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967A -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967A
KR20200032967A KR1020180112266A KR20180112266A KR20200032967A KR 20200032967 A KR20200032967 A KR 20200032967A KR 1020180112266 A KR1020180112266 A KR 1020180112266A KR 20180112266 A KR20180112266 A KR 20180112266A KR 20200032967 A KR20200032967 A KR 2020003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entry
exit
operator
work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633B1 (ko
Inventor
이훈구
이수환
이공식
노탄호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알텍 filed Critical (주)에이알텍
Priority to KR102018011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해당 작업 구간이 작업자에 의해 작업 영역으로 설정되면 열차의 진출입 상태와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경보 장치;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열차 감지 장치;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진출입 관리장치; 및 상기 안전 경보 장치로부터 제공 받은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경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SAFETY WARNING DEVICE FOR RAILWAY LINE WORKER AND SAFETY WAR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SAFETY WARN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는 대형수송수단으로서 점진적으로 그 이용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국적인 연결망을 갖도록 건설 또는 운영되고 있는바, 철도의 양적 팽창에 따라 철도의 이용자는 성능, 안정성, 쾌적성 및 기술력 확보 등 질적 서비스의 향상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의 일반철도 노선에는 300km/h 속도로 주행하는 고속철도차량, 150km/h대의 일반철도차량, 90km/h 이하로 운전하는 화물열차 등 다양한 속도대의 차량이 운행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철도 노선은 도시철도와는 달리 24시간 열차가 운행하고 있어서, 선로변 설비들의 점검 및 보수 등을 위해서 작업자들이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에 투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다양한 속도대의 열차가 동시에 운행되고 있는 국내의 일반철도 선로에서 선로 작업자들은 선로변에서 설비 유지보수 작업에 몰두하다 보면 열차가 접근하는 정보를 인지하지 못해 열차와의 추돌에 의한 사상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4339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7528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5956호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구간마다 독립적으로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고 작업 구간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해당 작업 구간이 작업자에 의해 작업 영역으로 설정되면 열차의 진출입 상태와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경보 장치;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열차 감지 장치;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진출입 관리장치; 및 상기 안전 경보 장치로부터 제공 받은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경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은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려는 작업자로부터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작업자 식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진출입 관리장치는 상기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식별장치는 RFID 리더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바코드 인식기, 코드 입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작업자의 진입 설정에 의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안정 경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된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결정에 따라 상기 다른 작업 구간과 해당 작업 구간을 모두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 감지 장치는 휠 센서, 악셀 카운터,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경보 단말장치는 해당 작업 구간 내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경광등, 경보 스피커, 열차진행방향 표시기와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안전용 무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진출입 관리부;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열차 감지부;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을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와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 제어부; 및 상기 연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안전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경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려는 작업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는 작업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출입 관리부는 상기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 진출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진입 설정에 의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안정 경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된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결정에 따라 상기 다른 작업 구간과 해당 작업 구간을 모두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결정에 따라 진입하려는 해당 작업 구간만을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하거나 진출한 작업자의 식별 정보와 진입한 시간과 진출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고 기록하는 상태표시/기록부; 및 상기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는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외부의 연결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안전 경보 장치의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경보 방법은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을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와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안전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안전 경보 장치를 구비하고, 그 구비된 안전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하고 있는 작업 구간으로 열차가 접근하는 경우 경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구간마다 구비된 안전 경보 장치를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작업 구간마다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구간마다 안전 경보 장치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인접한 안전 경보 장치 간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구간의 확장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차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경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구간 설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안전 경보 장치를 구비하고, 그 구비된 안전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하고 있는 작업 구간으로 열차가 접근하는 경우 경보를 출력하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작업자 안전 경보 시스템은 열차 감지장치(110), 작업자 식별장치(120), 진출입 관리장치(130), 안전 경보 장치(140), 안전경보 단말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차 감지장치(110)는 철도 선로 상의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고, 해당 작업 