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911A -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911A
KR20200029911A KR1020180108509A KR20180108509A KR20200029911A KR 20200029911 A KR20200029911 A KR 20200029911A KR 1020180108509 A KR1020180108509 A KR 1020180108509A KR 20180108509 A KR20180108509 A KR 20180108509A KR 20200029911 A KR20200029911 A KR 2020002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water
anionic surfact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288B1 (ko
Inventor
여혜림
김형준
정동진
신병모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오일 베이스의 유중수형 화장료로, 고온 안정도, 세정력, 및 거품 형성력이 우수할뿐 아니라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을 모두 세정할 수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W/O make-up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surfactant}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는 메이크업 잔여물 또는 기타 피부에 잔류하는 오염물질들을 세정해 주는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타입에 따라 워터 타입, 유화 및 오일 타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워터 타입은 클렌징 겔 및 클렌징 워터 등이 있는데 산뜻한 사용감이 가장 큰 장점이나 유화 및 오일 타입 계면활성제보다 클렌징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한정적이며, 세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화장솜 등의 어플리케이터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유화 및 오일 타입의 예로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및 클렌징 밤 등이 있으며 세정력이 우수하지만, 다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사용으로 제품사용 후 피부에 남아있는 오일 성분을 물로 완전히 깨끗하게 씻어낼 수 없어 티슈 오프 및 폼 클렌징이나 비누 등과 같은 2차 세안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제형에 비해 잔여감이 많이 남고 고온에서 제형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오일 기반 제형이면서도 잔여감이 없고, 한번에 친유성 및 친수성 메이크업 제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 양상은 오일 베이스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오일과 상용성이 우수한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함으로써 고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거품력 및 세정력이 우수하여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을 모두 세정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오일 베이스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있어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하는 경우, 유성뿐만 아니라 친수성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세정력과 거품 형성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잔여감을 남기지 않고 깔끔한 세정이 가능하고, 또한 고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여 고온에서 분리되지 않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중수형 (water-in-oil: W/O)"은 "유중수 에멀젼 (water-in-oil emulsio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오일에 물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유중수 에멀젼 제형은 일반적인 화장료의 에멀젼 제조에 사용되는 수상부 및 유상부 성분들의 혼합에 의해 종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는 하기에 기술되었다.
일반적으로 유중수형의 제형에서,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친수성 또는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에 따라 탁도 문제가 발생하거나 구름점(cloud point)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유중수형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디에칠헥실 소듐설포석시네이트, 디헵틸 소듐설포석시네이트, 디헥실 소듐설포석시네이트, 및 디이소부틸 소듐설포석시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30 중량%, 약 5 내지 25 중량%, 약 10 내지 25 중량%, 약 1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1 중량% 미만의 경우 제형 안정도 및 사용감 구현이 어려울 수 있고, 30 중량% 초과의 경우 제형 안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오일과 상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아닌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오일과 상용성이 좋지 않아서 불투명해지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오일과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세정시 유성 성분의 세정 효과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거품 형성력을 부여하여, 세정 후 잔여감을 남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점증제와 상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아닌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점증제와 상용성이 좋지 않아서 조성물이 불투명해지고 점액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비싼 비극성 물질인 오일 점증제뿐만 아니라, 극성 점증제인 실리카, 아크릴레이트계열 점증제 등과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조시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이 극성 점증제를 포함하여 조성물이 극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향상된 극성을 통해서 점도가 향상되고 고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이 거품 형성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종래 오일 베이스의 유중수형 세정용 화장료의 경우 다량의 오일 함유로 거품을 형성할 수 없고, 세안 후 잔여감이 남는 현상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으나, 오일과 상용성이 좋은 알킬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함으써 오일 베이스임에도 불구하고 거품을 형성할 수 있어 잔여감 없는 마무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종래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어 온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설폰산 및 카복시산 염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나 양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세정력이 우수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내분비계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대신 알킬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폴리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정제수”는 물 성분, 예를 들어, 수돗물, 미네랄 워터, 소금물(salt water), 해수, 해양 심층수, 초순수, 극지(極地) 얼음 유래 물, 미네랄 함유수 (mineral-containing wa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이 정제수를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이 극성을 띠게 되어 점도가 향상되고 고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10 중량%, 약 0.2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정제수의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중수형의 균형이 무너져 제형 구현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폴리올(polyol)”은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이라고도 하며,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코올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솔비톨 또는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에 보습력, 수분 함유력 또는 수분 보유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올은 보습제로 사용될 수 잇다. 