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461A -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461A
KR20200032461A KR1020180111529A KR20180111529A KR20200032461A KR 20200032461 A KR20200032461 A KR 20200032461A KR 1020180111529 A KR1020180111529 A KR 1020180111529A KR 20180111529 A KR20180111529 A KR 20180111529A KR 20200032461 A KR20200032461 A KR 2020003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icrostructure
injection device
fill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989B1 (ko
KR102227989B9 (ko
Inventor
정준호
전소희
김기돈
윤석민
이주범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989B1/ko
Priority to US17/277,638 priority patent/US20220023604A1/en
Priority to JP2021514961A priority patent/JP2022500177A/ja
Priority to PCT/KR2019/012085 priority patent/WO2020060195A1/ko
Priority to EP19863606.0A priority patent/EP3854441A4/en
Priority to CN201980060441.1A priority patent/CN113195034A/zh
Publication of KR2020003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989B1/ko
Publication of KR10222798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98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7Micromachined device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Devices obtained by lithographic treatment of silicon; Devices comprising ch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6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5/00Use of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44Injection needles, syr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6Microarticles, nano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진 공간에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충진된 약물이 미세 구조체에 형성된 홀 안쪽으로 침투하여 충진 공간뿐만 아니라 미세 구조체의 선단부에도 약물이 분포함으로써 미세 구조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약물의 누출을 방지하며 약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의 피부 침투도 및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작하고자 하는 미세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성형 몰드를 준비하는 성형 몰드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 몰드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도포하는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와, 상기 성형 몰드에 도포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건조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을 형성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약물을 충진하는 약물 충진단계와, 상기 니들 필름을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충진 공간에는 상기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Microstructure-based drug injec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 공간에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충진된 약물이 미세 구조체에 형성된 홀 안쪽으로 침투하여 충진 공간뿐만 아니라 미세 구조체의 선단부에도 약물이 분포함으로써 미세 구조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약물의 누출을 방지하며 약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의 피부 침투도 및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은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물질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효력을 발휘하도록 세포, 조직, 장기 및 기관으로 전달을 제어하는 일련의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약물 전달 시스템은 경구로 약물을 섭취하는 경구형 약물 전달 시스템과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국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경피 투과형 약물 전달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이 중, 경피 투과형 약물 전달 시스템은 약물과 같은 약제학적 물질을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어 이미 오래전부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지만, 통증의 동반과 약물의 일시적 주입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사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주사기의 니들보다 훨씬 작은 마이크로 사이즈의 경피 투과형 니들이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니들은 피부 미용 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을 피부 조직 내에 주입하거나, 피부의 내부로부터 혈액과 같은 체액의 추출을 위한 기구로 사용되고, 피부 질환의 치료나 질병의 예방 주사 등과 같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약물을 니들 표면에 코팅하는 경우와, 니들 내부에 약물을 충진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니들 내부에 약물이 충진되는 경우 니들은 생분해성 재질로 구성되어 니들이 경피에 투과되고, 경피에 투과된 영역의 니들이 용해됨으로써 충진된 약물이 피부 조직 내로 주입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마이크로 니들은 생분해성 재질 내에 빈공간없이 약물을 주입하여 제조과정 중에 생분해성 재질내로 약물 침투로 인하여 마이크로 니들의 형상이 수축되거나 충진된 약물이 마이크로 니들 밖으로 누출되는 문제점과, 생분해성 재질로 구성된 니들이 용해되는 시간 동안에는 약물이 주입될 수 없으므로, 즉각적인 약물의 주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부 침투도 및 전달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716호 (발명의 명칭: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제조 장치, 공개일: 2017년 11월 06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진 공간에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충진된 약물이 미세 구조체에 형성된 홀 안쪽으로 침투하여 충진 공간뿐만 아니라 미세 구조체의 선단부에도 약물이 분포함으로써 미세 구조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약물의 누출을 방지하며 약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의 피부 침투도 및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작하고자 하는 미세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성형 몰드를 준비하는 성형 몰드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 몰드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도포하는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와, 상기 성형 몰드에 도포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건조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을 형성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약물을 충진하는 약물 충진단계와, 상기 니들 필름을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충진 공간에는 상기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약물은 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된 상기 