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983A -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983A
KR20200027983A KR1020207003606A KR20207003606A KR20200027983A KR 20200027983 A KR20200027983 A KR 20200027983A KR 1020207003606 A KR1020207003606 A KR 1020207003606A KR 20207003606 A KR20207003606 A KR 20207003606A KR 20200027983 A KR20200027983 A KR 20200027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textiles
chuck
fabric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야노
유이치로 야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퓨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퓨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퓨렉스
Publication of KR2020002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7/00Details of ironing machines provided for in groups D06F61/00, D06F63/00, or D06F65/00
    • D06F67/04Arrangements for feeding or spreading the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직물류의 핸들링시에, 직물류의 손상을 회피하면서 직물류의 누락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직물류 클램핑 척(21)은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과,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을 상대적으로 근접·이간시키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각각의 파지 발톱(212, 213)은 선단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파지 발톱(213, 212)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214, 215)를 갖고, 돌출부(214, 215)의 파지 발톱(212, 213)의 기단측의 면(214a, 215a)은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다른쪽의 돌출부(215, 214)를 향함에 따라 상기 기단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
본 발명은 직물류 세탁 공장 등에 있어서 직물류를 잡아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직물류 클램핑 척 및 해당 직물류 클램핑 척을 이동시켜 직물류의 리프팅(매달아올림), 인발 또는 수수 등의 조작을 실행하는 직물류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물류 세탁 공장 등에서 사용되고, 직물류를 전장시키는 직물류 자동 전개(투입)기나 서로 얽힌 복수매의 직물류로 이루어지는 직물류 덩어리를 푸는 직물류 핸들링기 등에는 직물류의 리프팅, 인발 또는 수수 등의 조작을 실행하는 직물류 핸들링 장치가 다수 탑재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에서는 예를 들면, 리프팅 장치나 임시 유지 장치, 모서리단 내기 장치, 가로 당김 장치 등이 이에 상당한다.
이러한 종류의 직물류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의 척은 한 쌍의 파지 발톱을 갖고 있으며, 해당 한 쌍의 파지 발톱를 에어 실린더나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개폐하여, 직물류의 파지 또는 그 해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222724호
그런데, 종래의 직물류 클램핑 척으로서,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발톱의 파지면 전체면이 평탄하고, 척의 전폐 상태에서 해당 파지면 전체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척은 많은 직물류를 잡거나 강하게 끌어올린 경우에, 직물류의 누락이 많이 발생한다. 또, 이러한 종류의 척은 척의 전폐 상태에서 파지 발톱의 선단이 정확히 접촉하기 때문에,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잡고 있는 직물류가 누락할 것 같으면 파지 발톱의 선단이 직물류의 예를 들면 파일을 잡아, 실이 풀리는 등의 손상을 주어 버린다는 불합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고, 직물류의 핸들링시에, 직물류의 손상을 회피하면서 직물류의 누락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파지 발톱과,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을 상대적으로 근접·이간시키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직물류 클램핑 척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파지 발톱은 선단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파지 발톱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파지 발톱의 기단측의 면은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다른쪽의 돌출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기단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류 클램핑 척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의 전 폐 위치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간극은 클램핑 대상의 직물류 2매분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직물류 클램핑 척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 중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파지 발톱의 기단에서 선단을 향하는 방향인 연장 방향 및 상기 대향 방향의 쌍방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파지 발톱 및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을 상대적으로 근접·이간시키는 개폐 수단을 갖는 직물류 클램핑 척과, 해당 직물류 클램핑 척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직물류 핸들링 장치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파지 발톱은 선단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파지 발톱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파지 발톱의 기단측의 면은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다른쪽의 돌출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기단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류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의 전폐 위치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간극이 클램핑 대상의 직물류 2매분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직물류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 중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파지 발톱의 기단에서 선단을 향하는 방향인 연장 방향 및 상기 대향 방향의 쌍방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류 클램핑 척에 있어서는 열림 자세의 한 쌍의 파지 발톱 사이에 직물류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개폐 수단에 의해 한 쌍의 파지 발톱을 닫으면, 그 상호간에 직물류의 일부가 배치되고,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직물류 핸들링 장치를 예를 들면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직물류를 매달아 올릴 수 있다. 이 때, 파지 발톱의 돌출부의, 파지 발톱의 기단측의 면(배면)에 직물류로부터의 하중 부하가 더해지면, 해당 배면이 파지 발톱의 전폐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파지 발톱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서, 혹은 대향하는 다른쪽의 돌출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기단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파지 발톱이 또한 닫히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것에 의해, 돌출부보다 안쪽측의 직물류 부분이 돌출부의 배면에 걸린다. 따라서, 직물류 Y의 누락(쑥 빠짐)은 저감된다.
