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956A -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956A
KR20180055956A KR1020160152596A KR20160152596A KR20180055956A KR 20180055956 A KR20180055956 A KR 20180055956A KR 1020160152596 A KR1020160152596 A KR 1020160152596A KR 20160152596 A KR20160152596 A KR 20160152596A KR 20180055956 A KR20180055956 A KR 20180055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transmission message
safety equipment
railway l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규
조현정
박찬경
신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956A/ko
Publication of KR2018005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56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반철도 구간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는 폐색제어장치로부터 해당 폐색구간에 대한 열차의 점유 여부에 관한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수신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지상용 안전설비와, 철도선로변 작업자가 휴대하되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로부터 경보 전송메시지가 수신되면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안전설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철도 노선에서 폐색구간별로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폐색장치의 정보를 활용해서 선로변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를 작업구간으로 접근하는 열차접근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선로변 작업자의 사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 SAFETY EQUIPMENT SYSTEM FOR RAILROAD LINE USING AUTOMATIC BLOCK SYSTEM }
본 발명은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일반철도 노선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패색장치를 활용하여 열차가 선로변 작업자에게 접근하는 경우 선로변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경보정보를 발생하는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는 대형수송수단으로서 점진적으로 그 이용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국적인 연결망을 갖도록 건설 또는 운영되고 있는바, 철도의 양적 팽창에 따라 철도의 이용자는 성능, 안정성, 쾌적성 및 기술력 확보 등 질적 서비스의 향상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의 일반철도 노선에는 300 km/h 속도로 주행하는 고속철도차량, 150 km/h대의 일반철도차량, 90 km/h 이하로 운전하는 화물열차 등 다양한 속도대의 차량이 운행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철도 노선은 도시철도와는 달리 24시간 열차가 운행하고 있어서, 선로변 설비들의 점검 및 보수 등을 위해서 작업자들이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에 투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다양한 속도대의 열차가 동시에 운행되고 있는 국내의 일반철도 선로에서 선로 작업자들은 선로변에서 설비들의 유지보수 작업에 몰두하다 보면 열차가 접근하는 정보를 인지하지 못해 열차와의 추돌에 의한 사상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998221호(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0975289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방법들 중 운행하는 열차에서 무선을 이용해 선로변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생시키는 방식의 경우 열차속도대가 동일한 도시철도 노선에는 적합하지만 동일 선로임에도 운행하는 열차의 속도대가 다양한 일반철도 노선에는 적용을 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GPS 정보를 이용한 운행열차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선로변 작업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이나 관제시스템을 활용한 열차위치 파악 및 이를 통한 선로변 작업자에게 경보를 전송하는 방법 등은 단순한 안전설비가 아닌 여러 장치들과 인터페이스 되어야 하는 거대한 종합적인 시스템으로 구축해야 함에 따라 비용 측면에서 현실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운행열차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선로변 작업자에게 전송하는 기술들은 기존의 일반철도 노선에 적용을 위해 제안된 선로변 작업자 경보설비들에서 여러 시스템들을 개량해야 되고, 또한 경보를 위한 시스템이 너무 거대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실용성이 없어 실제 철도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지 않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0998221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097528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국내 일반철도 전체 노선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패색장치를 활용해 작업구간 내에서 작업중인 선로변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열차접근 경보를 전송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체 노선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패색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단순화된 구조의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반철도 구간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는 폐색제어장치로부터 해당 폐색구간에 대한 열차의 점유 여부에 관한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수신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지상용 안전설비와, 철도선로변 작업자가 휴대하되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로부터 경보 전송메시지가 수신되면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안전설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는 해당 폐색구간에 대한 열차의 점유 여부에 관한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분석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는 상기 폐색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분석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경보 전송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폐색제어장치와 지상용 안전설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경보 전송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는 지상용 안전설비로부터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분석하여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분석부와, 상기 메시지분석부에서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에 따라 선로변 작업영역의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분석부는 상기 경보 전송메시지를 분석하여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발생이 필요하면 경보정보를 경보 발생부로 출력하고, 경고중지가 필요하면 경보 발생부로 중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발생부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광)을 조사하는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철도 노선에서 폐색구간별로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폐색장치의 정보를 활용해서 선로변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를 작업구간으로 접근하는 열차접근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선로변 작업자의 사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철도 노선에 폐색구간별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폐색장치에 부착하는 지상용 안전설비와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안전설비를 사용해 구성이 단순하면도 선로변 작업자의 보호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설비 시스템은 구성이 단순하고 기존 선로변 설비를 개량하는 것이 아닌 본 안전설비를 자동폐색장치에 간단히 부착 또는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적용성 측면에서 적은 비용으로 작업자의 사상사고를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의 설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의 신호 전송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용 안전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전설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의 경보 전송 메시지 프레임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은 국내 일반철도 전체 노선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폐색장치(1)를 활용해 선로변 작업영역(10)에서 선로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열차(T)가 접근하며 경보를 발생하여 작업자가 열차 접근을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은 일반철도 구간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는 폐색제어장치(1)로부터 해당 폐색구간에 대한 열차의 점유 여부에 관한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수신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지상용 안전설비(100)와, 철도선로변 작업자가 휴대하되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로부터 경보 전송메시지가 수신되면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일반철도 구간은 600 ~ 800 m 간격으로 복수의 폐색구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 폐색구간별로 폐색제어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폐색제어장치(1)는 선로상을 주행하는 열차(T)의 해당 폐색구간으로의 진출입 등에 따라 정지신호인 'R(RED)', 진행신호인 'G(Green)', 주의 신호인 'Y(Yellow)'를 신호기로 출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폐색제어장치(1)는 열차(T)가 해당 폐색구간을 점유하면 신호기(2)에 'R' 신호를 현시시켜주고, 열차(T)가 다음 폐색구간으로 진행하면 신호기(2)를 'Y'로 변경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기(2)의 현시정보에 따라 후속 열차는 선행 열차와의 안전간격 유지를 통한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차(T) 이동에 따른 폐색제어장치(1)에서 관리하는 궤도회로의 점유정보인 폐색구간 점유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용 안전설비(100)로 수신된다.