약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세 구조체에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상기 약물의 액적 직경은 1,000μm 이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 충진단계 이전에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고체상태의 약물을 제작하는 고체약물 제작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체약물 제작단계는, 유체상태의 약물을 고체약물 제작몰드에 충진하는 유체약물 충진단계와, 제작하고자 하는 상기 고체상태의 약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몰드가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되는 몰드결합단계와, 상기 유체상태의 약물이 상기 고체상태의 약물로 상변화하도록 약물을 처리하는 약물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는 상기 약물의 형상을 상기 충진 공간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는 상기 약물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는 상기 약물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작하고자 하는 미세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성형 몰드를 준비하는 성형 몰드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 몰드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도포하는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와, 상기 성형 몰드에 도포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건조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을 형성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약물을 코팅하는 약물 코팅단계와, 상기 니들 필름을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건조단계에서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는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과,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충진된 약물과, 상기 충진 공간 중 상기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공간에 해당하되, 기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를 포함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약물은 유체상태이며,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된 상기 약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세 구조체에 침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의 액적 직경은 1,000μm 이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은 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의 형상은 상기 충진 공간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은 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의 형상은 V자 형상이되, 일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은 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의 형상의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과,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코팅된 약물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배치되는 내부 공간부를 포함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충진 공간에 충진된 약물이 미세 구조체에 형성된 홀 안쪽으로 침투하여 충진 공간뿐만 아니라 미세 구조체의 선단부에도 약물이 분포함으로써 약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의 피부 침투도 및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미세 구조체 내부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건조단계에서 미세 구조체의 수축을 감소시켜 성형 몰드 형상과 가까운 미세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미세 구조체 내부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미세 구조체가 피하 조직에 삽입되어 용해될 때, 미세 구조체 중 상기 내부 공간부가 위치하는 영역이 빠르게 용해됨으로써 약물이 충진된 영역의 미세 구조체가 피하 조직에 삽입된 상태로 패치 필름과 접착된 니들 필름을 피부로부터 빠르게 분리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니들 필름이 피부에 부착되고, 미세 구조체가 피하 조직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때, 미세 구조체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미세 구조체에 수용된 약물이 외력에 의하여 니들 필름과 패치 필름 사이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고체약물 제작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1 제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4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2 제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5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3 제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6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4 제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7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5 제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약물 충진단계(S140) 및 2차 건조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에서는 제작하고자 하는 미세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성형 몰드 준비한다.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에서는 상기 성형 몰드 상부 영역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도포한다.
상기 1차 건조단계(S130)에서는 상기 성형 몰드에 도포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건조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1차 건조단계(S130)를 거친 상기 니들 필름은 반건조(semi-dried)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약물 충진단계(S140)에서는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의 일부분 영역에 약물을 충진한다.
상기 2차 건조단계(S150)에서는 상기 니들 필름을 건조하며, 상기 2차 건조단계(S150)를 거친 상기 충진 공간에는 상기 약물이 충진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에는 기체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약물 충진단계(S140)와 상기 2차 건조단계(S150)는 상기 약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이 인체의 피부에 침투되어야 하는 양만큼 상기 미세구조체에 수용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미세 구조체 내부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1차 건조단계(S130) 및 상기 2차 건조단계(S150)에서 미세 구조체의 수축을 감소시켜 성형 몰드 형상과 가까운 미세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하여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를 도 8과 같이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약물 충진단계(S140)를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2차 건조단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에서는 제작하고자 하는 미세 구조체(1211)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성형 몰드(1100)를 준비하며,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에서는 상기 성형 몰드(1100)의 상부 영역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을 전체적으로 도포한다.