또, 본 발명의 직물류 클램핑 척에 있어서, 파지 발톱의 전폐 위치에 있어서도 돌출부 사이에 간극이 유지되도록 한 경우에는 직물류 클램핑 척에 의해서 잡은 직물류가 누락될 것 같은 경우에 돌출부가 직물류를 무리하게 유지하지 않고 누락을 허용하므로, 파지 발톱에 의해서 직물류에 손상을 주는 사태를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해당 간극의 치수를 직물류의 2매분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한 경우에는 직물류의 누락을 저감하면서 직물류의 손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공급 컨베이어 및 리프팅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공급 컨베이어 및 리프팅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공급 컨베이어 및 리프팅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임시 유지 장치 및 모서리단 내기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모서리단 내기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모서리단 내기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모서리단 내기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모서리단 내기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모서리단 내기 장치 및 모서리단 취득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모서리단 취득 장치 및 가로 당김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가로 당김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가로 당김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가로 당김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가로 당김 장치, 2위치 유지 장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2위치 유지 장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2위치 유지 장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2위치 유지 장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2위치 유지 장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2위치 유지 장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에징 컨베이어 및 상하 반전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에징 컨베이어, 상하 반전 장치, 롤러 및 로딩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에징 컨베이어, 상하 반전 장치, 롤러 및 로딩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에징 컨베이어, 상하 반전 장치, 롤러 및 로딩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롤러 및 로딩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롤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롤러, 진퇴 장치 및 반송 컨베이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롤러, 진퇴 장치 및 반송 컨베이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진퇴 장치 및 반송 컨베이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진퇴 장치 및 반송 컨베이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진퇴 장치 및 반송 컨베이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진퇴 장치 및 반송 컨베이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반송 컨베이어 및 다음 공정의 직물류 폴딩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직물류 클램핑 척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a)는 파지 발톱의 전폐 상태를 나타내며, (b)는 파지 발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7은 도 35의 직물류 클램핑 척이 직물류를 파지하여 매달아 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도 35의 직물류 클램핑 척이 직물류를 파지하여 매달아 올릴 때에, 돌출부간의 간극으로부터 직물류가 누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도 35의 직물류 클램핑 척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1은 종래의 직물류 클램핑 척을 이용하여 직물류를 매달아 올릴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종래의 직물류 클램핑 척을 이용하여 직물류를 매달아 올릴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물류 클램핑 척 및 그것을 구비하는 직물류 핸들링 장치는 직물류 세탁 공장 등에 설치되는 직물류 자동 전개기나 직물류 핸들링기 등에 있어서 직물류의 리프팅, 인발 또는 수수 등의 조작을 실행하는데 데 적합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하나의 사용예로서,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 및 그것을 구비하는 직물류 핸들링 장치를 직물류 자동 전개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전체도를 나타내고, 도 2∼도 34에는 도 1의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개별 장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전, 후, 좌, 우, 상, 하의 각 방향은 도 1의 상태에서의 각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직물류 자동 전개기는 세탁, 건조를 끝낸 타월, 시트, 이불커버, 베갯잇, 유카타 등의 직물류를 자동으로 전개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공급 컨베이어(1)와, 리프팅 장치(2)와, 임시 유지 장치(3)와, 모서리단 내기 장치(4)와, 모서리단 취득 장치(5)와, 가로 당김 장치(6)와, 2위치 유지 장치(7)와, 에징 컨베이어(8)와, 상하 반전 장치(9)와, 롤러(10)와, 로딩 장치(11)와, 진퇴 장치(12)와, 반송 컨베이어(13)와, 각 장치(1∼13)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에는 보조 또는 관련된 장치로서, 흡인 컨베이어 A와, 압출 장치 B와, 리턴 컨베이어 C와, 직물류 폴딩기 D가 도시되어 있다. 리턴 컨베이어 C는 처리의 도중에서 낙하한 직물류를 공급 컨베이어(1)에 되돌리는 것이다.
직물류 자동 전개기는 대략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공급 컨베이어(1)가 세탁, 건조가 끝난 직물류를 리프팅 장치(2)의 아래쪽에 공급하고, 리프팅 장치(2)가 직물류를 소정 높이까지 매달아 올리고, 임시 유지 장치(3)가 리프팅 상태의 직물류를 수취하고 임시 유지하여 모서리단 내기 장치(4)에의 수수 위치로 이동시키고, 모서리단 내기 장치(4)가 임시 유지 장치(3)에서 매달려 있는 직물류의 임의의 개소를 수취하여 직물류의 모서리단을 출현시키고, 해당 모서리단을 모서리단 취득 장치(5)가 유지하여 직물류를 늘어뜨려 지지하면서 가로 당김 장치(6)측으로 이동시키고, 가로 당김 장치(6)가 직물류를 전후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가로놓이게 하고, 2위치 유지 장치(7)가 가로놓인 상태의 직물류의 모서리단 부근과 거기에서 적절한 거리만큼 이간된 중간 개소의 2위치를 동일 높이로 유지하여 에징 컨베이어(8)의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 유지한 직물류의 그 중간 개소를 해방하고, 에징 컨베이어(8)가 해당 2위치 유지 장치(7)에 의해 모서리단 부근을 유지한 직물류의 다른 부분을 얹어 이동시켜 직물류의 긴 변측의 한쪽의 측가장자리를 출현시키고, 상하 반전 장치(9)가 에징 컨베이어(8)상에서 내려오는 직물류의 긴 변측의 측가장자리를 파지하여 그 직물류를 상하 반전시킨 후 늘어뜨려 유지하고, 롤러(10)의 위쪽을 롤러(1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딩 장치(11)가 그 직물류의 긴 변측의 측가장자리를 상하 반전 장치(9)로부터 수취하여 늘어뜨려진 직물류를 롤러(10)상에 로딩하고, 롤러(10)가 거기에 로딩된 직물류를 그 짧은 변측의 단가장자리를 남기고 진퇴 장치(12)측으로 늘어뜨려지도록 보내고, 진퇴 장치(12)가 전진하여 롤러(10)상으로부터 거기에 남은 직물류의 짧은 변측의 단가장자리를 수취한 후, 그 직물류의 짧은 가장자리를 유지하면서 후퇴하여 반송 컨베이어(13)상에 그 직물류를 전개 상태에서 바꾸어 태우고, 반송 컨베이어(13)는 전개된 직물류를 반출하여 다음 공정의 예를 들면 직물류 폴딩기 D에 투입한다.
각 장치의 상세는 다음과 같으며, 우선, 공급 컨베이어(1)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a)에 의해 운전 중에는 연속 주행하고 있으면 좋고, 해당 공급 컨베이어(1)상에는 세탁·건조 후의 둥글게 된 채의 예를 들면 10∼50매 정도의 직사각형 직물류 Y로 이루어지는 덩어리 X가 투하된다. 공급 컨베이어(1)는 직물류 Y의 덩어리 X를 리프팅 장치(2)의 아래쪽(도 2에 부호 X'로 나타냄)까지 반송한다. 공급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 종단부에는 흡인 컨베이어 A가 마련되어 있다. 흡인 컨베이어 A는 천공 벨트 A1과, 천공 벨트 A1을 통해 공급 컨베이어(1) 상의 직물류 Y를 흡인하는 흡인 팬 A2와, 천공 벨트 A1을 회전 구동하여 흡인한 직물류 Y를 리프팅 장치(2)의 바로 아래(도 3에 부호 X''로 나타냄)에 반송하는 모터 A3으로 이루어진다. 천공 벨트 A1의 종단부 근방에는 덩어리 X가 공급 컨베이어(1)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1b)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공급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 종단부에는 흡인 컨베이어 A에 부가하여 또는 이 대신에, 공급 컨베이어(1)상의 직물류를 리프팅 장치(2)의 바로 아래를 향해 밀어넣는 압출 장치 B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압출 장치 B는 실린더 B1과, 해당 실린더 B1에 의해서 진퇴시켜지는 압출봉 B2로 이루어진다.
