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228A -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228A
KR20200028228A KR1020180106667A KR20180106667A KR20200028228A KR 20200028228 A KR20200028228 A KR 20200028228A KR 1020180106667 A KR1020180106667 A KR 1020180106667A KR 20180106667 A KR20180106667 A KR 20180106667A KR 20200028228 A KR20200028228 A KR 2020002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cap
support device
loss
water branch
bran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303B1 (ko
Inventor
한원희
한선규
Original Assignee
성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3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타단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부로 구성되는 지주캡 및 일측이 상기 지주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유실수 가지와 연결된 로프가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향해 개구되는 걸이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걸이 슬릿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의 상부를 통해 우수 등이 침투하지 않아 지주의 내부가 녹슬어 손상되거나, 동절기에 지주가 동파할 우려가 없다는 장점과, 구조가 간단하고 로프 연결이 용이하며, 시간이 경과해도 지주캡의 손상 없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FRUIT TREE BRANCH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의 상단에 체결되는 지주캡과 지주캡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유실수 가지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실수 가지에 열매가 열리게 되면 상기 유실수 가지에는 열매로 인한 큰 중량의 무게가 실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풍력 등의 외부 힘을 받게 되면, 열매가 맺힌 유실수 가지는 크게 흔들리면서 낙과가 발생하거나, 가지가 열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유실수 가지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구조적으로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유실수 가지마다 지면에서 상방으로 지지봉을 세워 고정하고,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U'자형 지지부를 형성하여 'U'자형 지지부가 유실수 가지를 받치도록 하는 구조이다.
두 번째는 유실수 본목의 일측에 유실수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높이의 지주를 세워 고정한 다음, 상기 지주의 상부에 지지로프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기 지지로프의 타측은 유실수 가지에 체결함으로써 유실수 가지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위와 같은 2가지의 구조 중, 첫 번째 구조의 경우, 유실수 가지만큼의 지지봉이 설치되므로 그 설치 형태가 매우 복잡해질 뿐 아니라 설치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조 및 방충, 방제, 제초작업 등을 하고자 할 때 복잡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봉들로 인해 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반면 두 번째 구조의 경우, 첫 번째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주의 상부에 지지로프의 일측을 체결하게 되면 초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로프의 장력으로 인해 점차 지주의 상부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부가 빈 원통형 지주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우수 등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주의 내부가 녹슬어 손상되거나, 동절기에 지주가 동파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로프가 고정되는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지주캡을 지주의 상부에 체결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역시 지주와의 체결을 위해 지주캡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체결구멍에 로프를 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와 작업 용이성을 갖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프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체결 구조가 단순하여 작업성이 뛰어난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실수 가지와 연결된 로프를 안정적으로 지주에 연결시킴으로써 지주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단이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타단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부로 구성되는 지주캡; 및 일측이 상기 지주캡에 고정되고 타측이 유실수 가지와 연결된 로프가 고정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향해 개구되는 걸이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걸이 슬릿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지주캡 고정부;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일단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 및 일단이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으로 연장되는 로프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 슬릿의 개구된 일측과 마주보는 내측은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상기 걸이 슬릿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프 고정부의 타단은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절곡부의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는 차폐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캡와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주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구속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방된 지주의 상부를 지주캡으로 막는 구조로, 지주 내에 우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주의 내부가 녹슬어 손상되거나, 동절기에 지주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주캡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로프 연결이 용이하며, 지주캡과 연결부재의 체결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연결부재에 안정적으로 로프를 고정시킴으로써 시간이 경과해도 지주나 지주캡의 손상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를 유실수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캡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를 유실수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100), 지주(100)에 삽입되는 지주캡(200), 지주캡(200)에 고정되는 연결부재(300)로 구성된다.