용어'보습력'은 수분이탈을 약화시키거나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하지 않게 하는 성질을 의미하고, 용어 '수분 보유력'은 구조적 또는 성분상의 이유로 보유하고 있는 수분량을 일정한 시간 동안 얼마만큼 보유하는가를 나타내는 성질을 의미하고, 용어 '수분 함유력'은 구조적 또는 성분 상의 이유로 얼마만큼의 수분량을 일정한 시간 동안 함유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12 중량%, 약 2 내지 10 중량%, 또는 약 3 내지 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1 중량% 미만인 경우, 베이스 원료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없으며, 3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고형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일 베이스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에서 성분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등 고온 안정성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으나,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적절한 점도를 가져 고형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면서도 고온에서 분리되지 않는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액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유지류, 탄화수소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미네랄 오일 또는 에스터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류에는 캐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포도씨 오일, 쌀겨 오일, 팜오일 및 해바라기 오일의 식물성 오일, 라놀린 등의 동물성 오일이 있으며, 탄화수소류로는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C12-15알킬벤조에이트 등이 있으며, 트리글리세라이드류에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있으며, 에스터류에는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옥타노인, 트리에칠헥사노인, 디에톡시에틸 석시네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옥틸 석시네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가 있으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이 있으나 상기한 물질들은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상의 오일은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예를 들어, 오일 점증제, 아크릴레이트계 점증제, 또는 실리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점증제는 비극성의 점증제가 아닌 아크릴레이트계 점증제 또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왁스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왁스는 폴리에칠렌 고분자, 또는 비즈왁스를 포함할 수 있고, 오일을 안정화시키고 조성물의 경도를 향상시켜 고형상으로 제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칠렌을 포함하는 왁스는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용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10 중량%, 약 2 내지 9 중량%, 약 3 내지 8 중량%, 약 4 내지 8 중량%, 또는 약 5 내지 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보습제, 유화제, 점증제, 분산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항산화제,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히드로아세트산 혹은 그들의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의 페놀류, 트리클로산 할로카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0 내지 0.3 중량%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예시적인 제품 형태는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오일, 클렌징밤 등의 화장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5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a)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에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유상부에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혼합하고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용액을 50 내지 6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오일 베이스의 유중수형 화장료로, 고온 안정도, 세정력, 및 거품 형성력이 우수할뿐 아니라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을 모두 세정할 수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4의 외관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의 외관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50℃에서 60일 경과 후 안정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거품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좌) 및 대조군(우)의 세정력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대조군의 세정력을 비교한 확대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외관을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상용성 평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실험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실험예 1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실험예 3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실험예 4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표 1에서 A상은 유상부, B상은 수상부, C상은 점증제부이다.
구체적으로는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A상과 B상을 70 ~ 75℃로 가온 용해 후 A상에 B상을 투입 혼합 하였다. 혼합 후, 45℃로 냉각한 다음, C상을 서서히 투입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A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잔량 잔량 잔량 잔량
B
2.0 2.0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5.0 5.0 5.0 5.0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 20.0 - - -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 - 20.0 -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 - - 2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C 실리카 7.0 7.0 7.0 7.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실험예 1 내지 4의 외관을 평가하기 위해 각 조성물을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직후 실험예 1은 투명 내지 반투명 액상이고, 실험예 2는 투명한 고탄성의 제형이고, 실험예 3 내지 4는 분산이 되지 않아 불투명 점액상의 제형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험예 1은 투명한 제형이므로, 계면활성제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와 점증제의 상용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탄성이 높은 제형이므로 고형상으로 제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반면, 실험예 3 내지 4는 조성물에 포함된 점증제, 오일과 계면활성제(실험예 3: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실험예 4: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분산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불투명한 외관을 갖는다. 또한, 점액상의 제형이 구현되어 고형상으로 제형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가 상용성이 우수하여 안정하고 투명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에서 확인한 외관에 따라, 상용성이 우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고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계면활성제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고, 비교예 1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2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표 2에서 A상은 유상부, B상은 계면활성제부, C상은 첨가물부이다.
구체적으로는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A상을 80 ~ 90℃로 가온 용해 후 B상을 A상에 투입 혼합하였다. 혼합 후, 혼합물을 50~60℃로 냉각한 다음, C상을 서서히 투입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A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잔량 잔량 잔량
폴리에칠렌 6.0 6.0 6.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B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 20.0 - -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 20.0 -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 - 20.0
C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 외관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조성물을 고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조성물을 팟(pot)에 담아 냉각시킨 후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직후 비교예 1은 오일에 대한 낮은 용해도로 표면에 계면활성제가 석출되는 현상이 발견되어 상온 냉각 후에도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유화가 되지 않아 수상층이 혼합되지 못하고 바닥에 가라앉아 완전한 제형을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과 비교예 2는 상온에서도 매끄러운 표면의 불투명 고형상의 제형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비교예 1에 포함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는 오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포함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 및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는 오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가 상용성이 좋고, 고형상으로 제조하기 적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제형 안정도 평가
상기 실험예 2에서 고형상으로 제조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제형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조성물을 4주 동안 냉장, 상온, 45℃, 50℃에서 항온조 보관 방법을 통해 유지하고, 성상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2
냉장 1주
2주
4주
상온 1주
2주
4주
45°C 1주
2주
4주
50°C 1주
2주 X
4주 X
○: 양호, △: 처음과 차이 있음, X: 성상 변화(분리, 현탁, 경도 변화)
그 결과 상기 표 3 및 도 3에 나나탠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4주차 결과에서 모두 우수한 제형 안정도를 보여주는 반면, 비교예 2는 2주차 50℃ 조건에서 액상이 분리되었다.
