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297A -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297A
KR20200027297A KR1020180105420A KR20180105420A KR20200027297A KR 20200027297 A KR20200027297 A KR 20200027297A KR 1020180105420 A KR1020180105420 A KR 1020180105420A KR 20180105420 A KR20180105420 A KR 20180105420A KR 20200027297 A KR20200027297 A KR 20200027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reinforcing bar
composite pavement
layer
pa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김형배
옥창권
오한진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8010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297A/ko
Publication of KR2020002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courses of different kind made in situ
    • E01C7/325Joining different layers, e.g. by adhesive layers; Intermediate layers, e.g. for the escape of water vapour, for spreading st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4Paving elements consisting of natural stones and a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콘크리트 층(100) 및 상부 아스팔트 층(200)을 포함하는 복합포장 도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스팔트 층(200)은,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아스팔트 층(210); 및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 아스팔트 층(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쾌적성을 높이면서도 도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Composite Pavement}
본 발명은 토목, 건축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쾌적한 주행성이 확보됨과 아울러 내구성이 높은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포장 기술은 크게 아스팔트 포장 도로와 콘크리트 포장 도로로 나뉜다.
아스팔트 포장 도로는 차량의 주행 쾌적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반면 수명이 짧다. 이에 따라 포장 두께가 두꺼워져 시공성과 경제성에 불리한 측면이 있다.
이와 비교하여 콘크리트 포장 도로는 수명이 길어 장기공용성에 기여하는 반면 주행 쾌적성이 저하되고 제설제 등의 화학성분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상술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로의 복합포장 공법이 제시되었다. 복합포장 공법은 하부에 콘크리트 층을 형성시키고, 콘크리트 층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포장을 완료하는 방식으로서 주행 쾌적성과 도로의 내구성의 장점을 모두 확보하기 위한 공법이다.
다만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층에서 발생한 균열이 상부의 아스팔트 층으로 이동하는 반사균열의 문제가 있어 일반적인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보다 오히려 내구성이 더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도로 포장 공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쾌적성을 높이면서도 도로의 내구성을 높여 도로 이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층 포장부의 빠른 투수성을 이용하여 우천시 수막현상이나 물보라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교통사고 발생의 우려를 낮출 수 있는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포장의 공용수명을 연장하여 유지보수 공정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도로의 유지보수 공사로 인한 교통 체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 콘크리트 층(100) 및 상부 아스팔트 층(200)을 포함하는 복합포장 도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스팔트 층(200)은,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아스팔트 층(210); 및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 아스팔트 층(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은 복합포장 도로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연장된 종방향 보강철근(110); 및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과 수직으로 설치된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지지하는 지지철근(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은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 상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철근(130)은 바닥면(1)에 접촉된 하부철근(131); 및 상기 하부철근(131)과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연결하는 연결철근(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은 매스틱아스팔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아스팔트 층(220)은 투수성 아스팔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닥면(1) 상부에 상기 지지철근(130)과 결합된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배근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 상부에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을 배근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과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 상부에 상기 매스틱아스팔트 섭씨 220도 내지 240도로 가열 후 포설하여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을 형성하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 상부에 상기 투수성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상기 표면 아스팔트 층(220)을 형성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 상부에 타이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수성 아스팔트는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8mm, 10mm 또는 13m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S500)는 온도가 160도 이상인 상기 투수성 아스팔트를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의 상부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쾌적성을 높이면서도 도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층 포장부의 빠른 투수성을 이용하여 우천시 수막현상이나 물보라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교통사고 발생의 우려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 다른 목적은 도로 포장의 공용수명을 연장하여 유지보수 공정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도로의 유지보수 공사로 인한 교통 체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포장 도로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표면 아스팔트 층에 사용되는 골재의 입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표면 아스팔트 층에 사용되는 골재의 입도를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표면 아스팔트 층에 사용되는 배합비를 나타낸 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방수 아스팔트 층에 사용되는 골재의 입도를 나타낸 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방수 아스팔트 층에 사용되는 배합비를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하부 콘크리트 층에 사용되는 배합비를 나타낸 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하부 콘크리트에 배근되는 종방향 보강철근, 횡방향 보강철근 및 지지철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하부 콘크리트층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지지철근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지지철근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지지철근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측면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아스팔트 층을 구성하는 투수성 아스팔트의 하부가 방수 아스팔트 층을 구성하는 매스틱아스팔트에 의해 용융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내구성을 나타낸 실험데이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소음저감성을 나타낸 실험 데이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콘크리트 층의 주행안정성을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배수성능을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전경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안전경고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포장에 관한 발명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로 포장의 높은 내구성과 기능성을 확보하는 한편 주행편의성 및 소음저감성이 좋은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는 하부 콘크리트 층(100) 및 상부 아스팔트 층(200)을 포함한다(도 2).