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니들 필름(S130의 1210)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을 상기 성형 몰드(110)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게 되면, 유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은 상기 성형 몰드의 미세 구조체(1211)와 대응되는 형상 끝에 모이게 되어 불균일한 두께의 니들 필름(1210)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몰드(1100)의 상부 영역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을 전체적으로 도포한다.
도 2에서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에서는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이 상기 성형 몰드(1100)에 전체적으로 도포된 이후,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의 유효 물질들의 침전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을 0차 건조한 후 식각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최종 완성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니들 필름(121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의 생분해성 소재는 생체 내에서 용해 또는 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핵산(nucleic acid), 데옥시리보 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PDR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글리코겐(glycogen), 덱스트란(설페이트), 덱스트란(dextran), 덱스트린(dextrin),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 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글리코라이드 공중합체(PLGA), 히아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틴(chitin),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pullulan) 등의 다당류나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 등의 단백질, 풀루란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 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xylvinylpolymer),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의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에서 상기 성형 몰드(1100)에 도포되는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의 양은 최종 완성되는 니들 필름(1210)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1차 건조단계(S130)에서는 상기 성형 몰드(1100)에 도포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을 건조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1211)가 형성된 니들 필름(1210)을 형성한다.
즉, 상기 1차 건조단계(S130)에서는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1200)이 도포된 상기 성형 몰드(1100)를 별도의 건조유닛(미도시)에서 일정 온도,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니들 필름(121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건조단계(S130)의 건조 조건은 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으로 하며, 수 분 내지 수 시간 동안 상기 성형 몰드(1100)를 건조유닛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 구조체(1211)의 길이는 피부의 피하 조직까지 원하는 위치에 닿을 수 있는 길이로, 10㎛ 내지 1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1212), 즉, 이후 내부 공간부(도 10의 1212a)로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1차 건조단계(S130)에서 상기 미세 구조체(1211)의 수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성형 몰드(1100) 형상에 가까운 미세 구조체(1211)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충진단계(S140)에서는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1212)에 약물(1310)을 충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물(1310)은 유체 상태이고, 상기 약물 충진단계(S140)에서는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1212)에 약물(1310)을 충진하며, 이때 상기 충진 공간(1212)에 충진된 상기 약물(1310)의 충진량은 인체의 피부에 침투되어야 하는 유효 성분의 양과 비례한다.
상기 약물 충진단계(S140)에서 상기 충진 공간(1212)에 충진되는 상기 약물(1310)의 직경(도 10의 k)은 1,000μm이내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약물(1310)의 직경의 최소 크기는 제작할 수 있는 액적의 크기이고, 제작하는 범위 내에서 나노 단위 또는 그 이하의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약물(1310)의 직경을 한정한 이유는 액적 형태의 약물(1310)이 니들 필름(1210)에 형성된 홀 안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함과 약물 충진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니들 필름(1210)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홀은 다공성 재질로 구성된 상기 니들 필름(1210)의 특성에 따라 상기 니들 필름(1210)에 형성된다.
