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164A -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164A
KR20200029164A KR1020180107596A KR20180107596A KR20200029164A KR 20200029164 A KR20200029164 A KR 20200029164A KR 1020180107596 A KR1020180107596 A KR 1020180107596A KR 20180107596 A KR20180107596 A KR 20180107596A KR 20200029164 A KR20200029164 A KR 2020002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afety glass
vehicle safety
wires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652B1 (ko
Inventor
이은호
이찬희
공낙경
박종민
이기홍
장승혁
이강선
이국범
Original Assignee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652B1/ko
Priority to US16/419,998 priority patent/US11497087B2/en
Priority to CN201910497220.2A priority patent/CN110891340B/zh
Publication of KR2020002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toothed gea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7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electrically connected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에 최적화된 열선 패턴을 가지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있어서, 차량 안전유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버스바; 상기 복수의 버스바를 매개로 하여 직렬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열선; 및 상기 복수의 열선에 전압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HEAT WIRE APPARATUS FOR SAFTY GLAS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유리에 적용되는 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운행을 위해서는 운전자의 시야확보가 매우 중요한데, 특히 우천시나 겨울철 등과 같이 차내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가 심할 경우에는 그 온도차에 의한 습기가 발생하여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됨에 따라 운전자의 시계가 매우 불량하게 된다.
이 경우 히터(heater)나 에어컨(air conditioner)을 가동하여 그 온기 또는 냉기를 차량의 전면유리와 프론트 도어(front door)의 유리로 공급해줌으로써 운전자의 전방과 측후방의 시계를 확보하고 있으나, 후방유리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구조적인 특성상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한 운전자의 후방시야 확보가 불가능하다.
이에 차량에는 열선 장치가 구비되는데, 종래의 열선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가장자리부위의 배면으로 버스바(BusBar, 12)가 대향되게 설치되고, 두 버스바(12)의 사이를 다수의 열선(14)이 후방유리(10)를 가로질러 각각 층상으로 배선되며, 상기 일측의 버스바(12)에는 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선 터미널(16)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열선 터미널(16)은 상기 후방유리(10)의 배면으로 고정된 버스바(12)의 저면에서 땝납으로 접합됨과 더불어, 버스바(12)의 하단에는 커넥터를 매개로 전원선이 배선되어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열선 장치는, 두 버스바(12) 사이에 다수의 열선(14)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48V 배터리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12V 배터리가 적용된 차량 대비 16배의 전력량이 소모되어 과발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DC-DC 컨버터를 더 구비하여 배터리의 전압을 감압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DC-DC 컨버터를 더 구비해야 하고 이로 인해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90601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에 최적화된 열선 패턴을 가지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있어서, 차량 안전유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버스바; 상기 복수의 버스바를 매개로 하여 직렬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열선; 및 상기 복수의 열선에 전압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한 제1 버스바와 일측 하단 위치한 제2 버스바와 타측 상단에 위치한 제3 버스바와 타측 하단에 위치한 제4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선은 상기 제1 버스바를 시작으로 제2 버스바와 제3 버스바 및 제4 버스바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직렬 패턴을 갖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의 두배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3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간격과, 상기 제3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하단 일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1 버스바와 하단 일측 두번째에 위치한 제2 버스바와 하단 타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3 버스바와 하단 타측 두번째에 위치한 제4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선은 상기 제1 버스바를 시작으로 제4 버스바와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곡선형태의 직렬 패턴을 갖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의 두배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4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간의 간격과, 상기 제3 버스바와 제4 버스바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 버스바와 일측 중앙에 위치하는 제2 버스바와 일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3 버스바와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타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4 버스바와 타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5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선은 상기 제1 버스바를 시작으로 제4 버스바와 제2 버스바와 제5 버스바와 제3 버스바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직렬 패턴을 갖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와 상기 제5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의 두배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4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5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5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3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와 제3 버스바 간의 간격과, 상기 제4 버스바와 제5 버스바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에서 복수의 열선은 각 열선 간 간격이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차량의 안전유리에 인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열선은 상호간 온도차가 임계치 이내로 유지되도록 길이와 두께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에 최적화된 열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전압에서도 최적의 발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대한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대한 성능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는, 차량의 안전유리(20), 복수의 버스바(BusBar, 21 내지 25), 복수의 열선(Silver, 26), 복수의 커넥터(27, 28), 및 배터리(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차량의 안전유리(20)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유리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유리(윈드쉴드), 도어유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버스바(21 내지 25)는 차량 안전유리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열선(26)이 직렬 패턴을 이루는데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버스바는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막대형 전도체를 의미한다.
