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105A - 원터치 부착 힌지 - Google Patents

원터치 부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105A
KR20200026105A KR1020190105591A KR20190105591A KR20200026105A KR 20200026105 A KR20200026105 A KR 20200026105A KR 1020190105591 A KR1020190105591 A KR 1020190105591A KR 20190105591 A KR20190105591 A KR 20190105591A KR 20200026105 A KR20200026105 A KR 20200026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ttachment
shape
pin inse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450B1 (ko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6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 E05Y2900/6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for electronic devices
    • E05Y2999/00

Abstract

결합해야 할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부착하는 힌지(H)는 힌지 본체(1)가 가장자리부에 오목홈(160)을 갖는 한 쌍의 부착 플랜지(16)와 클립(17)을 구비하고, 각 부착 플랜지(16)가 제1 부재의 각 부착 구멍에 끼워 장착되고, 양쪽 부착 플랜지(16) 사이에 클립(17)이 걸쳐져 고정되고, 힌지 날개(2)는 부착 플레이트(21)와 부착 블록(22)과 고정 핀(23)을 구비하고, 부착 블록(22)이 제2 부재의 부착 구멍에 끼워 장착되고, 부착 블록(22)의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에 고정 핀(23)이 통과시켜져 고정된다.

Description

원터치 부착 힌지{ONE-TOUCH MOUNTING HINGE}
본 발명은 전기·전자기기, 기타 각종 기기를 수납하는 래크 등에 사용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과 도어 사이 등 결합해야 할 2 부재 사이에 원터치로 간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원터치 부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전자기기 등을 수납하는 래크는 하우징과 도어로 이루어지고, 통상, 도어가 하우징의 정면에 복수의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종류의 래크에서는, 하우징의 정면에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고, 도어는 하우징에 대하여 피벗식 지지되는 일방의 측부가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다. 이러한 래크에 사용되는 힌지는 하우징의 고정 프레임(의 일방의 측부)에 부착되는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와,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에 대응하여, 도어의 내측에서 일방의 측부에 부착되는 도어측의 힌지 날개와, 힌지 본체와 힌지 날개를 연결하는 힌지 핀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힌지(경첩)가 JP2003-166375A의 단락 0002 내지 0004(도 4 및 도 5 참조)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의 종래기술에 기재된 힌지는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와, 도어측의 힌지 날개와, 힌지 본체와 힌지 날개를 연결하는 힌지 핀을 구비한다.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는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그 일단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핀 삽입 통과부에 의해 구성된다. 도어측의 힌지 날개는 평면 형상 또는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날개 본체와, 그 일단 또는 양단 사이에, 하우징측의 힌지의 핀 삽입 통과부에 연속하여 배치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핀 삽입 통과부에 의해 구성된다.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는 본체가 하우징 정면의 고정 프레임의 일방의 측부의 소정 위치에 용접 또는 부착 나사에 의해 설치 고정되고, 핀 삽입 통과부가 고정 프레임의 일방의 측부를 따라 상하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도어측의 힌지 날개는, 날개 본체가 도어의 내측에서 일방의 측부의 소정 위치에 용접 또는 부착 나사에 의해 설치 고정되고, 핀 삽입 통과부가 도어의 내측에서 일방의 측부를 따라 상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힌지 핀은 이 힌지의 회동축이며, 힌지 본체 및 힌지 날개의 각각의 핀 삽입 통과부가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를 갖는 봉재로 이루어진다. 힌지 핀은 상단에 플랜지를 갖고, 하단측의 주위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E링이 끼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에 도어를 부착하는 경우, 하우징 정면의 고정 프레임에 도어를 정렬하고,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와 도어측의 힌지 날개를 각각의 핀 삽입 통과부가 연통하도록 조합하고, 이들 핀 삽입 통과부에 상방으로부터 힌지 핀을 삽입 통과하고, 그 하단의 홈에 E링을 끼워 부착하여,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와 도어측의 힌지 날개를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힌지에서는, 하우징측의 힌지 본체를, 하우징 정면의 고정 프레임의 일측부에 용접 또는 부착 나사로 부착하고, 또한 도어측의 힌지 날개를, 도어의 일측부에 용접 또는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하기 때문에, 이들 힌지 부품의 부착 작업이 번잡하고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힌지 본체, 힌지 날개를 모두 부착 나사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많은 부착 나사를 필요로 하여, 부품수가 증대하여, 비용 상승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하우징과 도어 사이 등 결합해야 할 2 부재 사이에 용접이나 부착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로 간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용접이나 부착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힌지의 부착에 요하는 부품수를 대폭 삭감하여, 비용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원터치 부착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터치 부착 힌지는,