따라서, 약물 충진단계(S140)에서는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충진된 상기 약물(13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형성된 홀에 침투하며, 상기 약물은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형성된 홀의 일부분 및 충진 공간(1212)의 일부분에 충진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2차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니들 필름(1210)을 건조하며, 도 2에 상기 2차 건조단계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 건조단계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구성 및 도번부호를 사용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 건조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성형 몰드(1100)에 형성된 상기 니들 필름(1210)을 별도의 건조유닛에서 일정 온도,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약물(1310)이 침투한 영역의 미세 구조체(1211)가 피부를 뚫을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충진 공간(1212)에는 내부 공간부(도 10의 1212a)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2차 건조단계의 온도 조건은 0℃ 내지 80℃로 하며, 상기 니들 필름(1210)을 수 분 내지 수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2차 건조단계의 온도 조건 최대값이 상기 1차 건조단계(S130)의 온도 조건 최대값에 비해 낮은 이유는 약물 충진과정에서 약물 액적이 니들필름(1210)에 접촉하기 전에 건조되는 것과 니들필름(1210)이 열에 의하여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1212), 즉, 이후 내부 공간부(도 10의 1212a)로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2차 건조단계에서 상기 미세 구조체(1211)의 수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성형 몰드(1100) 형상에 가까운 미세 구조체(1211)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2차 건조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미세 구조체(1211)가 건조되어 사람의 피부를 뚫을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미세 구조체(1211)가 형성된 니들 필름(1210)이 제작되며, 상기 니들 필름(1210)의 상부 영역, 즉 상기 미세 구조체(1211)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영역에는 상기 니들 필름(1210)을 사람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패치 필름(미도시)이 접착된다.
패치 필름이 접착된 상기 니들 필름(1210)이 피부에 부착되고, 상기 미세 구조체(1211)가 피하 조직에 삽입되어 용해될 때, 상기 미세 구조체(1211) 중 상기 내부 공간부(도 10의 1212a)가 위치하는 영역, 즉 일면은 피하 조직과 접하고, 다른면은 상기 내부 공간부와 접하는 미세 구조체(1211) 영역이 빠르게 용해됨으로써 상기 약물(1310)이 충진된 영역의 미세 구조체(1211)가 피하 조직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패치 필름과 접착된 니들 필름을 피부로부터 빠르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니들 필름이 피부에 부착되고, 상기 미세 구조체가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때,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수용된 상기 약물(1310)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니들 필름(1210)과 상기 패치 필름 사이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 약물 충진단계(S140) 및 2차 건조단계(S15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및 2차 건조단계(S150)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및 2차 건조단계(S150)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에 의하여 제3 실시예에서의 약물 충진단계(S14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약물 충진단계(S140)와 다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는 상기 1차 건조단계(S130) 이후 수행되며, 상기 약물 충진단계(S140)에서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고체상태의 약물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약물 충진단계(S141'), 몰드결합단계(S142') 및 약물처리단계(S143')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약물 충진단계(S141')에서는 유체상태의 약물을 고체약물 제작몰드에 충진한다.
상기 몰드결합단계(S142')에서는 제작하고자 하는 고체상태의 약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몰드가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몰드 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는 상기 약물을 상기 충진 공간 내부의 일부분에만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약물처리단계(S143')에서는 상기 유체상태의 약물이 상기 고체상태의 약물로 상변화하도록 약물을 처리하며, 예를 들어, 상기 약물의 처리는 상기 약물의 종류에 따라 가열, 건조 또는 자외선 조사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약물을 상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 이후, 상기 약물 충진단계(S140)에서는 고체상태의 약물을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삽입하여 충진하며, 이때, 상기 충진 공간에는 상기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에는 기체가 수용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미세 구조체 내부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1차 건조단계(S130) 및 상기 2차 건조단계(S150)에서 미세 구조체의 수축을 감소시켜 성형 몰드 형상과 가까운 미세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1차 건조단계, 고체약물 제작단계, 약물 충진단계 및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1차 건조단계, 약물 충진단계 및 2차 건조단계는 제3 실시예의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약물 충진단계(S140) 및 2차 건조단계(S150)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고체약물 제작단계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와 같이, 유체약물 충진단계, 몰드결합단계 및 약물처리단계를 포함하되, 고체약물 제작단계에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고체 상태의 약물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약물 충진단계에서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에 유체상태의 약물(1320)을 충진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후,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1510)는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와 결합하여 상기 약물(1320)의 형상을 변형시키고, 상기 약물 처리단계에서 액체 상태의 약물을 고체 상태의 약물로 상변화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몰드(1510)의 형상은 상기 약물(1320)의 형상을 상기 충진 공간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약물(1320)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약물(1320)은 고체상태의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약물(1320)은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분의 영역에 삽입되어 충진되며, 상기 충진 공간 내부에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도 11 참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4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상기 약물(132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 공간의 선단부에 고르게 충진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한쪽으로 