복수의 열선(26)은 차량 안전유리에 끼인 서리(frost)나 얼음(ice)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의 버스바(21 내지 25)를 매개로 하여 직렬 패턴을 형성한다.
복수의 커넥터(27, 28)은 플러스 커넥터(27)와 마이너스 커넥터(28)를 포함하며, 배터리(29)로부터의 전압을 복수의 열선(26)에 인가한다.
배터리(29)는 플러스 커넥터(27)와 마이너스 커넥터(28)를 통해 복수의 열선(26)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러한 배터리(29)의 전압은 12V, 24V, 36V, 48V 등 다양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48V 배터리에 최적화된 버스바와 열선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48V 배터리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MHEV: Mild Hybrid Electric Vehicle)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복수의 버스바(21 내지 25)는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 버스바(21)와,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중앙에 위치하는 제2 버스바(22)와,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3 버스바(23)와, 차량 안전유리의 타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4 버스바(24)와, 차량 안전유리의 타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5 버스바(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열선(26)은 제1 버스바(21)를 시작으로 제4 버스바(24)와 제2 버스바(22)와 제5 버스바(25)와 제3 버스바(23)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직렬 패턴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버스바(21)와 제3 버스바(23)의 길이는 동일하고, 제2 버스바(22)와 제4 버스바(24)와 제5 버스바(25)의 길이는 동일하며, 제2 버스바(22)의 길이는 제1 버스바(21)의 길이의 두배가 된다. 이는 제1 버스바(21)와 제4 버스바(24) 간의 열선 수, 제4 버스바(24)와 제2 버스바(22) 간의 열선 수, 제2 버스바(22)와 제5 버스바(25) 간의 열선 수, 제5 버스바(25)와 제3 버스바(23)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열선의 총 줄수가 12줄이라면 제1 버스바(21)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4 버스바(24)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은 3줄(이하, 제1 열선)이고, 제4 버스바(24)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2 버스바(22)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도 3줄(이하, 제2 열선)이고, 제2 버스바(22)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5 버스바(25)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도 3줄(이하, 제3 열선)이고, 제5 버스바(25)를 시작으로 하고 제3 버스바(23)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도 3줄(이하, 제4 열선)이다. 이때, 제1 열선의 전류 방향과 제3 열선의 전류 방향이 동일하고, 제2 열선의 전류 방향과 제4 열선의 전류 방향이 동일하다.
