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292A - 데이터 배포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배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292A
KR20200033292A KR1020207004814A KR20207004814A KR20200033292A KR 20200033292 A KR20200033292 A KR 20200033292A KR 1020207004814 A KR1020207004814 A KR 1020207004814A KR 20207004814 A KR20207004814 A KR 20207004814A KR 20200033292 A KR20200033292 A KR 20200033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tering unit
frequency
synchronization sequence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542B1 (ko
Inventor
흐리스토 페트코브
토마스 라우텐바허
토마스 카우퍼트
클라우스 고트샬크
Original Assignee
디일 메터링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일 메터링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디일 메터링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3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각각의 경우에, 전달된 공급 매체의 소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는 계량 유닛, 특히 소비 미터기들(4)의 그룹 및 특히 소비로부터 유도된 데이터를 획득 및/또는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기(2)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1)에서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계량 유닛은 통신 모듈(5) 및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 및 또한 데이터, 특히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계량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수집기(2)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는 상기 계량 유닛들의 그룹에 공통되는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상기 통신 시스템(1)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계량 유닛에 공통되는 동기화 시퀀스(13)는 공통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송신되며,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는, 상기 계량 유닛들의 그룹 내의 각각의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가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의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13)와 동기화되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Description

데이터 배포 방법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 및 계량 유닛에서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센서, 소비 미터기 또는 스마트 홈 제어기의 컴포넌트와 같은 계량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은 날마다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계량 유닛의 하나의 중요한 적용 분야는 스마트 미터기라고도 알려져 있는 지능적 소비 미터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에너지, 전기, 가스 또는 물을 위한 공급망에 포함되고, 각각의 연결 사용자에게 실제 소비량을 표시하고 소비 데이터를 제공자에게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소비 미터기이다. 지능형 소비 미터기는, 인력에 의한 계량기 검침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제공자에 의한 단기 과금이 실제 소비량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면, 검침 간격이 짧아져서 말단 고객 요금들 사이의 연동이 더 정확해지고 전기의 거래 가격을 개발할 수 있다. 공급망도 실질적으로 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소비 미터기는 일반적으로, 미지불 계량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메시지의 형태로, 예를 들어 SRD(근거리 디바이스) 또는 ISM(산업적, 과학적, 의학적) 주파수 범위에 있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더 높은 수준의 데이터 수집기(예를 들어 집중기, 제공자의 네트워크 노드 포인트 또는 제어 센터)에 송신한다. 데이터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된다. SRD 또는 ISM 주파수 범위는, 이들이 라이센스가 없고 또한 주파수 관리의 범용적인 승인만이 사용을 위해 요구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차고 문 제어, 아기 모니터(baby monitor), 경보 시스템, WLAN, 블루투스, 연기 검출기 등과 같이 광범위한 기술적인 디바이스에 대해서 이러한 타입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간섭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지능적 소비 미터기의 경우, 일 면으로는 상기 미터기가 보통 배터리에 의해 제어되고 다른 면으로는 가능한 가장 긴 유지보수 간격을 가지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동작 신뢰도가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소비 미터기의 고장이 없고 신뢰가능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으려면, 펌웨어 업데이트라고 불리는 가끔의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소비 미터기에 대하여 요구된다. 이러한 타입의 펌웨어 업데이트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소비 미터기로, 원격 유지보수를 통하여, 즉,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점점 더 중앙 집중식으로 송신되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한다. 송신 품질 및 송신 지속기간의 관점에서 보면, 무엇보다도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실질적 프로그램 데이터 패킷의 송신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소비 미터기가 개별적으로 그리고 특정 시간에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수집기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접속되어야 하고, 송신 주파수 또는 주파수 채널의 점유(듀티 사이클)와 관련한 법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가장 가까운 선행 기술
EP 2 848 005 B1은, 데이터 로거(logger) 또는 데이터 수집기 및 복수 개의 소비 미터기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여기에서,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는 데이터 세그먼트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경우에 데이터 수집기는 각각의 소비 미터기, 즉 유니캐스트 세션에 대한 전용 업데이트 세션을 열고, 이제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를 각각의 소비 미터기로 지속적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소비 미터기는 모든 수신된 데이터 세그먼트의 수신을 확인함으로써, 데이터 수집기가 어떤 데이터 세그먼트가 수신되었고 어떤 것이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데이터 수집기는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가 송신될 때까지, 남아 있고 아직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세그먼트를 재송신할 수 있다. 소비 미터기가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를 수신하자마자, 데이터 수집기는 다음 소비 미터기와 전용 업데이트 세션을 오픈한다. 다른 소비 미터기가 해당 데이터 세그먼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면, 즉 범위 내에 있고, 동일한 주파수에서 우연히 수신하고 있다면, 송신된 데이터 세그먼트는 이러한 소비 미터기에 의해서도 각각의 전용 업데이트 세션에서 수신가능하다. 데이터 수집기가 각각의 소비 미터기에 대하여 전용 업데이트 세션, 즉 이러한 소비 미터기만을 위해 생성된 세션을 오픈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시간 요구 사항 및 주파수 점유 지속기간의 관점에서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기는 우선 각각의 소비 미터기에 성공적으로 접촉한 뒤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를 복수 개의 송신 단계에서 송신해야 한다. 다수의 소비 미터기에 복수 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송신하기 위한 연관된 시간 요구 사항도 대응하여 높아진다. 전용 업데이트 세션은 정밀하게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더 수반함으로써,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러한 전용 업데이트 세션 밖에서 수신하도록 의도되지 않는 다른 소비 미터기로 송신할 확률이 낮아지게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소비 미터기가 상이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통신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소비-미터기-특유 업데이트 세션을 통해 송신된다. 그러면 높은 주파수 점유 지속기간이 생기고,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 및 전체 프로그램 업데이트의 배포를 수행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전체인 시간 요구 사항이 생긴다. 소비 미터기는, 다른 업데이트 세션으로부터의 임의의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그들 자신의 업데이트 세션 밖에 더 긴 수신-대기 시간을 가져야 한다. 