리프팅 장치(2)는 직물류 Y의 임의 개소를 유지하는 척(21)과, 해당 척(21)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를 갖고 있으며, 도시예에서는 승강 장치는 구동 벨트(23) 및 모터(22)로 이루어진다. 승강 장치는 척(21)을 소정 높이와 공급 컨베이어(1)의 반송면 사이에서 승강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체인식이나 레일상을 상하로 주행하는 슬라이더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리프팅 장치(2)는 구동 벨트(23) 및 모터(22)에 의해 척(21)을 최하 위치(도 4에 가상선 및 부호 21'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에, 해당 척(21)이 공급 컨베이어(1)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직물류 Y에 접촉하여 척(21)에 의해 직물류 Y의 접촉 부분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척(21)에 의한 직물류 유지 부분은 임의의 개소라도 좋다. 또, 척(21)이 상승 작동하면, 척(21)에 의해 직물류 Y를 유지한 채 해당 척(21)이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소정 높이(최상 위치)까지 위로 이동하고, 직물류 Y를 매달림 상태에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2매 이상의 직물류 Y가 척(21)에 의해서 유지되고, 매달아 올려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임시 유지 장치(3)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31)과, 해당 척(31)을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진퇴 장치(신축 실린더(32))를 갖고 있다. 임시 유지 장치(3)는 리프팅 장치(2)의 척(21)이 최상 위치로 이동했을 때, 혹은 척(21)이 최상 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는 직물류 Y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로 검출했을 때, 신축 실린더(32)가 신장하고, 척(31)이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부호 31'로 나타냄)까지 전진하고, 리프팅 장치(2)에 의해 매달아 올려진 직물류 Y의 상단부 부근을 임시 유지 장치(3)의 척(31)에 의해 수취하고(이 때 리프팅 장치(2)의 척(21)은 직물류 Y를 해방함), 그 후, 신축 실린더(32)가 단축하여,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척(31)에 의해 직물류 Y를 매단 채 소정 위치까지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척(31)에 의해 매달려 있는 직물류 Y의 최하단(도 4의 부호 Ya로 나타냄)에는 대부분의 경우, 직물류의 모서리단 중의 하나가 출현한다.
모서리단 내기 장치(4)는 도 5∼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 유지 장치(3)의 척(31)에 의해 그 후퇴 위치에서 매달려 유지되어 있는 직물류 Y를 수취하는 척(41)과, 해당 척(41)을 전후로 진퇴시키는 진퇴 장치(신축 실린더(42))와, 상면에 직물류 Y가 실리는 베이스 플레이트(43)와, 베이스 플레이트(43)상에 질질 끌리는 직물류 Y의 종단부(모서리단 Ya)를 검출하는 예를 들면 광전관으로 이루어지는 센서(49)와, 베이스 플레이트(43)상의 직물류 Y의 중앙부를 베이스 플레이트(43)와의 사이에 끼여 넣는 누름판(47)과, 해당 누름판(47)을 상하동시키는 신축 실린더(48)와, 한 쌍의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와, 한쪽의 모서리단 내기 롤러(45)를 다른쪽의 모서리단 내기 롤러(44)에 대해 근접·이간시키는 신축 실린더(46)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모서리단 내기 장치(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 유지 장치(3)의 척(31)이 직물류 Y를 유지한 상태에서 후퇴 위치까지 작동했을 때, 신축 실린더(42)가 신장하여 척(41)이 전진하고, 해당 척(41)이 임시 유지 장치(3)의 척(31)으로부터 직물류 Y를 수취하고, 계속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축 실린더(42)가 단축하여 척(41)이 직물류 Y를 유지한 채 직물류 Y를 베이스 플레이트(43)상에서 소정 거리 인입하고, 그 후, 척(41)이 직물류 Y를 놓고,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단 내기 롤러(45)가 부호 45'의 위치에서 하강하고, 바로앞측의 모서리단 내기 롤러(44)와의 사이에 직물류 Y의 선단부를 끼워넣고, 또, 누름판(47)이 부호 47'로 나타내는 상승 위치에서 하강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3)와의 사이에 직물류 Y의 중앙부를 끼워넣고, 이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직물류 Y는 늘어뜨려진 상태로 되며, 베이스 플레이트(43)상에 질질 끌리는 직물류 Y의 종단부(모서리단 Ya로 됨)가 센서(49, 49)에 의해 검출되면(혹은 직물류 Y가 센서(49, 49)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되면), 양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의 회전 속도가 저속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일련의 움직임 중에서, 직물류 Y가 복수매이었던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3)와 누름판(47)으로 종단부를 협지된 1매의 직물류 Y를 제외하고 다른 직물류 Z는 낙하한다. 그 후, 직물류 Y의 종단부(모서리단 Ya)를 양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 사이에 배치된 예를 들면 광전관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센서(4a, 4a)가 검출되면(혹은 직물류 Y가 센서(4a, 4a)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되면),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의 회전이 정지하고, 직물류 Y의 모서리단 Ya 또는 그 부근이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 사이에 배치되어 유지된 상태로 되고, 모서리단 내기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리프팅 장치(2)에 의해 매달아 올린 직물류 Y를 일단 임시 유지 장치(3)에 의해 임시 유지한 후, 모서리단 내기 장치(4)의 척(41)에 의해 다시 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시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임시 유지 장치(3)를 생략하고, 리프팅 장치(2)에 의해 매달아 올리고 있는 직물류 Y를 직접 모서리단 내기 장치(4)의 척(41)에 의해 유지할 수도 있다.
