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995A - 화장재 - Google Patents

화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995A
KR20200033995A KR1020207008086A KR20207008086A KR20200033995A KR 20200033995 A KR20200033995 A KR 20200033995A KR 1020207008086 A KR1020207008086 A KR 1020207008086A KR 20207008086 A KR20207008086 A KR 20207008086A KR 20200033995 A KR20200033995 A KR 2020003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smetic material
plywood
thickness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978B1 (ko
Inventor
고지 도이
마사후미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5Layered panels only of wood
    • E04F15/046Plywoo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8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woo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6Wood, e.g. woodboard, fibreboard, wood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ed Plyw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 휘어짐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는 합판의, 상기 제1층 위에 의장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1)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목질재이고,
(2) 상기 제1층의 두께는 1.0 mm 미만이고,
(3) 상기 제2층의 비중은 상기 제1층의 비중보다 크고,
(4) 상기 의장층은 총 두께가 0.20 mm 이상 0.70 mm 이하의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재 {DECORATIVE MATERIAL}
본 발명은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닥용 화장재 등의 화장재의 목질 기재로서, HDF 등의 목질층이나 나왕재가 적층된 나왕 합판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합판이란, 로터리 레이스, 슬라이서 등에 의해 절삭한 단판(單板)이라고 불리는 목재의 박판을 이용하고, 그 단판의 섬유 방향을 상호 거의 직각으로 하여 여러 장의 단판을 접착하여 적층시킨 목질판이다.
나왕재는 자원 고갈 문제 때문에 벌채가 제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나왕재의 시장에서의 유통량이 격감하고 있어, 목질 기재로서 가능한 한 나왕재를 이용하지 않는 합판(소위 탈나왕재)을 이용하여 나왕재의 사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판(탈나왕재)으로서 침엽수 합판이나 속성수를 합판의 일부 혹은 전부에 이용한 합판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탈나왕재는 경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뒤떨어지며, 또한 탈나왕재를 이용한 합판의 표면의 외관 결점이 그 합판의 표면에 의장층을 적층한 화장재에 있어서 시인(視認)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소한 합판으로서, 탈나왕재의 표면에, 경도가 있으면서 또한 표면이 평활한 목질 기재(MDF, HDF 등)을 접합시킨 합판을 바닥재에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그러나 MDF나 HDF는 탈나왕재와 비교하여 치수 변화율이 크며, 이로 인해 이들 합판을 이용한 화장재는 휘어짐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이 평활한 목질 기재를 접합시키는 대신에, 화장 시트의 이면에 경질 수지층을 마련하여 후막형으로 한 화장 시트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닥용 화장재는, 내충격성 향상 및 휘어짐 억제에 관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다. 보다 충분한 내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화장 시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으며, 온도가 변화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화장 시트와 목질 합판과의 선팽창차에 의한 수축 응력으로 화장재에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화장 시트와 목질 합판 사이에 부하가 발생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목질 합판의 일부가 갈라지고, 화장재의 표면에 외관 결점이 시인되거나 하여 의장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 휘어짐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1079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21498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083142호 공보
본 발명은 내충격성, 휘어짐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 2층을 갖는 합판의 제1층 위에 의장층을 갖는 화장재에 있어서, 제1층 및 제2층이 목질재이고, 제1층의 두께는 1.0 mm 미만이고, 제2층의 비중은 제1층의 비중보다 크고, 상기 의장층이 두께가 0.20 mm 이상 0.70 mm 이하인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인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1.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는 합판의, 상기 제1층 위에 의장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1)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목질재이고,
(2) 상기 제1층의 두께는 1.0 mm 미만이고,
(3) 상기 제2층의 비중은 상기 제1층의 비중보다 크고,
(4) 상기 의장층은 총 두께가 0.20 mm 이상 0.70 mm 이하인 합성수지제의 화장 시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2.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두께는 0.25 mm 이상 0.45 mm 이하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3.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상기 합판 측에 합성수지제 백커층을 갖는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4. 상기 합성수지제 백커층은, 마르텐스 경도가 50∼300 N/㎟인 항 3에 기재한 화장재.
5.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최표층이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6.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이 전자선 경화형 수지층인 항 5에 기재한 화장재.
7. 상기 제1층은 포플러 단판이고, 상기 제2층은 유칼립투스 단판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8. 상기 제1층은 중국산 포플러 단판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9. 상기 제1층은 활엽수 단판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10. 상기 제1층의 비중은 0.50 미만이고, 상기 제2층의 비중은 0.50 이상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11. 상기 제1층의 두께는 0.6 mm 이상 0.9 mm 이하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12.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 측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디(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층의 마디는 상기 제2층의 마디보다 적은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13. 상기 합판의 층수는 5층 또는 7층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14. 바닥용 화장재인 항 1에 기재한 화장재.
15. 항 1에 기재한 화장재의 의장층용에 이용되는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
본 발명의 화장재는 내충격성, 휘어짐 및 의장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합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합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2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마르텐스 경도의 측정에 이용하는 다이아몬드 압자(a), 압입 조작의 모식도(b) 및 압입 하중과 변위의 일례(c)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내충격 시험 평가에 있어서의 함몰량의 측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휘어짐량 평가에 있어서의 휘어짐량(d)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외관 평가에 있어서의 제1층의 응집 균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비중 측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는 합판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낸 도면, (b)는 측정 대상인 층의 두께를 얇게 한 도면이다.
도 10은 비중 측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는 합판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낸 도면, (b)는 측정 대상인 층의 위에 적층되어 있는 층을 표면에서 두께 방향으로 깎아 전부 제거한 도면, (c)는 측정 대상인 층의 두께를 얇게 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재는 의장층의 최상층(예컨대, 표면보호층이 형성되는 경우는 표면보호층)이 소위 「겉면」(시공 후에 시인되는 면)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화장재의 의장층의 최상층(표면보호층 등)이 존재하는 방향을 「위」라고 부르고, 그 반대쪽을 「안」 또는 「아래」라고 부른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합판은, 합판의 제1층 측의 면이 소위 「겉면」이며, 의장층과 적층되는 쪽의 면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합판의 제1층 측의 면의 방향을 「위」라고 부르고, 그 반대쪽을 「안」 또는 「아래」라고 부른다.