즉, 상부는 주행성 및 배수성이 뛰어난 아스팔트 재질의 포장으로 상부 아스팔트 층(200)을 형성시키고, 하부는 도로의 내구성 확보를 위해 종방향 연속 철근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된 하부 콘크리트 층(100)을 배치한다.
다만, 종래의 콘크리트 아스팔트 복합 포장의 경우 콘크리트 층과 아스팔트 층의 부착력이 낮아 아스팔트 포장의 들뜸이나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 상부의 아스팔트 층을 통해 배수된 우수가 콘크리트 층으로 인입되어 콘크리트의 열화 현상에 따른 파손 및 균열 발생의 문제, 콘크리트에서 발생된 균열이 아스팔트 층까지 전이되는 반사균열의 문제 등이 있어 복합포장에 의해 확보되는 장점에 비해 단점이 많은 도로 포장 공법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복합포장 도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 층과 아스팔트 층의 접착력을 높임과 아울러 콘크리트 층과 아스팔트 층 사이에 방수층을 형성토록 하여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며, 철근의 배근을 통해 균열의 폭을 축소하는 등으로 콘크리트 층의 내구력을 높여 아스팔트 층의 균열 발생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부 아스팔트 층(200)은 하부 콘크리트 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아스팔트 층(210) 및 방수 아스팔트 층(210)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 아스팔트 층(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표면 아스팔트 층(220)은 주행성 및 투수성 확보를 위해 저소음 고기능성의 투수성 아스팔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아스팔트의 골재의 입도 및 배합비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수성 아스팔트는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8mm, 10mm 또는 13mm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아스팔트의 주행 쾌적성을 나타내는 소음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아스팔트(개선된 고기능성 포장)의 경우 일반 아스팔트 포장 및 저소음 포장에 비하여 더 낮은 정도의 소음도를 나타낸다.
방수 아스팔트 층(210)은 상부 아스팔트 층(200)를 통해 배수된 우수가 하부 콘크리트 층(100)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성능이 뛰어난 매스틱 아스팔트 또는 매스틱 아스팔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매스틱 아스팔트의 경우 섭씨 220도 내지 240도의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포설되므로 하부 콘크리트 층(100)과 표면 아스팔트 층(2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온도가 160도 이상인 투수성 아스팔트를 매스틱 아스팔트의 상부에 포설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매스틱 아스팔트의 상면이 부분 용융되어 투수성 아스팔트의 하면과 접합되므로, 표면 아스팔트 층(220)과 방수 아스팔트 층(210)의 결합력이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부 콘크리트 층(100)은 반사 균열 발생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철근이 포함된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포장 작업의 수행에 있어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야 하고 배근되는 철근이 바닥면(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추가적인 작업상의 공정이 요구된다.
본원 발명은 철근이 포함된 하부 콘크리트 층(100)의 현장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철근 배근 및 위치 고정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이하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콘크리트 층(100)은 복합포장 도로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연장된 종방향 보강철근(110) 및 종방향 보강철근(110)과 수직으로 설치된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8).
