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733A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733A
KR20200027733A KR1020180105927A KR20180105927A KR20200027733A KR 20200027733 A KR20200027733 A KR 20200027733A KR 1020180105927 A KR1020180105927 A KR 1020180105927A KR 20180105927 A KR20180105927 A KR 20180105927A KR 20200027733 A KR20200027733 A KR 2020002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al
length
door
seal memb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733A/ko
Publication of KR2020002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 실(sill) 부재, 상기 도어 실 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한측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도어 실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도어 실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 실(sill)의 부재 길이를 일정 길이로 규격화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 및 현장 운송이 용이하고 현장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일정 길이로 규격화된 도어 실 부재의 개구된 양측으로 또는 일측으로 가이드부재를 삽입하여 도어 실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개폐구간 길이에 적응적으로 도어 실을 조립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ELEVATOR DOOR SILL STRUCTURE ADJUSTABLE FOR LENGTH}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실(sill)의 부재 길이를 규격화하고 도어 개폐구간의 길이에 따라 가이드부재를 삽입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로 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의 승강구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는 각각의 프레임 및 로울러를 매개로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바닥면에는 상측을 향해 개방된 요입홈을 갖는 실(sill)이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실이 설치된 상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보면, 도어(10)의 하단부 측과 대응되는 승강장 바닥면에 도어 실(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어 실(20)은 도어(10)의 폭 및 개폐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되게 된다. 도어 실(20)의 요입홈 내에는 가이드슈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요입홈을 매개로 안내되어 연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하측부분을 지지하여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실 부재는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며 길이 방향으로 긴 바 형태로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현장에서 시공 설치시 도어의 폭 및 개폐구간의 길이에 맞춰 잘라서 사용하게 된다.
이에, 압출 바 형태의 도어 실 부재는 길이가 길어 제작 공장에서 설치 현장까지의 운송이 어렵고 현장 내 작업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필요한 만큼 일일이 잘라서 조립 및 시공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잘라서 사용하고 남는 부재로 인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1961(2011.03.07)호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센터 오프닝되는 두 개의 도어들이 폐쇄시에 접촉되는 선을 중앙선 C선이라 할 때, 각 도어들의 세로변을 보강하는 보강부 중 상기 C선에 인접되는 세로변의 보강부를 내측 보강부, 최원거리의 세로변을 외측 보강부라 정의할 때, 상기 도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에는 하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로부터 상기 도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외측 보강부에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4701(2017.09.28)호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하단부 측이 가이드 되도록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는 파이프 형태를 갖는 한쌍의 고정브라켓트가 설치되고, 각 승장도어의 하단에는 일단부에 뾰족한 형태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잠금부재가 장착되어, 해당 승장도어의 폐쇄 시 각 잠금부재의 걸림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개방된 내부에 삽입되면서 단속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트는,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형태의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는 한 쌍의 관통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그 하면에는 한 쌍의 체결홀이 천공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승장도어 하단에 장착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나사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판형의 부재에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장도어 하단에 장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 일측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가이드 작용을 행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 타측에 상기 고정브라켓트를 향해 뽀족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단속되는 걸림부가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해당 승장도어의 폐쇄 시 상기 잠금부재의 가이드부는 가이드 홈 내에서 가이드 작용을 행하며, 상기 걸림부는 승장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그 내부에 삽입 단속되어, 도어 하측 부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승장도어 외측단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해당 승장도어의 폐쇄 시 측면 잼(JAMB)의 개방구에 단속되는 측면 이탈방지부재가 각각 장착되되, 상기 측면 이탈방지부재는 사각판 형태의 몸체에 한 쌍의 장공이형성되어 상기 각 승장도어의 외측단에 장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그 평면이 "ㄷ"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가 일체형 몸체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그 평면의 형상이 " ㄷ" 형상 또는 " ㄷ"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196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470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 실(sill)의 부재 길이를 규격화하고 도어 개폐구간의 길이에 따라 가이드부재를 삽입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로 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의 개폐방식에 따라 도어 실의 길이를 좌·우 양방향 또는 어느 한 방향으로 확장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로 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는 도어 실(sill) 부재, 상기 도어 실 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한측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도어 실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도어 실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실 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레일 사이에서 상측으로 개구되어 요(凹) 형상으로 구비되는 요홈, 상기 제1 레일의 상면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요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실 부재는 일정길이로 규격이 표준화된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도어실 부재의 요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닥부와 양 측벽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장홀(slot hol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 측벽부는 상기 요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턱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간 길이에 따라 상기 도어 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깊이를 조정하여 엘리베이터 도어 실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는 도어 실(sill)의 부재 길이를 일정 길이로 규격화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 및 현장 운송이 용이하고 현장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는 일정 길이로 규격화된 도어 실 부재의 개구된 양측으로 또는 일측으로 가이드부재를 삽입하여 도어 실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개폐구간 길이에 적응적으로 도어 실을 조립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는 도어 실 부재에 가이드 부재가 삽입 결착되면서 이들 부재간 결착 부위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실이 설치된 상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의 조립 및 길이 조절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의 조립 및 길이 조절 상태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도어 실(200)은 도어 실 부재(210)와 가이드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실 부재(210)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는 가이드 부재(220)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착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부재(220)의 삽입 깊이에 따라 도어 실(200)의 전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실 부재(210)로부터 분리 또한 가능하여 마모나 파손 등에 의한 교체가 용이하다.