치우쳐지도록 충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약물(1320)의 삼각형 형상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1차 건조단계, 고체약물 제작단계, 약물 충진단계 및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1차 건조단계, 약물 충진단계 및 2차 건조단계는 제3 실시예의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약물 충진단계(S140) 및 2차 건조단계(S150)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고체약물 제작단계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와 같이, 유체약물 충진단계, 몰드결합단계 및 약물처리단계를 포함하되, 고체약물 제작단계에서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부분은 충진 공간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충진 공간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고체 상태의 약물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약물 충진단계에서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에 유체상태의 약물(1330)을 충진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후,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1520)는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와 결합하여 상기 약물(1330)의 형상을 변형시키고, 상기 약물 처리단계에서 액체 상태의 약물을 고체 상태의 약물로 상변화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몰드(1520)의 형상은 상기 약물(1330)의 형상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약물(1330)의 일부분은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약물(1330)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약물(1330)은 고체 상태이고,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약물(1330)의 일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형상으로 제작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약물(1330)은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삽입되어 충진되며, 상기 충진 공간 내부에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도 12 참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5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상기 약물(13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약물(1330) 중 타부분에 해당하는 양 끝부분은 도 6에서와 같이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한쪽 끝은 상기 충진 공간의 내부에, 한쪽 끝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1차 건조단계, 고체약물 제작단계, 약물 충진단계 및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6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1차 건조단계, 약물 충진단계 및 2차 건조단계는 제3 실시예의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약물 충진단계(S140) 및 2차 건조단계(S150)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고체약물 제작단계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고체약물 제작단계(S140')와 같이, 유체약물 충진단계, 몰드결합단계 및 약물처리단계를 포함하되, 고체약물 제작단계에서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충진 공간의 일부분 영역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고체 상태의 약물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약물 충진단계에서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에 유체상태의 약물(1340)을 충진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후,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1530)는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와 결합하여 상기 약물(1340)의 형상을 변형시키고, 상기 약물 처리단계에서 액체 상태의 약물을 고체 상태의 약물로 상변화시킨다.
즉, 본 실시예의 상기 형상몰드(1530)의 형상은 상기 약물(1340)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충진 공간의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14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약물(1340)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약물(1340)은 고체 상태이고, V자 형상이되,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분을 충진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약물(1340)은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분의 영역에 삽입되어 충진되며, 상기 충진 공간 내부에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도 11 참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6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상기 약물(13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약물(1340) 중 양 끝 부분은 도 7에서와 같이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은 성형 몰드 준비단계(S2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220), 1차 건조단계(S230), 약물 코팅단계(S240) 및 2차 건조단계(S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 준비단계(S2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220), 1차 건조단계(S230) 및 2차 건조단계(S250)의 내용은 상술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성형 몰드 준비단계(S11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S120), 1차 건조단계(S130) 및 2차 건조단계(S15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코팅단계(S240)에서는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약물을 코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약물 코팅단계(S240)에서 상기 약물은 유체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미세 구조체 외측면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코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약물 코팅단계(S240)에서 상기 약물은 고체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미세 구조체 외측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약물은 상기 약물은 약물 코팅단계(S240) 이전에 고체의 약물을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는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는 미세 구조체의 외측에 약물이 코팅되고,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약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의 피부 침투도 및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세 구조체 내부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1차 건조단계(S230) 및 상기 2차 건조단계(S250)에서 미세 구조체의 수축을 감소시켜 성형 몰드 형상과 가까운 미세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1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조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는 니들 필름(1210), 약물(1310a, 1310b) 및 내부 공간부(1212a)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 필름(1210)은 생분해성 소재로 구성되며, 미세 구조체(1211)가 형성된다.