그러면 이제 비교적으로 높은 에너지 소비가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시간 및 에너지에 관하여 효율적으로, 그리고 짧은 주파수 점유 지속기간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배포를 위한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은 제 1 항 및 종속항의 전체 내용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디자인은 종속항에서 청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수집기로부터 계량 유닛들의 그룹으로 배포된다. 통신 시스템은, 각각의 경우에 전달된 공급 매체의 소비를 측정하도록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계량 유닛, 특히 소비 미터기, 예컨대, 예를 들어 전기, 물 또는 가열 양 미터기, 및 특히 이러한 소비량으로부터 유도되는 개별 계량 유닛의 소비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집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계량 유닛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시간 레퍼런스 또는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프로그램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동작하는 계량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가진다. 데이터는 공통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데이터 수집기와 계량 유닛들의 그룹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배포된다. 그러므로, 데이터는 개체 계량 유닛과 데이터 수집기의 전용 세션에서 송신되지 않고, 그 대신에 바람직하게는 그룹 내의 모든 계량 유닛과 동시에 송신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는 우선 데이터 메시지라고 불리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에 배치된다. 계량 유닛들의 그룹에 공통되는 동기화 시퀀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통 배포 세션 내에서 규정가능한 송신 주파수를 통해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송신된다. 여기에서, 동기화 시퀀스는 계량 유닛들의 그룹 내의 각각의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가 소정 세션 또는 배포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 오 동기화되게 하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된다.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동기화는,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기의 수신 캐리어 주파수 및 캐리어 주파수 또는 집중기 캐리어 주파수를 동기화하는 것, 또는 데이터 수집기의 신호 대역폭이 계량 유닛의 수신 윈도우 내에 있도록 계량 유닛의 수신 필터를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추정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그로부터 발생된 주파수 오차에 기반하여 주파수가 조절되거나, 캐리어 주파수가 상응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기 및 계량 유닛들의 그룹 사이의 공통 세션은, 데이터가 규정된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송신 시간에 송신되고 그룹 내의 계량 유닛에 의해 수신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면, 데이터 수집기에 의한 데이터의 후속 배포분이 동기화 시퀀스를 사용하여 계량 유닛으로 통신된다. 이러한 경우 계량 유닛은, 특히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해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를 능동적으로 검색한다. 결과적으로, 모든 계량 유닛은 처음에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고, 동기화 시퀀스에 기반하여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송신 주파수 및 송신 시간에 관하여 상응하도록 설정된다. 이를 통하여, 데이터가 신뢰성있게 그리고 본질적으로 동시에 통신 모듈로 송신되는 것이 보장된다. 더 나아가, 데이터 수집기가 그룹 내의 모든 계량 유닛에 대하여 오직 하나의 세션 또는 업데이트 또는 배포 세션만을, 또는 적어도 전체적으로 훨씬 적은 세션만을 오픈하면 되기 때문에, 배포는 시간-효율적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전체 배포 프로세스 중의 계량 유닛 또는 통신 모듈의 수신-대기 시간이 크게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요구된 주파수 점유 지속기간은 전체적으로 크게 짧아진다.
데이터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 예를 들어 펌웨어 업데이트, 소비 데이터, 동기화 데이터, 시간 데이터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기화 시퀀스는 공통 세션 내에서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동기화 시퀀스가 세션의 끝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시간 레퍼런스 또는 주파수 레퍼런스에만 미소 조절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기화 시퀀스는, 예를 들어 성공적 동기화에 후속하여, 즉 동기화 시퀀스가 그룹 내의 모든 계량 유닛에 의해 수신되고 모든 계량 유닛이 동기화된 후에 단축될 수 있다.
후속 송신에서, 데이터의 더 많은 데이터 패킷이 이용가능한 송신 시간 기간 또는 송신 볼륨 내에서 상응하여 송신될 수 있고, 즉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 및 동기화 시퀀스 사이의 비율이 세션의 또는 업데이트 세션의 끝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은 협대역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설계에 따르면,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은 25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5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3 kHz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kHz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대역폭은 ETSI EN 300 220-1 V3.1.1 표준(2017 년 2월의 시점)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과 상기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주파수 공차 사이의 비율은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이다.
데이터 수집기의 송신 주파수는, 예를 들어 주파수 스캐닝 및 또는 주파수 추정을 통하여 각각의 계량 유닛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브로드캐스트로, 즉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모든 잠재적인 수신기로, 또는 멀티캐스트로, 즉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선택된 수신기 그룹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멀티캐스트에서의 선택은, 예를 들어 각각의 계량 유닛의 디바이스-특유 ID 번호에 기반하여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또는 시간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동기화 시퀀스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적절하다.
시간 정보는 동기화 시퀀스에 적절하게 지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통신 모듈은 이러한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이한 동기화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시간 정보가 데이터 양으로서 동기화 시퀀스에 첨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레퍼런스 시간, 레퍼런스 주파수, ID 번호, 범위 및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의 타입 등과 같은 추가 정보가 동기화 시퀀스에 더 지정될 수 있다. 각각의 동기화 시퀀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의 일부의 다가오는 송신을 알리는 역할을 더 할 수 있다.
더욱이, 계량 유닛은 완료된 동기화에 후속하여 동기화 확인을 생성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 수집기와 관련된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성공적 동기화를 통신하기 위하여 이것을 데이터 수집기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데이터 수집기가 해당 그룹 내의 얼마나 많은 계량 유닛이 동기화 시퀀스를 수신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언제나 수신하고, 그룹 내의 모든 계량 유닛이 동기화 시퀀스를 수신할 때까지, 즉 그룹 내의 모든 계량 유닛이 동기화될 때까지 필요한 만큼 자주 동기화 시퀀스를 상응하도록 송신한다는 장점이 생긴다. 그 결과로서 송신 신뢰성이 다시 추가적으로 증가된다.
제 2 송신 시간은, 데이터 수집기가 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복수 개의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송신 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배포될 데이터 패킷은 점진적으로 송신될 수 있고, 따라서 관심 대상인 주파수 대역의 점유 지속기간 또는 최대 허락된 듀티 사이클에 관하여 법적 제약과 호환되는 것을 보장한다.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가 데이터 패킷 및/또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에 적절하게 지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란, 예를 들어 송신 주파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 수신 윈도우 등의 미세 조절이 수행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시간 및 또는 송신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또는 비콘의 형태인 짧은 동기화 시퀀스를 나타낸다.
