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669A -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669A
KR20200028669A KR1020180107040A KR20180107040A KR20200028669A KR 20200028669 A KR20200028669 A KR 20200028669A KR 1020180107040 A KR1020180107040 A KR 1020180107040A KR 20180107040 A KR20180107040 A KR 20180107040A KR 20200028669 A KR20200028669 A KR 2020002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vibration
weigh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907B1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18010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 상기 에어컨 실외기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보강체; 및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상단 또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체의 내부에 친환경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APPARATUS OF ANTI-VIBRATION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에 설치되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을 방지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고 지진 발생 시에도 에어컨 실외기의 이탈로 인한 사건 사고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 conditioner)은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증발기에서 형성되는 냉기와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내보내어 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기이다.
이러한 에어컨은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 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된다. 이 때,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는 보통 소음발생이 많은 압축기, 응축기, 냉각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내기는 증발기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에어컨 실외기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종래기술 중 하나로 특허공개공보 제10-2001-0026489호(발명의 명칭: 에어콘용 실외기의 진동 저감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진동을 저감시기키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지진과 같은 큰 진동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에 전혀 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큰 진동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경우 건물 외부로부터 실외기가 이탈하여 낙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1-0026489 A (2001. 04. 0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실외기 자체의 진동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지진과 같은 큰 진동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에도 건물 외부로부터 실외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 상기 에어컨 실외기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보강체; 및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상단 또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체의 내부에 친환경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충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상기 충진재기 입자크기가 5mm~40mm 범위를 갖는 광산폐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5mm 이하인 광미 80~120 중량부,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페트롤코우크스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친환경 고화재 15~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설치되는 진동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지 센서가 소정 주파수 대역의 외부 진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외부 진동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상기 진동 발생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평면 위를 연장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평판 형상의 추; 상기 개구부에 그 중심 축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 축에서 떨어진 곳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암나사를 갖는 원반; 상기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암나사를 통해 상기 원반을 회전 이송 나사; 상기 추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송 나사를 왕복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원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원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이송 나사가 왕복 이동됨으로써 상기 원반이 상기 원반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추가 상기하우징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상기 추를 연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높이 방향의 중간 부분인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실외기 자체의 진동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지진과 같은 큰 진동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에도 건물 외부로부터 실외기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실외기의 낙하로 인한 사건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진동 저감기의 구성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컨 실외기(100); 에어컨 실외기(100)가 안착되는 받침부(200); 받침부(200)의 상단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보강체(300); 및 에어컨 실외기(100)의 상단 또는 에어컨 실외기(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10) 및 측면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보강체(300)가 바닥판(210)의 상단에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측면판(220)에도 보강체(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측면판(220)에 설치되는 보강체(300) 역시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보강체(300)는 받침부(200)의 상단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구성요소로서, 보강체(300)의 상단에는 에어컨 실외기(100)가 놓여지게 된다.
이때 보강체(30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강체(300)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보강체(300) 격자 형태로 배열될 때 보강체(300)와 보강체(300) 사이의 접합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컨 실외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체(300)는 종단으로 배치되는 종단 보강체(300a) 및 횡단으로 배치되는 횡단 보강체(300b)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종단 보강체(300a) 및 횡단 보강체(300b)가 격자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종단 보강체(300a)와 횡단 보강체(300b) 사이에 접합면적이 발생하는데, 종단 보강체(300a) 및 횡단 보강체(300b)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단 보강체(300a) 및 횡단 보강체(300b)가 일반적인 판 형태로 형성될 때보다 접합멱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체(300)의 내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는데, 충진재가 보강체(300)의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에어컨 실외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는 입자크기가 5mm~40mm 범위를 갖는 광산폐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5mm 이하인 광미 80~120 중량부,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페트롤코우크스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친환경 고화재 15~45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는 광산폐기물인 폐석, 폐광미를 골재로 활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이점이 있으면서도,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효과가 발생한다.
