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709A -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709A
KR20200028709A KR1020180107158A KR20180107158A KR20200028709A KR 20200028709 A KR20200028709 A KR 20200028709A KR 1020180107158 A KR1020180107158 A KR 1020180107158A KR 20180107158 A KR20180107158 A KR 20180107158A KR 20200028709 A KR20200028709 A KR 20200028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mobile
order
customer
mobil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215B1 (ko
Inventor
김경훈
최인찬
윤주노
이현민
최진희
조항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얍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10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215B1/ko
Priority to CA3152943A priority patent/CA3152943A1/en
Priority to EP19858124.1A priority patent/EP3848882A4/en
Priority to PCT/KR2019/011229 priority patent/WO2020050560A2/ko
Priority to US17/274,247 priority patent/US20210319497A1/en
Priority to CN201980073473.5A priority patent/CN112970042A/zh
Priority to JP2021512849A priority patent/JP7104388B2/ja
Publication of KR2020002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5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 G06Q20/40155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for trigger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이 이동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한 모바일 주문(상품 주문, 예약 주문)을 처리함에 있어서 해당 매장에 고객이 도달하여 입장하는 이벤트를 정확히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모바일 주문의 내용을 보충하고 모바일 주문의 매장 전달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고객의 모바일 주문 입력 과정을 개선하고 고객에게 일정 이상의 서비스 품질도 보장할 수 있는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이동 중에 입력한 모바일 주문을 매장 도착 식별을 매개로 트랜젝션 처리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의 품질 보장을 기술적 구성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주문을 완성하기 위해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 상에서 수행해야 하는 앱 조작 절차를 간소화시켜 사용자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주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모바일 주문 기술의 적용 범위를 일반 식당, 병원, 금융기관 등으로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method of providing Quality-of-Service process for mobile order transaction by use of store entranc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객이 이동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 상에서 입력한 모바일 주문(상품 주문, 예약 주문)을 매장으로 전달하여 적절하게 응대될 수 있도록 트랜젝션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객이 이동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한 모바일 주문을 처리함에 있어서 해당 매장에 고객이 도달하여 입장하는 이벤트를 정확히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모바일 주문의 내용을 보충하고 모바일 주문의 매장 전달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고객의 모바일 주문 입력 과정을 개선하고 고객에게 일정 이상의 서비스 품질도 보장할 수 있는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식당이나 카페 등의 상업공간에서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는 방식에 대하여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다. 전통적으로는 고객이 매장을 방문하여 자리에 앉으면 직원이 응대하여 대인소통으로 주문을 받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방식은 지금도 대부분의 매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어,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화로 주문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치킨, 피자, 패스트푸드, 중국음식점 등에서 애용되었고,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전화를 걸 필요없이 인터넷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주문 또는 예약하는 방식도 일반화되었다.
또한, 매장 내에 키오스크(kiosk)나 태블릿 단말을 설치하여 매장에 방문한 고객이 직원과 대화할 필요없이 이들 장치를 조작하여 직접 상품을 주문하고 결제까지 처리하는 방식도 많이 보급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앱(apps)을 이용하여 주문하는 문화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배달주문을 하기위한 용도로 주로 활용되고 있는데 중국음식, 치킨, 피자, 패스트푸드 등과 같이 기존에 전화주문 방식을 이용하던 수요를 흡수하는 데에서 시작하여 족발, 회, 정식 등과 같이 기존에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수요까지 방식을 전환시켰다.
이처럼 상업공간에서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화하여 왔는데 이들은 고객이 매장을 이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행동 시퀀스(문화), 즉 직접 방문 혹은 배달주문을 위해 고객이 수행하는 행동들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고객과 매장 간의 접촉 기술만 치환한 것이었다. 주문 방식이 변경되더라도 주문 기술 수단만 달라질 뿐, 매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고객이 수행하는 일련의 행동은 이전과 달라지지 않고 그대로였다. 이는 신기술이 별다른 거부감없이 보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기도 하지만 신기술이 보급되더라도 이를 통해 얻어지는 장점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이기도 하였다.
