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399A -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399A
KR20200033399A KR1020180112574A KR20180112574A KR20200033399A KR 20200033399 A KR20200033399 A KR 20200033399A KR 1020180112574 A KR1020180112574 A KR 1020180112574A KR 20180112574 A KR20180112574 A KR 20180112574A KR 20200033399 A KR20200033399 A KR 20200033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worker
inspection
management applic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456B1 (ko
Inventor
정종문
Original Assignee
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문 filed Critical 정종문
Priority to KR102018011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4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서버에서 수리업체에 요청을 전송하여 수리업체의 관리자가 요청 장소 근처의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을 빠르게 처리하도록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구비되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고장, 소모품 교환 또는 이상증상에 따른 건설기계와 고장 또는 점검 정보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로 전송하여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를 통해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을 높은 직급 및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로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 상기 높은 직급 및 요청 장소와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를 통해 작업자 목록이 정렬이 되면, 서버에서 관리자에게 우선 순위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통해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표시되면, 관리자가 작업자 중 요청 위치에 가까운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출동 하도록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시를 내리면, 작업자가 지시를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를 통해 이행 가능 여부를 작업자가 선택하면, 가능성 여부에 따라 서버에서 저장되는 해당 작업자의 식별부호로 수리 또는 점검 시작을 진행 또는 작업자가 작업하지 못할 경우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의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 지시를 내려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 작업자가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완료를 선택하여 작업 완료 또는 재작업 처리에 따른 작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management application for field travel of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서버에서 수리업체에 요청을 전송하여 수리업체의 관리자가 요청 장소 근처의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을 빠르게 처리하도록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와 같이 중장비의 경우 건설기계가 위치한 곳으로 수리 또는 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이동을 하여 수리 또는 점검을 진행 하게되며, 이에 따른 수리 부품 또는 소모품을 현장에서 확인한뒤 가져오거나 배달을 시켜 수리 또는 점검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한번의 부품 또는 소모품 배달로 수리 또는 점검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재배달 또는 다시 가지러 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빠른 시간 안에 요청을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네트워크 기술 및 전자 기기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 정비와 관련된 예약 시스템도 그러한 분야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정비 서비스 관련 기술의 경우, 정비 업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정비 시간 등을 확인하여 예약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결국, 차량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예약만을 수행하고, 차량 정비를 위한 오프라인에서의 차량 정비 요청 등의 절차가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정비를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 정비를 맡기고 부재 중인 경우, 정비 업체에서 발생하는 정비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할 방법이 없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특허는 사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비 예약이 접수되면, 상기 사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정비 업체 및 그에 소속된 복수의 정비사에 대한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정비를 예약할 정비 업체 및 정비사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정비 업체 및 상기 정비사에게 예약 정보를 알려 출장 정비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정비사를 사용자가 어플을 통해서 선택하여 예약하는 구성으로 정비사의 스케줄이 밀리게 되어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 빠른 정비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정비 부품 또는 소모품의 배달 또는 운송 시간이 정비에 따라 따로 신청해야 하므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7367호(2017.06.08.)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서버에서 수리업체에 요청을 전송하여 수리업체의 관리자가 요청 장소 근처의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을 빠르게 처리하도록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구비되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고장, 소모품 교환 또는 이상증상에 따른 건설기계와 고장 또는 점검 정보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로 전송하여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를 통해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을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 상기 직급 및 요청 장소와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를 통해 작업자 목록이 정렬이 되면, 서버에서 관리자에게 우선 순위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통해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표시되면, 관리자가 작업자 중 요청 위치에 가까운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출동 하도록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시를 내리면, 작업자가 지시를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를 통해 이행 가능 여부를 작업자가 선택하면, 가능성 여부에 따라 서버에서 저장되는 해당 작업자의 식별부호로 수리 또는 점검 시작을 진행 또는 작업자가 작업하지 못할 경우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의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 지시를 내려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 작업자가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완료를 선택하여 작업 완료 또는 재작업 처리에 따른 작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종류, 