또한, 제1 버스바(21)는 배터리(29)의 플러스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27)를 포함하고, 제3 버스바(23)는 배터리(29)의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28)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바(21)와 제2 버스바(22)와 제3 버스바(23) 간의 간격과, 제4 버스바(24)와 제5 버스바(25)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는 버스바 간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열선(26)은 각 열선 간 간격이 임계치(일례로 30mm) 이상이 되도록 차량의 안전유리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열선(26)은 상호간 온도차가 임계치(일례로 1℃) 이내로 유지되도록 길이와 두께를 결정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36V 배터리에 최적화된 버스바와 열선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는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한 제1 버스바(31)와,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하단 위치한 제2 버스바(32)와, 차량 안전유리의 타측 상단에 위치한 제3 버스바(33)와 차량 안전유리의 타측 하단에 위치한 제4 버스바(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열선은 제1 버스바(31)를 시작으로 제3 버스바(33)와 제2 버스바(32) 및 제4 버스바(34)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직렬 패턴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버스바(31)와 제4 버스바(34)의 길이는 동일하고, 제2 버스바(32)와 제3 버스바(33)의 길이는 동일하며, 제2 버스바(32)의 길이는 제1 버스바(31)의 길이의 두배가 된다. 이는 제1 버스바(31)와 제2 버스바(32) 간의 열선 수, 제2 버스바(32)와 제3 버스바(33) 간의 열선 수, 제3 버스바(33)와 제4 버스바(34)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열선의 총 줄수가 12줄이라면 제1 버스바(31)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3 버스바(33)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은 4줄(이하, 제1 열선)이고, 제3 버스바(33)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2 버스바(32)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도 4줄(이하, 제2 열선)이고, 제2 버스바(32)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4 버스바(34)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도 4줄(이하, 제3 열선)이다. 이때, 제1 열선의 전류 방향과 제3 열선의 전류 방향이 동일하고, 제2 열선의 전류 방향은 제1 열선의 전류 방향과 반대이다.
또한, 제1 버스바(31)는 배터리(29)의 플러스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35)를 포함하고, 제4 버스바(34)는 배터리(29)의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3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바(31)와 제2 버스바(32) 간의 간격과, 제3 버스바(33)와 제4 버스바(34)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는 버스바 간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열선(37)은 각 열선 간 간격이 임계치(일례로 30mm) 이상이 되도록 차량의 안전유리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열선(37)은 상호간 온도차가 임계치(일례로 1℃) 이내로 유지되도록 길이와 두께를 결정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36V 배터리에 최적화된 버스바와 열선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는 차량 안전유리의 하단 일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1 버스바(41)와, 차량 안전유리의 하단 일측 두번째에 위치한 제2 버스바(42)와, 차량 안전유리의 하단 타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3 버스바(43)와, 차량 안전유리의 하단 타측 두번째에 위치한 제4 버스바(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열선은 제1 버스바(41)를 시작으로 제4 버스바(44)와 제2 버스바(42) 및 제3 버스바(43)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곡선형태의 직렬 패턴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버스바(41)와 제3 버스바(43)의 길이는 동일하고, 제2 버스바(42)와 제4 버스바(44)의 길이는 동일하며, 제2 버스바(42)의 길이는 제1 버스바(41)의 길이의 두배가 된다. 이는 제1 버스바(41)와 제4 버스바(44) 간의 열선 수, 제4 버스바(44)와 제2 버스바(42) 간의 열선 수, 제2 버스바(42)와 제3 버스바(43)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열선의 총 줄수가 12줄이라면 제1 버스바(41)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4 버스바(44)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은 4줄(이하, 제1 열선)이고, 제4 버스바(44)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2 버스바(42)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도 4줄(이하, 제2 열선)이고, 제2 버스바(42)를 시작점으로 하고 제3 버스바(43)를 끝점으로 하는 열선도 4줄(이하, 제3 열선)이다. 이때, 제1 열선의 전류 방향과 제3 열선의 전류 방향이 동일하고, 제2 열선의 전류 방향은 제1 열선의 전류 방향과 반대이다.
또한, 제1 버스바(41)는 배터리(29)의 플러스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45)를 포함하고, 제3 버스바(43)는 배터리(29)의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4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바(41)와 제2 버스바(42) 간의 간격과, 제3 버스바(43)와 제4 버스바(44)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는 버스바 간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열선(47)은 각 열선 간 간격이 임계치(일례로 30mm) 이상이 되도록 차량의 안전유리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열선(47)은 상호간 온도차가 임계치(일례로 1℃) 이내로 유지되도록 길이와 두께를 결정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에 대한 성능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5에서 (a)는 대조군으로서 전압이 12V, 저항이 0.7Ω, 비저항이 1.55Ω, 전류가 18.3A, 전력이 220W일 때의 열선 상태를 나타내며 그 온도는 53.5℃이다.