반면, 최근에 제안된 '모바일 주문(mobile ordering)' 기술은 고객이 매장을 이용하는 행동 시퀀스까지 변화시키려는 시도이다. 모바일 주문은 개념적으로는 고객이 이동 중에 혹은 원격지에서 자신이 휴대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주문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상품(예: 커피)을 주문한 후에 나중에 그 매장을 방문하여 상품을 픽업할 수 있다. 또한, 식당 예약이나 회의실 예약 등과 같이 매장 공간을 예약한 후에 나중에 그 매장을 방문하여 예약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모바일 주문은 기존과는 차별화된 완전히 새로운 이용 패턴을 제시하는 것인데, 아직까지는 기존의 주문방식에 비해 이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스마트폰의 보급에 맞추어 기술개발 및 방식 최적화에 대한 고민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주문 처리 방식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출원의 발명자가 종래의 모바일 주문 방식을 사용하면서 발견하였던 문제점도 함께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이 예컨대 차량으로 이동하던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100)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모바일 주문을 입력하면 해당 주문정보가 주문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모바일 주문의 식별 및 주문정보 전송 과정은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1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모바일 에이전트부(110)는 전용 프로그램이나 앱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때, 모바일 주문 입력 과정은 모바일 에이전트부(110)의 메뉴 체계에 따른다. 일반적으로는 모바일 주문 입력 과정에서 고객이 자신이 주문하려는 특정 브랜드의 특정 상품을 선택하고, 자신이 상품을 픽업할 매장도 지정한다.
주문관리 서버(200)는 고객이 지정한 해당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단말기(300)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각 브랜드에 대해 지역별로 구분된 다수의 매장이 마련되어 있고, 각 매장에는 그 매장의 주문을 접수하여 처리하기 위해 매장 단말기(300)가 설치되어 있다. 주문관리 서버(200)는 이들 중에서 고객이 모바일 주문에서 지정하였던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단말기(300)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송한다.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을 전달받으면 해당 매장에서는 업무규정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그 주문된 상품을 제조한다. 매장에 내방객이 많고 적음에 따라 약간의 변동이 있지만 상품이 제조되어 결과물, 예컨대 뜨거운 커피 1잔이 나오는 데에는 통상 1~2분 정도가 소요된다. 한편, 고객은 모바일 주문을 입력한 후에 차량 혹은 걸어서 매장으로 이동하며, 매장에 도착하면 본인이 직접 매장 데스크에 말하거나 혹은 비콘 등에 의해 매장 데스크에서 자동으로 식별하여 호명해줌으로써 그 제조해놓은 상품을 수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 주문 방식의 설계 목적은 고객이 매장이 도착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대할 빨리, 바람직하게는 고객이 매장에 도착하자마자 자신이 주문했던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그 목적은 종래의 모바일 주문 방식에 의해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은 고객이 모바일 주문을 한 시점부터 매장에 도착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이 천차만별이라는 점을 간과하였다. 때로는 도로가 막히거나 이동중에 아는 사람을 우연히 만나거나 주차할 곳을 찾지못해 방황하는 등과 같은 우리가 고객의 사정에 의해 당초의 의도보다 예컨대 10 ~ 20분 정도 매장에 늦게 도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일상 생활에서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데, 종래의 방식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매장에서는 모바일 주문이 전달되면 정상적인 주문으로 보고 상품 제조에 들어가는데, 이처럼 고객이 자신의 의도보다 10 ~ 20분 정도 늦게 매장에 도착하게 되면 상품의 품질이 저하되어 버린다. 예를 들어, 커피가 식어버리거나 산폐되어 맛과 향이 변질되어 버리게 되고, 음식은 식어버려 맛과 향, 그리고 씹는 질감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고객으로서는 불만족스러운 서비스를 받는 것이므로 당연히 불만족스러울 것이 되며, 매장으로서도 고객 만족도가 떨어지게 되어 상당히 우려스러운 상황이 된다. 이에, 일부 매장에서는 모바일 주문의 경우에 상품 제조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기존에 만들어놓은 상품을 폐기하고 새롭게 다시 제조하는 것을 업무규칙화한 곳도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은 모바일 주문의 기본 취지, 즉 고객과 매장 직원과의 접촉을 줄인다는 것과 고객이 매장에 들어와서 최대한 빨리 그 주문한 상품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감당해야 하는 비용으로 간주되어 왔다. 매장으로서는 고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지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도착하게 될지 알 수가 없으며,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모바일 주문이 들어오는 즉시 상품을 제조하였다. 고객이 늦게 도착하는 상황이 벌어지면 불만족스러운 상품을 제공하거나 혹은 매장이 비용을 부담하면서 이중으로 상품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대응해왔다.