더 나아가, 데이터 패킷 및/또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은 산재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와 교번하여 송신됨으로써, 데이터 송신 중에 미세 조절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송신 신뢰성이 추가적으로 증가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설계에 따르면, 계량 유닛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의 일부, 즉 불완전하게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후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실무상,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의 일부는 송신 이후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메모리 내에서 조합될 수 있다(결합).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상기 계량 유닛의 수신 확인을 생성하고, 각각의 통신 모듈에 의하여 상기 수신 확인을 상기 데이터 수집기에 통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수집기에 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의 수신 확인과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 각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바 없는 데이터 패킷만이 송신되도록, 상기 데이터 동기화에 기반하여 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는 단계.
이를 통하여, 데이터 수집기가 데이터 패킷의 송신에 후속하여 통신 모듈로부터의 응답 또는 확인을 수신하고, 이러한 확인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이 통지되며, 데이터 수집기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 및 송신될 데이터 패킷 사이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이 보장된다. 데이터 패킷의 송신 상태는 그룹 내의 각각의 계량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수집기로 연속적으로 통신된다.
계량 유닛은 수신이 완료된 후에 데이터 패킷의 일부, 데이터 패킷 또는 하나 이상의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을 적절하게 완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들을 조합 또는 결합하여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그러면, 계량 유닛은 그들의 펌웨어 또는 그들의 프로그램 데이터, 즉 그들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콘트롤러의 프로그래밍가능한 콘텐츠를,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추가적인 설계에 따르면, 데이터 패킷은 산재된 송신 휴지기와 교번하여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계량 유닛의 통신 모듈에 제한된 시간 동안 발생되는 간섭원에 의해 일시적으로 장애가 생기게 되고, 통신 모듈 및 데이터 수집기 사이에 어떠한 경우에서도 통신이 일어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송신 휴지기의 지속기간 동안 송신 또는 디스패치가 일어나지 않으면, 에너지가 절약된다.
더 나아가, 휴지기는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대기 시간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예를 들어 수신에 간섭원에 의해 일시적으로 장애가 생기면, 전체 수신-대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에너지 요건이 특정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특정한 주파수 범위 내의 각각의 주파수의 송신 품질은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고, 송신 주파수의 선택은 결정된 송신 품질에 기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송신 품질은, 예를 들어 신호-대-잡음 비 결정 또는 각각의 송신 주파수에서의 신호 파워 측정치에 기반하여, 예를 들어 간섭 소스 검출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능한 최고의 송신 품질을 가지는 주파수가 선택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송신 주파수가 규정될 수 있다.
동기화 시퀀스의 수신을 위하여, 계량 유닛은 수신 주파수를 적어도 세 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다섯 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열 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는 상이한 주파수에서 유니캐스트로 분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기는 계량 유닛들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계량 유닛이 공통 브로드캐스트 세션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거나 데이터를 온전하게 수신할 수 없었다면, 이러한 계량 유닛과 추가적인 전용 세션을 실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니캐스트 데이터 세션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주파수에서 실행되어, 주파수가 각각의 계량 유닛의 송신 상황에 적응될 수 있게 한다.
동기화 시퀀스는 유니캐스트로도 적절하게 송신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면 매우 짧은 동기화 시퀀스가 수반된다. 더 나아가, 공통 동기화 시퀀스는 유니캐스트에서의 동기화 시퀀스 보다 적어도 세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열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무 배 길어지는 방식으로, 계량 유닛들의 그룹의 공통 세션 내에서 치수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동기화 시퀀스는 하나의 조각으로, 즉 휴지기가 없이 송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계량 유닛에 의한 동기화 시퀀스의 수신 확률이 특정 정도로 증가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데이터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분배되고, 각각의 경우에 전달된 공급 매체의 소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계량 유닛, 특히 소비 미터기 및, 예를 들어 소비로부터 유도된 소비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달하고 및/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기를 더 청구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계량 유닛은 통신 모듈 및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 및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프로그램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계량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마이크로콘트롤러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계량 유닛 및 데이터 수집기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 배치된다. 데이터 수집기는 여기에서 데이터, 예컨대, 예를 들어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송신 주파수에서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계량 유닛들의 그룹에 공통되는 세션 또는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계량 유닛들에 공통되는 동기화 시퀀스는 공통 세션 내의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적절하게 송신된다. 동기화 시퀀스는, 계량 유닛들의 그룹 내의 각각의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가 세션 또는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와 동기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되고, 즉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각각의 공차(결정(crystal) 오차)와 관련하여 충분히 길도록 선택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데이터를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계량 유닛, 특히 소비 미터기를 더 청구한다. 이를 위하여, 계량 유닛은 통신 모듈,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 및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프로그램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량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계량 유닛은 송신기, 예컨대,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를 수신 주파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계량 유닛은 동기화 시퀀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 주파수를 적어도 세 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다섯 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열 번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데, 여기에서 수신 주파수의 조절은 예를 들어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 및/또는 통신 모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는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에서 송신 또는 디스패치 및/또는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절한 디자인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각각의 경우에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기와 통신하는 복수 개의 소비 미터기의 실질적으로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흐름도의 디자인을 보여준다;
도 3은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메시지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시간 시퀀스의 첫 번째 디자인을 보여준다;
도 5는 산재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와 교대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의 시간 시퀀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6은 산재된 송신 휴지기와 교대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의 시간 시퀀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누락된 패킷 및 새로운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의 시간 시퀀스의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시간 시퀀스의 두 번째 디자인을 보여준다;
도 9는 세 개의 계량 유닛이 동기화 시퀀스를 수신하기 위한 상이한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는 검색 시퀀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10은 동기화 시퀀스 및 데이터 패킷의 세 개의 연속 송신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11은 산재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와 함께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동기화 시퀀스의 시간 시퀀스 및 송신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1에서 참조문헌 번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1)은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가 있는 데이터 수집기(2), 및 복수 개의 계량 유닛 또는 소비 미터기(4), 예컨대, 예를 들어 소비자에 의한 공급 매체의 개별적인 소비를 기록하도록 제공되는 가스, 물 또는 전기 미터기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소비 미터기(4)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안테나(8)를 통해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5)을 포함한다. 각각의 소비 미터기(4)는, 예를 들어 시간 결정을 위하여, 예를 들어 수정 발진기(클록 결정, HF 결정 등)를 이용하여 클록 타이밍을 미리 규정할 수 있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소비 미터기(4)는 현재의 미터기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9)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는데, 그 결과 미터기 상태의 수동 판독이 수행될 수 있다.