먼저, 지주(100)의 일단은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이때 지주(10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지면에서부터 지주(10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유실수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주캡(200)은 지주(100)의 타단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부(210)와 몸체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몸체부(2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210)의 외경(d2)은 지주(100)의 내경(D2)과 동일하여 유격없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21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지주(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11)는 내부에 연결부재(300)의 일측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홀(213)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211)와 삽입홀(213)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210)에는 이러한 삽입부(211) 및 삽입홀(213)이 지주캡(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삽입부(211) 및 삽입홀(213)이 여섯 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삽입부(211) 및 삽입홀(213) 간 이격거리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213)의 바닥면은 차폐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연결부재(300)의 지주캡 고정부(310)의 일단과 마주보는 삽입부(211)의 하부는 차폐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삽입홀(213)을 통해 지주(100) 내부로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면, 삽입부(211)의 하부는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삽입홀(213)내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부재(300)의 지주캡 고정부(310)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는 삽입홀(213)의 하부가 차폐된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삽입홀(213)의 하부의 차폐여부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220)에는 걸이 슬릿(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이 슬릿(221)은 뚜껑부(22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향해 개구되는 형상일 수 있다.
걸이 슬릿(221)은 후술할 상기 연결부재(300)의 일측 즉, 지주캡 고정부(310)가 관통 삽입되며, 이로써 연결부재(300)의 일부는 몸체부(2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 슬릿(221)은 전술한 삽입부(211) 및 삽입홀(213)과 대응하도록, 지주캡(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걸이 슬릿(221)이 여섯 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걸이 슬릿(221) 간 이격거리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뚜껑부(220)는 걸이 슬릿(2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이 슬릿(221)의 개구된 일측(개구부(223))과 마주보는 내측은 지주캡 고정부(310)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덧붙여,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이 슬릿(221) 내부, 즉 지주캡 고정부(310)와 접하는 걸이 슬릿(221)의 직경이 개구부(223)의 폭보다 크게 형성돼 있다. 이는 개구부(223)가 절곡부(3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삽입홀(213)에 삽입된 연결부재(300)의 회전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만약, 개구부(223)의 폭이 걸이 슬릿(221) 내부의 직경과 동일할 경우 연결부재(300)의 원주방향의 유격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개구부(223)의 폭이 걸이 슬릿(221) 내부의 직경 대비 너무 작을 경우 개구부(223)가 절곡부(320)를 지지하는 면적이 너무 작아 안정적으로 연결부재(300)를 지지할 수 없게 된다.
연결부재(300)의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걸이 슬릿(221)의 형태가 내부에서 개구부(223)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걸이 슬릿(221) 내부의 직경과 개구부(223) 폭은 동일하되, 개구부(223)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225)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00)의 원주방향 유격을 최소화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절곡부(3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걸이 슬릿(221)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걸이 슬릿(221)의 형태는 일 실시예로, 연결부재(300)의 원주방향 유격을 최소화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절곡부(32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걸이 슬릿(221)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덧붙여, 도 1 내지 도 4,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지주캡(200)은 몸체부(210)와 뚜껑부(220)가 결합된 일체형이나,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주캡(200)은 실시예와 같은 일체형 또는, 몸체부(210)와 뚜껑부(2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연결부재(3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재(300)는 일측이 지주캡(2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유실수 가지와 연결된 로프(R)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300)는 지주캡 고정부(310), 절곡부(320), 로프 고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주캡 고정부(310)는 몸체부(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지주캡 고정부(310)는 삽입부(211)에 삽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캡 고정부(310)의 길이(L2)는 삽입홀(213)의 깊이(L1)와 유사하여 삽입홀(213)에 최대한 깊숙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재(300)가 지주캡(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절곡부(320)는 지주캡 고정부(310)의 타단으로부터 지주캡 고정부(310)의 일단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캡 고정부(310)의 일단과 절곡부(320)의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재(300)가 지주캡(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주캡 고정부(310)가 삽입부(211)에 삽입될 때 지주(100)의 외면과 마주보는 절곡부(320)의 외면은 지주(100)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고정된다. 