이러한 문제점은 모바일 주문 기술의 보급에도 장애가 되었다. 고객 입장에서는 매장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모바일 주문을 꺼려하게 되었고, 매장 입장에서는 상품 제조 이후에 고객 수령까지 걸리는 시간이 민감한 제품을 다루는 경우에는 모바일 주문 방식을 채택하기 어려웠다. 또한, 커피와 같이 전형적으로 모바일 주문을 채택할 수 있는 분야에서도 품질을 중요시하는 매장에서는 모바일 주문 방식을 주저하였다.
추가로, 모바일 주문 방식에서는 고객이 모바일 에이전트부(110) 상에서 거쳐야 하는 과정, 즉 주문 시퀀스도 불편하였다. 모바일 주문의 속성상 고객이 매장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마련인데, 그로 인해 모바일 주문 과정에서는 너무 많은 정보를 일일히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매장을 이용하는 행동 시퀀스(문화)를 변경하는 것 자체로도 모바일 주문 방식을 보급하기에 장애가 되는데, 주문 시퀀스도 복잡하다면 더욱더 보급이 어렵게 된다.
그에 따라, 모바일 주문 이후에 고객이 매장이 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변동하더라도 항상 양호한 품질의 상품을 부가적인 노력이나 비용부담 없이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기술적으로 보장해줄 뿐만 아니라 모바일 주문 이용자의 불편함이 없도록 주문 시퀀스도 간소화함으로써 모바일 주문에 관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고객이 이동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 상에서 입력한 모바일 주문(상품 주문, 예약 주문)을 매장으로 전달하여 적절하게 응대될 수 있도록 트랜젝션 처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이동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한 모바일 주문을 처리함에 있어서 해당 매장에 고객이 도달하여 입장하는 이벤트를 정확히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모바일 주문의 내용을 보충하고 모바일 주문의 매장 전달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고객의 모바일 주문 입력 과정을 개선하고 고객에게 일정 이상의 서비스 품질도 보장할 수 있는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객의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 모바일 주문을 관리하는 주문관리 서버(200), 각 매장에 설치된 매장 단말기(300), 개별 매장의 유효 커버리지를 설정하기 위한 매장 식별기(310)의 협조 동작에 의하여 고객의 모바일 주문을 QoS 기반으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은, 매장 식별기(310)가 해당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가 삽입된 매장식별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출하는 제 1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모바일 주문 메뉴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주문상품 정보 및 모바일 에이전트부에 미리 설정된 고객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대한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대기하는 제 3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매장식별 신호를 인식함에 따라 특정 매장에 대한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식별하는 제 4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매장식별 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고객이 도착한 특정 매장에 대응하는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제 5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연결시키는 제 6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주문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모바일 주문을 실행하는 제 7 단계; 주문관리 서버(2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주문에 대한 주문상품 정보 및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제 8 단계; 주문관리 서버(200)가 도착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단말기(300)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9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모바일 주문을 접수 처리하는 제 10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매장식별 신호는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 및 블루투스 신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단계는, 매장 식별기(310)가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매장 식별기(310)가 해당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가 인코딩된 블루투스 신호를 무선 브로드캐스트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3 단계는,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스마트 단말(100)의 마이크를 통해 인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사운드 신호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를 검출함에 따라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고객이 도착한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10 단계는, 매장 단말기(300)가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이하, "모바일 주문수신 시점"이라 함)을 식별하는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되는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 사이에 모바일 주문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리스트에 모바일 주문을 삽입하여 접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 10 단계는, 매장 단말기(300)가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하여 대기중인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에 우선하도록 매장 주문리스트의 선단에 모바일 주문을 최우선 배치하여 접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계에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생성한 시점(이하,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이라 함)을 식별하여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0 단계는, 매장 단말기(300)가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 그리고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매장 단말기(300)가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되는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 사이에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리스트에 모바일 주문을 삽입하여 접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이상과 같은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이동 중에 입력한 모바일 주문을 매장 도착 식별을 매개로 트랜젝션 처리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의 품질 보장을 기술적 구성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주문을 완성하기 위해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 상에서 수행해야 하는 앱 조작 절차를 간소화시켜 사용자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주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모바일 주문 기술의 적용 범위를 일반 식당, 병원, 금융기관 등으로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주문 처리 방식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문 과정에서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표시되는 앱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이 모바일 주문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을 매장에서 접수 처리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을 매장에서 접수 처리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을 매장에서 접수 처리하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에서 고객의 스마트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은 상품 픽업과 매장 예약 등에 대해 적용 가능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품 픽업 주문을 기준으로 기술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바일 주문 시스템은 서비스 처리의 적시성(on-time service)이 중심이다. 패스트푸드를 중심으로 종래로부터 고객에게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관심이었으며, 모바일 주문은 그 연장선에서 궁극적으로는 고객이 매장에 들어오는 즉시 상품을 제공하려는 취지에서 구성된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은 고객이 매장 직원과 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할 필요없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 미리 주문을 해둘 수 있다는 모바일 주문 시스템의 장점은 그대로 가져가면서도 고객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 품질(QoS)은 항상 보장할 수 있도록 처리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모바일 주문 방식이 채택되기 어려웠던 다른 서비스 분야, 예컨대 음식점, 병원, 금융기관 등에서도 모바일 주문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식을 개념적으로 살펴본다.