식별번호, 고장시 증상 및 점검 요청 사항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에 사전 저장된 해당 건설기계의 예상 수리 부품 또는 예상 점검소모품을 미리 준비하여 작업자의 이동 및 부품 배송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는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서버에서 파악하여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맵을 형성하고,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면, 요청 위치에 따라 근접된 작업자 순서로 정렬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현재 작업중인 작업자의 정보를 제외하여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는 서버에서 높은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정렬되는 작업자 목록을 해당 지역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지역 관리자가 정렬된 목록에서 요청위치와 가까운 거리에 따라 작업자를 선택하여 작업 지시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은 작업자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이 있거나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 거부를 선택하여 다음 순위의 작업자에게 작업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서버에서 수리업체에 요청을 전송하여 수리업체의 관리자가 요청 장소 근처의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청을 처리한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상, 작업과정, 완료, 교체부품 또는 교체 소모품을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빠르게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유사 증상에 대해 필요 부품 또는 소모품을 미리 준비하거나 요청하여 요청 사항의 처리가 빠르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구비되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고장, 소모품 교환 또는 이상증상에 따른 건설기계와 고장 또는 점검 정보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로 전송하여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를 통해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을 높은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 상기 높은 직급 및 요청 장소와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를 통해 작업자 목록이 정렬이 되면, 서버에서 관리자에게 우선 순위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30); 상기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표시되면, 관리자가 작업자 중 요청 위치에 가까운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출동 하도록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시를 내리면, 작업자가 지시를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를 통해 이행 가능 여부를 작업자가 선택하면, 가능성 여부에 따라 서버에서 저장되는 해당 작업자의 식별부호로 수리 또는 점검 시작을 진행 또는 작업자가 작업하지 못할 경우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의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 지시를 내려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 및 상기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를 통해 작업자가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완료를 선택하여 작업 완료 또는 재작업 처리에 따른 작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종류, 식별번호, 고장시 증상 및 점검 요청 사항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에 사전 저장된 해당 건설기계의 예상 수리 부품 또는 예상 점검소모품을 미리 준비하여 작업자의 이동 및 부품 배송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는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서버에서 파악하여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맵을 형성하고,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면, 요청 위치에 따라 근접된 작업자 순서로 정렬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현재 작업중인 작업자의 정보를 제외하여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는 서버에서 높은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정렬되는 작업자 목록을 해당 지역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지역 관리자가 정렬된 목록에서 요청위치와 가까운 거리에 따라 작업자를 선택하여 작업 지시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은 작업자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이 있거나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 거부를 선택하여 다음 순위의 작업자에게 작업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휴대용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로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 서버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을 높은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 서버에서 관리자에게 우선 순위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30), 관리자가 작업자 중 요청 위치에 가까운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 작업자가 지시를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 가능성 여부에 따라 서버에서 저장되는 해당 작업자의 식별부호로 수리 또는 점검 시작을 진행 또는 작업자가 작업하지 못할 경우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의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 지시를 내려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 및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완료를 선택하여 작업 완료 또는 재작업 처리에 따른 작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는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구비되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고장, 소모품 교환 또는 이상증상에 따른 건설기계와 고장 또는 점검 정보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로 전송하여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이다.
이때,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종류, 식별번호, 고장시 증상 및 점검 요청 사항을 입력하면, 서버에 미리 저장된 해당 건설기계의 예상 수리 부품 또는 예상 점검소모품을 작업자가 미리 준비하여 작업자의 이동 및 부품 배송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PDA 등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단말기는 PC, 클라이언트 서버,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건설기계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를 말하며, 승용차, 소형트럭 또는 소형버스등의 운송이 가능한 차량을 제외한 대형의 구동 기기를 말한다.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를 통해 사용자가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수리 또는 점검에 따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를 통해 서버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의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을 높은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게 된다.