도어 실 부재(210)는 공지의 도어 실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소재를 길이 바(bar)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도어 실 부재(210)를 구성하는 바(bar)의 길이를 규격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실 부재(210)의 규격은 실제 시공되었을 때 도어 실(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장 불리한 상황에서도 안전한가를 검증하는 구조해석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실 부재(210)는 도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실 부재(21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길이로 규격화하여 부재 제작을 표준화 할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dw는 도어의 폭, dol은 도어의 개페구간, wt는 도어 실 부재(210)의 압출재 중량, h는 높이, wd는 너비, a는 압출재의 인장강도를 각각 의미한다.
가이드 부재(220)는 대략 단면이 "ㄷ"자 형상의 바(bar) 형태로 구성되고 도어 실 부재(210)에 내측 삽입될 수 있도록 도어 실 부재(210)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실 부재(210)와 동일한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판 또는 STS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개폐구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가 중앙에서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는 방식이면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220)가 도어 실 부재(210)의 좌우 양쪽에 각기 삽입 결착되어 좌우 양쪽으로 개폐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정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가 측면 개폐 방식이면 하나의 가이드 부재(220)가 도어 실 부재(210)의 일측에 삽입 결착되어 일측으로 개폐된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의 조립 및 길이 조절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실 구조(200)는 도어 실(sill) 부재(210), 도어 실 부재(210)의 양측 중 적어도 한측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도어 실 부재(210)의 길이가 확장되도록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220), 및 도어 실 부재(210)와 가이드 부재(220) 사이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실 부재(210)는 제1 레일(211), 제2 레일(2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레일(211), 제2 레일(212)을 연결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레일(211,212) 사이에서 상측으로 개구되어 요(凹) 형상으로 구비되는 요홈(213)으로 구성된다.
양 레일(211,212)의 상면에는 구조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며, 제1 레일(211)의 상면 단부에는 가이드 부재(220)가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지지턱(214)이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213)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요홈(213)의 길이방향 양측 전후 단부에는 가이드 부재(22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구(215)가 형성된다.
도어 실 부재(210)는 일정길이로 규격이 표준화된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220)는 바닥부(221)와, 바닥부(22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 높이의 측벽부(223)가 형성되어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에 대응하는 요(凹)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닥부(221)에는 도어 실 부재(210)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장홀(slot hole)(225)이 형성된다.
측벽부(223)는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턱(214)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장홀(225)은 양 부재(210,220)를 조립할 때 시공상 발생하는 변위를 잡을 수 있도록, 그리고 온도선팽창계수가 상이하여 생길 수 있는 수축팽창을 잡을 수 있도록 일정치수로 뚫어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홀(225)에는 양 부재(210,220)가 조립 고정을 위해 스크류(screw) 등의 고정부재(230)가 관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실 부재(210)와 동일한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판 또는 STS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 실 부재(210)와 가이드 부재(220)의 조립 및 길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도어 실(200)은 자중이 작아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 외력에 대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홀 바닥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고정된다.