소비 미터기(4)는 현재의 미터기 상태를 소비 데이터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규정된 레퍼런스 시간에 데이터 수집기(2)로 통신한다. 데이터는 여기에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특히 ISM 또는 SRD 주파수 범위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863 MHz 및 870 MHz 사이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주파수 범위는, 라이센스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법률적인 제한 때문에 한정된 정도로만 점유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듀티 사이클 또는 주파수 점유 지속기간의 제한이 적용된다.
각각의 소비 미터기(4)는 소비 미터기(4)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10)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버그를 고치거나 새로운 기능을 장착하기 위해서 때때로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동작 프로그램 또는 펌웨어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이러한 타입의 동작 프로그램은 소비 미터기(4)에 수동으로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원격 유지보수를 통해 설치되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해 업데이트된다.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설치하면 유지보수 인력이 소비 미터기(4)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3에서 간략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는 우선, 데이터 메시지(12)라고 불리는 데이터 패킷(11) 또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11) 내에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하여 배치된 후, 통신 시스템(1)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분배된다. 소비 미터기(4)는 데이터 패킷(11) 또는 데이터 메시지(12)를 통신 모듈(5) 및 안테나(8)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고, 이들을 업데이트 프로시저 때까지 또는 그 후까지 데이터 메모리(7)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를 배포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의 디자인의 시간 시퀀스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데이터 수집기(2)는 우선 데이터 수집기(2) 및 소비 미터기(4)의 그룹 사이에서 공통 세션 또는 업데이트 세션을 적절하게 셋업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하여 규정된 송신 시간에 송신되고, 그룹 내의 소비 미터기(4)에 의해 수신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공통 송신 주파수가 우선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규정되는데, 여기에서 데이터 수집기(2)는 우선 특정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SRD 또는 ISM 주파수 대역 범위 내의 주파수의 송신 품질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송신 주파수는 결정된 송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기(2)는, 데이터 수집기(2)가 미리 규정된 제 1 송신 시간(t1(n))에 규정된 송신 주파수에서 송신하는 동기화 시퀀스(13)를 적절하게 생성한다. 송신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송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각의 소비 미터기(4)의 모든 통신 모듈(5)은 데이터 수집기(2)의 송신 시간에 수신-대기 상태가 되도록 의도된다. 도 4에 따르면, 수신-대기 시간 기간(tEB)은, 제 1 송신 시간(t1(n))에 시작하고 시간 기간 x(예를 들어 x = 6 분) 이후에 끝나는 데이터 수집기(2)의 송신 시간 기간 보다 길어야 한다. 여기에서 소비 미터기(4)의 수신-대기 시간 기간(tEB)은 데이터 수집기(2)의 의도된 송신 시간보다 길어서, 데이터 수집기(2)의 대응하는 송신 시간에서의 통신 모듈(5)의 수신-대기 상태가,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클록 편차가 생기더라도 여전히 보장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수집기(2)는, 가능한 많은 소비 미터기(4)에 도달하도록, 동기화 시퀀스(13)를 송신하기 위한 법적으로 가능한 가장 큰 상대 주파수 점유 지속기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 주파수 점유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869.65 내지 869.70 M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10 미만%이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기(2)는 한 시간의 시간 기간 내에서 거의 6분동안 대응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6분 내에, 통신 모듈(5)은 주파수 범위를 점진적으로 스캐닝함으로써 데이터 수집기(2)의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모듈(5)은 특정한 시간 기간, 예를 들어 수 초 동안에 하나의 주파수에서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한 후, 다음 주파수로 변경한다. 각각의 소비 미터기(4)의 통신 모듈(5)은 데이터 수집기(2)의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특정한 주파수에서의 데이터 수집기(2)의 동기화 시퀀스(13)의 수신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소비 미터기(4) 또는 소비 미터기(4)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는 동기화 시퀀스(13) 내에 보유된 정보(예를 들어 주파수 레퍼런스, 시간 레퍼런스, ID 번호, 시간 및/또는 송신 시간)를 사용하여 동기화될 수 있다.
그룹 내의 소비 미터기(4), 바람직하게는 해당 그룹 내의 모든 소비 미터기(4)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6)의 동기화에 후속하여, 데이터 패킷(11) 또는 데이터 패킷(11)의 일부가 제 2 송신 시간(t2(n))에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해 송신된다. 제 2 송신 시간(t2(n))에서의 통신 모듈(5)의 수신-대기 시간 기간(tEB)은 t2(n) 및 t2(n) + x 사이의 데이터 패킷(11)의 송신 시간 기간과 실질적으로 가까운데, 그 이유는 소비 미터기(4)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가 이미 동기화 시퀀스(13)에 의해 동기화된 바 있고, 따라서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편차는 작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동기화 시퀀스(13) 대안적으로, 소정 타입의 카운트다운을 보유함으로써, 동기화 시퀀스(13)가 수신되면 소비 미터기(4)가 제 2 송신 시간(t2(n))이 언제 시작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이한 동기화 단어(words)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소비 미터기(4)는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13a)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도 5에 따르면 데이터 패킷(11) 또는 데이터 메시지(12) 사이에서 그들과 교대로 송신된다. 여기에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13a)는 데이터 송신들 사이에 필요할 경우 주파수를 약간 조절하여, 즉 데이터 송신 중에 미세 조절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 6에 따르면, 송신 휴지기(14)도 데이터 송신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간섭원이 송신 주파수를 차단하는 경우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원에 기인하여 통신 모듈(5)에 도달하지 않을 불필요한 데이터 송신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바람직한 디자인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한 데이터 패킷의 송신이 수행될 수 있을 때까지의 모든 방법 단계들은, 데이터 패킷(11)이 제 2 송신 시간(t2(n))에서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여러 번 연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송신 시간(t2(n))은 데이터 패킷(11) 또는 데이터 메시지(12)가 송신되는 복수 개의 연속 송신 시간 n을 포함한다.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한 제 1 송신 시간(t1(n))에서의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한 동기화 시퀀스(13)의 모든 송신 중에, 통신 모듈(5) 각각에 의한 이러한 규정된 송신 주파수의 결정, 및 또한 계량 유닛의 각각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후속 동기화가, 데이터 패킷(11)이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여러 번 수행된다.