상기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에서는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서버에서 파악하여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맵을 형성하고,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면, 요청 위치와 높은 직급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에 따라 근접된 작업자 순서로 정렬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현재 작업중인 작업자의 정보를 제외하여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에서 요청장소와 가까운 거리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정렬하는 이유는 총 근무시간이 법으로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를 통해 높은 직급 및 요청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작업자 목록이 정렬이 되면,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서버에서 관리자에게 우선 순위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표시되면, 요청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자 중 요청 위치에 가까운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는 서버에서 정렬되는 작업자의 위치 및 요청 위치와의 거리를 통해 정렬된 작업자 목록을 해당 지역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하여 해당 지역 관리자가 작업자를 거리에 따라 선택하여 작업 지시를 내릴 수 있도록 하게된다.
상기 해당 지역 관리자는 전체 지역에서 크게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형성되며, 각 지역에 해당 지역의 관리자가 존재하고, 해당 지역 관리자의 관리를 받는 다수의 작업자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출동 하도록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를 통해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시를 내리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를 통해 작업자가 지시를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게 된다.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은 작업자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이 있거나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 거부를 선택하여 다음 순위의 작업자에게 작업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를 통해 이행 가능 여부를 작업자가 선택하면,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에서 가능성 여부에 따라 서버에서 저장되는 해당 작업자의 식별부호로 수리 또는 점검 시작을 진행시키거나, 작업자가 작업하지 못할 경우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의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 지시를 내려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를 통해 작업자가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진행 하고, 작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0)를 통해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완료를 선택하여 작업 완료 또는 재작업 처리에 따른 작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작업자가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완료 할 때에는 수리 또는 점검에 따른 부품의 교체, 수리 또는 소모품의 교체 등의 수리 또는 점검 내역을 증상에 따른 내용을 작업자 본인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고장 증상에 따른 수리 내역 및 점검에 따른 점검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사한 고장 증상 또는 점검요청에 대한 수리 부품 또는 소모품을 색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다른 건설 기계에서 유사한 증상 발생시 미리 검색하여 관련 부품 또는 소모품을 미리 준비하여 요청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서버에서 수리업체에 요청을 전송하여 수리업체의 관리자가 요청 장소 근처의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청을 처리한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상, 작업과정, 완료, 교체부품 또는 교체 소모품을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빠르게 건설기계의 수리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유사 증상에 대해 필요 부품 또는 소모품을 미리 준비하거나 요청하여 요청 사항의 처리가 빠르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구비되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고장, 소모품 교환 또는 이상증상에 따른 건설기계와 고장 또는 점검 정보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로 전송하여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를 통해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을 높은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
    상기 높은 직급 및 요청 장소와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를 통해 작업자 목록이 정렬이 되면, 서버에서 관리자에게 우선 순위로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30);
    상기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에 수리 또는 점검 요청 정보가 표시되면, 관리자가 작업자 중 요청 위치에 가까운 작업자를 선택하여 요청 위치로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출동 하도록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시를 내리면, 작업자가 지시를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를 통해 이행 가능 여부를 작업자가 선택하면, 가능성 여부에 따라 서버에서 저장되는 해당 작업자의 식별부호로 수리 또는 점검 시작을 진행하거나, 작업자가 작업하지 못할 경우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의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 지시를 내려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 및