결합해야 할 2 부재 중 제1 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통 형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를 갖는 힌지 본체와, 결합해야 할 2 부재 중 제2 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통 형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를 갖는 힌지 날개와, 상기 힌지 본체와 상기 힌지 날개의 각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힌지 본체와 상기 힌지 날개를 연결하는 힌지 핀을 구비하고, 제1 부재에 제2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로서,
상기 힌지 본체는,
상기 제1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부착 구멍에 끼워 장착 가능하게, 상기 제1 부재의 측부에 대향하는 고정면의 양단측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당해 볼록 형상의 적어도 상기 고정면의 양단에 근접하는 가장자리부에 오목홈을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부착 플랜지와,
제1 단과 제2 단을 갖고, 상기 일단이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의 상기 오목홈에 걸어지고,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각진 U자형을 이룸과 아울러, 상기 제2 단이, 상기 제1 단과는 반전된 방향에서, 상기 제2 부착 플랜지의 상기 오목홈에 걸어지고, 상기 제2 부착 플랜지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각진 U자형을 이루고,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와 상기 제2 부착 플랜지 사이에 걸쳐지는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본체의 상기 각 부착 플랜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상기 각 부착 구멍 내에, 당해 측부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되고, 당해 타방의 면측에서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와 상기 제2 부착 플랜지 사이에 상기 클립이 걸쳐져 고정되고,
상기 힌지 날개는,
상기 제2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부착 구멍보다도 큰 평면을 갖는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평면의 전체 주연부를 플랜지부로서 남기고,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부착 구멍에 끼워 장착 가능한 블록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 핀 삽입 통과부 및 상기 힌지 핀 삽입 통과부와 평행한 고정 핀 삽입 통과부를 갖는 부착 블록과,
상기 고정 핀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고정 핀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날개의 상기 부착 블록은, 상기 제2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상기 부착 구멍 내에, 당해 측부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되고, 상기 타방의 면측에서 상기 부착 블록의 상기 고정 핀 삽입 통과부에 상기 고정 핀이 통과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일방의 면측에서 당해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맞닿아짐과 아울러, 상기 고정 핀이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타방의 면측에서 상기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져, 고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이 원터치 부착 힌지는 각 부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힌지 본체는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2) 힌지 본체의 각 부착 플랜지는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각 부착 플랜지의 전체 주연부에 오목홈이 형성된다.
(3) 제1 부재의 각 부착 구멍은 힌지 본체의 각 부착 플랜지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제1 부재의 측부에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4) 클립은 금속의 선재로 이루어진다.
(5) 클립은 전체가 대략 S자형 또는 대략 S자형이며 또한 중간부가 파형인 복합 형상으로 형성된다.
(6) 힌지 날개는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7) 힌지 날개는 부착 플레이트가 직각을 이루어 접합되는 2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부착 블록이 직각을 이루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2면 내에 대략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 핀 삽입 통과부가 직각을 이루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2면 접합부에 근접하여 상기 부착 블록에 형성된다.
(8) 제2 부재의 부착 구멍은 힌지 날개의 부착 블록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제2 부재의 측부의 코너부에 형성된다.