1. 화장재
본 발명의 화장재는,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는 합판의, 상기 제1층 위에 의장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1)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목질재이고, (2) 상기 제1층의 두께는 1.0 mm 미만이고, (3) 상기 제2층의 비중은 상기 제1층의 비중보다 크고, (4) 상기 의장층은 총 두께가 0.20 mm 이상 0.7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화장재는, 합판의 제1층 측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제1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제2층으로 받아냄으로써 최종적으로 합판으로서의 함몰량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이 합판의 제1층 위에 의장층을 갖는 본 발명의 화장재는,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의장층을 가짐과 더불어 우수한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재는 합판 자체가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의장층과 적층하여 화장재로 할 때에, 예컨대 1 mm 이상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백커층을 갖는 화장 시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의장층과 합판과의 선팽창률의 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휘어짐이나 균열이 억제되고 있어, 의장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합판」이란, 로터리 레이스, 슬라이서 등에 의해 절삭한 단판을 이용하고, 이 단판의 섬유 방향을 상호 거의 직각으로 하여 여러 장의 단판을 접착하여 적층시킨 목질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단판은, 3장 이상의 홀수 장을 나뭇결이 상호 직교하게 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비중」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즉, 합판을 일정한 크기, 예컨대 10×10 cm의 크기로 잘라낸다(도 9(a)). 이 때의 합판의 표면적을 S(㎠)로 한다. 상술한 10×10 cm인 경우라면, S는 100 ㎠가 된다. 잘라낸 합판을, 건조기 속에서 103±2℃의 온도 조건 하에서 72시간 방치하여 건조시킨다. 이어서, 비중을 측정하는 측정 대상인 층이 최표층에 위치하는 경우(예컨대 제1층), 건조 후의 합판의 중량 m0(g) 및 두께 h0(cm)를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 대상인 층(제1층)을 표면에서부터 두께 방향으로 깎아 측정 대상인 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측정 대상인 층의 두께를 얇게 한다(도 9(b)). 측정 대상인 층의 일부를 제거한 후의 합판의 중량 m1(g) 및 두께 h1(cm)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치로부터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인 층의 비중(G)을 측정한다.
G=[m0(g)-m1(g)]/[(h0(cm)-h1(cm))×S(㎠)] (식)
또한, 상기 식에서는 단위가 g/㎤이지만, 이 단위를 생략하고 비중으로 한다.
또한, 측정 대상인 층이 합판의 최표층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도 10(a)의 제2층(22)), 측정 대상인 층의 최표층 측에 적층되어 있는 층(예컨대 제1층)을 표면에서부터 두께 방향으로 깎아 전부 제거하여, 측정 대상인 층을 최표층으로 하고(도 10(b)),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 대상인 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측정 대상인 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10(c)), 비중을 측정하면 된다.
또한, 비중을 측정할 때는, 합판을 임의로 3개 잘라내어 상술한 방법에 의해 각각의 비중(G)을 산출하고, 그 3개의 평균치를 비중의 측정치로 한다. 또한, 비중은 마디를 제외한 부분에서 측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합판]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합판은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제1층 및 제2층은 목질재이다. 이하, 각 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층)
제1층으로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2층의 비중보다도 비중이 작으면 그 수목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층으로서는 활엽수 단판이 바람직하다. 제1층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속성수인 포플러 단판, 유칼립투스 단판, 팔카타 단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중 중에서도 비교적 비중이 높고,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하며, 마디가 적다는 점에서, 포플러 단판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포플러 단판으로서는 중국산 포플러를 이용한 포플러 단판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플러 」란, 버드나무과로 대표되는 포풀루스 니그라나 아메리카 검은사시나무, 유럽 검은사시나무 등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들의 육성종이나 종간잡종도 포함된다. 또한, 목련과의 옐로우 포플러라고 불리는 아메리칸 화이트 우드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국산 포플러」란, 이태리 포플러 또는 난대계 포플러라고 불리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중국 국내에서 육종·육림되고 있는 속성수 포플러를 의미한다.
제1층의 비중은 후술하는 제2층의 비중보다 작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층의 비중은 0.50 미만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한 하한치로서는 0.40 이상, 0.42 이상, 0.45 이상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상한치로서는 0.48 이하, 0.47 이하를 들 수 있다. 또한, 제1층의 비중의 범위로서는 0.42 이상 0.47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의 비중임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재가 보다 한층 우수한 내충격성을 보인다.
제1층의 두께는 1.0 mm 미만이다. 제1층의 두께가 1.0 mm 이상이면, 합판의 제1층 측으로부터 가해진 충격의 대부분을 제1층이 받아내게 되어, 제1층의 함몰량이 많아짐으로써 상기 함몰에 의해 외관이 저하한다. 제1층의 두께는 0.9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8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층의 두께는 0.3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6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한, 제1층과 제2층의 수축률의 차이로부터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균열을 피하기 위해서는 0.7 m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이면, 제2층의 마디나 나뭇결이나 균열, 결손 등의 경미한 요철이 화장재의 표면에서 시인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한다. 또한, 제1층의 두께 범위로서는 0.6 mm 이상 0.9 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1층은, 표면에 마디가 눈에 띄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마디를 갖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층의 표면의 마디가 눈에 띄지 않거나 혹은 마디를 갖지 않음으로써, 합판 표면의 평활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제1층은 표면에 마디를 갖는 경우라도 제2층의 마디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
제2층으로서는 비중이 제1층의 비중보다도 크면 그 수목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2층으로서는 비교적 고비중이라는 점에서 유칼립투스 단판이 바람직하다.
제2층의 비중은 제1층의 비중보다 크다. 제2층의 비중은 0.50 이상이 바람직하고, 0.5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는 0.90 이하가 바람직하고, 0.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6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60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의 비중임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재를 구성하는 합판이 보다 한층 우수한 내충격성이나 가공 시의 우수한 절삭성을 보인다. 또한, 제2층의 비중의 범위로서는 0.55 이상 0.60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2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1.0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1.3 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2층의 두께의 하한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화장재가 보다 한층 우수한 내충격성을 보인다.
제2층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디를 갖고 있어도 좋다. 합판은 상기 제1층을 갖기 때문에, 제2층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디를 갖는 경우라도, 합판의 표면에 비춰 나오는 것이 억제되어, 화장재의 표면에 비춰 나오는 것도 억제된다.
합판의 층 구성은, 적어도 제1층 및 제2층을 갖고 있고, 합판용 원목을 얇게 깎은 박판인 단판이 몇 장 접합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합판에 있어서는, 상기 단판은 홀수 장을 나뭇결이 상호 직교하게 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합판은,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고 있으면, 다른 목질층을 갖는 층 구성이라도 좋다. 이러한 층 구성으로서는, 제1층을 최표면으로 하고, 상기 제1층의 아래에 제2층이 적층되며, 나아가서는 그 아래에 다른 목질층이 적층되어, 홀수의 목질층을 갖는 층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층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도 1의 합판(1)과 같이,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11)/제2층(12)/제3층(13)/제4층(14)/제5층(15)을 갖는 합판, 도 2의 합판(2)과 같이,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21)/제2층(22)/제3층(23)/제4층(24)/제5층(25)/제6층(26)/제7층(27)을 갖는 합판을 들 수 있다. 합판의 목질층의 수는 5층 또는 7층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 층이라도 좋지만, 3∼9층이 바람직하고, 5∼7층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합판 및 화장재의 휘어짐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합판의 목질층의 수는 홀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의 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내장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시공 용이성을 고려하면, 5.0 mm 이상 30.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하한치로서는 5.5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5 mm 이상, 9.0 m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는 15.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9.0 mm 이상 12.5 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한 두께이며, 이 경우, 상기 목질층의 층수는 5∼7층이 바람직하고, 특히 7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15 mm 전후의 두께인 경우에는 9층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거실이나 복도 등의 마루재와 같은 일반적인 목질 마루재의 두께는 통상 약 8 mm, 약 12 mm, 약 15 mm 등이다. 또한, 후술하는 의장층을 적층하는 경우, 그 의장층을 포함하여 전체의 층 두께로 약 8 mm, 약 12 mm, 약 15 mm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도 1의 합판(1)에 있어서, 소위 페이스라고 불리는 표면의 제1층(11)과 소위 백이라고 불리는 이면의 제5층(15)으로서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한다. 제2층(12)부터 제4층(14)으로서는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하여도 좋고, 제3층(13)을 제1층(11), 제5층(15)과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2층(12) 및 제4층(14)은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 1의 합판의 구체적인 층 구성을 예시하면, 위에서부터 순차로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을 갖는 층 구성이나,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을 갖는 층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 2의 합판(2)에 있어서, 소위 페이스라고 불리는 표면의 제1층(21)과 소위 백이라고 불리는 이면의 제7층(27)으로서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한다. 제2층(22)부터 제6층(26)으로서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하여도 좋지만, 제1층(21), 제3층(23), 제5층(25) 및 제7층(27)으로서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층(22), 제4층(24) 및 제6층(26)은 동일한 종류의 수목의 단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 2의 합판의 구체적인 층 구성으로서는, 위에서부터 순차로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을 갖는 층 구성이나,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을 갖는 층 구성,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을 갖는 층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의장층]
본 발명의 화장재는 상기 합판의 제1층 위에 의장층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재는, 제1층의, 제2층이 적층되는 측과 반대쪽의 면에 의장층이 적층되어 있다.