따라서,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 고온에서도 제형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였고,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 고온에서 제형 안정도가 저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거품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조성물의 거품력을 평가하기 위해 거품을 만들고 육안 테스트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2 조성물을 각각 1.0g 취하여 20ml 투명 바이알에 넣은 다음 정제수 2.0g을 넣고 동일한 힘으로 20회 상하로 흔들어 용해시켰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조성물에서 생성된 거품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조성물의 경우, 오일 베이스의 고형상임에도 불구하고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풍부한 거품이 생성된 반면, 비교예 1 내지 2는 물에 전혀 용해되지 않아 거품이 생성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중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여 거품을 형성하여 물에 씻겨내는 능력이 기존 제형보다 우수하며, 별도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거품력 구현이 가능한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5: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의 메이크업 세정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조성물의 메이크업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 대상으로 시중에 판매 중인 유중수 클렌징 오일(대조군)과 세정력 비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팔 하박 안쪽부위의 가로 세로 2cm의 크기로 색깔이 진하고 지속력이 높은 립스틱,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8μl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10분을 방치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및 대조군 조성물을 20μl의 동일한 양, 동일한 압력으로 50회 원을 그리면서 문지른 다음, 미온수로 세정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였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디지털 카메라 및 확대경을 사용하여 클렌징 후 메이크업 화장료가 남아있는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조성물로 메이크업 화장료를 세정한 경우에 잔여물이 훨씬 적게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2차 세안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베이스의 유중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함으로써, 유성뿐만 아니라 친수성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세정력과 거품 형성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잔여감을 남기지 않고 깔끔한 세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함으로써 고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고형상은 고온에서 분리되기 쉬우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온 안정도가 우수하여 고온에서도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액상 제형 제조
실시예 1 및 실험에 1에 의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오일 및 점증제와 상용성이 좋아서 고형상으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형상 이외에 다른 제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점증제를 제외한 아래 표 4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온에서 A상(유상부)에 B상(수상부)을 천천히 넣고 교반하였다.
성분 함량
( 중량% )
실시예 2
A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잔량
향료 적량
B 2.0
프로필렌 글리콜 5.0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 20.0
방부제 적량
상기와 같이 제조한 조성물의 외관을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한 외관의 액상 제형을 얻을 수 있었으므로, 디에칠헥실소듐설포석시네이트를 사용하면 안정한 액상 제형으로도 제조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중수(water-in-oil)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에칠헥실 소듐설포석시네이트, 디헵틸 소듐설포석시네이트, 디헥실 소듐설포석시네이트, 및 디이소부틸 소듐설포석시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제수, 폴리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2 중량%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고형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왁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a)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에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유상부에 알킬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혼합하고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용액을 50 내지 6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08509A 2018-09-11 2018-09-11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509A KR102152288B1 (ko) 2018-09-11 2018-09-11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509A KR102152288B1 (ko) 2018-09-11 2018-09-11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911A true KR20200029911A (ko) 2020-03-19
KR102152288B1 KR102152288B1 (ko) 2020-09-04

Family

ID=6995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509A KR102152288B1 (ko) 2018-09-11 2018-09-11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3634A1 (en) * 2001-12-13 2005-03-10 Beiersdorf Ag Talc-containing cosmetic cleansing emuls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3634A1 (en) * 2001-12-13 2005-03-10 Beiersdorf Ag Talc-containing cosmetic cleansing emuls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인터넷 자료 - CosDNA) *
제목 Urban Decay Meltdown MakeupRemover Cleansing Oil Stick Review, 20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88B1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924B1 (ko) 수중유형화장재료용조성물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4797A (ko) 수용성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14321A (ja) 油性皮膚洗浄料
JP2003327506A (ja) 透明化粧料組成物
JP2010235514A (ja) 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6994563B2 (ja) 油性化粧料
KR101777102B1 (ko) 액정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7002461B2 (ja) ゲル状組成物
JP4763474B2 (ja) 油性皮膚クレンジング料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102152288B1 (ko)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JP2002114636A (ja) マイルドなクレンジング用の化粧料
JP3921426B2 (ja) ショ糖脂肪酸エステルと水溶性高分子を含有する水中油型ゲル組成物
KR20180017722A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JPWO2019244500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21723A (ko) 액정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4196713A (ja) 二層型化粧料
JP2017197494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むことを特徴とする乳化物
JPH0794366B2 (ja) O/w型ゲル状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4115467A (ja) クレンジング方法
KR102556501B1 (ko)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8480A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