소비 미터기(4)의 통신 모듈(5)은,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 또는 비콘의 형태인 확인을 더 생성할 수 있고, 이들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수집기(2)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5)은, 예를 들어 동기화 시퀀스(13)의 완료된 수신에 후속하고 및/또는 완료된 동기화에 후속하여 동기화 확인(SB)을 생성할 수 있고,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가 데이터 수집기(2)에 동기화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동기화 확인을 데이터 수집기(2)에 송신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법은 어떤 데이터 패킷(11)이 각각의 통신 모듈(5)에 의해 송신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 수집기(2)로 통신하는 역할을 하는, 수신 확인(EB)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 확인(EB)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11)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 수집기(2)는 수신 확인(EB) 내에 보유된 수신된 데이터 패킷(11)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여, 송신될 데이터 패킷(11)과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동기화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기(2)는 누락된 데이터 패킷(11)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송신될 데이터 패킷(11)을 재정렬함으로써, 각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아직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11)만이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한 데이터 패킷(11)의 송신 및 소비 미터기(4)에 의한 수신 확인(EB)의 생성,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의 수행, 및 또한 송신될 데이터 패킷(11)의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한 재정렬은, 모든 데이터가 각각의 통신 모듈(5)에 의해 완전히 수신될 때까지 요구되는 만큼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기(2)의 데이터 송신은 이에 상응하여, 이것이 누락된 데이터 패킷(15) 및 새로운 데이터 패킷(16)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8은 계량 유닛들의 그룹으로부터의 소비 미터기(4) 및 데이터 수집기(2) 사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시간 시퀀스의 추가적인 디자인을 보여준다. 제 1 송신 시간(t1(n))에서, 동기화 시퀀스(13)는 우선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해 송신 시간 n=1에서 송신 시간 t(n)=1 + x까지 데이터 수집기(2)로부터 송신된다. 이러한 동기화 시퀀스(13)는 이러한 송신 시간 기간 t1(n=1) 내지 t1(n=1) + x에서는 소비 미터기(4)의 통신 모듈(5)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수신-대기 윈도우(tEB)가 동기화 시퀀스(13)의 송신 시간 기간 밖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신 모듈(5)은 동기화 확인(SB)을 데이터 수집기(2)에 통신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 수집기(2)는 제 1 송신 시간(t1(n))의 추가적인 송신 시간 n에서 동기화 시퀀스를 송신하려고 시도한다. 이것이, 소비 미터기(4)의 통신 모듈(5)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시간 기간 t1(n=2) 내지 t1(n=2) + x에서 동기화 시퀀스(13)를 수신하고, 동기화를 수행하며, 이것을 동기화 확인(SB)을 생성하고 데이터 수집기(2)로 송신함으로써 확인할 때까지 계속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수집기(2)는 동기화 시퀀스(13)의 송신을 중단하고, 다음 가능한 송신 시간 기간인 제 2 송신 시간(t2(n))에서 데이터 패킷(11)을 송신하는 것을 계속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수집기(2)는 우선, 송신 시간 n=1에서 데이터 패킷(11)(a, b, c, d)를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13a)와 교대로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해 송신한다. 송신 시간 기간 t2(n=1) 내지 t2(n=1) + x에 후속하여, 소비 미터기(4)는 수신 확인(EB)을 생성하고, 이것을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해 데이터 수집기(2)에 송신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데이터 패킷(11)(a, c)의 수신은 간섭에 의해 영향받는 반면에, 두 개의 데이터 패킷(11)(b, d)은 간섭이 없이 수신되었다. 결과적으로, 소비 미터기(4)의 수신 확인(EB)은 두 개의 데이터 패킷(11)(b, d)이 온전하게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유한다. 데이터 수집기(2)는 이에 따라서 여전히 송신될 데이터 패킷(11)을 재정렬하여, 후속하는 송신 시간 n에서 누락 데이터 패킷(11)(a, c) 및 또한 새로운 데이터 패킷(11)(e)을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해 송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송신될 데이터 패킷(11)을 도 8에서 데이터 패킷(11)(a)에 대해 도시된 것처럼 반복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집기(2)는 듀티 사이클에 관련된 법적 제한에 따라서 송신 시간 기간을 더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11)(a, c, e)의 송신 및 이러한 데이터 패킷(11)(a, c, e)의 수신에 후속하여, 소비 미터기(4)는 데이터 패킷(11)의 (a, c, e) 또는 (a-e)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유한 수신 확인(EB)을 다시 생성하고, 이것을 규정된 송신 주파수를 통해 데이터 수집기(2)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개별적인 데이터 패킷(11)은, 데이터 패킷(11)이 여러 시간 또는 여러 날 또는 여러 주에 걸쳐 역시 송신될 수 있도록, 소비 미터기(4)의 데이터 메모리(7)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소비 미터기(4)는 완료된 수신에 후속하여 데이터 패킷(11) 또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11)을 완료 및/또는 결합할 수 있다. 데이터가 결합되자 마자, 예를 들어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각의 소비 미터기(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소비 미터기(4)는 성공적으로 수행된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확인을 통해 데이터 수집기(2)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1에 따르면, 데이터는 동기화 시퀀스(13)의 수신에 후속하여, 그러므로 완료된 동기화에 후속하여(도 11에 파선으로 표시됨), 데이터 패킷(11)의 형태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패킷(11)은, 데이터 송신 중에 연속 동기화를 위하여 제공되는 산재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13a)와 함께, 대응하는 송신 주파수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13a)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유사하게 송신된다. 그러나, 이러한 동기화 시퀀스는 길이에 있어서 종래에는 유니캐스트로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와 유사하다. 비교하면, 동기화 시퀀스(13)는 훨씬 더 길고, 유니캐스트 송신의 동기화 시퀀스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세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열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스무 배 더 길다.