상기 약물은(1310a, 1310b) 유체 상태이고,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1212, 도 2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에 충진되며, 상기 약물(1310a,1310b)의 충진량은 인체의 피부에 침투되어야 하는 유효 성분의 양과 비례하고, 상기 약물(1310a, 1310b) 액적의 직경(k)은 1,000μm 이내의 범위를 가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약물(1310a, 1310b)은 피부에 작용하거나, 혹은 피부를 투과하는 어떤 유익한 유효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물질은, 비제한적 예로서 백신, 유전자, 항체, 펩티드, 마취제, 인슐린, 다당류, 단백질, 합성 유기 화합물, 합성 무기 화합물, 또는 미백 또는 항산화제와 같은 미용 성분일 수 있으며, 약학적, 의학적 또는 화장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된 여하의 다른 유효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1310)에는 안정화제가 혼합될 수 있다. 안정화제는 약물에 포함된 유효 물질이 약상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정제는, 비제한적 예로서 알부민 (albumin), 핵산(nucleic acid), 데옥시리보 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PDRN)과 같은 성분일 수 있으며, 의학적 또는 화장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된 여하의 다른 안정제일 수 있다.
또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과 같이,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충진된 상기 약물의 적어도 일부(1310a)가 상기 미세 구조체(1211)에 형성된 홀에 침투된다.
이때, 상기 미세 구조체(1211)가 형성된 상기 니들 필름(1210)은 다공질로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니들 필름(1210)에 형성된 홀(hole)의 직경은 상기 약물(1310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약물(1310a)이 상기 니들 필름(1210), 즉 상기 미세 구조체(1211)의 선단부에 침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진 공간에는 상기 미세 구조체(1211) 내부로 침투되지 않은 상기 약물(1310b)이 차지하는 영역과 그 이외 영역인 내부 공간부(1212a)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부(1212a)는 기체가 채워진다.
이에 따라, 제1 제조예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는 미세 구조체(121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1212)에 약물이 충진되고, 상기 약물중 일부(1310a)가 상기 미세 구조체(1211) 내부에 형성된 홀에 침투함으로써 약물(1310a, 1310b)에 포함된 유효 성분의 피부 침투도 및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4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2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조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는 니들 필름(1220), 약물(1320) 및 내부 공간부(1222a)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제조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약물(1320)은 고체 상태이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몰드결합단계에 의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미세 구조체(122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공간(도번부호 미도시)에 삽입되어 충진된다.
즉, 상기 약물(1320)의 형상은 상기 충진 공간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공간부(1222a)는 상기 약물(1320)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조예에 따른 니들 필름(1220)은 상술한 제1 제조예에서의 니들 필름(12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5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3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제조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는 니들 필름(1230), 약물(1330) 및 내부 공간부(1232a)를 포함한다.
이때, 제3 제조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약물(1330)은 고체 상태이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몰드결합단계에 의하여 V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미세 구조체(123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공간(도번부호 미도시)에 삽입되어 충진된다.
즉, 상기 약물(1330)의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공간부(1232a)는 상기 약물(1330)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제조예에 따른 니들 필름(1230)은 상술한 제1 제조예에서의 니들 필름(12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6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4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제조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는 니들 필름(1240), 약물(1340) 및 내부 공간부(1242a)를 포함한다.
이때, 제4 제조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약물(1340)은 고체 상태이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몰드결합단계에 의하여 V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미세 구조체(124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공간(도번부호 미도시)에 삽입되어 충진된다.
즉, 상기 약물(1330)의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공간부(1242a)는 상기 약물(1340)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다.