    상기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를 통해 작업자가 요청 위치의 수리 또는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완료를 선택하여 작업 완료 또는 재작업 처리에 따른 작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S10)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기계의 종류, 식별번호, 고장시 증상 및 점검 요청 사항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에 사전 저장된 해당 건설기계의 예상 수리 부품 또는 예상 점검소모품을 미리 준비하여 작업자의 이동 및 부품 배송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는 단계(S20)는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서버에서 파악하여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맵을 형성하고, 수리 또는 점검 요청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면, 요청 위치에 따라 근접된 작업자 순서로 정렬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현재 작업중인 작업자의 정보를 제외하여 작업자 목록을 정렬하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또는 점검 출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S40)는 서버에서 높은 직급, 요청 장소와 가까운 거리 순서 및 해당월 기준 총 작업시간이 적은 순서로 정렬되는 작업자 목록을 해당 지역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지역 관리자가 정렬된 목록에서 요청위치와 가까운 거리에 따라 작업자를 선택하여 작업 지시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하는 단계(S50)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은 작업자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이 있거나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 거부를 선택하여 다음 순위의 작업자에게 작업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스마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KR1020180112574A 2018-09-20 2018-09-20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KR10214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74A KR102140456B1 (ko) 2018-09-20 2018-09-20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74A KR102140456B1 (ko) 2018-09-20 2018-09-20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399A true KR20200033399A (ko) 2020-03-30
KR102140456B1 KR102140456B1 (ko) 2020-08-03

Family

ID=7000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574A KR102140456B1 (ko) 2018-09-20 2018-09-20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4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8322A (zh) * 2021-06-23 2021-08-24 国网四川省电力公司成都供电公司 一种多维优化的电力工单智能派发方法
KR102398413B1 (ko) * 2021-08-20 2022-05-17 엄태성 건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97904A1 (en) * 2021-03-17 2022-09-22 Benson Anthony Automated dispatch of field personnel for on-site ser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795A (ja) * 2004-03-30 2005-10-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家電製品の保守点検および普及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00017029A (ko) * 2008-08-05 2010-02-16 김종빈 홈 케어 서비스 방법
KR101747367B1 (ko) 2016-07-15 2017-06-15 박종관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795A (ja) * 2004-03-30 2005-10-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家電製品の保守点検および普及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00017029A (ko) * 2008-08-05 2010-02-16 김종빈 홈 케어 서비스 방법
KR101747367B1 (ko) 2016-07-15 2017-06-15 박종관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904A1 (en) * 2021-03-17 2022-09-22 Benson Anthony Automated dispatch of field personnel for on-site services
CN113298322A (zh) * 2021-06-23 2021-08-24 国网四川省电力公司成都供电公司 一种多维优化的电力工单智能派发方法
CN113298322B (zh) * 2021-06-23 2024-01-30 国网四川省电力公司成都供电公司 一种多维优化的电力工单智能派发方法
KR102398413B1 (ko) * 2021-08-20 2022-05-17 엄태성 건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456B1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456B1 (ko) 건설기계 현장 출장용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리방법
US20220011736A1 (en) Work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and work support method
US101914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destructive testing involving remotely located expert
US11132629B2 (en) Crowdsourced roadside assistance service provider assignment system
US20030036939A1 (en) Method and system configure to manage a maintenance process
EP2378468A1 (en) Platform for aircraft maintenance services and asset management
US8768498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dustrial system
US20180081345A1 (en) Work in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7265393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832415A (zh) 进展运转监视系统以及方法
US201601799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tools
KR102087629B1 (ko) 건설현장의 건설기계 점검 또는 수리에 따른 현장출장용 부품 자동 검색 방법
KR101108121B1 (ko) 부품 생산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US20220283578A1 (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for Maintaining a Production Facility
KR102140457B1 (ko) 건설현장의 건설기계 수리 및 점검에 따른 작업능률 평가 보상을 위한 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
KR20090000285A (ko) 공정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방법
CA3113075C (en) Crowdsourced roadside assistance service provider assignment system
US9536211B2 (en)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US2017027045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Job Management
KR20200098917A (ko) 통합 관리시스템
JP2020194236A (ja) 機器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WO2018088470A1 (ja) 工程設計支援装置、工程設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249309A1 (ja) 進捗管理サーバ及び進捗管理システム
KR101548710B1 (ko) 철도차량의 형식승인자료 검증 시스템
WO2023233911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