도어 실 부재(210)는 엘리베이터 홀 바닥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이때 도어 실 부재(210)의 길이가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 가이드 부재(22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실 부재(210)의 양 개방구(215)중 하나의 개방구(215)에 조립방향(a)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가이드 부재(220)는 조립방향(a)을 따라 도어 실 부재(210)에 슬라이딩 결합시 도어 실 부재(210)의 제1 레일(21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214)에 의해 위쪽으로 들려지는 일 없이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 바닥에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는 조립방향(a)을 따라 도어 실 부재(210)에 슬라이딩 결합시 측벽부(223)가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의 바닥면과 지지턱(214)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므로 요홈(213) 바닥에 보다 밀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부재(220)의 바닥부(221)에 형성된 장홀(225)에 의해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 내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도어 개폐구간 길이에 따라 슬라이딩 깊이(b)를 조정하여 도어 실 부재(210)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의 슬라이딩 깊이를 조정하여 도어 실 부재(210)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한 후 가이드 부재(220)의 바닥부(221)에 형성된 장홀(225)에 고정부재(230)를 관통시켜 도어 실 부재(210)와 가이드 부재(220)의 결합을 고정하여 도어 실(200)의 길이를 고정한다.
도 3에 도시된 일예는, 도어의 개폐방식이 측면 개폐인 경우에 도어 실 부재(210)를 설치하고 도어 실 부재(210)의 일측으로 가이드 부재(22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결착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구간 길이를 커버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의 조립 및 길이 조절 상태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실 구조(200)는 도어 실 부재(210)와, 도어 실 부재(210)의 양측에 조립되어 도어 실 부재(210)와 조립된 구조를 이루는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220)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실 부재(210)는 제1 레일(211), 제2 레일(2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레일(211), 제2 레일(212)을 연결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레일(211,212) 사이에서 상측으로 개구되어 요(凹) 형상으로 구비되는 요홈(213)으로 구성된다.
양 레일(211,212)의 상면에는 구조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며, 제1 레일(211)의 상면 단부에는 가이드 부재(220)가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지지턱(214)이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213)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요홈(213)의 길이방향 양측 전후 단부에는 가이드 부재(22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구(215)가 형성된다.
도어 실 부재(210)는 일정길이로 규격이 표준화된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220)는 바닥부(221)와, 바닥부(22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 높이의 측벽부(223)가 형성되어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에 대응하는 요(凹)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닥부(221)에는 도어 실 부재(210)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장홀(slot hole)(225)이 형성된다.
측벽부(223)는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턱(214)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장홀(225)은 양 부재(210,220)를 조립할 때 시공상 발생하는 변위를 잡을 수 있도록, 그리고 온도선팽창계수가 상이하여 생길 수 있는 수축팽창을 잡을 수 있도록 일정치수로 뚫어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홀(225)에는 양 부재(210,220)가 조립 고정을 위해 스크류(screw) 등의 고정부재(230)가 관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실 부재(210)와 동일한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판 또는 STS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 실 부재(210)와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220)의 조립 및 길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도어 실(200)은 자중이 작아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 외력에 대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홀 바닥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고정된다.
도어 실 부재(210)는 엘리베이터 홀 바닥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이때 도어 실 부재(210)의 길이가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 가이드 부재(22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실 부재(210)의 양 개방구(215) 각각에 조립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가이드 부재(220)는 조립방향을 따라 도어 실 부재(210)에 슬라이딩 결합시 도어 실 부재(210)의 제1 레일(21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214)에 의해 위쪽으로 들려지는 일 없이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 바닥에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는 조립방향(a)을 따라 도어 실 부재(210)에 슬라이딩 결합시 측벽부(223)가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의 바닥면과 지지턱(214)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므로 요홈(213) 바닥에 보다 밀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부재(220)의 바닥부(221)에 형성된 장홀(225)에 의해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 내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도어 개폐구간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220) 각각의 슬라이딩 깊이를 조정하여 도어 실 부재(210)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의 슬라이딩 깊이를 조정하여 도어 실 부재(210)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한 후 가이드 부재(220)의 바닥부(221)에 형성된 장홀(225)에 고정부재(230)를 관통시켜 도어 실 부재(210)와 가이드 부재(220)의 결합을 고정하여 도어 실(200)의 길이를 고정한다.