제4 제조예에 따른 니들 필름(1230)은 상술한 제1 제조예에서의 니들 필름(12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5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는 니들 필름(2210), 약물(2310) 및 미세 구조체(22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니들 필름(2210)은 상술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1 제조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약물(2310)은 상기 미세 구조체(2211)의 외측면에 코팅된다. 즉, 상기 약물(2310)이 유체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미세 구조체(2211) 외측면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미세 구조체(2211)의 외측면에 코팅되거나, 또는 상기 약물(2310)은 고체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미세 구조체(2211) 외측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미세 구조체(2211)의 외측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공간부(2212a)는 상기 미세 구조체(2211)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기체가 수용된다.
이 외,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0: 성형 몰드
1200: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1210, 1220, 1230, 1240, 2210: 니들 필름
1211, 1221, 1231, 1241, 2211: 미세 구조체
1212: 충진 공간
1212a, 1222a, 1232a, 1242a, 2212a: 내부 공간부
1310, 1320, 1330, 1340, 2310: 약물
1400: 고체약물 제작몰드
1510, 1520, 1530: 형상몰드

Claims (15)

  1.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작하고자 하는 미세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성형 몰드를 준비하는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상기 성형 몰드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도포하는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상기 성형 몰드에 도포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건조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을 형성하는 1차 건조단계;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약물을 충진하는 약물 충진단계;
    상기 니들 필름을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충진 공간에는 상기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약물은 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된 상기 약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세 구조체에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충진단계에서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상기 약물의 액적 직경은 1,000μm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충진단계 이전에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고체상태의 약물을 제작하는 고체약물 제작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체약물 제작단계는,
    유체상태의 약물을 고체약물 제작몰드에 충진하는 유체약물 충진단계;
    제작하고자 하는 상기 고체상태의 약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몰드가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되는 몰드결합단계;
    상기 유체상태의 약물이 상기 고체상태의 약물로 상변화하도록 약물을 처리하는 약물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는 상기 약물의 형상을 상기 충진 공간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는 상기 약물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결합단계에서 상기 형상몰드는 상기 약물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충진 공간의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체약물 제작몰드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8.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작하고자 하는 미세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성형 몰드를 준비하는 성형 몰드 준비단계;
    상기 성형 몰드에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도포하는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 도포단계;
    상기 성형 몰드에 도포된 상기 생분해성 소재 혼합액을 건조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을 형성하는 1차 건조단계;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약물을 코팅하는 약물 코팅단계; 및
    상기 니들 필름을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건조단계에서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는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의 제조 방법.
  9.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충진된 약물;
    상기 충진 공간 중 상기 약물이 수용된 영역 이외의 공간에 해당하되, 기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를 포함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유체상태이며,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된 상기 약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세 구조체에 침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의 액적 직경은 1,000μm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의 형상은 상기 충진 공간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의 형상은 V자 형상이되, 일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충진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고체상태이며,
    상기 약물의 형상의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진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15.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니들 필름;
    상기 미세 구조체의 외측면에 코팅된 약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미세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충진 공간에 배치되는 내부 공간부;를 포함하는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KR1020180111529A 2018-09-18 2018-09-18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2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529A KR102227989B1 (ko) 2018-09-18 2018-09-18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277,638 US20220023604A1 (en) 2018-09-18 2019-09-18 Microstructure-based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514961A JP2022500177A (ja) 2018-09-18 2019-09-18 微細構造体基盤薬物注入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KR2019/012085 WO2020060195A1 (ko) 2018-09-18 2019-09-18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19863606.0A EP3854441A4 (en) 2018-09-18 2019-09-18 MICROSTRUCTURE-BASED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201980060441.1A CN113195034A (zh) 2018-09-18 2019-09-18 基于微细结构体的药物注入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529A KR102227989B1 (ko) 2018-09-18 2018-09-18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61A true KR20200032461A (ko) 2020-03-26