모서리단 취득 장치(5)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의 아래쪽에 배치된 척(51)과, 해당 척(51)을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의 접촉부의 바로 아래의 범위에서 좌우 방향(도 1 참조)으로 진퇴시키는 진퇴 장치(신축 실린더(52))를 갖고 있다. 모서리단 취득 장치(5)는 모서리단 내기 장치(4)의 한 쌍의 모서리단 내기 롤러(44, 45)에 의해 직물류 Y의 모서리단 Ya 또는 그 부근이 유지되어 있을 때, 신축 실린더(52)가 신장하여 척(51)이 도 10 중,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전진하고, 해당 척(51)에 의해 직물류 Y의 모서리단 Ya의 약간 아래를 유지하고, 직물류 Y를 늘어뜨린 채 우측(가로 당김 장치(6)측)으로 후퇴하도록 작동한다. 또, 척(51)에는 직물류 Y를 검출하는 센서(53)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센서(53)에 의해 척(51)이 직물류 Y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고 척(51)을 동작시킴으로써, 직물류 Y를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모서리단 취득 장치(5)의 신축 실린더(52)가 단축한 상태에서의 척(51)의 아래쪽 뒤측의 가까운 위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4)가 마련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베이스 플레이트(64)는 다음에 설명하는 가로 당김 장치(6)에서 직물류 상단부(모서리단 Ya) 부근을 수취하여 뒤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해당 직물류 Y의 종단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직물류 Y의 하나의 모서리단 Ya를 출현시키는데 상기 리프팅 장치(2), 임시 유지 장치(3) 및 모서리단 내기 장치(4)를 이용하여, 둥글게 된 상태의 직사각형 직물류 Y로부터 자동으로 모서리단 내기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 직물류 모서리단 내기 작업은 예를 들면 둥글게 된 상태의 직물류 Y에서 작업원이 수작업으로 하나의 모서리단을 찾아내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찾아낸 직물류 모서리단 Ya를 작업원의 손으로 모서리단 취득 장치(5)의 척(51)에 수취시키거나, 직접 후술하는 가로 당김 장치(6)의 척(61)에 수취시키도록 하면 좋다.
가로 당김 장치(6)는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61)과, 해당 척(61)을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진퇴 장치를 갖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진퇴 장치는 척(61)을 유지하는 구동 벨트(63)와, 구동 벨트(63)를 감은 풀리를 회전시켜 척(61)을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모터(62)로 이루어지지만, 진퇴 장치는 어떠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신축 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가로 당김 장치(6)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단 취득 장치(5)의 척(51)이 직물류 Y를 유지하여 후퇴했을 때, 척(61)이 가상선 및 부호 61'로 도시하는 위치로 전진하고, 해당 전진 위치의 척(61')에 의해 직물류 상단부(모서리단 Ya)의 약간 아래의 위치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모서리단 취득 장치(5)의 척(51)이 직물류 Y를 해방한 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61)에 의해 직물류 모서리단 Ya 부근을 유지한 상태에서, 척(6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64)상에서 직물류 Y를 가로로 당긴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거리 가로로 당긴 후에 상부 누름판(65)이 실린더(66)에 의해서 부호 65'로 나타내는 상승 위치에서 하강하여 베이스 플레이트(64)와의 사이에 직물류 Y를 끼워넣고, 그 후에도 가로 당김은 계속되며, 베이스 플레이트(64)의 아래쪽에 배치된 센서(67)가 직물류 Y의 종단부 Yb를 검출했을 때(또는 센서(67)가 직물류 Y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때), 가로 당김 속도가 저속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4)의 근방에 배치된 별도의 센서(68)가 직물류 Y의 종단부 Yb를 검출했을 때(또는 센서(68)가 직물류 Y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때), 가로 당김은 정지된다. 이 때, 직물류 Y는 척(61)에 의해 유지된 모서리단 Ya 및 상부 누름판(65)으로 눌린 모서리단 Yb 이외의 나머지의 2개의 모서리단이 전후에 배열되고, 늘어뜨려진 부분에 긴 변측의 측가장자리의 한쪽 Yc가 출현한 상태(삼각 형상)로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4) 및 상부 누름판(65)의 우측쪽에는 모터(81)에 의해서 구동되는 에징 컨베이어(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징 컨베이어(8)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도시예에서는 9개)의 가느다란 벨트(8a)를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이다.
2위치 유지 장치(7)는 도 15∼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봉(70)의 후단 및 전단에 각각 부착된 2개의 척(71, 72)(이하, 중간부 유지 척(71), 모서리단 유지 척(72)이라고도 함)과, 해당 각각의 척(71, 72)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73)와, 각각의 척(71, 72)을 승강 실린더(73)마다 좌우로 진퇴시키는 진퇴 장치를 갖고 있다. 진퇴 장치는 승강 실린더(73)를 늘어뜨림 상태에서 유지하는 구동 벨트(75)와, 구동 벨트(75)에 감은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74)로 이루어지지만, 척(71, 7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으며, 진퇴 실린더를 이용해도 좋다. 척(71, 72)간의 거리는 예를 들면, 길이 조정 가능한 연결봉(70)을 이용하거나, 연결봉(70)에의 척(71, 72)의 부착 위치가 가변인 구조로 함으로써, 처리하는 직물류 Y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으로 해도 좋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단 유지 척(72)은 가로 당김 장치(6)에 의해 가로로 놓인 직물류 Y의 앞측 단부(모서리단) Yb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중간부 유지 척(71)은 해당 가로로 놓인 직물류 Y의 후방측 중간부의 적소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승강 실린더(73)는 그 단축 상태에서는 각각의 척(71, 72)을 가로로 놓이게 한 직물류 Y의 위쪽 위치에서 대기시키고(도 15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 신장 상태에서는 각각의 척(71, 72)이 도 15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로 놓인 직물류 Y의 위가장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강하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73)의 신장에 의해 2위치 유지 장치(7)가 하강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단 유지 척(72)가 직물류 Y의 앞측 단부(모서리단) Yb를 유지하는 동시에, 중간부 유지 척(71)이 직물류 Y의 후방측의 중간부를 유지한다. 이 때,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누름판(65)의 후방 근방에 마련된 척(69)의 열림 정도를 부호 69'로 나타내는 크게 열린 상태로부터 좁히는 것에 의해, 모서리단 유지 척(72)이 직물류 Y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후, 직물류 Y는 가로 당김 장치(6)의 척(61), 상부 누름판(65) 및 척(69)에 의한 유지 또는 구속으로부터 해방된다. 2위치 유지 장치(7)는 다음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징 컨베이어(8)의 위쪽 위치에서 진퇴 장치에 의해서 에징 컨베이어(8)의 종단측을 향해 이동한다. 에징 컨베이어(8)의 벨트는 도 17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직물류 Y의 삼각 형상부(Yc 근방)가 컨베이어(8)에 접촉할 수 있다.또, 컨베이어(8)의 상하 벨트 사이에 설치된 블로 장치(82)의 에어 블로의 작용에 의해, 해당 삼각 형상부가 컨베이어(8)의 흐름 방향을 따른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위치 유지 장치(7)의 후방의 척(71)이 직물류 Y를 해방하고, 직물류 Y의 편측(모서리단 Yb보다 후방측의 부분)이 에징 컨베이어(8)의 이동하는 벨트상에 낙하한다. 직물류 Y의 앞측 단부(모서리단 Yb)는 모서리단 유지 척(72)에 의해 유지된 채이므로, 직물류 Y의 낙하 부분만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해 간다. 직물류 Y의 낙하 부분이 소정 거리 이동하면, 직물류 Y의 긴 변측의 한쪽의 측가장자리 Yc가 에징 컨베이어(8)의 흐름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배치 관계로 된다. 이 배치 관계로 된 곳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한쪽의 척(72)이 직물류 Y를 놓고, 직물류 Y를 완전히 에징 컨베이어(8)상에 낙하시킨다. 에징 컨베이어(8)의 종단부 부근에는 에징 컨베이어(8)상을 이송되어 오는 직물류 Y의 선행측의 측가장자리 Yc를 검출하는 2개의 센서(8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센서(83)가 직물류 Y를 검지하면 에징 컨베이어(8)는 저속으로 전환된다.