도 3에 상기 화장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2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화장재는, 합판(2)의 제1층(21) 위에 의장층(5)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화장재는, 합판에 돌기(알갱이)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지면 상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인 수돌기(A) 및 지면 하측에 형성된 오목부인 암돌기(B)를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화장재는, 돌기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수돌기(A)와 암돌기(B)를 감합시켜 돌기 조합 시공을 할 수 있게 되어, 바닥용 화장재로서 보다 한층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의장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의장층은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층이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화장 시트이고,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것과 같이, 표면보호층 등의 일부의 층에 합성수지 이외의 무기 충전제, 유기물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의장층의 총 두께는 0.20 mm 이상이다. 의장층의 총 두께가 0.20 mm 미만이면, 화장재가 내충격성이 뒤떨어진다. 의장층의 총 두께는 0.2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30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의장층의 총 두께의 하한이 상기 범위이면 화장재의 내충격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의장층의 총 두께는 0.70 mm 이하 이다. 의장층의 총 두께가 0.70 mm를 넘으면 화장재에 휘어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의장층의 총 두께는 0.6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4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의장층의 총 두께의 상한이 상기 범위이면 화장재의 휘어짐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0.25 mm 이상 0.45 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의장층은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이다. 의장층으로서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재가 우수한 내충격성을 보일 수 있고, 내후성, 내수성도 우수하다. 이하,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구성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기재 시트, 디자인층(솔리드 잉크층·패턴 잉크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표면보호층을 순차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시트, 디자인층(솔리드 잉크층·패턴 잉크층) 및 표면보호층을 순차로 갖는 것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도 4(a)의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6(a)) 및 도 4(b)의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6(b))와 같이, 합성수지제 백커층(611) 위에 기재 시트(612), 디자인층(솔리드 잉크층·패턴 잉크층)(613), 투명성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 투명성 수지층(614) 및 표면보호층(615)을 순차로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이 의장층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합성수지제 백커층이란, 의장층의 이면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목질 기재 등의 표면 요철의 영향을 완화함과 더불어 의장층 자체에 내충격 성능을 부여하는 합성수지제의 층이며, 의장층의 일부를 구성한다.
(기재 시트)
기재 시트로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등의 합성수지제 시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기재 시트의 두께는 20∼3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는 필요에 따라서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고, 인접하는 층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도료인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디자인층)
디자인층은 패턴 잉크층 및/또는 솔리드 잉크층으로 구성된다. 디자인층은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패턴 잉크층의 모양은, 예컨대 나뭇결 모양, 돌결 모양, 옷감결 모양, 가죽무늬 모양, 기하학 모양, 문자, 기호, 선화, 각종 추상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솔리드 잉크층은 착색 잉크의 솔리드 인쇄에 의해 얻어진다. 디자인층은 패턴 잉크층 및 솔리드 잉크층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구성된다.
디자인층에 이용하는 잉크로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등의 염소화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하고, 이것에 안료, 용제, 각종 보조제 등을 첨가하여 잉크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환경 문제, 피인쇄면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접착제층은 필요에 따라서 디자인층과 투명성 수지층의 사이에 마련된다. 투명성 접착제층은, 예컨대,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 등의 공지된 드라이 라미네이션용 접착제를 도포·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투명성 접착제층은 건조 후의 두께가 0.1∼30 ㎛ 정도가 바람직하고, 1∼5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성의 수지층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투명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질, 반경질 또는 경질의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은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는 열가소성 수지에 착색제를 첨가하면 된다. 착색제로서는 디자인층에서 이용하는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성 수지층에는,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화제, 라디칼 포착제, 연질 성분(예컨대 고무)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표면보호층)
표면보호층(투명성 표면보호층)은, 의장층에 요구되는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 등의 표면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이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열 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높은 표면 경도,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후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전자선 경화형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열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한다),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가교제, 중합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촉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유기 술폰산염 등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등에 첨가할 수 있고, 유기 아민 등을 에폭시 수지에 첨가할 수 있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아조이소부틸니트릴 등의 라디칼개시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열 경화형 수지로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열 경화형 수지의 용액을 롤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등의 도포법으로 도포하여, 건조·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액의 도포량으로서는 고형분으로 대략 5∼50 ㎛, 바람직하게는 5∼40 ㎛ 정도이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전리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중합 반응을 생기게 하여, 3차원의 고분자 구조로 변화되는 수지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리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가능한 중합성 불포화 결합 또는 에폭시기를 분자 중에 갖는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모노머의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록산 등의 규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으로서는 자외선(근자외선, 진공자외선 등), 엑스선, 전자선, 이온선 등이 있지만, 이 중에서도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전자선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원으로서는 초고압수은등, 고압수은등, 저압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형광등, 메탈할라이드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파장으로서는 190∼380 nm 정도이다.
전자선원으로서는, 예컨대, 콕크로프트-월튼형, 반데그라프형, 공진변압기형, 절연코어변압기형,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의 에너지로서는 100∼1000 keV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300 keV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2∼15 M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전자선을 조사하면 충분히 경화하지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광중합개시제(증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인 경우의 광중합개시제는, 예컨대,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힐러케톤, 디페닐설파이드, 디벤질디설파이드, 디에틸옥사이드,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계인 경우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프릴옥시술폭소늄디알릴요오도실염 등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10 질량부 정도이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용액을 그라비아코트법, 롤코트법 등의 도포법으로 도포하면 된다. 용액의 도포량으로서는 고형분으로서 대략 5∼50 ㎛, 바람직하게는 5∼40 ㎛ 정도이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표면보호층에 내찰상성, 내마모성을 더욱 부여하는 경우에는, 무기 충전재를 배합하면 된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예컨대, 분말형의 산화알루미늄, 탄화규소, 이산화규소, 티탄산칼슘, 티탄산바륨, 마그네슘피로보레이트, 산화아연, 질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크롬, 산화철, 질화붕소, 다이아몬드, 에머리,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재의 첨가량으로서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80 질량부 정도이다.