(9) 고정 핀은 힌지 날개의 고정 핀 삽입 통과 구멍을 관통 가능한 대략 L자형의 금속 봉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원터치 부착 힌지에 의하면, 힌지 본체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한 쌍의 부착 플랜지를, 제1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부착 구멍 내에, 이 측부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하고, 이 타방의 면측에서 양쪽 부착 플랜지 사이에 클립을 걸쳐 고정한다. 한편 힌지 날개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부착 블록을, 제2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부착 구멍 내에, 이 측부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하고, 플랜지부를 제2 부재의 일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이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블록의 고정 핀 삽입 통과부에 고정 핀을 통과시키고, 고정 핀을 제2 부재의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하우징과 도어 사이 등의 결합해야 할 2 부재 사이에, 용접이나 부착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힌지를 원터치로 간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용접이나 부착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힌지의 부착에 요하는 부품수를 대폭 삭감하여, 비용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본 발명 독자의 각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본체 각 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평면 단면도, (c)는 일방의 측면도, (d)는 정면도, (e)는 타방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핀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클립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S자형의 클립의 측면도, (b)는 복합 형상의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본체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날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날개 각 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날개의 고정 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힌지 핀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를 사용하는, 하우징의 고정 프레임과 도어의 일방의 측부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힌지 본체를 하우징의 고정 프레임에 부착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힌지 날개를 도어의 일방의 측부에 부착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힌지 본체와 힌지 날개를 힌지 핀을 통하여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원터치 부착 힌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힌지 본체와 힌지 날개를 힌지 핀을 통하여 연결했을 때의, 힌지 핀과 힌지 핀 스토퍼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원터치 부착 힌지(H)(이하, 단지 힌지(H)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나타낸다. 힌지(H)는 결합해야 할 2 부재(B, D)(도 11 등 참조) 중 제1 부재(B)에 제2 부재(D)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힌지 본체(1)는 제1 부재(B)에, 힌지 날개(2)는 제2 부재(D)에, 각각 원터치로 부착 가능한 특별한 구조를 갖는다.
힌지(H)는 힌지 본체(1)와, 힌지 날개(2)와, 힌지 핀(3)을 구비한다. 힌지 본체(1)는 하우징과 도어 등, 결합해야 할 2 부재(B, D) 중의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부착되고, 통 형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를 갖는다. 힌지 날개(2)는 결합해야 할 2 부재(B, D) 중의 제2 부재(D)의 측부(D1)에 부착되고, 통 형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를 갖는다. 힌지 핀(3)은 힌지 본체(1)와 힌지 날개(2)의 각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 221)에 삽입 통과되어, 힌지 본체(1)와 힌지 날개(2)를 연결한다.
힌지 본체(1)는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대향하는 고정면(101)의 상하 양단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부착 플랜지(16)와, 이 한 쌍의 제1 부착 플랜지(16)와 제2 부착 플랜지(16) 사이에 걸쳐지는 클립(17)(도 1 참조)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부착 플랜지(16)는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부착 구멍(41, 41)(도 11, 도 12 참조)에 끼워 장착 가능하게,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볼록 형상의 적어도 고정면(101)의 상하 양단에 근접하는 가장자리부에, 각각 오목홈(160)을 갖는다.
클립(17)은 제1 단과 제2 단을 갖고, 제1 단이 한 쌍의 부착 플랜지(16) 중 일방, 예를 들면, 제1 부착 플랜지(16)의 오목홈(160)에 걸어지고, 제1 부착 플랜지(16)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을 이룸과 아울러, 제2 단이 제1 단과는 반전된 방향에서, 한 쌍의 부착 플랜지(16) 중 타방, 예를 들면, 제2 부착 플랜지(16)의 오목홈(160)에 걸어지고, 제2 부착 플랜지(16)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을 이룬다.