KR102227989B1 KR102227989B1 (ko) 2021-03-15
KR102227989B9 KR102227989B9 (ko) 2022-04-11

Family

ID=6988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529A KR102227989B1 (ko) 2018-09-18 2018-09-18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23604A1 (ko)
EP (1) EP3854441A4 (ko)
JP (1) JP2022500177A (ko)
KR (1) KR102227989B1 (ko)
CN (1) CN113195034A (ko)
WO (1) WO20200601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18A (ko) 2022-04-29 2023-11-07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니들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70B1 (ko) * 2021-12-20 2024-01-29 주식회사 페로카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808A (ja) * 2008-03-27 2009-10-15 Fujifilm Corp 中空ニードルシート及び中空ニード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6158930A (ja) * 2015-03-03 2016-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経皮吸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6024B1 (ko) * 2016-07-14 2017-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코팅층이 코팅된 마이크로니들과 이것의 제조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니들이 구비된 마이크로니들패치
KR20170122716A (ko) 2014-12-15 2017-11-06 주식회사 라보 쥬뷀사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7122B2 (en) * 1998-06-10 2003-10-30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icro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BR122019005760B8 (pt) * 2007-11-27 2021-06-22 Implantica Patent Ltd controle de transferência de energia adaptado para um sistema de dispositivo médico
JP2011012050A (ja) * 2009-06-03 2011-01-20 Bioserentack Co Ltd 多孔性基盤を用いた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とその製造方法
JP2015116335A (ja) * 2013-12-18 2015-06-2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経皮薬剤投与システム及び経皮薬剤投与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101703312B1 (ko) * 2014-02-14 2017-02-07 주식회사 주빅 미세공구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기반 약물전달체
KR101549086B1 (ko) * 2014-11-10 2015-09-02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101785766B1 (ko) * 2014-11-14 2017-10-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코팅 마이크로니들의 생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코팅 마이크로니들
KR101776659B1 (ko) * 2017-02-27 2017-09-11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808A (ja) * 2008-03-27 2009-10-15 Fujifilm Corp 中空ニードルシート及び中空ニードル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70122716A (ko) 2014-12-15 2017-11-06 주식회사 라보 쥬뷀사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제조 장치
JP2016158930A (ja) * 2015-03-03 2016-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経皮吸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6024B1 (ko) * 2016-07-14 2017-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코팅층이 코팅된 마이크로니들과 이것의 제조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니들이 구비된 마이크로니들패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18A (ko) 2022-04-29 2023-11-07 에이디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니들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95034A (zh) 2021-07-30
US20220023604A1 (en) 2022-01-27
EP3854441A4 (en) 2022-06-22
EP3854441A1 (en) 2021-07-28
KR102227989B1 (ko) 2021-03-15
JP2022500177A (ja) 2022-01-04
KR102227989B9 (ko) 2022-04-11
WO2020060195A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7882B (zh) 利用生物相容性高分子的微针的制备方法
KR101633137B1 (ko) 약물 전달을 위한 리포좀-마이크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6738B1 (ko)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
US11318292B2 (en) Microneedle patch for transdermal injections
Lee et al. Fabrication of two-layer dissolving polyvinylpyrrolidone microneedle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for in vivo insulin transdermal delivery
JP2020114428A (ja) マイクロ構造体含有シート
JP7141646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製造方法
JP2012505164A (ja) 相転移重合体マイクロニードル
JP2016512754A (ja) 治療剤の送達のためのマイクロアレイ、使用方法および製造方法
KR101853308B1 (ko) 미세방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317847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microstructure
CN105411997A (zh) 一种可降解微结构体及其制备方法
US2012019384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solution perforator patches
KR101868872B1 (ko)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29816A1 (ko)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KR102227989B1 (ko)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32087A (ko) 사마귀 치료를 위한 블레오마이신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72815B1 (ko)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KR101779393B1 (ko) 핵산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1837A (ko)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Arsod et al. Microneedle, An Innovative Approach to Transdermal Drug Delivery
KR20170138291A (ko)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KR20230014325A (ko)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Peppas et al. Historical Survey of Drug Delivery Devices
Dugad et al. The Microneedle Drug Delivery System and some Recent Obstacles in its Im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