고객이 예컨대 차량으로 이동하던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100)에서 모바일 주문용 앱을 실행시키고 특정 상품에 대한 모바일 주문, 예컨대 특정의 커피 브랜드에서 아메리카노 한잔에 대한 주문을 입력한다. 모바일 주문의 처리는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도 3]의 (1)과 (2)는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제공하는 앱 메뉴 화면에서 고객이 상품 선택 및 결제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의 (3)은 해당 모바일 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모바일 주문 사항을 입력하고 결제까지 마쳤다고 하더라도 그 즉시 모바일 주문을 전송하지 않고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임시 보관한다. 또한, 모바일 주문 과정에서 고객이 상품 수령(픽업)할 매장(예: 강남역점)을 선택하는 과정을 배제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객이 차량이나 도보로 자신이 이용할 매장으로 이동하여 해당 매장이 도착하면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그 매장 도착 이벤트를 인식한다. 각 매장에는 매장 식별기(310)가 설치되어 있는데, 매장 식별기(310)는 각각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매장의 고유한 정보를 담은 매장식별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고객이 스마트 단말(100)을 휴대한 상태로 특정 매장으로 들어가면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매장식별 신호를 식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고객이 특정 매장에 도착한 사실을 인식한다.
본 발명에서는 매장 식별기(310)가 구비되는데, 매장 식별기(310)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와 협조 동작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특정의 매장에 도착한 사실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매장 식별기(31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그 도착한 매장이 어디인지 식별할 수도 있다.
매장 식별기(310)는 개별 매장의 유효 커버리지를 구분하고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개별 매장을 구분 식별하기 위한 매장식별 신호를 무선 브로드캐스팅한다.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매장식별 신호를 인식하면 해당 사용자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장에 도착하였다는 사실을 식별하게 된다. 이때, 매장식별 신호가 일정 임계강도 이상일 경우에만 그 유효성을 인정하도록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매장식별 신호는 매장의 유효 커버리지를 구분하고 개별 매장을 구분 식별하는 용도에 맞으면 어떠한 기술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GPS, LTE, 블루투스, 지그비, 지오펜싱(Geo-Fencing) 등의 어느 한가지 혹은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제시된 기술 수단 중에서 고려한다면, 매장식별 신호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inaudible high-frequency sound signal)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를 통해 대략 18 kHz 이상 대역의 비가청의 고주파수 사운드로 출력함으로써 매장 내의 사람들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마트 단말(100)의 마이크를 통해서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운드 신호는 매장 내부와 외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도 적합하다. 또는, 구현 예에 따라서는 매장식별 신호를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랜 신호 등의 신호강도를 튜닝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지오펜싱(geo-fencing)의 바운더리를 정교하게 맞추어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신호 방식의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를 결합하여 매장식별 신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와 블루투스 신호를 조합하여 매장식별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로는 고객이 매장 내부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블루투스 신호는 해당 매장이 어디인지 식별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다. 다른 신호 방식의 조합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매장 도착 이벤트를 인식하면 그 즉시 해당 매장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주문을 실행한다. 즉, 고객이 도착한 매장을 상품 픽업 매장으로 지정하여 모바일 주문 사항을 보충한 후에 주문관리 서버(200)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주문관리 서버(200)는 해당 지점의 매장 단말기(300)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달한다. 해당 매장에서는 매장 단말기(300)가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업무규정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그 모바일 주문을 접수 처리한다. 이에, 그 주문된 상품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도 3]의 (4)는 고객이 특정 매장에 도착함에 따라 모바일 주문이 상품 픽업 매장으로 전달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3]의 (5)는 그 모바일 주문에 따라 해당 매장에서 상품 제조가 완료되었을 때에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로 상품 픽업을 안내하는 화면이고, [도 3]의 (6)은 그 모바일 주문에 따른 상품 픽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고객이 스마트 단말(100)에 모바일 주문 사항을 입력한 후에 매장에 도착할 때까지 얼마의 시간이 걸리든지 상품 제조 이후부터 상품 수령에 걸리는 시간은 일정 범위 이내이며, 그에 따라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품의 품질이 일정하게 관리된다. 