상하 반전 장치(9)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징 컨베이어(8)의 종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직물류 Y의 긴 변측의 한쪽의 측가장자리 Yc를 파지하는 2개의 척(92, 93)과, 각각의 척(92, 93)의 근방에 마련된 2개의 센서(94, 95)와, 척(92, 93)을 지지하는 반전축(96)과, 반전축(96)을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실린더(91)를 갖고 있다. 또한, 2개의 척(92, 93)으로 파지한 직물류 Y를 반전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기구를 이용해도 좋으며, 회전운동 실린더(91) 대신에, 반전축(96)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이용해도 좋다. 2개의 척(92, 93)은 센서(94, 95)에 의한 직물류 Y의 측가장자리 Yc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직물류 Y의 측가장자리 Yc를 2개의 척(92, 93) 사이에서 곧바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하 반전 장치(9)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우선, 에징 컨베이어(8)상을 이송되어 오는 직물류의 선행측의 측가장자리 Yc가 센서(94, 95)에 의해 검지될 때까지는 각각의 척(92, 93)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가로 방향(약간 위쪽 경사) 자세로 대기하고 있으며, 에징 컨베이어(8)상을 이송되는 직물류 Y의 선행측의 측가장자리 Yc가 센서(94, 95)에 의해 검지되면, 해당 센서(94, 95)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각의 척(92, 93)이 직물류의 선행측의 측가장자리 Yc를 유지한다. 그리고, 그 직후에 회전운동 실린더(91)가 단축하고, 각각의 척(92, 93)이 직물류의 측가장자리 Yc를 유지한 채 아래쪽으로 고속으로 회전운동하여, 도 22에 나타내는 하향 자세가 된다. 이 때, 각각의 척(92, 93)에 의해 유지되어 있던 직물류 Y는 급속히 아래쪽으로 내리쳐져(직물류의 짧은 변 방향에 드롭 작용이 발생하고) 늘어뜨려진다. 그리고, 하향 자세에서 직물류의 측가장자리 Yc를 유지하고 있는 각각의 척(92, 93)은 그 측가장자리 Yc의 각각의 유지부를, 후술하는 로딩 장치(11)의 각각의 척(111, 112)에 수수한 시점에서 해방되고, 그 직후에 위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원래의 대기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징 컨베이어(8)의 전방측 부분의 바로 아래에는 롤러(10)와, 해당 롤러(10)상에 직물류 Y를 로딩하기 위한 로딩 장치(11)가, 해당 로딩 장치(11)가 위에서 롤러(10)가 아래로 되는 위치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로딩 장치(11)는 상하 반전 장치(9)측을 향하게 한 진퇴대(110)와, 진퇴대(110)의 양측쪽에 배치되고, 상하 반전 장치(9)의 척(92, 93)으로부터 직물류 Y를 수취하는 2개의 척(111, 112)과, 척 센서(113, 114)를 갖고 있다. 로딩 장치(11)는 진퇴 장치에 의해서 좌우 방향(롤러(10)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된다. 진퇴 장치는 도시예에서는 진퇴대(110)를 유지하는 구동 벨트(116)와, 구동 벨트(116)를 감은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115)로 이루어지지만, 척(111, 112)을 좌우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진퇴 실린더를 이용해도 좋다.
로딩 장치(11)는 도 23에 나타내는 대기 위치로부터, 상하 반전 장치(9)에 의해 유지된 직물류 Y로 접근 이동하며,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센서(113, 114)가 직물류 Y를 검출하면, 척(111, 112)이 진퇴대(110)의 양 측부를 향해 폐쇄되어 직물류 Y가 유지된다. 여기서, 척(111, 112)에 의한 직물류 Y의 유지 위치는 상하 반전 장치(9)의 척(92, 93)에 의한 직물류 Y의 유지 위치에 가까운 위치이다. 또한, 2개의 척(111, 112)은 별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이와 같이 하면, 직물류 Y의 측가장자리 Yc의 2개의 척(111, 112) 사이의 부분을 더욱 곧바로 유지할 수 있다. 직물류 Y의 수수 후, 상하 반전 장치(9)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반전해서 되돌리고, 로딩 장치(11)의 궤도상으로부터 퇴피한다. 롤러(10)는 그 회전축선이 로딩 장치(11)의 진퇴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직물류 Y를 늘어뜨려 유지하는 로딩 장치(11)가 후퇴하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류 Y가 롤러(10)상에 로딩되어 롤러(10)상으로부터 늘어뜨려진 상태가 된다. 그 때, 척(111, 112)에 의해 유지된 긴 변측 의 측가장자리 Yc와는 반대측의 측가장자리 Yd는 센서(101)에 의해 검지되고, 해당 검지 후의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척(111, 112)이 직물류 Y를 해방한다. 해당 소정 시간은 직물류 Y의 폭 방향 중앙이 롤러(10)의 폭 방향 중앙과 대략 일치했을 때에 척(111, 112)이 직물류 Y를 해방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로딩 장치(11)는 척(111, 112)이 직물류 Y를 해방한 후에도 소정 거리만큼 계속해서 후퇴한다.
