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670A -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9670A KR20200029670A KR1020180107558A KR20180107558A KR20200029670A KR 20200029670 A KR20200029670 A KR 20200029670A KR 1020180107558 A KR1020180107558 A KR 1020180107558A KR 20180107558 A KR20180107558 A KR 20180107558A KR 20200029670 A KR20200029670 A KR 202000296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region
- deposition
- outer region
- nozz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01L51/56—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 H01L51/001—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의 노즐과 마스크 조립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증착 물질 분사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 대상 기판의 가장자리에 증착 물질이 증착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 대상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발생된 쉐도우 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증착 물질 분사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증착 물질 분사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 따른 증착 장치의 증착 물질 분사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노즐을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의 노즐의 이격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130a: 마스크부 130b: 투과부
130c: 측벽 200: 증착원
205: 도가니 210: 커버 플레이트
220: 노즐 CA: 중심 영역
SA1, SA2: 제 1, 제 2, 외측영역
SSA1, SSA2: 제 1, 제 2 외곽 영역
Claims (20)
-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증착원을 포함하되,
상기 증착원은,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증착원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 제1 외곽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 1 외곽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 1 외측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증착원의 타단 사이에 배치된 제 2 외곽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 2 외곽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 2 외측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외측영역에 배치된 노즐과 상기 제 1 외곽영역에 배치된 노즐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제 2 외측영역에 배치된 노즐과 상기 제 2 외곽영역에 배치된 노즐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증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원의 상부에 배치되고, 투과부와 마스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착원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는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증착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외곽영역 각각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투과부 외측에 위치하는 증착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 및 상기 제 1, 제 2 외측영역 각각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상기 투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증착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외곽영역 각각에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은 상기 중심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중심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기울어지는 증착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배치된 상기 노즐은 상기 증착원에서 상기 마스크 조립체를 향하여 수직한 증착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영역에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은 상기 제 1 외곽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외곽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기울어지고,
상기 제 2 외측영역에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제 2 외곽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외곽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기울어지는 증착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에서 최외곽에 각각 배치된 제 1, 제 2 투과부 지점과 상기 증착원을 증착 물질이 입사되는 최소 입사 각도를 기준으로 제 1, 제 2 선으로 각각 연결하였을 경우 각각의 상기 제 1, 제 2 선이 상기 증착원과 각각 만나는 제 1, 2지점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증착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입사 각도의 범위는 43° 내지 53°인 증착장치. -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증착원을 포함하되,
상기 증착원은,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증착원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 제 1 외곽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 1 외곽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 1 외측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증착원의 타단 사이에 배치된 제 2 외곽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 2 외곽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 2 외측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외측영역에 배치된 노즐의 분사면과 상기 제 1 외곽영역에 배치된 노즐의 분사면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제 2 외측영역에 배치된 노즐의 분사면과 상기 제 2 외곽영역에 배치된 노즐의 분사면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증착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원의 상부에 배치되고, 투과부와 마스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착원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는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증착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외곽영역 각각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투과부 외측에 위치하는 증착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 및 상기 제 1, 제 2 외측영역 각각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상기 투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증착장치. -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증착원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 