도 4에 도시된 일예는, 도어의 개폐방식이 중앙에서 좌우 양쪽으로 개폐인 경우에 도어 실 부재(210)를 중앙에 설치하고 도어 실 부재(210)의 양쪽으로 각각의 가이드 부재(22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결착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구간 길이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실 부재(210)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 및 개폐구간 길이를 커버하지 못할 정도의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도 그 양측 전후 끝단의 개방구(215)를 통해 각각 가이드 부재(220)를 요홈(213)의 속으로 삽입시킨 후 슬라이딩을 통해 길이 조정한 후 고정부재(230)로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실 부재(210)의 요홈(213) 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개폐 구간 길이에 따라 서랍 형식으로 길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실 부재(210)에 삽입된 가이드 부재(220)의 바닥부(221)에 형성된 장공(225)에 스크류(screw) 등의 고정부재(230)를 통해 결합시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도어 실 부재(210)의 양측에서 끼움 결합되어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가이드 부재(220)는 도어 실 부재(210)를 포함하여 공지의 도어 실의 길이로 되어 좌·우 가이드슈의 가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좌·우 가이드슈는 도어 실 부재(210)와 가이드 부재(220)에 형성된 요홈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가이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실(200)은 종래의 일체형 구조를 분리형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기존 도어 실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그 제작이 수월하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다. 즉, 길이가 표준화된 도어 실 부재(210)는 고가의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고, 길이 조정을 위한 가이드 부재(220)는 원가가 저렴하면서도 강성을 가지는 일반적인 금속재로 구분하여 결합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실(200)은 상기와 같이, 도어 개폐 구간의 길이와 무관하게 열림 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도어의 개페방식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카도어 및 승장도어 실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실(200)의 가이드 부재(220)은 바닥부(221)와 바닥부(22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 높이의 측벽부(223)가 형성되는 요(凹) 형상으로 구성되되, 이에 더하여 일측 측벽부의 상부를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에 상부 절곡 구조를 적용하여 일반 승장실에 설치하면 도어슈의 절곡 부분이 가이드 부재(220)의 상부 절곡 부분에 의해 가이드되어 도어의 이탈방지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엘리베이터 도어 실
210: 도어 실 부재
211,212: 레일 213: 요홈
214: 지지턱 215: 개방구
220: 가이드 부재
221: 바닥부 223: 측벽부
225: 장홀
230: 고정부재

Claims (6)

  1. 도어 실(sill) 부재;
    상기 도어 실 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한측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도어 실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도어 실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실 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레일 사이에서 상측으로 개구되어 요(凹) 형상으로 구비되는 요홈, 상기 제1 레일의 상면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요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실 부재는
    일정길이로 규격이 표준화된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도어 실 부재의 요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닥부와 양 측벽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장홀(slot hol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 측벽부는
    상기 요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턱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간 길이에 따라 상기 도어 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깊이를 조정하여 엘리베이터 도어 실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KR1020180105927A 2018-09-05 2018-09-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KR20200027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27A KR20200027733A (ko) 2018-09-05 2018-09-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27A KR20200027733A (ko) 2018-09-05 2018-09-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33A true KR20200027733A (ko) 2020-03-13

Family

ID=6993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927A KR20200027733A (ko) 2018-09-05 2018-09-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77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61B1 (ko) 2008-08-14 2011-03-16 최경돈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784701B1 (ko) 2016-01-28 2017-10-12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61B1 (ko) 2008-08-14 2011-03-16 최경돈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784701B1 (ko) 2016-01-28 2017-10-12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910B2 (en)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CN107406235B (zh) 电梯门及打开具有两个滑动门板的电梯门的方法
CN102101621B (zh) 电梯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JP4644721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US8272481B2 (en) Guide assembly for at least one elevator door
KR101198027B1 (ko) 미닫이 천정판 구조
US20140008156A1 (en) Lift door with a door panel guide
KR20200027733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 실 구조
JP2010137957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のリニューアル方法
US10773928B2 (en) Elevator landing door leaf
EP1808401A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63259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KR20160001040U (ko)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장치의 프레임
KR101796680B1 (ko)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
JP5151639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装置
CN104891295B (zh) 电梯的防护板
JP695692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
CN212953751U (zh) 稳固滑动的电梯层门
WO2011159300A1 (en) Elevator door assembly including a low friction material slider layer
CN112955399B (zh) 电梯的门厅侧门装置
JP6751480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CZ20004245A3 (cs) Výtah
JP2021178727A (ja) エレベーター及び乗り場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