롤러(10)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축선상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부분 롤러(102) 및 제 2 부분 롤러(103)로 이루어진다. 제 1 부분 롤러(102)는 구동 벨트(105)를 통해 모터(104)에 접속되고 해당 모터(10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제 2 부분 롤러(103)는 구동 벨트(107)를 통해 모터(106)에 접속되고 해당 모터(10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모터(104, 106)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부분 롤러(102, 103)의 아래쪽에 롤러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센서군(108, 109)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롤러(10)상의 직물류 Y의 방향을 정확한 방향(예를 들면 직물류 Y의 긴쪽 방향이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류 Y가 롤러(10)상에 비스듬히 로딩되어 있고,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군(108, 109) 중 센서군(109)만이 직물류 Y의 짧은 변측의 측가장자리 Ye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측가장자리 Ye가 센서군(108, 109)과 평행으로 되어 양 센서군(108, 109)이 동시에 직물류 Y의 짧은 변측의 측가장자리 Ye를 검지할 때까지 제 1 부분 롤러(102) 및 제 2 부분 롤러(103)의 정지, 정회전, 역회전이 반복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각 센서군(108, 109)은 각각 5개의 센서로 이루어지지만, 센서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처리하는 직물류 Y의 폭에 따라 4개 이하라도 6개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 처리하는 직물류 Y에 따라 가동시키는 센서를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진퇴 장치(12)는 롤러(10)상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된 직물류 Y를 반송 컨베이어(13)에 옮겨 싣는 것이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류 Y의 폭보다 큰 파지 폭을 갖고 직물류 Y의 짧은 변측의 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진퇴 기구를 갖고 있다.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파지부는 롤러(10)측을 향해 경사진 유지대(123a)와, 유지대(123a)에 대해 실린더(124) 등에 의해서 개폐하는 유지판(123b)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진퇴 기구는 유지대(123a)에 결합된 구동 벨트(122)와, 구동 벨트(122)를 감은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121)로 이루어지지만, 진퇴 실린더를 이용해도 좋다.
진퇴 장치(12)에 의해서, 롤러(10)상의 직물류 Y를 반송 컨베이어(13)에 옮겨 싣는 것에 있어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 롤러(102) 및 제 2 부분 롤러(103)를 진퇴 장치(12)측에 동시 또한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직물류 Y의 센서군(108, 109) 근방에 위치하고 있던 측가장자리 Ye를 진퇴 장치(12)측에 근접시키고, 또,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퇴 장치(12)의 파지부를 전진시키고, 롤러(10)의 하부에 설치된 블로 부재(10a)에, 유지판(123b)이 열린 상태의 파지부의 유지대(123a)의 선단을 꽉 눌러, 유지대(123a)의 선단과 블로 부재(10a) 사이에 롤러(10)상의 직물류 Y의 반송 컨베이어(13)측의 부분을 끼워넣고, 이 상태에서,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 부재(10a)로부터 에어를 분출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 1 부분 롤러(102) 및 제 2 부분 롤러(103)를 진퇴 장치(12)측으로 또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직물류 Y의 상기 측가장자리 Ye는 유지대(123a)상에 실린다. 그 후,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판(123b)이 닫히고, 유지대(123a)와의 사이에 직물류 Y의 측가장자리 Ye가 유지된다. 직물류 Y의, 파지부의 유지대(123a)와 유지판(123b)에 의해 유지된 이외의 부분은 유지대(123a)로부터 늘어뜨려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진퇴 장치(12)의 파지부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13)측으로 이동시켜진다. 파지부가 소정 거리 후퇴한 후,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판(123b)이 재차 열리고, 직물류 Y는 반송 컨베이어(13)상에 실어 넣어진다. 또한, 진퇴 장치(12)의 파지부는 유지판(123b)이 직물류 Y를 해방한 후에도 소정 거리만큼 계속해서 후퇴한다.
반송 컨베이어(13)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벨트(133)와, 벨트(133)를 구동하는 모터(132)와, 벨트(133)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벨트(133)상의 직물류 Y를 흡인하는 흡인 팬(131)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13)상의 직물류 Y를 흡인함으로써, 진퇴 장치(12)의 파지부에 의해 유지된 직물류 Y의 측가장자리 Ye를 반송 컨베이어(13)상에 낙하시켜 원활하게 탑재이송할 수 있다. 그 후,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13)는 직물류 Y를 반출하여 다음 공정(여기서는 직물류 폴딩기 D)에 반송(투입)한다. 또한, 진퇴 장치(12)의 파지부가 직물류 Y를 반송 컨베이어(13)상에 탑재이송할 때에 반송 컨베이어(13)는 벨트(133)를 구동하고 있지 않아도 좋지만, 처리 매수를 늘리는 관점에서는 벨트(133)를 구동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 되는 직물류 자동 전개기에 의하면, 세탁, 건조 후의 직물류 Y를 단지 공급 컨베이어(1)상에 투입하는 것만으로, 리프팅 장치(2), 임시 유지 장치(3), 모서리단 내기 장치(4), 모서리단 취득 장치(5), 가로 당김 장치(6), 2위치 유지 장치(7), 에징 컨베이어(8), 상하 반전 장치(9), 롤러(10), 로딩 장치(11), 진퇴 장치(12), 반송 컨베이어(13) 등에 의해, 직물류 Y를 자동적으로 전개하고, 다음 공정으로 반송(투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직물류 클램핑 척의 실시형태를 도 35∼도 4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은 전술한 직물류 자동 전개기의 예에서는 각각 직물류 핸들링 장치로서의 리프팅 장치(2), 임시 유지 장치(3), 모서리단 내기 장치(4), 모서리단 취득 장치(5), 가로 당김 장치(6), 2위치 유지 장치(7) 등에 있어서의 척(21, 31, 41, 51, 61, 71, 72)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팅 장치(2)의 승강 장치, 임시 유지 장치(3)의 진퇴 장치, 모서리단 내기 장치(4)의 진퇴 장치, 모서리단 취득 장치(5)의 진퇴 장치, 가로 당김 장치(6)의 진퇴 장치, 2위치 유지 장치(7)에 있어서의 승강 실린더(73) 및 진퇴 장치가 본 발명의 직물류 핸들링 장치의 이동 수단에 상당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직물류 핸들링 장치를 리프팅 장치(2)에 적용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본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21)은 본체(211)와, 해당 본체(211)에 유지되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근접, 이간 가능한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파지 발톱(212, 213)이 각각 요동 축선 x1, x2(도면에서는 모식적으로 점으로 나타냄) 주위에 요동함으로써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하지 않은 변형예에서는 한쪽의 파지 발톱(212 또는 213)을 요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파지 발톱(213 또는 212)을 고정으로 해서, 해당 한쪽의 파지 발톱(212 또는 213)을 다른쪽의 파지 발톱(213 또는 212)에 대해 근접, 이간시켜도 좋다. 