즉, 삽입부(211)에 고정된 절곡부는 지주(100)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중간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이 역시, 연결부재(300)가 지주캡(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로프 고정부(330)는 일단이 절곡부(320)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고정부(330)의 타단은 지주캡 고정부(310)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로프 고정부(330)의 타단은 지주캡 고정부(31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로프 고정부(330)의 타단부와 절곡부(320)의 이격거리는 5mm 내지 1mm 일 수 있다. 이는 로프(R)가 로프 고정부(330)에 삽입되되,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로프 고정부(3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로프 고정부(330)의 타단부와 절곡부(320)의 이격거리 및 로프 고정부(330)의 연장 방향은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덧붙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는 지주캡(200)으로부터 연결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재는 지주(100)와 지주캡(200)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속부재(미도시)를 고정시키기 위해 뚜껑부(220)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몸체부(210)는 몸체부(2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미도시)에 삽입된 구속부재(미도시)는 볼트 너트 구조에 의해 뚜껑부(220) 또는 몸체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속부재의 고정방법, 고정위치, 체결부재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주
200: 지주캡
210: 몸체부
211: 삽입부
213: 삽입홀
220: 뚜껑부
221: 걸이 슬릿
223: 개구부
225: 지지부
300: 연결부재
310: 지주캡 고정부
320: 절곡부
330: 로프 고정부
L1: 삽입홀 깊이
L2: 지주캡 고정부 길이
D1: 지주 외경
D2: 지주 내경
d1: 뚜껑부 외경
d2: 몸체부 외경
R: 로프

Claims (10)

  1.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타단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부로 구성되는 지주캡; 및
    일측이 상기 지주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유실수 가지와 연결된 로프가 고정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향해 개구되는 걸이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걸이 슬릿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지주캡 고정부;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일단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
    일단이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으로 연장되는 로프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슬릿의 개구된 일측과 마주보는 내측은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걸이 슬릿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고정부의 타단은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절곡부의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캡 고정부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는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와 상기 지주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구속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1020180106667A 2018-09-06 2018-09-06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102139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67A KR102139303B1 (ko) 2018-09-06 2018-09-06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67A KR102139303B1 (ko) 2018-09-06 2018-09-06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28A true KR20200028228A (ko) 2020-03-16
KR102139303B1 KR102139303B1 (ko) 2020-07-30

Family

ID=6994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667A KR102139303B1 (ko) 2018-09-06 2018-09-06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3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89A (ja) * 1994-11-08 1996-05-28 Kohei Ueda 植物の整形用吊下げ支持具
KR20080005262U (ko) * 2008-10-22 2008-11-11 오세원 유실수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89A (ja) * 1994-11-08 1996-05-28 Kohei Ueda 植物の整形用吊下げ支持具
KR20080005262U (ko) * 2008-10-22 2008-11-11 오세원 유실수용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303B1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7675U (ja) 樹木支持装置用連結具
US20130125497A1 (en)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of continued beam connection portion
US5291703A (en) Survey monument and improved extraction restriction means therefor
KR102139303B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200482166Y1 (ko) 타프 폴대 체결구
JP6539890B2 (ja) 埋設杭の引き抜き方法及びその装置
US5625983A (en) Dismountable anchoring device
JP4756000B2 (ja) 樹木の支持施工方法と、支持施工用具
JP3187623U (ja) 樹木の枝支持装置
JP2005143472A (ja) 苗木の食害防止装置
KR20080082395A (ko) 앵커 볼트
KR200429218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2182125B1 (ko) 양식망 고정구
KR101756242B1 (ko) 나무용 가지 처짐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496813Y1 (ko) 지지브라켓을 구비한 펜스지주
KR101841270B1 (ko) 과수 나무용 가지 유인장치
CN211597965U (zh) 一种电杆稳固装置
JP5635143B2 (ja) コッター挿入補助具
JP2024083691A (ja) 防獣ネット用固定具
KR20230156523A (ko) 수목용 부하지지장치
JP3110948U (ja) 支柱
JP7075661B2 (ja) フェンス
US20130291433A1 (en) Tree wound guard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for a tree support cabling system
KR200257120Y1 (ko) 이식용 지주목 구조
KR200222038Y1 (ko) 방조망 지지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