이러한 서비스 품질 관리는 매장 관리자의 능력이나 매장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노력에 의존하지 않고 모바일 에이전트부(120), 주문관리 서버(200), 매장 단말기(300), 매장 식별기(310)의 협조 동작에 의해 구조적으로 달성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도 3]을 살펴보면 모바일 주문 과정에서 고객이 상품 수령(픽업)할 매장을 선택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이는 고객이 체감하는 모바일 주문 절차를 간소화시켜 모바일 주문의 보급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주문 절차의 간소화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 주문관리 서버(200), 매장 단말기(300), 매장 식별기(310)의 협조 동작에 의해 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은 고객의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 모바일 주문을 관리하는 주문관리 서버(200), 각 매장에 설치된 매장 단말기(300)와 매장 식별기(310)의 협조 동작에 의하여 고객의 모바일 주문을 QoS 기반으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단계 (S100) : 먼저, 매장 식별기(310)가 해당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가 삽입된 매장식별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출한다. 본 발명을 위해 각 매장에는 매장 식별기(310)가 설치되어 있는데, 매장 식별기(310)는 각각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매장의 고유한 정보를 담은 매장식별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매장식별 신호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와 블루투스 신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10) : 고객이 이동 중에 자신의 스마트 단말(100)에서 모바일 주문용 앱을 실행시키고 특정 상품에 대한 모바일 주문을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하면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그에 대응하여 모바일 주문 메뉴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주문상품 정보 및 모바일 에이전트부(120)에 미리 설정된 고객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생성한다. 주문상품 정보는 모바일 주문용 앱에 마련되어 있는 모바일 주문 메뉴 상에서 고객이 선택한 항목으로서 예컨대 아메리카노 한잔이다. 또한, 고객 식별정보는 현재 모바일 주문을 입력하고 있는 고객이 누구인지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는 모바일 주문용 앱을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하고 활성화할 때에 설정된다.
단계 (S120, S130) :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그 생성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주문관리 서버(200)로 즉시 전달하지 않고 고객이 매장에 도착할 때까지, 즉 매장 도착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고객이 스마트 단말(100)을 휴대한 채로 특정 매장으로 들어가면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해당 매장에 설치된 매장 식별기(310)가 무선 송출하는 매장식별 신호를 인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고객이 그 매장에 도착하였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이처럼 매장식별 신호에 의해 특정 매장에 대한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식별하게 된다.
단계 (S140 ~ S160) :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매장식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매장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고객이 현재 도착한 특정 매장에 대응하는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도착매장 식별정보는 매장 식별코드를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인코딩 규칙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연결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주문 과정에서 고객이 상품 수령(픽업)할 매장을 선택하는 과정이 없으며 그에 따라 앞서 단계 (S110)에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생성한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는 주문상품 정보와 고객 식별정보만 들어있고 매장 정보는 미지정된 상태였다. 이에,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매장식별 신호로부터 획득한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주문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모바일 주문을 실행한다.
단계 (S170, S180) : 주문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로부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며,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해당 모바일 주문에 대한 주문상품 정보 및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즉, 그 모바일 주문이 어느 매장에서 어떠한 상품을 주문하려는 것인지를 식별한다. 주문관리 서버(200)는 다수의 매장을 관리하며 그에 따라 다수의 매장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데, 주문관리 서버(200)는 그들 중에서 도착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단말기(300)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달한다.
단계 (S190) : 앞서 단계 (S130)에서 고객이 도착하였던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단말기(300)는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그 고객이 단계 (S110)에서 입력하였던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모바일 주문을 접수 처리한다.