도 9는 상이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채널(도 9에 주파수 채널 1-10에 대해 도시되는 바와 같음)에서 검색하거나 동기화 시퀀스(13)가 송신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는 세 개의 계량 유닛(ME1, ME2, M3))의 검색 시퀀스를 보여준다. 도 9에 따르면, 동기화 시퀀스(13)는 주파수 채널(7)을 통해서 데이터 수집기(2)로부터 계량 유닛(ME1, ME2, ME3)으로 송신되고, 즉 특히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된다. 동기화 시퀀스(13)의 송신 시간 기간은 계량 유닛(ME1, ME2, ME3)에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후자는 합의된 시간 기간 중에 수신 대기하고, 즉 이러한 시간에 계량 유닛은 상이한 채널에서 동기화 시퀀스(13)를, 예를 들어 주파수 스캐닝 및/또는 주파수 추정을 사용하여 검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데이터 수집기(2)는 공통 세션 내에서, 계량 유닛(ME1, ME2, ME3)에 공통인 동기화 시퀀스(13)를 송신하는데, 그 지속기간은 그룹 내의 각각의 계량 유닛의 주파수 디바이스(6)가 배포 세션 내에서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13)와 동기화되는 방식으로 치수가 결정된다.
계량 유닛은 특정하거나 무작위로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서 검색을 시작하는데(예를 들어 ME1은 주파수 채널 1에서, ME2는 주파수 채널 5에서, 그리고 ME3는 주파수 채널 8에서), 즉 이들은 특정한 시간 기간 동안 이러한 주파수 채널에서 수신 대기 상태이다. 계량 유닛이 이러한 주파수 채널에서 동기화 시퀀스(13)를 수신하지 않으면, 이들은 다음 주파수 채널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계량 유닛 ME2는 주파수 채널의 제 3 조절 이후에, 동기화 시퀀스(13)를 주파수 채널(7)에서 수신한다. 여기에서, 주파수 채널은 계량 유닛에 의하여 무작위로, 의사-무작위로 또는 규정가능한 시스템에 따라서(예를 들어 주파수 채널을 점증시키는 것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어 주파수 채널을 점증하는 동안 최고 주파수에 도달된다면, 주파수 채널의 샘플링은 실패한 검색에 후속하여, 도 9에서 ME3에 대해 도시된 것처럼 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기 또는 계량 유닛은 동기화 시퀀스(13)를 수신할 수 있는 특정한 수신 대역폭을 가진다. 전체 수신 대역폭은, 예를 들어 100 개의 주파수 채널 및 2 s의 지속기간을 가지는 동기화 시퀀스(13)가 있는 계량 유닛이, 주파수 채널 당 약 20 ms의 수신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2 kHz일 수 있고, 즉 계량 유닛의 수신-대기-상태의 시간 기간은 주파수 채널마다 20 ms이다. 여기에서, 송신 주파수는 예를 들어 주파수 채널의 점진적 스캐닝에 의해 결정된다. 실무상, 검색 시퀀스는 동기화 시퀀스(13)의 수신에 후속하여 종료될 수 있고, 또는 실패한 패스(pass)에 후속하여 재시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계량 유닛은 동기화 시퀀스(13)의 주파수 채널, 즉 송신 주파수를 최선의 경우 첫 번째 수신 윈도우, 즉 검색 시퀀스의 처음 20 ms 내에 결정할 수 있다.
동기화 시퀀스(13)는 공통 세션 또는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계량 유닛의 동기화가 우선 수행되도록 세션의 끝으로 갈수록 짧아지거나, 세션의 시작 시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동기화 확인(SB)의 수신에 의해 표시되는 동기화가 완료되면, 데이터의 비율은 상기 데이터를 더 신속하게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 시간 기간 내에서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및 동기화 시퀀스(13) 사이의 비율은, 짧은 동기화 시퀀스에 선행하거나, 후속하거나, 짧은 동기화 시퀀스와 산재되도록, 세션의 끝으로 갈수록 더 많은 데이터가 송신되게끔 수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 및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수신 대역폭 사이의 비율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주파수 공차는 송신 주파수 및 결정 오차(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오차)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10 ppm 결정 오차(예를 들어, TCX 발진기의 경우) 및 868 MHz의 송신 주파수가 있는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경우, 약 8.6 kHz(8.6 kHz = 868.000 kHz * 10 * 10-6)의 주파수 공차가 제공된다. 그러나, 적절하게 높은 송신 품질을 위해서는 매우 좁은 수신 대역폭이 요구된다. 공지된 방법에서, 이것은 송신 문제를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성공적인 송신을 위해서, 주파수 공차가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수신 대역폭의 곱이기 때문이다.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은 협대역 범위, 예를 들어 25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5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3 kHz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kHz 미만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과 상기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주파수 공차 사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이다. 예를 들어 1 kHz의 수신 대역폭 및 4.3 kHz의 주파수 공차의 경우, 따라서 이것은 수신 대역폭 및 주파수 공차 사이의 비율 0.23을 제공한다. 대역폭은 ETSI EN 300 220-1V 3.1.1 표준(2017 년 2월의 시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공지된 방법에서 수신 대역폭 및 주파수 공차 사이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12(예를 들어 1 kHz 주파수 공차에 대한 12 kHz 수신 대역폭, 및 5 ppm 결정 및 169 MHz의 송신 주파수)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세션 또는 업데이트 세션이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을 사용하여 "협대역 브로드캐스트" 또는 "협대역 멀티캐스트"에서 수행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이, 그 중에서도, 이러한 영역에서의 매우 큰 기여를 나타내게 하는 것이 놀랍게도 명백하다.