(b)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로서, 전압이 48V, 저항이 10.4Ω, 비저항이 2.1Ω, 전류가 4.6A, 전력이 220W일 때의 열선 상태를 나타내며 그 온도는 상기 대조군과 유사한 55.4℃이다.
결국, 직렬 패턴의 열선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DC-DC 컨버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48V 전압에서 과발열 없이 대조군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 ~ 25: 버스바
26: 열선
27: 플러스 커넥터
28: 마이너스 커넥터
29: 배터리

Claims (18)

  1. 차량 안전유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버스바;
    상기 복수의 버스바를 매개로 하여 직렬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열선; 및
    상기 복수의 열선에 전압을 인가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한 제1 버스바와 일측 하단 위치한 제2 버스바와 타측 상단에 위치한 제3 버스바와 타측 하단에 위치한 제4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선은,
    상기 제1 버스바를 시작으로 제2 버스바와 제3 버스바 및 제4 버스바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직렬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3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간격과, 상기 제3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하단 일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1 버스바와 하단 일측 두번째에 위치한 제2 버스바와 하단 타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3 버스바와 하단 타측 두번째에 위치한 제4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선은,
    상기 제1 버스바를 시작으로 제4 버스바와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곡선형태의 직렬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4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간의 간격과, 상기 제3 버스바와 제4 버스바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 버스바와 일측 중앙에 위치하는 제2 버스바와 일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3 버스바와 상기 차량 안전유리의 타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4 버스바와 타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5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선은,
    상기 제1 버스바를 시작으로 제4 버스바와 제2 버스바와 제5 버스바와 제3 버스바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직렬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와 상기 제5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4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4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제5 버스바 간의 열선 수, 상기 제5 버스바와 상기 제3 버스바 간의 열선 수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3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와 제3 버스바 간의 간격과, 상기 제4 버스바와 제5 버스바 간의 간격은 각각 임계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선은,
    각 열선 간 간격이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차량의 안전유리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선은,
    상호간 온도차가 임계치 이내로 유지되도록 길이와 두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KR1020180107596A 2018-09-10 2018-09-10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KR102119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96A KR102119652B1 (ko) 2018-09-10 2018-09-10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US16/419,998 US11497087B2 (en) 2018-09-10 2019-05-22 Heating wire apparatus for vehicle safety glass
CN201910497220.2A CN110891340B (zh) 2018-09-10 2019-06-10 用于车辆安全玻璃的加热丝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96A KR102119652B1 (ko) 2018-09-10 2018-09-10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164A true KR20200029164A (ko) 2020-03-18
KR102119652B1 KR102119652B1 (ko) 2020-06-05

Family

ID=6972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596A KR102119652B1 (ko) 2018-09-10 2018-09-10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7087B2 (ko)
KR (1) KR102119652B1 (ko)
CN (1) CN1108913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9481A1 (en) * 2019-08-08 2021-02-1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ular rear window assembly with continuous heater tr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01B1 (ko) 1998-09-30 2001-09-17 정주호 자동차의성에제거열선장치
KR20120090791A (ko) * 2011-01-13 2012-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3457A (en) * 1947-04-04 1950-04-11 Curtiss Wright Corp Propeller blade deicing shoe