제 1 외곽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제 1 외곽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 1 외측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증착원의 타단 사이에 배치된 제 2 외곽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제 2 외곽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 2 외측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외측영역에 배치된 노즐과 상기 제 1 외곽영역에 배치된 노즐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제 2 외측영역에 배치된 노즐과 상기 제 2 외곽영역에 배치된 노즐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증착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증착원 상부에 마스크 조립체와 대상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증착원의 노즐로부터 증착 물질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증착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증착 물질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원의 상부에 배치되고, 투과부와 마스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착원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는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외곽영역 각각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투과부 외측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 및 상기 제 1, 제 2 외측영역 각각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상기 투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배치된 상기 노즐은 상기 증착원에서 상기 마스크 조립체를 향하여 수직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에서 최외곽에 각각 배치된 제 1, 제 2 투과부 지점과 상기 증착원을 증착 물질이 입사되는 최소 입사 각도를 기준으로 제 1, 제 2 선으로 각각 연결하였을 경우 각각의 상기 제 1, 제 2 선이 상기 증착원과 각각 만나는 제 1, 2지점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558A KR20200029670A (ko) | 2018-09-10 | 2018-09-10 |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558A KR20200029670A (ko) | 2018-09-10 | 2018-09-10 |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9670A true KR20200029670A (ko) | 2020-03-19 |
Family
ID=6995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558A Ceased KR20200029670A (ko) | 2018-09-10 | 2018-09-10 |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2967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89515A1 (en) * | 2019-09-03 | 2021-03-10 | Samsung Display Co., Ltd. | Deposition apparatus |
WO2022089737A1 (en) * | 2020-10-28 | 2022-05-05 | Applied Materials, Inc. | Deposition source, deposition apparatus for depositing evaporated material, and methods therefor |
CN114574810A (zh) * | 2020-11-30 | 2022-06-03 | 上海升翕光电科技有限公司 | 蒸镀盖板及蒸镀装置 |
WO2024153969A1 (en) * | 2023-01-17 | 2024-07-25 | Applied Materials, Inc. | Material deposition assembly, vacuum deposi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
-
2018
- 2018-09-10 KR KR1020180107558A patent/KR20200029670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89515A1 (en) * | 2019-09-03 | 2021-03-10 | Samsung Display Co., Ltd. | Deposition apparatus |
US11441220B2 (en) | 2019-09-03 | 2022-09-13 | Samsung Display Co., Ltd. | Deposition apparatus |
WO2022089737A1 (en) * | 2020-10-28 | 2022-05-05 | Applied Materials, Inc. | Deposition source, deposition apparatus for depositing evaporated material, and methods therefor |
CN116635566A (zh) * | 2020-10-28 | 2023-08-22 | 应用材料公司 | 用于沉积蒸镀材料的沉积源、沉积设备及其方法 |
CN114574810A (zh) * | 2020-11-30 | 2022-06-03 | 上海升翕光电科技有限公司 | 蒸镀盖板及蒸镀装置 |
WO2024153969A1 (en) * | 2023-01-17 | 2024-07-25 | Applied Materials, Inc. | Material deposition assembly, vacuum deposi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7245B2 (en) | Linear evaporation source and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0837475B1 (ko) | 증착장치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 |
KR20200029670A (ko) |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
US9748483B2 (en) | Deposition source an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10287671B2 (en) |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 |
KR100696547B1 (ko) | 증착 방법 | |
US8907326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8876975B2 (en) |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 |
KR100696550B1 (ko) | 증착 장치 | |
JP4909152B2 (ja) |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 |
US20110146575A1 (en) | Evaporation source and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8019477A (ja) | 真空蒸着装置 | |
KR20060080481A (ko) | 물질증착용 증착원 및 이를 구비한 증착시스템 | |
JP2013239441A (ja) | 蒸着装置、蒸着方法、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CN103526162A (zh) | 沉积装置 | |
CN106399931A (zh) | 沉积装置 | |
KR102005835B1 (ko) | 슬릿노즐을 구비한 선형증발원 및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 |
KR102216676B1 (ko) |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 |
KR102373436B1 (ko) |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
KR20160090988A (ko) | 복수의 모듈을 갖는 증착원 | |
KR101757736B1 (ko) |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용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 |
TW202026448A (zh) | 蒸鍍裝置 | |
KR20050094305A (ko) | 유기 발광소자의 다중 박막 연속 증착을 위한 회전용 셔터 장치를 가진 증착기의 구조. | |
KR20220120254A (ko) | 각도 제한 셔터를 구비한 증착 장치 | |
KR20140123313A (ko) | 박막증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4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30420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