[실시예]
이러한 충진재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입자크기가 5mm~40mm 범위를 갖는 폐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5mm 이하인 광미 100중량부, 친환경 고화재 30중량부, 나프탈렌계 유동화제 1중량부 및 메칠셀룰로스계 증점제 2중량부를 포함한 충진재 조성물에 상기 폐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의 물을 추가하고 강제식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친환경 고화재는 산화칼슘 함량이 56%인 제지슬러지 소각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 120중량부, 페트롤 코우크스 탈황석고 80중량부 및 황산염자극제 8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충진재의 사용가능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혼합후 10분, 30분, 60분의 플로우를 측정하였으며, 충진재 조성물의 압축강도는 7일, 28일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를 지름 15cm, 높이 30cm의 몰드에 투입하여 6개의 공시체를 제작하고 항온항습기에서 상대습도 90%, 온도는 섭씨 20도의 환경에서 양생하였다.
[비교예]
먼저, 입자크기가 5mm~40mm 범위를 갖는 폐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5mm 이하인 광미 100중량부, 1종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30중량부, 나프탈렌계 유동화제 1중량부 및 메칠셀룰로스계 증점제 2중량부를 포함한 충진재 조성물에 상기 폐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의 물을 추가하고 강제식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충진재의 사용가능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혼합후 10분, 30분, 60분의 플로우를 측정하였으며, 충진재 조성물의 압축강도는 7일, 28일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를 지름 15cm, 높이 30cm의 몰드에 투입하여 6개의 공시체를 제작하고 항온항습기에서 상대습도 90%, 온도는 섭씨 20도의 환경에서 양생하였다.
위와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는 플로우 시험(KS F 2594), 압축강도 시험(KS F 2343)을 실시하였고, 육안검사를 통한 재료분리 상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시험 따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구분 재료분리
여부
플로우 경시 변화(mm) 일축압축강도(kgf/㎠)
10분 30분 60분 7일 28일
실시예 발생없음 680 570 320 11 35
비교예 발생없음 620 500 200 83 189
표 1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 모두 충분한 플로우의 발현으로 만족할 만한 유동성을 나타냈으며, 재료분리도 발생치 않았고, 플로우 경시변화 역시 비교예 및 실시예 모두 혼합후 30분 까지 충진재를 시공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1을 참조하여 일축압축강도에 대해 살펴보면, 양생 7일에 실시예는 11 kgf/㎠, 비교예는 83 kgf/㎠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고화재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초기 강도가 낮게 발현되는 결과를 보였지만 이는 토질역학적 기준으로 충분히 안정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28일 강도의 결과를 보면 비교예의 경우 계속되는 수화반응에 의해 189 kgf/㎠이라는 높은 강도를 보이지만, 실시예에서는 35 kgf/㎠의 낮지만 토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시멘트와는 고결반응 메커니즘이 상이한 것으로, 고화재 중의 상대적으로 적은 원료인 슬래그 미분말이 황산염 등과 반응하며 잠재수경성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대적 저강도는 에어콘 실외기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기에는 충분한 강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재는 광산폐기물인 폐석, 폐광미를 골재로 활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이점이 있으면서도,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하우징(410); 하우징(4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평면 위를 연장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421)를 갖는 평판 형상의 추(420); 개구부(421)에 그 중심 축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 축에서 떨어진 곳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암나사(431)를 갖는 원반(430); 암나사(431)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원반(430)을 회전시키는 이송 나사(432); 추(4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 나사(432)를 왕복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0); 및 하우징(410) 내에 설치되어 원반(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원반가이드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410)은 진동 발생기(40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실외기(10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에어컨 실외기(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받침부(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추(420)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4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추(420)에는 수평면 위를 연장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421)가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액추에이터(440)가 안착되도록 오목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원반(430)은 상기 개구부(431)에 배치되며, 원반(430)의 중심 축에서 떨어진 곳에는 암나사(431)가 형성된다. 또한 암나사(431)에 나사 결합하여 자신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원반(430)을 회전시키는 이송 나사(432)가 포함된다. 이처럼 이송 나사(432)는 암나사(431)를 통해 원반(430)을 회전시키는 나사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나사이다. 이러한 이송 나사(432)는 볼나사 등 다양한 구조가 채용 가능하다.