요동 축선 x1, x2는 파지 발톱(212, 213)의 기단에서 선단을 향하는 방향인 연장 방향(도 35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방향) 및 상기 대향 방향의 쌍방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파지 발톱(212, 213)의 선단에는 대향하는 다른쪽의 파지 발톱(213, 212)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214, 2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211)로부터 외측의 각각의 파지 발톱 부분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214, 215)는 본체(211)로부터 곧바로 돌출되는 발톱 본체(216, 217)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발톱 본체(216, 217)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서로 별체로 함으로써 발톱 본체(216, 217)와 돌출부(214, 215)를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톱 본체(216, 217)를 강도가 높은 재료, 예를 들면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하고, 돌출부(214, 215)를 성형이 용이한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한다고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발톱 본체(216, 217)와 돌출부(214, 215)를 별체로 함으로써,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치수나 형상이 다른 돌출부(214, 215)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214, 215)는 발톱 본체(216, 217)에 대해,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도 좋으며, 접착제 등을 이용해서 고정시켜도 좋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돌출부(214, 215)의, 파지 발톱(212, 213)의 기단측의 면(본체(211)측의 면으로서, 이하, 「배면」이라고도 함)(214a, 215a)은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평면(도 35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상기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 더욱 유리한 형태에서는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의 전폐 위치에서, 대향하는 돌출부(214, 215) 사이에 간극 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간극 g는 클램핑 대상의 직물류 2매분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전폐 위치」는 구조상,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이 서로 근접해진 위치를 의미한다.
도 36은 본체(211) 내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을 요동 축선 x1, x2 주위에 요동시키는 개폐 수단으로서의 구동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1) 내부의 파지 발톱 부분도 다른쪽의 파지 발톱(212, 213)을 향해 굴곡되어 있으며, 각각의 파지 발톱(212, 213)은 전체적으로 대략 'コ'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파지 발톱(212, 213)은 요동 축선 x1, x2로서의 지지점 핀(218, 219)에 의해서 본체(211)에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각각의 파지 발톱(212, 213)의 본체(211) 내부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실린더(222)의 로드(222a) 선단에 형성된 구동 핀(222b)이 압입되는 절결(221)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는 도시예에서는 에어의 압력으로 로드(222a)를 진퇴하는 실린더(222)로 구성되어 있다. 도 36의 (b)에는 로드(222a)를 진출시킴으로써 양 파지 발톱(212, 213)을 지지점 핀(218, 219) 주위에 동시에 요동시키고, 파지 발톱(212, 213)을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동부에는 파지 발톱(212, 213)을 요동시킬 수 있으면, 솔레노이드나 볼 나사 기구 등의 공지의 어떠한 구동 기구를 이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21)에 있어서는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림 자세의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 사이에 직물류 Y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실린더(222)의 로드(222a)를 후퇴시키면,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이 지지점 핀(218, 219) 주위에 요동하는 것에 의해 닫히고, 그 상호간에 직물류 Y의 일부가 배치되고,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직물류 핸들링 장치로서의 리프팅 장치(2)를 위쪽에 이동시킴으로써, 직물류 Y를 매달아 올릴 수 있다. 이 때, 파지 발톱(212, 213)의 돌출부(214, 215)의 배면(214a, 215a)에 직물류 Y로부터의 하중 부하가 더해지면, 해당 배면(214a, 215a)이 상기 전폐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파지 발톱(212, 213)이 또한 닫히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것에 의해, 돌출부(214, 215)보다 안쪽측(본체측)의 직물류 부분이 돌출부(214, 215)의 배면(214a, 215a)에 걸린다. 따라서, 직물류 Y의 누락(쑥 빠짐)은 저감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21)에 의하면, 파지 발톱(212, 213)의 전폐 위치에 있어서도 돌출부(214, 215) 사이에 간극 g가 유지되도록 했으므로,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류 클램핑 척(21)에 의해서 잡힌 직물류 Y가 누락될 것 같은 경우에 돌출부(214, 215)가 직물류 Y를 무리하게 유지하지 않고 누락을 허용하므로, 파지 발톱(212, 213)에 의해서 직물류 Y에 손상을 주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간극 g의 치수를 직물류 Y의 2매분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함으로써, 직물류 Y의 누락을 저감하면서 직물류 Y의 손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39는 도 35∼도 38에 나타낸 직물류 클램핑 척(21)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직물류 클램핑 척(21)에서는 돌출부(214, 215)의 배면(214a, 215a)이 대향하는 다른쪽의 돌출부(214, 215)를 향함에 따라 본체(211)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35∼도 38에서 설명한 직물류 클램핑 척과 다르며,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돌출부(214, 215)의 배면(214a, 215a)을 경사면으로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직물류 Y를 파지했을 때에 돌출부(214, 215) 사이에 직물류 Y를 걸 수 있으므로, 직물류 Y의 누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체(211)로부터의 발톱 본체(216, 217)의 돌출 방향에 대한 배면(214a, 215a)의 경사 각도 θ는 75°이상 9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214a, 215a)의 해당 경사 각도가 75°미만으로 되면, 직물류 Y가 돌출부(214, 215)에 과도하게 걸리는 결과, 직물류 클램핑 척(21)으로부터 직물류 Y를 원활하게 해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앞의 실시형태에서는 파지 발톱(212, 213)이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직물류 클램핑 척은 한 쌍의 파지 발톱(212, 213)이 그 대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직물류 클램핑 척은 주로, 본체(211)의 앞 측면을 따라 부설된 레일(224)과, 레일(224)상을 주행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225, 226)와, 본체(211) 내부에 마련되고 슬라이더(225, 226)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와, 각 슬라이더(225, 226)에 고정된 파지 발톱(212, 213)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는 슬라이더(225, 226)를 레일(224)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면, 에어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볼 나사 기구 등의 공지의 어떠한 구동 기구를 이용해도 좋다. 각각의 파지 발톱(212, 213)이 돌출부(214, 215)를 가지며, 돌출부(214, 215)보다 안쪽측(본체(211)측)의 직물류 부분이 돌출부(214, 215)의 배면(214a, 215a)에 걸려 직물류 Y의 누락(쑥 빠짐)이 저감되는 점이나, 파지 발톱(212, 213)의 전폐 위치에 있어서 양 돌출부(214, 215) 사이에 간극이 유지되어 직물류 Y의 누락에 수반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 등은 앞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류의 핸들링시에, 직물류의 손상을 회피하면서 직물류의 누락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공급 컨베이어 2; 리프팅 장치