이 경우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지지하는 지지철근(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보강철근(110)은 횡방향 보강철근(120) 상부에 거치되어 타이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횡방향 보강철근(120)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바닥면(1)에 지지철근(130)에 의해 지지되는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거치하고, 횡방향 보강철근(120) 상부에 종방향 보강철근(110)을 거치하는 것만으로 철근 배근 작업의 대부분의 공정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의 위치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철근(130)은 바닥면(1)에 접촉된 하부철근(131), 횡방향 보강철근(120)과 하부철근(131)을 연결하는 연결철근(133)을 포함한다(도 11).
하부철근(131)는 거치가 손쉽도록 2 개의 철근이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철근(133)은 트러스 구조의 형태로 하부철근(131)과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실험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내구성을 나타낸 실험데이터이다. 포장가속시험기를 이용하여 교통하중 4백5십만 등가단축하중을 재하였다. 육안조사결과, 일부 소성변형이 관측되었지만 기층 CRCP의 균열유도에 따른 반사균열 등의 기타 파손은 관측되지 않았다. 그림 8.30은 교통량에 따라 소성변형량을 측정하여 각 단면별로 회기곡선을 도식화 하였다. 소성변형 측정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물성이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같이 공용전후 포장의 구조진단 결과, 제안된 복합포장 단면들이 다른 포장단면에 비하여 동적강성계수(ISM, impact stiffness modulus)의 변화가 적게 나타나 배수성 복합포장의 구조적 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소음저감성을 나타낸 실험 데이터이다. 차량 엔진소음을 배재할 수 있는 CPX방식의 소음도 측정결과, 현장 시험시공 구간의 비교단면과 본 발명에 딸느 복합포장 도로를 상대 비교한 것이 도 17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는 콘크리트 포장보다 평균 9dB(A) 소음저감 효과가 있었고 SMA포장에 비해 평균 6dB(A) 소음저감 효과가 있었다. 속도별 소음도 분석결과, 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포장형식에서 소음도는 증가하였고 포장별 소음도 차이는 모든 속도에서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의 배수성능을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이다. 시험시공구간의 현장 투수시험 결과, 배수성 복합포장은 일본식 측정방법과 미국식 측정방법 모두 평균 5초 이내에 400mL 투수 기준(기준 10초 이내)을 만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은 바닥면(1) 상부에 지지철근(130)과 결합된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배근하는 제1 단계(S100), 횡방향 보강철근(120) 상부에 종방향 보강철근(110)을 배근하는 제2 단계(S200), 횡방향 보강철근(120)과 종방향 보강철근(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 콘크리트 층(100)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0), 하부 콘크리트 층(100) 상부에 매스틱 아스팔트 섭씨 220도 내지 240도로 가열 후 포설하여 방수 아스팔트 층(210)을 형성하는 제4 단계(S400) 및 방수 아스팔트 층(210) 상부에 투수성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표면 아스팔트 층(220)을 형성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계(S200)는 종방향 보강철근(110) 상부에 타이바(도면 미도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단계(S500)는 온도가 160도 이상인 상기 투수성 아스팔트를 매스틱 아스팔트의 상부에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전력생성부
200 : 경고부
300 : 비상전력 제공부
400 : 컨트롤러

Claims (10)

  1. 하부 콘크리트 층(100) 및 상부 아스팔트 층(200)을 포함하는 복합포장 도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스팔트 층(200)은,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아스팔트 층(210); 및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 아스팔트 층(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은
    복합포장 도로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연장된 종방향 보강철근(110); 및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과 수직으로 설치된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지지하는 지지철근(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은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 상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철근(130)은
    바닥면(1)에 접촉된 하부철근(131); 및
    상기 하부철근(131)과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연결하는 연결철근(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은 매스틱 아스팔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아스팔트 층(220)은 투수성 아스팔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
  7. 제6항의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 상부에 상기 지지철근(130)과 결합된 횡방향 보강철근(120)을 배근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 상부에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을 배근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횡방향 보강철근(120)과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하부 콘크리트 층(100) 상부에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 섭씨 220도 내지 240도로 가열 후 포설하여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을 형성하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방수 아스팔트 층(210) 상부에 상기 투수성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상기 표면 아스팔트 층(220)을 형성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종방향 보강철근(110) 상부에 타이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아스팔트는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8mm, 10mm 또는 13m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S500)는 온도가 160도 이상인 상기 투수성 아스팔트를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의 상부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포장 도로를 시공하는 방법.