구간마다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차 감지장치(110)는 열차를 감지할 수 있는 기기로, 예컨대, 휠 센서, 악셀 카운터, 레이저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열차 감지장치(110)는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열차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열차 감지장치(110a)와 작업 구간에서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열차 감지장치(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 열차 감지장치(110a)는 제1 방향에서 진입하는 열차뿐 아니라 제2 방향으로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열차 감지장치(110b)도 제1 방향으로 진출하는 열차뿐 아니라 제2 방향으로 진입하는 열차도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차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열차 감지장치(110)는 작업 구간들 간의 경계에 설치되어 그 설치된 위치에서 해당 작업 구간에 진입하거나 해당 작업 구간에서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열차 감지장치(110)는 작업 구간의 경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확장된 위치에 설치되어, 그 설치된 위치에서 해당 작업 구간에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열차 감지장치(110)를 작업 구간의 경계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하는 이유는 열차를 감지하는 순간부터 작업자가 대응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작업자 식별장치(120)는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기 위해 출입하는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자 식별장치(120)는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기로, 예컨대, RFID 리더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바코드 인식기, 코드 입력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출입 관리장치(130)는 작업자에 의해 해당 작업 구간으로의 진입 또는 진출을 설정하고 그 설정한 결과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진출입 관리장치(130)는 작업자의 진입 또는 진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기기로, 예컨대, 스위치 기구함,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 식별장치(120)와 진출입 관리장치(130)는 연동하여 운영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작업자 식별장치(120)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작업자임이 확인된 경우, 진출입 관리장치(130)를 이용하여 진입 또는 진출의 설정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작업자 식별장치(120)와 진출입 관리장치(130)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진출입 관리장치(130)는 작업자를 식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진입 또는 진출을 설정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안전 경보 장치(140)는 열차 감지장치(110)와 연동하여, 열차 감지장치(110)로부터 열차 감지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받은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으로 열차가 진입하였는지 또는 진출하였는지 진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경보 장치(140)는 작업자 식별장치(120), 진출입 관리장치(130)와 연동하고, 작업자 식별장치(120)로부터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를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경보 장치(140)는 진출입 관리장치(130)로부터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작업자의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지 작업자 진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경보 장치(140)는 작업자 식별장치(120)로부터 제공 받은 식별정보와 진출입 관리장치(130)로부터 제공 받은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경보 장치(140)는 열차의 진출입 상태, 작업자의 식별 정보,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경보 장치(140)는 안전경보 단말장치(150)와 연동하여,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안전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안전경보 단말장치(150)에 제공함으로써, 안전경보 단말장치(150)를 통해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안전 경보 장치(140)는 열차의 진출입 상태, 작업자의 식별 정보,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 등 선로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 센터(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안전경보 단말장치(150)는 작업 구간별로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안전 경보 장치(140)로부터 경보 신호를 제공받아 경보 신호를 기초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경보장치(150)는 빛, 소리, 진동, 문자나 기호 등을 포괄하는 다양한 형태의 경보를 출력할 수 있는 기기로, 예컨대, 경광등, 경보 스피커, 안전용 무선 단말기, 열차 진행방향 표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경보장치(150) 중 경광등, 경보 스피커, 열차 진행방향 표시기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경보를 출력하고, 안전용 무선 단말기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경보를 출력한다.
이때, 안전 경보장치(150)는 해당 작업 구간 내에 열차가 진입한다고 판단한 시점부터 열차가 진출한다고 판단한 시점까지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경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장치(140)는 열차 감지부(141), 작업자 식별부(142), 진출입 관리부(143), 연산 제어부(144), 안전 경보부(145), 상태표시/기록부(146), 유/무선 통신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열차 감지부(141)는 열차 감지장치로부터 열차 감지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에 열차가 진입하였는지 또는 진출하였는지의 열차 진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자 식별부(142)는 작업자 식별장치로부터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진출입 관리부(143)는 진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에 작업자가 진입하였는지 또는 진출하였는지의 작업자 진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144)는 열차 감지부(141), 작업자 식별부(142), 진출입 관리부(143)와 연동하여, 열차의 진출입 상태, 작업자의 식별 정보,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일예로, 연산 제어부(144)는 미리 등록된 작업자가 해당 작업 구간에 진입하여 작업하고 있는 상황에서 열차의 진출입이 없거나 진출한 경우 해당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산 제어부(144)는 미리 등록된 작업자가 해당 작업 구간에 진입하는 작업하고 있는 상황에서 열차가 진입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경보부(145)는 연산 제어부(144)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안전 경보부(145)는 연산 제어부(144)의 판단 결과로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에 있는 경우 경보 신호를 안전경보 단말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상태표시/기록부(146)는 해당 작업 구간에 진입하거나 진출한 작업자의 식별 정보와 진입한 시간과 진출한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하고 기록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47)는 해당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식별 정보와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 열차의 진출입 상태 등을 통합 관제 센터(미도시)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구간 설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특정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경우, 특정 작업 구간에 설치된 작업자 식별 장치(120)는 작업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S401) 안전 경보 장치(140)에 전송하여 작업자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S402).
다음으로, 안전 경보 장치(140)는 전송된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고(S403) 그 확인한 결과를 진출입 관리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S404).