(합성수지제 백커층)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6(a) 및 6(b))의 최하층, 즉 의장층의 합판 측에 합성수지제 백커층(61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재의 내충격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열성이 높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디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소위 상품명 PET-G(이스트만케미컬캄파니 제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에스테르(A-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AB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20∼350 N/㎟가 바람직하고, 50∼300 N/㎟가 보다 바람직하고, 50∼250 N/㎟가 더욱 바람직하고, 75∼250 N/㎟가 특히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재의 내충격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마르텐스 경도의 상한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발명 화장재의 합판의 응집 균열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르텐스 경도는 표면 피막 물성 시험기(PICODENTOR HM-500, 가부시키가이샤피셔인스트로먼츠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측정 방법에서는, 도 5(a)에 도시되는 다이아몬드 압자(비커스 압자)를 이용하여,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측정 시료에 다이아몬드 압자를 압입하여, 표면에 생긴 피라미드형의 오목부(h)의 대각선의 길이로부터 그 표면적 A(㎟)을 계산하고, 시험 하중 F(N)을 나눔으로써 경도를 구한다.
압입 조건은, 실온(실험실 환경 온도)에 있어서, 도 5(c)에 도시되는 이미지도와 같이, 우선 0∼5 mN까지의 부하를 10초 동안에 가하고, 이어서 5 mN의 부하로 5초 동안 유지하고, 마지막으로 5∼0 mN까지의 제하(除荷)를 10초 동안에 행한다. 그리고, 표면적 A, 시험 하중 F에 기초하여 F/A에 의해 구해지는 경도가 상기 마르텐스 경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합성수지제 백커층 이외의 층의 경도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단면의 마르텐스 경도를 측정했다. 이 때,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수지(냉간 경화 타입의 에폭시 2액 경화 수지)로 포매하고, 실온에서 24시간 이상 방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포매 샘플을 기계 연마하여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단면을 노출시키고, 이 단면에 다이아몬드 압자를 압입함으로써 단면의 마르텐스 경도를 측정했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1) 복수의 수지 성분을 혼합하거나, 2) 수지에 엘라스토머를 첨가하거나 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두께는 0.10∼0.60 mm가 바람직하고, 하한치로서는 0.13 이상, 0.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치로서는 0.45 이하, 0.30 이하, 0.25 이하, 0.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제 백커층 두께의 하한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재의 내충격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합성수지제 백커층 두께의 상한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재의 휘어짐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여기서, 0.13∼0.25가 특히 바람직한 범위이다.
각 층의 적층은, 예컨대, 기재 시트의 한쪽의 면에 디자인층(솔리드 잉크층, 패턴 잉크층)을 인쇄에 의해 형성한 후, 디자인층 위에 T다이 압출법 등으로 투명성 수지를 적층하거나, 혹은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 등의 공지된 드라이 라미네이션용 접착제를 통해 투명성 수지층을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하고, 또한 표면보호층을 형성하여 의장층 중간체를 제작하고, T다이 압출법 등으로 제작한 합성수지층 백커층과, 의장층 중간체를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에는, 투명성 수지층 측이나 표면보호층 측에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요철 모양을 형성하여도 좋다. 요철 모양은 가열 프레스, 헤어라인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요철 모양으로서는, 도관 홈, 석판 표면 요철, 옷감 표면 텍스쳐, 사틴, 페블링, 헤어라인, 만선조(万線條) 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상술한 구성이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휘어짐, 및 합판 표면의 외관 결점이 의장층 표면에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어, 의장성이 우수하다.
2. 화장재의 제조 방법
화장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합판의 제1층 위에 의장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합판의 제1층 위에 의장층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제층을 통해 이들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우레탄, 아크릴, 우레탄·아크릴,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고무 등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용성 에멀젼계나 용제계, PUR로 예시되는 반응성 핫멜트계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작업 용이성의 점에서 수용성 에멀젼계 접착제, 반응성 핫멜트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적층 공정 후의 외관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반응성 핫멜트계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1액형 경화, 2액형 경화, 열 경화, 습기 경화, 전자선이나 자외선 등의 전리방사선 경화를 들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0.1∼50 ㎛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공정에 의해, 합판의 제1층 위에 의장층이 적층되어, 화장재가 제조된다.
(합판의 제조 방법)
또한, 화장재에 이용되는 합판은 예컨대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는 합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을 적층하는 공정 1 및
(II) 상기 공정 1 후에, 상기 제1층의 표면을 연마하고, 상기 제1층의 두께를 1.0 mm 미만으로 조정하는 공정 2를 가지고,
(1)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목질재이고,
(2) 상기 제1층의 두께는 1.0 mm 미만이고,
(3) 상기 제2층의 비중은 상기 제1층의 비중보다 큰 합판의 제조 방법.
상기 합판의 제조 방법을 제조 방법 1이라고 부른다. 이하, 상기 제조 방법 1에 관해서 설명한다.
(공정 1)
공정 1은 제1층과 제2층을 적층하는 공정이다.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 그리고 이들의 두께, 비중에 관해서는 상술한 합판에 있어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제1층과 제2층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층과 제2층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적층하고, 다단식 핫프레스기 등의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0.69∼1.18 MPa 정도, 온도 100∼130℃ 정도의 조건으로 3∼7분 정도의 열압 프레스를 행하여 적층하면 된다.
합판이,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층 및 제2층, 그리고 그 이외의 목질층을 갖는 경우, 각 층의 층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적층하고, 상기 열압 프레스에 의해 적층하면 된다. 이 때, 각 층간에 이용한 접착제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한다. 또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은 위에서 설명한 합판을 형성하는 제1층∼제7층 등의 층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목공용 접착제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고무 등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열경화형 접착제로서 멜라민계, 페놀계, 요소계(아세트산비닐-요소계 등) 등의 접착제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공정 1에 의해, 제1층과 제2층, 그리고 그 이외의 목질층이 적층된다.
(공정 2)
공정 2는, 공정 1 후에 제1층의 표면을 연마하여, 제1층의 두께를 1.0 mm 미만으로 조정하는 공정이다. 공정 1에 의해 제1층과 제2층을 적층한 후에 공정 2에 의해 제1층의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제1층의 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제1층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샌딩 벨트, 플레이너, 버프,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연마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마 후의 제1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샌딩 벨트를 이용한 연마 방법이 바람직하다.