이상의 과정에서 단계 (S130) 내지 단계 (S190)의 과정은 컴퓨터 처리 및 네트워크 전송을 통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정이다. 따라서, 체감상으로는 고객이 매장이 도착하는 즉시 모바일 주문이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로부터 매장 단말기(300)로 자동 전달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고객이 매장이 도착하는 즉시 스마트 단말(100)이 모바일 주문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와 블루투스 신호를 조합하여 매장식별 신호를 구성한 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기술하였다.
단계 (S200, S210) : 먼저, 각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식별기(310)가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로 사운드 출력하고 해당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가 인코딩된 블루투스 신호를 무선 브로드캐스트 송출한다.
이때, 매장식별 신호는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매장 식별기(310)가 본 발명을 위해 출력한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임을 구분짓기 위한 것이다. 매장 식별기(310)가 없는 상태에서도 대략 18 kHz 이상 대역의 비가청의 고주파수 사운드는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장 식별기(310)가 출력한 매장식별 신호라는 것을 구분하기 위한 일종의 식별코드 또는 프리앰블 신호로서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이 필요하다.
또한, 매장 식별기(310)는 자신이 설치된 매장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 즉 매장 식별코드를 매장식별 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예컨대 FSK(Frequency-Shift-Keying) 등의 인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를 통해 매장 식별코드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구분 가능한 정보의 양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디지털 무선통신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20 ~ S240) :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스마트 단말(100)의 마이크를 통해 인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데, 그 사운드 신호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를 검출하게 되면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식별한다. 매장 식별기(310)가 출력하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가 스마트 단말(100)의 마이크에 유효한 강도로 수신되었다면 이는 그 스마트 단말(100)을 소지하고 있는 고객이 매장에 들어왔거나 혹은 문이 열려있는 그 앞까지 도착한 것을 의미한다.
고객이 매장에 도착한 것을 확인하였기에 그 다음으로는 그 도착 매장이 어디인지 식별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고객이 도착한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를 획득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을 매장에서 접수 처리하는 세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에는 모바일 주문만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데스크에서 주문하는 오프라인 주문도 지속적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모바일 주문과 오프라인 주문을 효과적으로 병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의 고객은 매장에 도착하기 훨씬 전에 주문을 하였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매장에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 매장에서 모바일 주문을 수신하여 접수 처리하는 세 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을 매장에서 접수 처리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11, S312) : 단계 (S180)에서 주문관리 서버(2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고객이 도착한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단말기(300)는 단계 (S311)에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매장 단말기(300)는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당해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모바일 주문수신 시점")을 식별한다.
단계 (S313, S314) : 매장 단말기(300)는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즉, 누가 어떠한 상품을 주문하였는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이어서, 매장 단말기(300)는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되는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 사이에 모바일 주문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리스트에 모바일 주문을 삽입하여 접수 처리한다. 즉, 자신이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시점에 매장 데스크에서 오프라인 주문을 받은 것처럼 모바일 주문의 처리 순서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매장 데스크에 대기 줄이 긴 경우에 모바일 주문 고객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주문 처리 서비스를 받았다는 경험을 줄 수 있기에 유리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을 매장에서 접수 처리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21) : 단계 (S180)에서 주문관리 서버(2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고객이 도착한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단말기(300)는 단계 (S321)에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322) :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즉, 누가 어떠한 상품을 주문하였는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단계 (S323) : 매장 단말기(300)는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하여 대기중인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에 우선하도록 매장 주문리스트의 선단에 모바일 주문을 최우선 배치하여 접수 처리한다.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에 아직 미처리 상태로 대기중인 오프라인 주문이 있더라도 매장 주문리스트의 선단에 모바일 주문을 배치함으로써 모바일 주문을 최우선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모바일 주문의 고객은 매장에 도착하기 훨씬 전에 주문을 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을 주문 처리 프로세스에 반영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주문을 매장에서 접수 처리하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31) :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단계 (S110)에서 모바일 주문을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아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때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그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생성한 시점("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을 식별하여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삽입해준다. 이는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100) 상에서 모바일 주문 동작을 수행한 시점에 대응한다.
단계 (S332) : 단계 (S180)에서 주문관리 서버(2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고객이 도착한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단말기(300)는 단계 (S332)에서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333) : 매장 단말기(300)가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 그리고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을 획득한다. 즉, 누가 어떠한 상품을 주문하였는지를 식별하며, 추가로 그러한 모바일 주문이 언제 입력되었는지를 식별한다.