개별적인 피쳐 조합(이차 조합) 및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는 상이한 실시예의 개체 피쳐의 가능한 조합도 본 발명의 내용에 의해 명시적으로 망라된다.
참조 번호 목록
1 통신 시스템
2 데이터 수집기
3 안테나
4 소비 미터기
5 통신 모듈
6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
7 데이터 메모리
8 안테나
9 디스플레이
10 프로세서
11 데이터 패킷
12 데이터 메시지
13 동기화 시퀀스
13a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
14 송신 휴지기
15 누락 데이터 패킷
16 새로운 데이터 패킷
EB 수신 확인
SB 동기화 확인
tEB 수신-대기 시간 기간(계량 유닛)
t1(n) 제 1 송신 시간
t2(n) 제 2 송신 시간
n 송신 시간

Claims (27)

  1. 각각의 경우에, 전달된 공급 매체의 소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는 계량 유닛, 특히 소비 미터기들(4)의 그룹 및 특히 데이터를 획득 및/또는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기(2)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1)에서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계량 유닛은 통신 모듈(5) 및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 및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량 유닛을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특히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수집기(2)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상기 계량 유닛들의 그룹에 공통되는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상기 통신 시스템(1)을 통해 송신 주파수에서 송신되고,
    상기 계량 유닛에 공통되는 동기화 시퀀스(13)는 공통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송신되며,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는, 상기 계량 유닛들의 그룹 내의 각각의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가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와 동기화되는 방식으로 치수결정 및/또는 변동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 소비 데이터, 동기화 데이터, 시간 데이터 등인, 데이터 배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는 상기 공통 세션 내에서 수정되고, 특히 상기 세션의 끝으로 갈수록 단축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는 데이터 패킷(11)에서 송신되고,
    상기 데이터와 상기 동기화 시퀀스(13) 사이의 비율은 상기 세션 내에서 수정되며, 특히 상기 세션의 끝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은 협대역 범위에 속하는, 데이터 배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은 25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5 kHz 미만, 바람직하게는 3 kHz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kHz 미만인, 데이터 배포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 대역폭과 상기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주파수 공차 사이의 비율은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인, 데이터 배포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기(2)의 송신 주파수는 주파수 스캐닝 및/또는 주파수 추정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계량 유닛에 의해 결정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배포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를 이용한 상기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동기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 정보가 상기 동기화 시퀀스(13)에 지정되고,
    상기 통신 모듈(5)은 상기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송신 시간(t2(n))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배포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계량 유닛은 동기화 확인(SB)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기(2)에 대한 상기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의 동기화를 확인하도록 상기 동기화 확인(SB)을 상기 데이터 수집기(2)에 송신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시간(t2(n))은, 상기 데이터 수집기(2)가 송신될 데이터 패킷(11)을 송신하는 복수 개의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송신 시간 n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13a)가 상기 데이터 패킷(11) 및/또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11)에 지정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11) 및/또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11)은 산재된 파일럿 동기화 시퀀스(13a)와 교대로 송신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유닛은 데이터 메모리(7)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11) 또는 상기 데이터 패킷(11)의 일부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7)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수신된 데이터 패킷(11)에 기반하여 상기 계량 유닛에 의해 수신 확인(EB)을 생성하고, 각각의 통신 모듈(5)에 의하여 상기 수신 확인(EB)을 상기 데이터 수집기(2)에 통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하여, 상기 통신 모듈(5)의 수신 확인(EB)과 송신될 데이터 패킷(11)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 각각의 통신 모듈(5)에 의해 수신된 바 없는 데이터 패킷(11)만이 송신되도록, 송신될 데이터 패킷(11)을 상기 데이터 동기화에 기반하여 재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계량 유닛은 상기 데이터 패킷(11)의 일부 및/또는 상기 데이터 패킷(11)을 상기 데이터로 완성하거나 결합하는, 데이터 배포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11) 또는 상기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11)은 산재된 송신 휴지기(14)와 교대로 송신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 휴지기는, 상기 각각의 계량 유닛의 수신-대기 시간들 사이에 제공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한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의 송신 품질이 상기 데이터 수집기(2)를 통해 결정되고,
    송신 주파수는 상기 송신 품질에 기반하여 규정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시퀀스(13)의 수신을 위하여, 상기 계량 유닛은 상기 수신 주파수를 적어도 세 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다섯 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열 번 조절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이한 주파수에서 유니캐스트로 추가 배포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는, 유니캐스트에서의 동기화 시퀀스보다 적어도 세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열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스무 배 더 길어지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는 한 조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배포 방법.
  26.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는 통신 시스템(1)으로서,
    상기 데이터는 특히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배포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각각의 경우에 전달된 공급 매체의 소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는 계량 유닛, 특히 소비 미터기들(4)의 그룹, 및
    특히 상기 데이터를 획득 및/또는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기(2)를 포함하고,
    각각의 계량 유닛은, 통신 모듈(5) 및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 및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프로그램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계량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서(10)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기(2)는, 상기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계량 유닛들의 그룹에 공통되는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상기 통신 시스템(1)을 통해 송신 주파수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 유닛에 공통되는 동기화 시퀀스(13)는 공통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상기 데이터 수집기(2)에 의해 송신되며,
    상기 동기화 시퀀스(13)는, 상기 계량 유닛들의 그룹 내의 각각의 계량 유닛의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가 세션, 특히 업데이트 세션 내에서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13)와 동기화되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되는, 통신 시스템.
  27. 데이터, 특히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계량 유닛, 특히 소비 미터기(4)로서,
    상기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배포되며, 상기 계량 유닛은,
    통신 모듈(5),
    주파수 레퍼런스 디바이스(6), 및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프로그램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계량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서(10)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 유닛은 송신기에 의하여 수신 주파수를 통해 송신된 동기화 시퀀스(13)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계량 유닛은, 상기 동기화 시퀀스(13)의 수신을 위한 상기 수신 주파수를 적어도 세 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다섯 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열 번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계량 유닛.