액추에이터(440)는 이송 나사(432)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420)에 형성된 오목부(42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440)는 추(4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액추에이터(440)가 추(4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액추에이터(440)의 진동은 온전히 이송 나사(432)를 왕복 운동시키는데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440)는 로드(4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로드(441)가 이송 나사(432)와 결합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440)가 로드(441)의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반가이드부(450)는 하우징(410) 내에 설치되어 원반(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400)는 추(420)를 연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하우징(410)의 내부의 높이 방향의 중간 부분인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추(420)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460)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탄성 부재(460)가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판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 사용될 수 있고, 스프링 이외에도 소정 탄성을 이용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진동 발생기(400)는 액추에이터(440)의 왕복 운동(진동)에 의해 이송 나사(432)가 왕복 이동됨으로써 원반(430)이 회전하게 되고, 원반(430)이 회전함에 따라 추(420)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하게 된다. 추(420)의 반복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400)는 하우징(410) 내부에서 추(420)가 수평 방향의 공간을 넓게 점유하고 수직 방향의 공간의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추(420)의 진동의 세기를 크게 하면서 최소한의 높이로 진동 발생기(400)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에 설치되는 진동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진동 감지 센서가 소정 주파수 대역의 외부 진동을 감지한 경우, 진동 발생기(400)가 상기 외부 진동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 주파수 대역은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진과 같은 큰 진동에 발생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센서의 동작 및 진동 발생기(400)의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에어컨 실외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진동 발생기(4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외부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에어컨 실외기(100)에 실제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1차적으로 보강체(300)가 받침부(200) 상단에 격자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에어컨 실외기(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2차적으로 지진과 같은 큰 진동을 감지 했을 때 이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에어컨 실외기(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진동 저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는 팬 진동 저감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에어컨 실외기(100)는 송풍을 위한 팬(미도시) 및 팬을 회전을 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진동 저감기(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10), 기어부(520) 및 댐핑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510)는 팬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팬의 회전축이 결합부(510)와 키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이 결합부(510)로 1:1의 비율로 전달될 수 있다.
기어부(520)는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분으로, 모터의 회전축에 기어가 형성되고, 이러한 기어에 팬 진동 저감기(500)의 기어부(520)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터 -> 모터의 기어 -> 기어부(520) -> 결합부(510) -> 팬의 회전축 -> 팬'의 순서로 모터에서 발생된 힘(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댐핑부(530)는 가늘고 긴 핀 형상으로서, 댐핑부(530)가 가늘고 긴 핀 형상을 가지도록 댐핑홈(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핑부(530)의 폭이 좁을 수록 결합부(510)와 기어부(520) 사이의 연결 면적이 작아지며, 댐핑부(530)의 길이가 길 수록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댐핑부(530)의 폭이 좁고 길이가 길수록 기어부(520)의 진동이 결합부(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댐핑부(530)의 폭이 좁고, 길이가 길수록 댐핑부(530)가 변형될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방기 돌기(511) 및 변형 방지 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변형 방지 돌기(511) 및 변형 방지 홈(522) 사이의 거리가 댐핑홈(521)과 댐핑부(530) 사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어부(520)에 과도한 토크가 작용하는 경우 변형 방지 돌기(511) 및 변형 방지 홈(522) 사이의 거리가 댐핑홈(521)과 댐핑부(530) 사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변형 방지 돌기(511)가 변형 방지 홈(522)에 접하더라도 댐핑부(530)가 댐핑홈(521)에 접할정도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팬 진동 저감기(500)가 팬과 모터 사이에 결합되어 팬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에어컨 실외기
200: 받침부
300: 보강체
400: 진동 발생기
500: 팬 진동 저감기

Claims (5)

  1. 에어컨 실외기;
