 2020-06-25 2020-06-25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KR102384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88A KR102384636B1 (en) 2020-06-25 2020-06-25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88A KR102384636B1 (en) 2020-06-25 2020-06-25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24A KR20220000124A (en) 2022-01-03
KR102384636B1 true KR102384636B1 (en) 2022-04-08

Family

ID=7934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688A KR102384636B1 (en) 2020-06-25 2020-06-25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6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54B1 (en) * 2018-09-21 2020-02-13 한국기계연구원 Shuttlecock Continuous Feed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57B1 (en) * 2009-10-08 2012-0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adminton training device
KR101418077B1 (en) 2012-12-17 2014-07-10 광주광역시 광산구 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KR101915052B1 (en) * 2016-11-01 2019-01-07 김창식 Badminton exercise device
KR101760132B1 (en) 2017-02-27 2017-07-31 김도훈 Badminton shuttlecock Multidirection shooting machine
KR102076557B1 (en) 2018-09-27 2020-02-13 한국기계연구원 Shuttlecock Damage Prevention Transfe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54B1 (en) * 2018-09-21 2020-02-13 한국기계연구원 Shuttlecock Continuous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24A (en)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6901B (en) Ball game exercising device
US4395042A (en) Game apparatus
KR101992961B1 (en) Automatic table tennis exerciser
US20070072704A1 (en) Batting trainer for inexperienced players
KR101731052B1 (en) Badminton exercise device
KR101564191B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table tennis
KR101622889B1 (en) ball game practice device
US11786791B2 (en) 3-dimensional golf game
KR101783835B1 (en) Badminton Simulation Device
US20200298087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709766B1 (en) Badminton exercise device
US5957788A (en) Sports practice apparatus
KR101760132B1 (en) Badminton shuttlecock Multidirection shooting machine
US4776596A (en) Golf ball having braking wing
KR101647118B1 (en) Volleyball Practice equipment
KR102384636B1 (en)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US3761087A (en) Frustrum shaped target and projectile
KR20120021465A (en) The playing appratus of shooting a ball
US20200246669A1 (en) Golf tee
US8001954B2 (en) Device to pitch practice balls
CN110730682B (en) System for discharging and collecting balls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US202002898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iciating in a game of sport
KR200459136Y1 (en) Batting device
US20240024749A1 (en) 3-dimensional golf game
WO2023054240A1 (en) Shooting practic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