단계 (S334) : 매장 단말기(300)가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되는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 사이에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리스트에 모바일 주문을 삽입하여 접수 처리한다.
즉,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100) 상에서 모바일 주문을 입력하는 시점에 마치 매장 데스크에서 오프라인 주문을 받은 것처럼 모바일 주문의 처리 순서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모바일 주문의 고객은 매장에 도착하기 훨씬 전에 주문을 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을 주문 처리 프로세스에 반영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모바일 주문 고객과 오프라인 주문 고객으로부터 발생되는 주문 데이터를 밸런스있게 처리할 수 있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말하는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적정화할 수 있기에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스마트 단말
110, 120 : 모바일 에이전트부
200 : 주문관리 서버
300 : 매장 단말기
310 : 매장 식별기

Claims (6)

  1. 고객의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모바일 에이전트부(120), 모바일 주문을 관리하는 주문관리 서버(200), 각 매장에 설치된 매장 단말기(300), 개별 매장의 유효 커버리지를 설정하기 위한 매장 식별기(310)의 협조 동작에 의하여 고객의 모바일 주문을 QoS 기반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매장 식별기(310)가 해당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가 삽입된 매장식별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출하는 제 1 단계;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모바일 주문 메뉴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주문상품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에 미리 설정된 고객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대한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매장식별 신호를 인식함에 따라 특정 매장에 대한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식별하는 제 4 단계;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상기 매장식별 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이 도착한 특정 매장에 대응하는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제 5 단계;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상기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연결시키는 제 6 단계;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주문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모바일 주문을 실행하는 제 7 단계;
    상기 주문관리 서버(20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상기 모바일 주문에 대한 주문상품 정보 및 도착매장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제 8 단계;
    상기 주문관리 서버(200)가 상기 도착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단말기(300)로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9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주문을 접수 처리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장식별 신호는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 및 블루투스 신호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매장 식별기(310)가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매장 식별기(310)가 해당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가 인코딩된 블루투스 신호를 무선 브로드캐스트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스마트 단말(100)의 마이크를 통해 인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사운드 신호 분석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신호패턴을 갖는 비가청 고주파수 사운드 신호를 검출함에 따라 고객의 매장 도착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가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고객이 도착한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이하, "모바일 주문수신 시점"이라 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상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되는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 사이에 상기 모바일 주문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리스트에 상기 모바일 주문을 삽입하여 접수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상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하여 대기중인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에 우선하도록 매장 주문리스트의 선단에 상기 모바일 주문을 최우선 배치하여 접수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120)는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생성한 시점(이하,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이라 함)을 식별하여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에 삽입하고,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주문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상기 모바일 주문 데이터로부터 상기 모바일 주문에 관련된 고객 식별정보 및 주문상품 정보, 그리고 상기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기(300)가 매장 데스크에서 접수되는 일련의 오프라인 주문 사이에 상기 모바일 주문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리스트에 상기 모바일 주문을 삽입하여 접수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107158A 2018-09-07 2018-09-07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KR10224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58A KR102245215B1 (ko) 2018-09-07 2018-09-07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CA3152943A CA3152943A1 (en) 2018-09-07 2019-08-31 Qos-based mobile order processing method using shop arrival identification
EP19858124.1A EP3848882A4 (en) 2018-09-07 2019-08-31 QUALITY OF SERVICE BASED MOBILE ORDER PROCESSING METHOD IMPLEMENTING STORE ARRIVAL IDENTIFICATION
PCT/KR2019/011229 WO2020050560A2 (ko) 2018-09-07 2019-08-31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US17/274,247 US20210319497A1 (en) 2018-09-07 2019-08-31 Qos-based mobile order processing method using shop arrival identification
CN201980073473.5A CN112970042A (zh) 2018-09-07 2019-08-31 使用商店到达标识的基于qos的移动订单处理方法
JP2021512849A JP7104388B2 (ja) 2018-09-07 2019-08-31 来店識別によるQoSに基づくモバイル注文の処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58A KR102245215B1 (ko) 2018-09-07 2018-09-07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09A true KR20200028709A (ko) 2020-03-17