3; 임시 유지 장치 4; 모서리단 내기 장치
5; 모서리단 취득 장치 6; 가로 당김 장치
7; 2위치 유지 장치 8; 에징 컨베이어
9; 상하 반전 장치 10; 롤러
11; 로딩 장치 12; 진퇴 장치
13; 반송 컨베이어 21; 직물류 클램핑 척
211; 본체 212, 213; 파지 발톱
214, 215; 돌출부 214a, 215a; 배면
216, 217; 발톱 본체 218, 219; 지지점 핀
221; 절결 222; 실린더
222a; 로드 222b; 구동 핀
224; 레일 225, 226; 슬라이더
g; 간극 x1, x2; 요동 축선

Claims (5)

  1.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파지 발톱과,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을 상대적으로 근접·이간시키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직물류 클램핑 척으로서,
    각각의 파지 발톱은 선단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파지 발톱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파지 발톱의 기단측의 면은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다른쪽의 돌출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기단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류 클램핑 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의 전폐 위치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류 클램핑 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클램핑 대상의 직물류 2매분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류 클램핑 척.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 발톱 중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파지 발톱의 기단에서 선단을 향하는 방향인 연장 방향 및 상기 대향 방향의 쌍방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류 클램핑 척.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류 클램핑 척과, 해당 직물류 클램핑 척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류 핸들링 장치.
KR1020207003606A 2017-08-31 2018-07-11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 KR20200027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6972A JP2019044288A (ja) 2017-08-31 2017-08-31 布類掴みチャックおよび布類ハンドリング装置
JPJP-P-2017-166972 2017-08-31
PCT/JP2018/026147 WO2019044191A1 (ja) 2017-08-31 2018-07-11 布類掴みチャックおよび布類ハンドリン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983A true KR20200027983A (ko) 2020-03-13

Family

ID=6552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606A KR20200027983A (ko) 2017-08-31 2018-07-11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24348A1 (ko)
EP (1) EP3677714A4 (ko)
JP (1) JP2019044288A (ko)
KR (1) KR20200027983A (ko)
CN (1) CN111032943A (ko)
WO (1) WO2019044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397A1 (ja) * 2019-06-26 2020-12-30 株式会社アサヒ製作所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ピックアップ方法
WO2021243073A1 (en) 2020-05-28 2021-12-02 Monotony.ai, Inc. Robotic laund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2724A (ja) 2009-03-23 2010-10-07 Purex:Kk 矩形布片展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398U (ja) * 1982-08-24 1984-02-28 吉田 明 紐の所要長さ切断装置
JPS59216972A (ja) * 1983-05-25 1984-12-07 株式会社芦田製作所 足型に装着された靴下爪先部の縫目を修正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4878276A (en) * 1987-06-25 1989-11-07 Peter G. A. Morrish Spring clip
DE8813421U1 (ko) * 1988-06-04 1989-02-16 Herbert Kannegiesser Gmbh + Co, 4973 Vlotho, De
JPH073619A (ja) * 1991-04-10 1995-01-06 Ashida Mfg Co Ltd 靴下仕上機における靴下追い差し装置
DE4330911C2 (de) * 1993-09-11 1998-11-12 Kannegiesser H Gmbh Co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Wäschestücken zu einer Behandlungseinrichtung
JPH1029736A (ja) * 1996-07-12 1998-02-03 Hakko Shokai:Kk 布状体自動投入機
CN2332283Y (zh) * 1998-06-16 1999-08-11 陈清煌 用于夹持衣物的衣夹
JPWO2010087218A1 (ja) * 2009-01-28 2012-08-02 富士電機株式会社 可撓性基板の位置制御装置
US20180163342A1 (en) * 2015-05-29 2018-06-14 Seven Dreamers Laboratories, Inc.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Subject
ES2673498T3 (es) * 2015-09-25 2018-06-22 Matteo Andrea Benatti Dispositivo de suspensión para colgar un objeto de un sopor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2724A (ja) 2009-03-23 2010-10-07 Purex:Kk 矩形布片展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2943A (zh) 2020-04-17
EP3677714A4 (en) 2020-09-09
WO2019044191A1 (ja) 2019-03-07
US20200224348A1 (en) 2020-07-16
EP3677714A1 (en) 2020-07-08
JP2019044288A (ja)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225B1 (ko) 원단류 신장 반송 방법 및 신장 반송 장치
US10407822B2 (en) Separator and stacker for textile articles
KR20190075132A (ko) 직물류 전장 장치
CN111936693B (zh) 布料抓持夹头及布料操作装置
KR20200027983A (ko) 직물류 클램핑 척 및 직물류 핸들링 장치
US7827709B2 (en) Linen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JP7308589B2 (ja) 布類分別装置を備える布類自動展開機
JP2010222724A (ja) 矩形布片展開方法
WO2019198741A1 (ja) 縁把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布類自動展開機
JP2009275330A (ja) 布類展張搬送方法及び布類展張搬送機
CN111051592B (zh) 布料自动展开机
JP3208120B2 (ja) 布類展張搬送機
TW202028563A (zh) 布類自動撐開機
TW202026483A (zh) 布類夾緊夾頭及布類操作裝置
JP5329117B2 (ja) 布類展張搬送方法及び布類展張搬送機
JP6904856B2 (ja) 載せ掛け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布類自動展開機
JP4342714B2 (ja) ランドリー装置におけるシーツ等方形状布類の移載装置
ITFI20100093A1 (it) "metodo e macchina per la manipolazione della punta aperta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quali calzini o simili"
JPH07231999A (ja) 方形状布片の展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