    상기 에어컨 실외기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보강체; 및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상단 또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체의 내부에 친환경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입자크기가 5mm~40mm 범위를 갖는 광산폐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5mm 이하인 광미 80~120 중량부,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페트롤코우크스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친환경 고화재 15~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설치되는 진동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지 센서가 소정 주파수 대역의 외부 진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외부 진동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평면 위를 연장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평판 형상의 추;
    상기 개구부에 그 중심 축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 축에서 떨어진 곳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암나사를 갖는 원반;
    상기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암나사를 통해 상기 원반을 회전 이송 나사;
    상기 추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송 나사를 왕복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원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원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이송 나사가 왕복 이동됨으로써 상기 원반이 상기 원반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추가 상기하우징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를 연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높이 방향의 중간 부분인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KR1020180107040A 2018-09-07 2018-09-07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KR10216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40A KR102169907B1 (ko) 2018-09-07 2018-09-07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40A KR102169907B1 (ko) 2018-09-07 2018-09-07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69A true KR20200028669A (ko) 2020-03-17
KR102169907B1 KR102169907B1 (ko) 2020-10-26

Family

ID=7000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040A KR102169907B1 (ko) 2018-09-07 2018-09-07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9963A (zh) * 2022-04-18 2022-07-08 辽宁科技大学 一种智能爆破测振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89A (ko) 1999-09-07 2001-04-06 구자홍 에어콘용 실외기의 진동 저감구조
KR20100069190A (ko) * 2008-12-16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3036301A (ja) * 2011-08-11 2013-02-21 Kajima Corp 振動低減構造および振動低減構造の構築方法
KR20130122163A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광산 폐기물 및 친환경고화재를 활용한 저강도, 고유동성 광산 채굴적 충진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시스템
JP2016044725A (ja) *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フジタ 床振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89A (ko) 1999-09-07 2001-04-06 구자홍 에어콘용 실외기의 진동 저감구조
KR20100069190A (ko) * 2008-12-16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3036301A (ja) * 2011-08-11 2013-02-21 Kajima Corp 振動低減構造および振動低減構造の構築方法
KR20130122163A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광산 폐기물 및 친환경고화재를 활용한 저강도, 고유동성 광산 채굴적 충진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시스템
JP2016044725A (ja) *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フジタ 床振動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9963A (zh) * 2022-04-18 2022-07-08 辽宁科技大学 一种智能爆破测振装置及使用方法
CN114719963B (zh) * 2022-04-18 2023-08-08 辽宁科技大学 一种智能爆破测振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907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472B1 (ko) 미세 다공질 활성탄을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및 경량기포콘크리트 조성물
JP5784002B2 (ja) 補修用セメント組成物、それを用いた補修用セメントモルタル材料、及び補修用セメントモルタル
CN104449565B (zh) 干式摩擦材料、离合装置以及制动装置
KR20200028669A (ko)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 방지 장치
EP3225876A1 (en) Seismic isolation device
WO2014081277A1 (en) Volcano ash solid geopolymer composit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287712B1 (ko) 모르타르와 그 제조 방법
JPH07284628A (ja) 調湿材料とその製造法
KR101252962B1 (ko)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KR101565549B1 (ko) 합성 제올라이트가 혼입된 저강도 고유동성 무시멘트 채움재 및 그 제조방법
CN201027623Y (zh) 空调压缩机减振装置
JP2013032242A (ja) フライアッシュの活性度改善手法、活性化フライアッシュを用いたフライアッシュセメント、及び、活性化フライアッシュ及びフライアッシュセメント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組成物
KR101983692B1 (ko) 충격 및 소음 감쇄장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공동주택 뜬바닥 구조
JPH02164754A (ja) 収縮低減用セメント添加剤
JP4796225B2 (ja) モルタル組成物
KR100947899B1 (ko) 고성능 하이볼륨 플라이애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41733B1 (ko) 수화열 저감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체가름 장치
CN208238077U (zh) 空调室外机以及空调器
KR101482382B1 (ko) 탈황슬래그 및 고로슬래그를 포함하는 저발열 시멘트 조성물
CN108516750B (zh) 内墙隔声腻子及其制备方法
KR100987788B1 (ko) 펌프압송성 증대를 위한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콘크리트 생산방법
KR20030000061A (ko) 다방향 충격 진동 마운트
KR20200051177A (ko)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고유동성 및 자기수평성 모르타르 조성물
CN216099620U (zh) 一种工程建设使用搅拌机
JP5779937B2 (ja) セルフレベリ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