다음으로, 진출입 관리장치(130)는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작업자가 해당 작업 구간으로 진입할 것임을 설정하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고(S405) 획득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안전 경보 장치(140)에 전송할 수 있다(S406).
다음으로, 안전 경보 장치(140)는 제공 받은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을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407).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던 작업자가 인접한 제2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경우, 제1 작업 구간에 설치된 제1 작업자 식별 장치(120-1)는 작업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S411) 제1 안전 경보 장치(140-1)에 전송하여 작업자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S412).
다음으로, 제1 안전 경보 장치(140-1)는 전송된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고(S413) 그 확인한 결과를 제1 진출입 관리장치(130-1)에 제공할 수 있다(S414).
다음으로, 제1 진출입 관리장치(130-1)는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작업자가 제1 작업 구간으로 진출할 것임을 설정하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고(S415), 획득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제1 안전 경보 장치(140-1)에 전송할 수 있다(S416).
다음으로, 제1 안전 경보 장치(140-1)는 제공 받은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제1 작업 구간에 대한 작업 영역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S417).
작업자가 제1 작업 구간에서 제2 작업 구간으로 이동하여 제2 작업 구간에 설치된 제2 작업자 식별 장치(120-2)는 작업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S421)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에 전송하여 작업자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S422).
다음으로,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는 전송된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고(S423) 그 확인한 결과를 제2 진출입 관리장치(130-2)에 제공할 수 있다(S424).
다음으로, 제2 진출입 관리장치(130-2)는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작업자가 제2 작업 구간으로 진입할 것임을 설정하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고(S425), 획득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에 전송할 수 있다(S426).
다음으로,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는 제공 받은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제2 작업 구간을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427).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던 작업자가 이동하여 제2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경우, 제2 작업 구간에 설치된 제2 작업자 식별 장치(120-2)는 작업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S431)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에 전송하여 작업자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S432).
다음으로,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는 전송된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고(S433) 그 확인한 결과를 제2 진출입 관리장치(130-2)에 제공할 수 있다(S434).
다음으로, 제2 진출입 관리장치(130-2)는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작업자가 제2 작업 구간으로 진입할 것인지 또는 진출할 것인지를 설정하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고(S435) 획득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에 전송할 수 있다(S436).
다음으로,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는 제공 받은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이전에 설정된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S437), 그 확인한 결과로 설정된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 구간 정보를 제2 진출입 관리장치(130-2)에 제공할 수 있다(S438).
다음으로, 제2 진출입 관리장치(130-2)는 작업 구간 정보를 기초로 작업 구간을 유지 또는 해제할지를 작업자에게 문의하여 제1 작업 구간의 유지가 결정되면(S439), 결정된 제1 작업 구간의 유지를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에 알려줄 수 있다(S440).
다음으로,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는 제1 작업 구간의 유지가 결정되면, 제1 작업 구간과 제2 작업 구간을 모두 작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441).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는 제1 작업 구간의 유지가 결정되었음을 제1 안전 경보 장치(140-1)에 전송하여(S442) 작업 영역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S443).
반면, 제2 안전 경보 장치(140-2)는 문의할 결과로 제1 작업 구간의 해제가 결정되면, 제2 작업 구간을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 작업 구간의 해제를 제1 작업 구간에 설치된 제1 안전 경보 장치에 요청함으로써, 이전에 설정된 제1 작업 구간을 작업 영역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방법은 작업영역 설정 단계(S510), 열차 감지 단계(S520), 안전여부 판단 단계(S530), 안전 경보 단계(S54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영역 설정 단계(S510)에서, 안전 경보 장치는 작업자 식별장치를 통해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경보 장치는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판단된 경우, 진출입 관리장치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여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고 해당 작업 구간을 작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열차 감지 단계(S520)에서, 안전 경보 장치는 작업 영역이 설정되면, 열차 감지 장치를 통해 열차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여부 판단 단계(S530)에서, 안전 경보 장치는 열차의 진출입 상태, 작업자의 식별 정보,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영역의 안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경보 단계(S540)에서, 안전 경보 장치는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안전 경보 장치는 판단 결과로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에 있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경보를 안전경보 단말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열차 감지 장치
120: 작업자 식별장치
130: 진출입 관리장치
140: 안전 경보 장치
150: 안전경보 단말장치

Claims (13)

  1.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해당 작업 구간이 작업자에 의해 작업 영역으로 설정되면 열차의 진출입 상태와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경보 장치;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열차 감지 장치;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진출입 관리장치; 및
    상기 안전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된 경보 신호를 기초로 경보를 출력하는 안전경보 단말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려는 작업자로부터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작업자 식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진출입 관리장치는 상기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식별장치는, RFID 리더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바코드 인식기, 코드 입력기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경보 장치는,
    상기 작업자의 진입 설정에 의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안정 경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된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결정에 따라 상기 다른 작업 구간과 해당 작업 구간을 모두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감지 장치는, 휠 센서, 악셀 카운터,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경보 단말장치는, 해당 작업 구간 내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경광등, 경보 스피커, 열차진행방향 표시기와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안전용 무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7.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진출입 관리부;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열차 감지부;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을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와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 제어부; 및
    상기 연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안전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 경보부;
    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려는 작업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가 미리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확인하는 작업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출입 관리부는 상기 미리 등록된 작업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 진출입 정보를 수집하는, 안전 경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경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진입 설정에 의해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안정 경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된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결정에 따라 상기 다른 작업 구간과 해당 작업 구간을 모두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는, 안전 경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작업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결정에 따라 진입하려는 해당 작업 구간만을 상기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는, 안전 경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하거나 진출한 작업자의 식별 정보와 진입한 시간과 진출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고 기록하는 상태표시/기록부; 및
    상기 작업 구간에서 작업하는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외부의 연결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 경보 장치.