이에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는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분석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선로변 작업영역의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전송하여 열차(T)가 접근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은 지상용 안전설비(100)는 폐색제어장치(1)로부터 수신되는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분석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10)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된 경보 전송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120)를 통해 휴대용 안전설비(200)는 물론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지상용 안전설비(100)와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는 폐색제어장치(1)와 데이터 송수신을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12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200)는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로부터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210)와, 상기 무선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분석하여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분석부(220)와, 상기 메시지분석부(220)에서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에 따라 선로변 작업영역(10)의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분석부(220)는 열차(T) 접근으로 인한 선로변 작업자의 대피 등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분석하여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상기 메시지분석부(220)는 경고발생이 필요하면 경보정보를 경보 발생부(230)로 출력하고, 경고중지가 필요하면 경보 발생부(230)로 중지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발생부(230)는 상기 메시지분석부(220)에서 출력되는 경보정보에 따라 경고를 출력하거나 해제한다.
이와 같은 휴대용 안전설비(200)는 작업영역(10)에 임시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포터블(portable)한 형태로 제작되어 작업구간을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의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230)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빛(광)을 조사할 수 있는 램프 등으로 구성되어 경보를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경보 발생부(230)는 일 예로 경광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200)는 소형으로 제작하여 작업자별 하나씩 휴대하여 소리, 진동, 빛으로 경보를 발생시켜 작업자가 열차가 접근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200)는 스피커, 램프, 진동기 등이 내장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기기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지상용 안전설비(100)에서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전송되는 경보 전송메시지의 프레임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실제 구현에서는 이를 기본으로 변형해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전송 프레임 메시지는 "Message Type"에서 폐색제어장치(1)에 의해 신호기(2)의 현시가 "G ⇒ R"인지 아니면 반대로 "R ⇒ Y, Y ⇒ G" 인지를 구분하여 전송하면 된다.
따라서, 지상용 안전설비(100)의 정보분석부(110)는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전송메시지의 "Message Type"에 적절한 정보를 마킹하면 된다. 이와 같은 경보 전송메시지는 작업구간에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수신되며, 작업구간에서의 휴대용 안전설비(200)의 메시지 분석부(220)는 상기 경보 전송메시지의 "Message Type"을 확인하여 경보를 발생시킬지 또는 경보를 중단시킬지 결정하면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열차(T)가 특정의 폐색구간을 점유하면, 해당궤도회로의 점유정보(계전기 접점)를 이용하여 해당 폐색구간에 설치되는 폐색제어장치(1)는 해당 폐색구간의 신호기(2)에 "R"을 현시한다.
이때, 폐색제어장치(1)는 지상용 안전설비(100)를 인터페이스하여 계전기 접점정보가 "G"에서 "R"로 변경되는 조건이면 경보 발생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해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는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200)는 수신되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분석하여 경고의 발생 또는 중지를 판단하고 경고발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열차 접근을 알려주게 된다.
물론,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는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경보 전송메시지를 전송함은 물론,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가 설치되는 폐색제어장치(1)의 바로 이웃하는 폐색구간에 설치되는 폐색제어장치(1)에 인터페이스될 지상용 안전설비(100)에도 경보 전송메시지를 전송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에서와 같이 선로변 작업구간(10)의 전후방 최소 4개의 폐색제어장치(1)에 본 발명의 지상용 안전설비(100)인 안전설비 A, 안전설비 B, 안전설비 C, 안전설비 D를 인터페이스 시킬 경우, 왼쪽에서와 같이 열차(T)가 해당 폐색구간에 접근하면 안전설비 A가 인터페이스되는 폐색제어장치(1)는 신호기(10)를 "G"에서 "R"로 변경시킬 것이다.