공정 2에서는, 연마 후의 제1층의 두께가 1.0 mm 미만이면 되고, 연마 전의 제1층의 두께는 1.0 mm 이상이라도 좋다. 연마 전의 제1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0.8∼1.3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2에서는, 제1층의 표면을 연마함과 더불어, 제작한 합판의 제1층이 적층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쪽 면의 목질층도 연마하여 두께를 조정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합판(1)이 제1층(11)의 반대쪽의 면에 제5층(15)을 갖는 경우는, 제1층(11)의 표면을 연마함과 더불어 제5층(15)의 표면도 연마하여도 좋다. 또한 도 2와 같이, 합판(2)이 제1층(21)의 반대쪽의 면에 제7층(27)을 갖는 경우는, 제1층(21)의 표면을 연마함과 더불어 제7층(27) 표면 전체의 두께 조정 등으로서 연마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공정 2에 의해 제1층의 두께가 1.0 mm 미만으로 조정된다.
또한, 화장재에 이용되는 합판은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는 합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상기 제1층으로서 기건 비중 0.40 이상 0.47 이하의 포플러 단판 및 상기 제2층으로서 기건 비중 0.50 이상 0.90 이하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하는 공정 1,
(II)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을 적층하는 공정 2 및
(III) 상기 공정 2 후에, 상기 제1층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제1층의 두께를 1.0 mm 미만으로 조정하는 공정 3을 갖는 합판의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을 제조 방법 2이라고 부른다.
제조 방법 2에 있어서의 공정 1은, 제1층으로서 기건 비중 0.40 이상 0.47 이하의 포플러 단판 및 제2층으로서 기건 비중 0.50 이상 0.90 이하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제조 방법 2에서는, 기건 비중이 상기 범위인 제1층 및 제2층을 준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공정 2에 제공한다.
제조 방법 2에 있어서의 공정 2 및 3은, 상기 공정 1에 의해 준비한, 기건 비중이 상기 범위인 제1층 및 제2층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제조 방법 1에 있어서의 공정 1 및 2와 동일하다. 제조 방법 2에서는, 제1층에 기건 비중 0.40 이상 0.47 이하의 포플러 단판을 이용하고, 제2층에 기건 비중 0.50 이상 0.90 이하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건 비중이란, 기건 상태에 있어서의 목재의 중량을 그 용적으로 나눠 산출되는 비중을 의미하고 있으며, 기건 상태란, 함수율이 15%일 때의 목재의 상태이다.
이상 설명한 제조 방법 2에 의해 본 발명의 화장재에 이용되는 합판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있어서, 제작한 합판으로부터 각 층의 비중을 측정한 바, 다음과 같았다.
포플러 단판: 0.43
유칼립투스 단판: 0.55
실시예 1
(합판의 제작)
제1층으로서 포플러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1.3 mm, 비중 0.43의 포플러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2층으로서 유칼립투스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2.7 mm, 비중 0.55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3층, 제5층, 제7층으로서 상기 제1층과 같은 포플러 단판을 준비하고, 제4층, 제6층으로서 상기 제2층과 같은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준비한 포플러 단판 및 유칼립투스 단판을, 인접하는 목질층의 나뭇결 방향이 직교하게 하여, 요소계 접착제를 통해 제1층에서부터 제7층까지 위에서부터 순차로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의 층 구성이 되도록 적층하여, 목질층의 적층체를 조제했다.
상기 목질층의 적층체를, 다단식 핫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0.78 MPa, 온도 110℃의 조건으로 5분간 열압 프레스하여 각 층을 접합시켰다. 열압 프레스에 의해, 포플러 단판의 두께는 1.2 mm, 유칼립투스 단판의 두께는 2.5 mm가 되고, 적층체의 총 두께는 12.3 mm였다.
제1층의 두께가 0.9 mm, 합판의 총 두께가 11.5 mm가 되도록 제1층 및 제7층을 샌딩 연마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6층까지의 각각의 두께는 0.9 mm/2.5 mm/1.2 mm/2.5 mm/1.2 mm/2.5 mm이고, 제7층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가 11.5 mm인 합판을 제작했다.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제작)
양면 코로나 방전 처리한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의 면에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우레탄 및 니트로셀룰로오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 도공법에 의해 이면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이면 프라이머층은 1 ㎛였다.
이어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한 것)를 바인더로 하는 인쇄 잉크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솔리드 잉크층 및 패턴 잉크층을 순차로 형성하고, 나뭇결 및 추상적 모양의 잉크층을 형성했다. 잉크층은 3 ㎛였다.
이어서, 우레탄계 접착제를 디자인층 위에 도공한 후, 그 위에서 프로필렌계 수지를 두께 80 ㎛가 되도록 T다이 압출기로 가열 용융 압출하여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했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그 처리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 도공법에 의해 도공하여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은 1 ㎛였다.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 위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롤코트법으로 도공하여, 건조한 후, 미경화의 전자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에 산소 농도 200 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 전압 175 KeV, 조사량 5 Mrad)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전자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보호층을 형성했다. 표면보호층은 15 ㎛였다.
이어서, 표면보호층 측에서 판 깊이 50 ㎛의 나뭇결 도관형 엠보스판 또는 나무껍질·추상적 톤의 엠보스판으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나뭇결 도관형 또는 나무껍질·추상적 톤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여, 두께가 0.16 mm인 의장층 중간체를 얻었다.
A-PET(비정질 폴리에스테르)를 T다이 압출기로 공압출법에 의해 합성수지 시트(합성수지제 백커층)을 제막했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두께는 0.25 mm이고, 마르텐스 경도는 150 N/㎟였다.
의장층 중간체의 이면 프라이머층에 추가로 우레탄계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합성수지제 백커층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적층하여, 의장층인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제작했다.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두께는 0.41 mm였다. 이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화장 시트 (1)로 한다.
(화장재의 제작)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합성수지제 백커층 측의 면과 합판의 제1층 측의 면을, 반응성 핫멜트계(PUR) 접착제(두께 50 ㎛)를 통해 접합시키고, 소정 치수(145 mm×900 mm)로 재단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2
합판의 제1층 및 제2층의 수목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과 같이 함과 더불어 제3층 내지 제7층으로서 실시예 1과 같은 단판을 적층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7층까지의 각각의 층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적층함과 더불어 두께 조정을 하여, 포플러 단판 0.8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로 하고, 제7층으로서의 포플러 단판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를 11.5 mm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3
합판의 제1층 및 제2층의 수목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과 같이 함과 더불어 제3층 내지 제7층으로서 실시예 1과 같은 단판을 적층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7층까지의 각각의 층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적층함과 더불어 두께 조정을 하여, 포플러 단판 0.6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로 하고, 제7층으로서의 포플러 단판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를 11.5 mm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4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를 60 ㎛,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두께를 0.20 mm로 변경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작성했다. 이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화장 시트 (2)로 한다. 화장 시트 (1) 대신에, 화장 시트 (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5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를 60 ㎛,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합성수지 시트(합성수지제 백커층)를 형성하는 수지를 폴리프로필렌 수지(PP)로 변경했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두께는 0.13 mm이고, 마르텐스 경도는 160 N/㎟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작성했다. 이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화장 시트 (3)으로 한다. 화장 시트 (1) 대신에, 화장 시트 (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6
제1층으로서 포플러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1.3 mm, 비중 0.43의 포플러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2층으로서 유칼립투스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2.2 mm, 비중 0.55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7층으로서 상기 제1층과 같은 포플러 단판을 준비하고, 제3층 내지 제6층으로서 상기 제2층과 같은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준비한 포플러 단판 및 유칼립투스 단판을, 인접하는 목질층의 나뭇결 방향이 직교하게 하여, 요소계 접착제를 통해 제1층에서부터 제7층까지 위에서부터 순차로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의 층 구성이 되도록 적층하여, 목질층의 적층체를 조제했다.