  13. 미리 정해진 작업 구간마다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안전 경보 장치의 해당 작업 구간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작업자 진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 구간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열차를 감지하여 열차 감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열차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해당 작업 구간을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작업자의 진출입 상태와 상기 열차의 진출입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작업 영역에 대한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안전 여부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방법.
KR1020180112266A 2018-09-19 2018-09-19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66A KR102124633B1 (ko) 2018-09-19 2018-09-19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66A KR102124633B1 (ko) 2018-09-19 2018-09-19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967A true KR20200032967A (ko) 2020-03-27
KR102124633B1 KR102124633B1 (ko) 2020-06-18

Family

ID=6995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66A KR102124633B1 (ko) 2018-09-19 2018-09-19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555B1 (ko) * 2023-04-21 2023-10-25 주경선 선로 출입 통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로 출입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561A (ko) * 2008-10-14 2010-04-22 대아티아이(주)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철도 선로변 작업자 보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00044339A (ko) 2008-10-22 2010-04-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선로변 작업자 안전을 위한 위험 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 방법
KR100968671B1 (ko) * 2008-03-31 2010-07-06 김국문 철로 곡선구간에서의 안전 경보시스템
KR100975286B1 (ko) 2008-05-28 2010-08-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5956A (ko) 2016-11-16 2018-05-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71B1 (ko) * 2008-03-31 2010-07-06 김국문 철로 곡선구간에서의 안전 경보시스템
KR100975286B1 (ko) 2008-05-28 2010-08-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1561A (ko) * 2008-10-14 2010-04-22 대아티아이(주)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철도 선로변 작업자 보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00044339A (ko) 2008-10-22 2010-04-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선로변 작업자 안전을 위한 위험 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 방법
KR20180055956A (ko) 2016-11-16 2018-05-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555B1 (ko) * 2023-04-21 2023-10-25 주경선 선로 출입 통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로 출입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633B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4433B2 (ja) 鉄道交通用の通信、モニター及び管制設備、及び関連した方法
AU70405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8214091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train location in a track network
CN109774748A (zh) 基于车车通信的列车超速防护方法、车载控制器和列车
US20100131129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 system capabilities
EA200201278A1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транспорте
GB2430528A (en) Transmitting movement authorities to trains independently of the interlocking controlling lineside signals.
KR102124633B1 (ko)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1056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열차자동정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4560A (ko) 도로교통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트램우선신호제어시스템
JP6715061B2 (ja) 保線人員管理システム
US20230356762A1 (en) Signal box controlled crew warning system
CN104334436B (zh) 用于导轨元件的辅助操作的方法以及操作控制系统
JP4691641B2 (ja) 信号冒進警報装置および車載機
JP2000335418A (ja) 車両位置案内装置
JP6103026B2 (ja) 車載装置及び車両
KR20000009567A (ko) 열차의 승강장 운행 제어/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191972A (ja) 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路上装置、車載装置及び車両
JP5880657B2 (ja) 車載装置及び車両
JPH0245264A (ja) 走行路内状況監視装置
KR101061230B1 (ko)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및 방법
KR200420054Y1 (ko) 열차의 안전 주행을 위한 경고시스템
KR20100003015A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철도 건널목 지장물 검출 제어 시스템및 방법
JP2016028921A (ja) 進路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上装置並びに地上装置
JP7349384B2 (ja) 中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