KR102245215B1 KR102245215B1 (ko) 2021-04-27

Family

ID=6972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158A KR102245215B1 (ko) 2018-09-07 2018-09-07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19497A1 (ko)
EP (1) EP3848882A4 (ko)
JP (1) JP7104388B2 (ko)
KR (1) KR102245215B1 (ko)
CN (1) CN112970042A (ko)
CA (1) CA3152943A1 (ko)
WO (1) WO202005056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78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문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1079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이용자 그룹의 의견조율이 가능한 주문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1831B (zh) * 2021-07-02 2021-11-19 北京药联健康科技有限公司 线下短距交易管理方法、系统及其存储介质
KR102592361B1 (ko) 2023-02-16 2023-10-20 주식회사 얍컴퍼니 비가청 고주파 비콘을 이용한 현장 인증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35A (ko) * 2016-12-05 2018-06-14 (주)오케이포스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사전 주문 처리 시스템,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사전 주문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9831A (ja) * 2005-03-15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受注システム、配信サーバおよび受注方法
US9129289B2 (en) * 2005-10-03 2015-09-08 Drew Vaugh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ote ordering capabilities
JP2007172383A (ja) * 2005-12-22 2007-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商品注文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555853B2 (ja) * 2007-10-29 2010-10-06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オーダシステム
JP5729769B2 (ja) * 2012-06-20 2015-06-0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注文管理システム、注文管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KR20150025139A (ko) * 2013-08-28 2015-03-10 이민오 자동응답 주문 결제 시스템
KR101447501B1 (ko) * 2014-06-12 2014-10-08 휴텍 주식회사 고주파 사운드 신호 기반의 매장연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9904903B1 (en) * 2014-10-31 2018-02-27 Walgreen Co. Drive-thru system implementing location tracking
JP2016129324A (ja) * 2015-01-05 2016-07-14 帝人株式会社 信号伝達システム及び信号伝達装置
CA2993787C (en) * 2015-07-27 2023-09-05 Nourish Technology, Inc. A system and process for managing preparation and packaging of food and/or beverage products for a precise delivery time
CN108140207A (zh) * 2015-09-18 2018-06-08 雅富株式会社 基于服务提供场所信息的服务提供方法
KR102505965B1 (ko) * 2015-10-23 2023-03-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 기반의 2차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6817572B2 (ja) * 2016-07-01 2021-01-20 株式会社ジャストプランニング サーバ及び注文システム
KR20180012370A (ko) * 2016-07-26 2018-02-06 주식회사 오윈 선주문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주문 정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35A (ko) * 2016-12-05 2018-06-14 (주)오케이포스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사전 주문 처리 시스템,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사전 주문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78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문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1079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이용자 그룹의 의견조율이 가능한 주문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52943A1 (en) 2020-03-12
WO2020050560A2 (ko) 2020-03-12
KR102245215B1 (ko) 2021-04-27
JP2021536065A (ja) 2021-12-23
US20210319497A1 (en) 2021-10-14
WO2020050560A3 (ko) 2020-04-30
EP3848882A2 (en) 2021-07-14
CN112970042A (zh) 2021-06-15
EP3848882A4 (en) 2022-06-01
JP7104388B2 (ja)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215B1 (ko) 매장 도착 식별을 통한 QoS 기반의 모바일 주문 처리 방법
US201901664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of beacon signals
US99552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tracking using wireless beacons
US100094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pre-determined location
KR20170012213A (ko) 모바일 단말기에 상가(商家)의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5033153A2 (e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240137741A1 (en) Low energy network
KR102453879B1 (ko) 동행 인력 매칭 서비스 및 동행 인력 매칭 시스템
US20180268450A1 (en) Service providing place inform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EP3940619A1 (en) Device, program, and system for providing point services
RU2772834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мобильных заказов на основе обеспечения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рибытия в заведение
KR20040015006A (ko) 환경 데이터의 로깅 및 후속 검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38847B1 (ko) 매장에서의 전자 주문 관리 방법
CA3103533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ssociating a user of an application with an order made at a retail location
KR20140035542A (ko) 광고 정보 중개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1003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301248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everage dispatching
KR20120134320A (ko) 주방의 실시간 위생 상태 확인을 통한 음식점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55949B1 (ko) 사용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JP202018142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出力端末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250396A (ja) 広告決定装置、広告決定プログラム、広告決定方法およびカラオケ装置
KR20180105938A (ko) 고객 맞춤식 지능형 승차권 예약관리 통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