US2878357A (en) * 1956-07-13 1959-03-17 Gen Dynamics Corp Electric heated laminated glass panel
BE789359A (fr) * 1971-09-28 1973-03-27 Saint Gobain Vitrage a chauffage electrique
US3982092A (en) * 1974-09-06 1976-09-21 Libbey-Owens-Ford Company Electrically heated zoned window systems
US4039775A (en) * 1975-10-01 1977-08-02 Fisher Scientific Company Uniform temperature incubator
US4396826A (en) * 1981-08-13 1983-08-02 Ppg Industries, Inc. Lightweight heated plastic window element with unique bus bar system
DE3226393A1 (de) * 1982-07-15 1984-01-19 Flachglas AG, 8510 Fürth Beheizbare fahrzeugscheibe
US5182431A (en) * 1991-12-18 1993-01-26 Ppg Industries, Inc. Electrically heated window
KR20020015827A (ko) * 2000-08-23 2002-03-02 이계안 자동차의 후방유리용 열선 터미널 구조
GB2372927A (en) * 2001-03-01 2002-09-04 Pilkington Plc Heated vehicle window
JP2002264780A (ja) * 2001-03-12 2002-09-18 Central Glass Co Ltd 車両用防曇ガラス
JP4219790B2 (ja) * 2003-11-14 2009-02-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電熱窓ガラス
WO2005105691A1 (ja) * 2004-04-28 2005-11-10 Asahi Glass Company, Limited 導電性プリントを有するガラス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0819638D0 (en) * 2008-10-27 2008-12-03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Heated vehicle window
CN102960053B (zh) * 2010-07-07 2015-11-25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可电加热涂层的复合窗片
EP2618632B1 (en) * 2010-09-14 2019-08-28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S2902672T3 (es) * 2013-07-31 2022-03-29 Saint Gobain Cristal lateral laminado calefactable
CN106904064A (zh) * 2015-12-23 2017-06-3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后风挡玻璃和车辆尾门
JP6807186B2 (ja) * 2016-08-24 2021-01-0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サイドガラス
WO2018129417A1 (en) * 2017-01-06 2018-07-12 Feldman Benjamin F Operating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WO2018203563A1 (ja) * 2017-05-02 2018-11-08 ピルキン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合わせガラス
CN112166092A (zh) * 2018-05-30 2021-01-01 Agc株式会社 玻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01B1 (ko) 1998-09-30 2001-09-17 정주호 자동차의성에제거열선장치
KR20120090791A (ko) * 2011-01-13 2012-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7087B2 (en) 2022-11-08
KR102119652B1 (ko) 2020-06-05
CN110891340B (zh) 2023-07-18
US20200084840A1 (en) 2020-03-12
CN110891340A (zh)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1441C2 (ru) Остекление с подогревом
US11076453B2 (en) Heatable glazing
DE60017391D1 (de) Elektrisch beheizbare sonnenschutzbeschichtete autoverglasungsscheibe
CN109392205B (zh) 一种能够电加热的汽车前挡玻璃
CN104144534B (zh) 车辆前窗玻璃电加热装置及利用电加热装置除冰的方法
CA2074048A1 (en) Coated windshield with special heating circuit for wiper arm storage area
CN102812777A (zh) 带有电加热层的透明板及其制造方法
AU2002361439A1 (en) Heated pane with an electrically-conductive surface coating
CA2969048C (en) Transparent pane with an electrical heating lay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119652B1 (ko) 차량 안전유리의 열선 장치
PL198470B1 (pl) Szyba szklana zwłaszcza do pojazdu samochodowego
CN105376883B (zh) 带有通讯窗无膜层区域可均匀电加热的汽车夹层玻璃
DE60107068D1 (de) Elektrisch beheizbare, sonnenschutzbeschichtete scheibe für kraftfahrzeugverglasung mit datenübertragungsfenstern
CN203327276U (zh) 复合板
DE102011057108A1 (de) Elektrische Fahrzeugheizvorrichtung mit Wärmeabschirmung
JP2594372Y2 (ja) 自動車用防曇ガラス
CN110300468B (zh) 一种汽车边窗镀膜加热玻璃
CN105376884B (zh) 带有分流母线的电加热汽车夹层玻璃
KR20200113580A (ko) 글라스 열선 구조
JP7085969B2 (ja) ワイヤハーネス、遮断部付き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hwdシステム
CN210801370U (zh) 一种电采暖器的大尺寸发热组件
CN110248434B (zh) 一种具有透明导电膜的窗玻璃
KR20210051368A (ko) 48v 배터리 시스템의 리어 글래스 열선 패턴
DE69907226D1 (de) Herstellung von beheizten fenstern
CN105376885A (zh) 一种带有竖线过渡区的汽车夹层电加热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