상기 목질층의 적층체를, 다단식 핫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0.78 MPa, 온도 110℃의 조건으로 5분간 열압 프레스하여 각 층을 접합시켰다. 열압 프레스에 의해, 포플러 단판의 두께는 1.2 mm, 유칼립투스 단판의 두께는 2.0 mm가 되고, 적층체의 총 두께는 12.4 mm였다.
제1층의 두께가 0.8 mm, 합판의 총 두께가 11.5 mm가 되도록 제1층 및 제7층을 샌딩 연마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6층까지의 각각의 두께는 0.8 mm/2.0 mm/2.0 mm/2.0 mm/2.0 mm/2.0 mm이고, 제7층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가 11.5 mm인 합판을 제작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7
(합판의 제작)
합판의 제1층으로서 포플러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1.4 mm, 비중 0.43의 포플러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2층으로서 유칼립투스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2.7 mm, 비중 0.55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3층, 제5층, 제7층으로서 상기 제1층과 같은 포플러 단판을 준비하고, 제4층, 제6층으로서 상기 제2층과 같은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준비한 포플러 단판 및 유칼립투스 단판을, 인접하는 목질층의 나뭇결 방향이 직교하게 하여, 요소계 접착제를 통해 제1층에서부터 제7층까지 위에서부터 순차로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의 층 구성이 되도록 적층하여, 목질층의 적층체를 조제했다.
상기 목질층의 적층체를, 다단식 핫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0.78 MPa, 온도 110℃의 조건으로 5분간 열압 프레스하여 각 층을 접합시켰다. 열압 프레스에 의해, 포플러 단판의 두께는 1.3 mm, 유칼립투스 단판의 두께는 2.5 mm가 되고, 적층체의 총 두께는 12.7 mm였다.
합판의 제1층 및 제2층의 수목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과 같이 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7층까지의 각각의 층을, 포플러 단판 0.3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3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3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로 하고, 제7층으로서의 포플러 단판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를 11.5 mm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8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합성수지 시트(합성수지제 백커층)를 형성하는 수지를 폴리프로필렌 수지(PP)로 변경했다. 합성수지제 백커층의 두께는 0.25 mm이고, 마르텐스 경도는 160 N/㎟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의장층인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작성했다. 이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를 화장 시트 (4)로 한다.
화장 시트 (1) 대신에 화장 시트 (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9
합판의 제1층으로서 포플러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3.5 mm, 비중 0.43의 포플러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2층으로서 유칼립투스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3.5 mm, 비중 0.55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3층, 제5층으로서 상기 제1층과 같은 포플러 단판을 준비하고, 제4층으로서 상기 제2층과 같은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준비한 포플러 단판 및 유칼립투스 단판을, 인접하는 목질층의 나뭇결 방향이 직교하게 하여, 요소계 접착제를 통해 제1층에서부터 제5층까지 위에서부터 순차로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의 층 구성이 되도록 적층하여, 목질층의 적층체를 조제했다.
상기 목질층의 적층체를, 다단식 핫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0.78 MPa, 온도 110℃의 조건으로 5분간 열압 프레스하여 각 층을 접합시켰다. 열압 프레스에 의해, 포플러 단판의 두께는 3.2 mm, 유칼립투스 단판의 두께는 3.2 mm가 되고, 적층체의 총 두께는 16.0 mm였다.
합판의 층수를 5층으로 하여, 제1층 및 제2층의 수목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과 같이 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5층까지의 각각의 층을, 포플러 단판 0.9 mm/유칼립투스 단판 3.2 mm/포플러 단판 3.2 mm/유칼립투스 단판 3.2 mm로 하고, 제5층으로서의 포플러 단판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를 11.5 mm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10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합성수지제 백커층 측의 면과 합판의 제1층 측의 면을 접합시킬 때에 이용한 접착제를 수용성 에멀젼계 접착제로 변경하고, 도포 두께를 35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수용성 에멀젼계 접착제는 다음의 것을 이용했다.
수용성 에멀젼계 접착제
주요제: 「BA-10L」 재팬코팅레진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경화제: 「BA-11B」 재팬코팅레진가부시키가이샤제조, 이소시아네이트계
배합비: 주요제:경화제=100:2.5(질량비)
실시예 11
제1층 및 제2층의 수목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과 같이 함과 더불어, 제3층 내지 제7층으로서 실시예 1과 같은 단판을 적층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7층까지의 각각의 층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적층함과 더불어 두께 조정을 하여, 팔카타 단판 0.6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로 하고, 제7층으로서의 포플러 단판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를 11.5 mm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12
제1층으로서 포플러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1.3 mm, 비중 0.43의 포플러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2층으로서 유칼립투스를 슬라이스함으로써 두께 2.1 mm, 비중 0.55의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또한, 제9층으로서 상기 제1층과 같은 포플러 단판을 준비하고, 제3층 내지 제8층으로서 상기 제2층과 같은 유칼립투스 단판을 준비했다. 준비한 포플러 단판 및 유칼립투스 단판을, 인접하는 목질층의 나뭇결 방향이 직교하게 하여, 요소계 접착제를 통해 제1층에서부터 제9층까지 위에서부터 순차로 포플러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유칼립투스 단판/포플러 단판의 층 구성이 되도록 적층하여, 목질층의 적층체를 조제했다.
상기 목질층의 적층체를, 다단식 핫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0.78 MPa, 온도 110℃의 조건으로 5분간 열압 프레스하여 각 층을 접합시켰다. 열압 프레스에 의해, 포플러 단판의 두께는 1.2 mm, 유칼립투스 단판의 두께는 1.9 mm가 되고, 적층체의 총 두께는 15.7 mm였다.
제1층의 두께가 0.6 mm, 합판의 총 두께가 14.5 mm가 되도록 제1층 및 제9층을 샌딩 연마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8층까지의 각각의 두께는 0.6 mm/1.9 mm/1.9 mm/1.9 mm/1.9 mm/1.9 mm/1.9 mm/1.9 mm이고, 제9층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가 14.5 mm인 합판을 제작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비교예 1
(합판의 제작)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합판을 제작했다.
(화장재의 제작)
의장층으로서 두께 0.20 mm의 졸참나무재의 베니어를 준비했다. 베니어와 합판의 제1층 측의 면을, 열경화형 아세트산비닐·요소계 접착제를 통해 접합시켰다.
이어서, 베니어의 표면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형 도료(「오렉스 No.811」, 주고쿠도료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내츄럴 롤코트법, 리버스 롤코트법, 내츄럴 롤코트법의 순으로 세 번 도포하여 10 g/㎡의 도포막으로 이루어지는 하도층을 형성했다. 즉시 공기 중에서 유전극(有電極) 자외선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도층을 경화시켰다.