KR1020180105420A 2018-09-04 2018-09-04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 KR20200027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20A KR20200027297A (ko) 2018-09-04 2018-09-04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20A KR20200027297A (ko) 2018-09-04 2018-09-04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97A true KR20200027297A (ko) 2020-03-12

Family

ID=6980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20A KR20200027297A (ko) 2018-09-04 2018-09-04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72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946B1 (ko) * 2020-11-19 2022-02-14 임한복 복합 포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4197268A (zh) * 2021-12-20 2022-03-18 深圳市东深工程有限公司 一种含有沥青砂的防水找平联结层
CN114855521A (zh) * 2022-05-30 2022-08-05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白改黑路面开挖后回填恢复路面方法
CN115506195A (zh) * 2022-09-29 2022-12-23 黑龙江达融建筑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刚弹性复合板及其制备方法、以及防治反射裂缝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946B1 (ko) * 2020-11-19 2022-02-14 임한복 복합 포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4197268A (zh) * 2021-12-20 2022-03-18 深圳市东深工程有限公司 一种含有沥青砂的防水找平联结层
CN114197268B (zh) * 2021-12-20 2023-10-13 深圳市东深工程有限公司 一种含有沥青砂的防水找平联结层
CN114855521A (zh) * 2022-05-30 2022-08-05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白改黑路面开挖后回填恢复路面方法
CN115506195A (zh) * 2022-09-29 2022-12-23 黑龙江达融建筑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刚弹性复合板及其制备方法、以及防治反射裂缝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7297A (ko) 복합포장 도로 및 복합포장 도로의 시공방법
CN201172796Y (zh) 纵肋上置的钢箱梁桥面结构
AU2006301386B2 (en) Improved concrete pavement slabs for streets, roads or highways and the methodology for the slab design
CN201351254Y (zh) 一种以破损水泥混凝土作基础的复合式路面结构
CN108978392A (zh) 一种大间距接缝配筋水泥混凝土路面结构和建造方法
CN201865037U (zh) 采用牛腿代替企口缝传力的装配式空心板桥
CN203049449U (zh) 一种套箱型横向模数式桥梁伸缩装置
JP5388753B2 (ja) 鋼床版補強工法及びその工法に用いられる鋼コンクリート合成パネル
CN211200026U (zh) 简支钢混组合梁桥面板连续结构
CN202865729U (zh) 一种钢-混凝土组合整体式桥梁
CN103266562A (zh) 腹拱类拱桥柔性减震连续桥面铺装结构系统及其施工工艺
CN109338885A (zh) 有应力过渡层的钢桥面铺装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44659B1 (ko)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길이방향 파손에 대한 최소단면 보수공법
CN101935977B (zh) 采用牛腿代替企口缝传力的装配式空心板桥
CN206298821U (zh) 简支梁桥复合连接板构造
CN206298822U (zh) 优化crcp与桥面板连接的无缝路面结构
CN102535358A (zh) 一种空心板桥拓宽改造刚度匹配体系的施工工艺
CN104594188B (zh) 复合式路面与桥梁相接过渡结构及其施工工艺
CN109853376B (zh) 一种连接板-桥台背墙组合的伸缩缝构造及其施工方法
CN204401452U (zh) 斜向预应力混凝土复合式路面与桥梁相接过渡结构
CN105088931B (zh) 有抗拉连接件的空心板桥及其施工方法
JP2011149244A (ja) 床版上面増厚工法
CN207032034U (zh) 一种钢箱梁铺装层施工结构
CN112663424B (zh) 一种具备定点开裂功能的双层连续配筋混凝土路面结构
CN211472013U (zh) 柔性沥青混凝土和刚性水泥混凝土结合的调头道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