KR1020207004814A 2017-07-20 2018-06-11 데이터 배포 방법 KR102498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6898 2017-07-20
DE102017006898.4 2017-07-20
DE102017009564.7 2017-10-14
DE102017009564.7A DE102017009564B4 (de) 2017-07-20 2017-10-14 Verfahren zum Verteilen von Daten
PCT/EP2018/000304 WO2019015795A1 (de) 2017-07-20 2018-06-11 Verfahren zum verteilen von d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292A true KR20200033292A (ko) 2020-03-27
KR102498542B1 KR102498542B1 (ko) 2023-02-09

Family

ID=6268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814A KR102498542B1 (ko) 2017-07-20 2018-06-11 데이터 배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06125B2 (ko)
EP (1) EP3656158B1 (ko)
JP (1) JP7253530B2 (ko)
KR (1) KR102498542B1 (ko)
CN (1) CN110892756B (ko)
CA (1) CA3064972A1 (ko)
DE (1) DE102017009564B4 (ko)
WO (1) WO2019015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6492A1 (de) 2020-06-23 2021-12-23 Insta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innerhalb eines zumindest teilweise funkbasierten Gebäudeinstallationssystems sowie Gebäudeinstallationssystem
US11917569B2 (en) * 2021-07-28 2024-02-27 Landis+Gyr Technology, Inc. Endpoint clock frequency adjustment for narrowband and ultra-narrowband communications in mesh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8943A1 (en) * 2014-04-30 2015-11-05 Delta Electronics (Shanghai) Co., Ltd Transmitter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16175905A1 (en) * 2015-04-28 2016-11-0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Wireless network for sensor arra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5187A1 (en) * 2003-07-31 2005-02-03 Li Yun Xin Signal processing of transmission packets
US8296436B2 (en) * 2004-03-22 2012-10-23 Nokia Corporation Conveying parameters for broadcast/multicast sessions via a communication protocol
CN101076977B (zh) * 2004-12-21 2011-01-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节点的电源管理方法
DE102005036255B4 (de) * 2005-08-02 2009-02-26 Prof. Dr. Horst Ziegler und Partner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Prof. Dr. Horst Ziegler 33100 Paderborn) Datenübertragung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atenübertragungssystems
US7830874B2 (en) * 2006-02-03 2010-11-09 Itron, Inc. Versatile radio packeting for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s
US7986718B2 (en) * 2006-09-15 2011-07-26 Itron, Inc. Discovery phase in a frequency hopping network
US8320302B2 (en) * 2007-04-20 2012-11-27 Elster Electricity, Llc Over the air microcontroller flash memory updates
JP2009182444A (ja) * 2008-01-29 2009-08-13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34348B2 (en) * 2009-04-16 2015-09-15 Panoramic Power Ltd. Distributed electricity metering system
JP5313818B2 (ja) * 2009-09-15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2079151A1 (en) * 2010-12-15 2012-06-21 Triacta Power Technologies, Inc. Wireless voltage reference broadcast in a distributed energy metering system
EP2661050B1 (en) * 2012-05-04 2019-10-02 Itron, Inc. Efficient firmware update in a narrow bandwidth system
EP2663089A1 (en) 2012-05-07 2013-11-13 Kamstrup A/S Consumption meter with remote control program update
GB2512127A (en) * 2013-03-21 2014-09-24 Sony Corp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EP2914039A1 (de) * 2014-02-26 2015-09-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atensendeanordnung, Datenempfäng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US9772363B2 (en) * 2014-02-26 2017-09-26 Nokomis, Inc. Automated analysis of RF effects on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use of device unintended emissions
US10263504B2 (en) * 2015-06-15 2019-04-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nchronizing interval data despite loss of time
ES2935117T3 (es) * 2015-09-29 2023-03-01 Tlv Co Ltd Sistema de transmisión de datos, dispositivo de gestión, programa de transmisión de datos y método de transmisión de datos
CN113507354A (zh) * 2016-01-11 2021-10-15 苹果公司 用于IoT控制信道的装置和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8943A1 (en) * 2014-04-30 2015-11-05 Delta Electronics (Shanghai) Co., Ltd Transmitter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16175905A1 (en) * 2015-04-28 2016-11-0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Wireless network for sensor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542B1 (ko) 2023-02-09
DE102017009564A1 (de) 2019-01-24
CN110892756B (zh) 2023-06-20
JP2020527909A (ja) 2020-09-10
DE102017009564B4 (de) 2019-06-06
CN110892756A (zh) 2020-03-17
EP3656158A1 (de) 2020-05-27
EP3656158B1 (de) 2024-02-28
US20200127807A1 (en) 2020-04-23
CA3064972A1 (en) 2019-01-24
WO2019015795A1 (de) 2019-01-24
EP3656158C0 (de) 2024-02-28
JP7253530B2 (ja) 2023-04-06
US11206125B2 (en)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7816B2 (en) Efficient firmware update in a narrow bandwidth system
US8036696B2 (en) Time-multiplexed, two tier wireless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070083294A1 (en) Wireless data acquisition system
US78560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frequency hopping of radio communications
US9408251B2 (en) Transmitting data within a mesh network
RU2010126640A (ru) Система временн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и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составе
US2016024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Initiated Communications
KR20200033292A (ko) 데이터 배포 방법
EP3251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a periodic beacon signal
JP3776714B2 (ja) 無線式親子時計システム及びその子時計
JP5244910B2 (ja) 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端末装置及び方法
JP3368223B2 (ja) 無線lan装置
US20080122651A1 (en) Wireless data exchange
JP2011035699A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20190045519A1 (en) Wireless Stream Broadcast System using Spectrum-Impact-Smoothed Channel Sequencing and Deferred Acknowledgments
JP2014504078A (ja) ネットワーク内のノードの同期
JP495607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102009976B1 (ko) 데이터 수집 장치, 검침 장치, 및 데이터 수집 장치의 제어방법
ES2902778T3 (es) Procedimiento de actualización del software integrado en terminales de lectura a distancia
CN116193685A (zh) 基于道钉灯的灯光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JP5532242B2 (ja)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200213002A1 (en) Low Power Radio Modem
JP4664018B2 (ja) 無線式時刻情報伝達システム
JP549826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968652B2 (ja) 電子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