이어서, 경화된 하도층 위에 내츄럴 롤코트법으로 12 g/㎡의 도포막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형성했다. 즉시 공기 중에서 유전극 자외선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간층을 경화시켰다. 경화된 중간층 표면을 360번 연마지로 연마함과 더불어, 연마 시에 발생한 가루를 제거했다.
이어서, 경화된 중간층 표면에, 내츄럴 롤코트법으로 10 g/㎡의 도포막으로 이루어지는 상도층을 형성했다. 산소 농도가 0.5%인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무전극(無電極) 자외선램프로 상도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표면보호층을 형성했다. 소정의 치수(145 mm×900 mm)로 재단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표면보호층의 두께는 30 ㎛였다.
비교예 2
제1층 및 제2층의 수목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와 같이 함과 더불어, 제3층 내지 제7층으로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단판을 적층했다. 즉, 제1층에서부터 제7의 목질층까지의 각각의 층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적층함과 더불어 두께 조정을 하여, 포플러 단판 1.2 mm/포플러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포플러 단판 1.2 mm/유칼립투스 단판 2.5 mm로 하고, 제7층으로서의 포플러 단판을 샌딩 연마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합판의 총 두께를 11.5 mm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장재를 제작했다.
(평가)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제작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재에 관해서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1) 내충격 시험(듀퐁 충격 시험)
「JISK5600-5-3(1999) 도료 일반 시험 방법, 도막의 기계적 성질-제3절: 추 낙하에 대한 내성, 듀퐁식」에 기재된 듀퐁 충격 시험에 따라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장재의 표면 위에, 반경 6.35 mm의 반구형의 선단을 가진 슈팅 몰드를 정치시키고, 이 슈팅 몰드 위에 500 g의 추를 높이 300 mm에서 낙하시켰다. 함몰량을,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여 측정기(가부시키가이샤오자키세이사쿠쇼 T2-127)로 측정했다.
(2) 한열(寒熱) 반복 시험
폭 145 mm, 길이 300 mm의 화장재를 준비하고, 하지 상에 정치하여 「80℃에서 2시간 방치한 후, -20℃에서 2시간 방치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여, 이 사이클을 10 사이클 반복했다. 이어서, 이하의 수순으로 휘어짐량 평가와 외관 평가를 했다.
또한, 화장재로서 상기한 크기인 것을 준비할 수 없는 경우는 최대한 평면에서 봤을 때에 비슷한 형상의 화장재를 이용하고, 그 화장재의 크기로 하기 평가 기준을 보정 계산하여 평가를 하는 것으로 한다.
(i) 휘어짐량 평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화장재 길이의 중간점 부근(150 mm)의 휘어짐의 최대량을 측정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도 7(a)은, 하지(3)와, 합판(4) 상에 의장층(5)을 갖는 화장재의 시험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 및 도 7(c)은, 한열 반복 시험 후의 하지(3) 및 화장재를 도시하고 있으며, d가 휘어짐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7(c)의 상태로 휜 경우, 도 7(d)과 같이, 화장재를 하지(3) 위에 상하를 반전시켜 다시 놓고서, 휘어짐량(d)을 측정하면 된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 B 이상의 평가라면 실사용에 있어서 문제없다고 평가된다.
A: 0.6 mm 미만
B: 0.6 mm 이상 1 mm 미만
C: 1 mm 이상
(ii) 외관 평가
화장재 표면의, 합판에 기인하는 외관 불량(제2층의 마디가 비춰 나옴, 제1층의 응집 균열)의 발생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또한, 제1층의 응집 균열은,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합판(1)의 제1층(11) 위에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6)를 갖는 화장재에 있어서, 제1층(11)의 단부에 발생하는 균열(111)이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 B 이상의 평가라면 실사용에 있어서 문제없다고 평가할 수 있다.
A: 외관 불량을 확인할 수 없다
B: 외관 불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경미하다
C: 외관 불량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3) 내후성 시험
실시예 1, 11 및 비교예 1의 화장재에 관해서, 선샤인 웨더미터: WEL-300(스가시켄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화장재의 의장층 측에서 선샤인 카본아크광을 1000시간 조사했을 때의 외관 상태를 눈으로 보아 평가했다. 또한 단계 1→단계 2의 1 사이클을 2시간으로 하고, 1 사이클 후에는 2번째 사이클의 단계 1로 하여 반복 시험을 행했다.
<단계 1>
·블랙 패널 온도: 63℃, 습도: 50%
·운전 시간: 1시간 42분
<단계 2>
·조 내부 온도: 40℃, 습도: 90%
·운전 시간: 18분
(4) 적층 후의 외관 평가
표 1에 기재한 접착제를 통해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와 합판의 제1층 측의 면을 접합시켰을 때의 외관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또한,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합성수지제 백커층 측의 면과 합판의 제1층 측의 면을 접합시켰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 B 이상의 평가라면 실사용에 있어서 문제없다고 평가할 수 있다.
A: 외관 결점이 보이지 않고, 외관이 양호하다
B: 합판 엇결 등의 합판 결점이 주의해서 보면 알 수 있지만 눈에 띄지 않는다
C: 합판 엇결 등의 합판 결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5) 연필 경도 시험
각 화장재의 내상 성능 평가를 연필 경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행했다. 시험기가 수평 위치일 때에 연필 끝에 대하여 750 g의 하중을 부여하도록 시험기를 설정한 것 이외에는 JIS K5600-5-4(1999)에 준거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심 경도가 부드러운 것부터 순차로 HB, H의 심을 갖는 연필을 사용하여 시험을 행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 B 이상의 평가라면 실사용에 있어서 문제없다고 평가할 수 있다.
A: H 경도의 심을 갖는 연필로 시험을 하여도 상처가 발생하지 않는다
B: HB 경도의 심을 갖는 연필로 시험을 하여도 상처가 발생하지 않지만, H 경도의 심을 갖는 연필로 시험을 하면 상처가 발생한다
C: HB 경도의 심을 갖는 연필로 시험을 하면 상처가 발생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참고예 1
실시예 1에서 이용한 합판과 동일한 합판을 제작하여 참고예 1의 합판으로 했다.
참고예 2
실시예 2에서 이용한 합판과 동일한 합판을 제작하여 참고예 2의 합판으로 했다.
참고예 3
실시예 3에서 이용한 합판과 동일한 합판을 제작하여 참고예 3의 합판으로 했다.
참고예 4
실시예 7에서 이용한 합판과 동일한 합판을 제작하여 참고예 4의 합판으로 했다.
참고예 5
비교예 2에서 이용한 합판과 동일한 합판을 제작하여 참고예 5의 합판으로 했다.
참고예 6
실시예 9에서 이용한 합판과 동일한 합판을 제작하여 참고예 6의 합판으로 했다.
참고예 7
실시예 11에서 이용한 합판과 동일한 합판을 제작하여 참고예 7의 합판으로 했다.