이 경우 안전설비 A는 폐색제어장치(1)로부터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휴대용 안전설비(200)로 전송하여 열차(T)의 접근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시키고, 안전설비 A는 신호기(2)가 "G ⇒ R"로 변경된 경보 전송메시지를 이웃하는 안전설비 B로 전송하여 이웃 폐색구간으로 열차(T)가 접근하고 있음을 작업구간(10)의 작업자에서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휴대용 안전설비(200)를 통해 안전설비 B로부터 경보 전송메시지를 수신이 가능하며, 따라서 작업구간(10)에서 안전설비 A 또는 B의 정보 발생에 따라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설비 B는 이웃하는 안전설비 A로부터 경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여 다른 인접한 안전설비로 경보 전송메시지를 재송신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100)의 무선 송수신부(120)는 서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열차(T)가 도 1의 오른쪽 열차처럼 작업구간을 통과한 경우, 휴대용 안전설비(200)는 경보 발생을 중지시켜야 한다. 경보 중지의 경우는 폐색제어장치(1)에서 "G ⇒ R"가 아닌 반대로 "Y ⇒ G" 또는 "R ⇒ Y"와 같이 반대로 변경되면 지상용 안전설비(100)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작업구간(10)의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안전설비(200)에서 이 경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여 경보를 중지(또는 해제)함으로써 열차가 통과하였음을 인지하고 경보발생을 중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폐색제어장치 2: 신호기
100: 지상용 안전설비 110: 메시지 생성부
120: 무선 송수신부 200: 휴대용 안전설비
210: 무선 수신부 220: 메시지분석부
230: 경보 발생부 T: 열차

Claims (8)

  1. 일반철도 구간의 폐색구간별로 설치되는 폐색제어장치로부터 해당 폐색구간에 대한 열차의 점유 여부에 관한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수신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지상용 안전설비와, 철도선로변 작업자가 휴대하되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로부터 경보 전송메시지가 수신되면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안전설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는 해당 폐색구간에 대한 열차의 점유 여부에 관한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분석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용 안전설비는 상기 폐색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폐색구간 점유정보를 분석하여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경보 전송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제어장치와 지상용 안전설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경보 전송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는 지상용 안전설비로부터 경보의 발생 또는 중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보 전송메시지를 분석하여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분석부와, 상기 메시지분석부에서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에 따라 선로변 작업영역의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분석부는 상기 경보 전송메시지를 분석하여 경고 발생 또는 중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발생이 필요하면 경보정보를 경보 발생부로 출력하고, 경고중지가 필요하면 경보 발생부로 중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광)을 조사하는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안전설비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 안전설비 시스템.
KR1020160152596A 2016-11-16 2016-11-16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KR20180055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96A KR20180055956A (ko) 2016-11-16 2016-11-16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96A KR20180055956A (ko) 2016-11-16 2016-11-16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956A true KR20180055956A (ko) 2018-05-28

Family

ID=6245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596A KR20180055956A (ko) 2016-11-16 2016-11-16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9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67A (ko) 2018-09-19 2020-03-27 (주)에이알텍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RU2789461C1 (ru) * 2021-09-10 2023-02-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транспорта" (ФГАОУ ВО РУТ (МИИТ), РУТ (МИИТ)) Способ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для участков пути между двумя соседними раздельными пунктами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или огороженной зоной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с контролем доступ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67A (ko) 2018-09-19 2020-03-27 (주)에이알텍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RU2789461C1 (ru) * 2021-09-10 2023-02-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транспорта" (ФГАОУ ВО РУТ (МИИТ), РУТ (МИИТ)) Способ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для участков пути между двумя соседними раздельными пунктами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или огороженной зоной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с контролем доступ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936B1 (ko) 열차 제어 시스템의 지상 장치
RU138441U1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CN102358334A (zh) 列车防撞预警系统
JP4755521B2 (ja) 鉄道沿線情報伝送システム
KR101606646B1 (ko) 도로교통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트램우선신호제어시스템
RU2583011C1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ях о приближен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CN104554299A (zh) 基于atp/td环线制式的列车自动驾驶方法
KR100505745B1 (ko) 열차접근 검출 및 경보 장치
CN104724142A (zh) 一种对降级模式的列车设置临时限速的方法
KR101472992B1 (ko) 저심도 도시철도용 역간 전자폐색방식의 차상진로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979400A (zh) 一种基于车地信号融合的列车接近预警方法和系统
KR100877587B1 (ko) 지피에스와 대차 불안정 감지센서를 이용한 열차의운행안내 및 안전운행 지원시스템
KR100968671B1 (ko) 철로 곡선구간에서의 안전 경보시스템
JP5799460B2 (ja) 車上装置及び列車進行制御システム
CN107848549A (zh) 用于轨道车辆的人员撤离的系统和方法
KR20180055956A (ko) 자동폐색장치를 활용한 일반철도 노선의 철도선로변 작업자용 안전설비 시스템
CN103282259A (zh) 用于欧洲列车控制系统2级etcs l2列车控制的装置
JP2018207687A (ja) 自動列車防護システム
JPH08301114A (ja) 列車接近警報装置
RU2591551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поездов на перегоне
JP2008150000A (ja) 旅客案内システム
Fenner Train protection
KR102168026B1 (ko) 철도 통합 감시 시스템
CN115848460B (zh) 一种半自动闭塞线路的信号授权方法及系统
RU2777670C1 (ru) Способ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анала индуктивной связи с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ем с разделением по частоте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ем о наличии персонала на пут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