(평가)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제작된 참고예의 합판에 관해서 상술한 내충격 시험(듀퐁 충격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1, 2, 4: 합판, 11, 21: 제1층, 12, 22: 제2층, 13, 23: 제3층, 14, 24: 제4층, 15, 25: 제5층, 111: 균열, 211: 두께를 얇게 한 제1층, 221: 두께를 얇게 한 제2층, 26: 제6층, 27: 제7층, 3: 하지, 5: 의장층, 6, 6(a), 6(b):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 611: 합성수지제 백커층, 612: 기재 시트, 613: 디자인층, 614: 투명성 수지층, 615: 표면보호층, d: 휘어짐량, h: 피라미드형 오목부, m: 측정기, A: 수돌기, B: 암돌기

Claims (14)

  1. 적어도 위에서부터 순차로 제1층 및 제2층을 갖는 합판의, 상기 제1층 위에 의장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1)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목질재이고,
    (2) 상기 제1층의 두께는 1.0 mm 미만이고,
    (3) 상기 제2층의 비중은 상기 제1층의 비중보다 크고,
    (4) 상기 의장층은 총 두께가 0.20 mm 이상 0.70 mm 이하의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의 두께는 0.25 mm 이상 0.45 mm 이하인 화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상기 합판 측에 합성수지제 백커층을 갖는 것인 화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백커층은 마르텐스 경도가 50∼300 N/㎟인 화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최표층이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인 화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화장 시트는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이 전자선 경화형 수지층인 화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포플러 단판이고, 상기 제2층은 유칼립투스 단판인 화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중국산 포플러 단판인 화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활엽수 단판인 화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비중은 0.50 미만이고, 상기 제2층의 비중은 0.50 이상인 화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0.6 mm 이상 0.9 mm 이하인 화장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 측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디를 갖고 있고, 상기 제1층의 마디는 상기 제2층의 마디보다 적은 화장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의 층수는 5층 또는 7층인 화장재.
  14. 제1항에 있어서, 바닥용 화장재인 화장재.
KR1020207008086A 2017-06-07 2018-06-07 화장재 KR102270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3052 2017-06-07
JP2017113052 2017-06-07
PCT/JP2018/021954 WO2018225844A1 (ja) 2017-06-07 2018-06-07 化粧材
KR1020187033095A KR102120186B1 (ko) 2017-06-07 2018-06-07 화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095A Division KR102120186B1 (ko) 2017-06-07 2018-06-07 화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995A true KR20200033995A (ko) 2020-03-30
KR102270978B1 KR102270978B1 (ko) 2021-07-01

Family

ID=645659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086A KR102270978B1 (ko) 2017-06-07 2018-06-07 화장재
KR1020187033095A KR102120186B1 (ko) 2017-06-07 2018-06-07 화장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095A KR102120186B1 (ko) 2017-06-07 2018-06-07 화장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40524B2 (ko)
KR (2) KR102270978B1 (ko)
CN (2) CN111497386A (ko)
WO (1) WO2018225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2693B (zh) * 2019-03-01 2021-09-21 茂友木材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拉丝的重组装饰木制造方法
CN114165010B (zh) * 2021-11-19 2023-07-18 诺森(常州)建筑产业有限公司 基于电子束固化技术的3d平板打印装饰板以及用途
CN113997362A (zh) * 2021-11-30 2022-02-01 湖南雪宝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防划伤磨砂的生态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905A (ja) 2002-09-13 2004-04-08 Asahi Woodtec Corp 床材
JP2010099942A (ja) * 2008-10-24 2010-05-06 Sumitomo Forestry Co Ltd 単板積層材
JP2010228362A (ja) * 2009-03-27 2010-10-14 Sumitomo Forestry Co Ltd 構造用合板の製造方法
JP2012214981A (ja) 2011-03-31 2012-1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用化粧材
JP2013057182A (ja) * 2011-09-07 2013-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用化粧材
JP2013083142A (ja) 2011-09-26 2013-05-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用化粧材
WO2016088897A1 (ja) * 2014-12-05 2016-06-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ルクシートを用いた化粧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566Y2 (ja) * 1990-11-07 1997-04-02 株式会社ノダ リフオーム用床貼材
JP3053571U (ja) * 1998-03-17 1998-11-04 弘巳 梶田 伸縮・反り防止床用コルクタイル
JP3716742B2 (ja) * 2000-12-20 2005-11-16 松下電工株式会社 建築材
JP2002225009A (ja) * 2001-01-30 2002-08-14 Nankai Plywood Co Ltd 床 板
JP2009178877A (ja) * 2008-01-29 2009-08-13 Sumitomo Forestry Crest Co Ltd 化粧板
JP5589510B2 (ja) * 2010-03-31 2014-09-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及び化粧シート
CN101851999A (zh) * 2010-06-11 2010-10-06 三林合板(南通)有限公司 复合地面装饰材料
JP2013082088A (ja) * 2011-10-06 2013-05-09 Consult:Kk 化粧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905A (ja) 2002-09-13 2004-04-08 Asahi Woodtec Corp 床材
JP2010099942A (ja) * 2008-10-24 2010-05-06 Sumitomo Forestry Co Ltd 単板積層材
JP2010228362A (ja) * 2009-03-27 2010-10-14 Sumitomo Forestry Co Ltd 構造用合板の製造方法
JP2012214981A (ja) 2011-03-31 2012-1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用化粧材
JP2013057182A (ja) * 2011-09-07 2013-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用化粧材
JP2013083142A (ja) 2011-09-26 2013-05-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用化粧材
WO2016088897A1 (ja) * 2014-12-05 2016-06-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ルクシートを用いた化粧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186B1 (ko) 2020-06-08
JP7040524B2 (ja) 2022-03-23
CN111497386A (zh) 2020-08-07
KR102270978B1 (ko) 2021-07-01
CN109302842A (zh) 2019-02-01
KR20180134403A (ko) 2018-12-18
WO2018225844A1 (ja) 2018-12-13
JPWO2018225844A1 (ja)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7347B2 (ja) 防湿フィルム
KR102032308B1 (ko) 합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2703B1 (ko) 코르크 시트를 사용한 화장재
KR102120186B1 (ko) 화장재
JP6300427B2 (ja) 床用化粧材
JP6507473B2 (ja) 化粧シート
KR101273770B1 (ko) 화장 합판의 제조 방법
JP6304916B2 (ja) 床用化粧材
JP6346707B1 (ja) 化粧材
JP2020163829A (ja) 化粧材
WO2020196377A1 (ja) 化粧材
JP5879836B2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JP5589510B2 (ja) 化粧材及び化粧シート
KR101082236B1 (ko) 수성 도료
JP5316604B2 (ja) 合板及び化粧合板
JP5699378B2 (ja) 防湿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JP5879872B2 (ja) 床用化粧材
JP2008081972A (ja) 床材
JP2014051832A (ja) 床用化粧材
JP2016128645A (ja) 床用化粧材
JP2016183551A (ja) 床用化粧材
JP2017061843A (ja) コルクシートを用いた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