힌지 본체(1)는 전체가 아연 다이 캐스트 외에 그 밖의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단면이 대략 각진 U자형이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이 힌지 본체(1)가 제1 부재(B)에 부착된 경우에 제1 부재(B)의 전측에 배치되는 전면부가, 대향하는 배면부보다도, 고정면(101)으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길게 돌출하는 전면부의 선단 가장자리부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의 상방 및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11U, 11D))가 축 방향을 상하로 향하여 소정의 길이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와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D) 사이는 후술하는 힌지 날개(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를 연통 가능한 홈형의 간결부(間欠部)(12)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힌지 본체(1)에는 전면부의 외측 표면에, 일단을 상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의 외주면의 축 방향 중간부(축 방향 중심보다도 약간 간결부(12) 근처)의 소정 위치에 잡고, 타단을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D)의 외주면의 축 방향 중간부(축 방향 중심보다도 약간 간결부(12) 근처)의 소정 위치에 잡은, 대략 각진 U자형의 홈(13)이 형성된다. 이 홈(13)은 일부를 제외하고 가는 폭으로 비교적 깊게 형성되고,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에서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절결되어 개구된다. 또한 이 홈(13) 중,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의 축 방향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하의 각 홈 부분(131)의 일부이며,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간홈 부분(132)의 상하단에 가까운 각 일부가 조금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 폭이 넓은 부분에, 폭이 좁은 상하의 각 홈 부분(131)의 연장 위에 한 쌍의 돌출편(14)이 각각 기립 형성되고, 이 한 쌍의 돌출편(14) 사이에, 상하 각 홈 부분(131)에 연통하는 홈 부분(131)이 함께 형성된다.
이 대략 각진 U자형의 홈(13) 내에는, 힌지 핀 스토퍼(15)가 부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이 힌지 핀 스토퍼(15)는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 내에서 후술하는 힌지 핀(3)에 걸어맞추어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 핀 스토퍼(15)는 금속의 선재, 이 실시태양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힌지 본체(1)의 대략 각진 U자형의 홈(13)(각 한 쌍의 돌출편(14) 사이의 홈 부분(131)을 포함함)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략 각진 U자형으로 구부려져 있다. 이러한 힌지 핀 스토퍼(15)를,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 본체(1)의 대략 각진 U자형의 홈(13)(각 한 쌍의 돌출편(14) 사이의 홈 부분(131)을 포함함)에 끼워 넣고, 각 한 쌍의 돌출편(14)를 코킹하여 고정한다. 이 힌지 핀 스토퍼(15)의 상하 부분의 일부분은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의 내부에 내주면에 대하여 현 모양으로 통과시켜진다.
이러한 힌지 본체(1)에 있어서,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대향하는 고정면(101)은, 힌지 본체(1)의 전면부와 배면부 사이의 중간부의 외측면에서, 이 고정면(101)의 상하 양단 근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 중앙에 한 쌍의 제1 및 제2 부착 플랜지(16)가 돌출 설치된다. 각 부착 플랜지(16)는, 고정면(101) 위에 각형으로, 여기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조금 긴 장방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각 부착 플랜지(16)의 전체 주연부의 두께 방향 중간(이 경우, 두께 방향 중앙)에 오목홈(160)이 단면 각형으로 형성된다.
클립(17)은 2종류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실시태양의 클립(17A)은 금속의 선재, 이 경우, 스테인리스 스틸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17A)의 제1 단은 제1 부착 플랜지(16)의 오목홈(160)에 걸어지고, 제1 부착 플랜지(16)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클립(17A)의 제2 단은 제1 단과는 반전된 방향에서, 제2 부착 플랜지(16)의 오목홈(160)에 걸어지고, 제2 부착 플랜지(16)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태양의 클립(17B)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스틸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대략 S자형이며 또한 중간부가 파형인 복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17B)의 제1 단은 제1 부착 플랜지(16)의 오목홈(160)에 걸어지고, 제1 부착 플랜지(16)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클립(17B)의 제2 단은, 제1 단과는 반전된 방향에서, 제2 부착 플랜지(16)의 오목홈(160)에 걸어지고, 제2 부착 플랜지(160)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2개의 실시태양에서는, 각 클립(17A, 17B)의 양단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대략 각진 U자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렇게 하여 각 클립(17)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 본체(1)의 양쪽 부착 플랜지(16) 사이에 걸침 가능하게 형성된다.
힌지 본체(1)는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한편, 제1 부재(B)의 각 부착 구멍(41)은 힌지 본체(1)의 각 부착 플랜지(16)의 형상에 맞추어,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힌지 본체(1)의 각 부착 플랜지(16)는,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형성되는 각 부착 구멍(41) 내에, 이 측부(B11)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되고, 이 타방의 면측에서 제1 부착 플랜지(16)와 제2 부착 플랜지(16) 사이에 클립(17)이 걸쳐져, 힌지 본체(1)가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원터치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힌지 날개(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재(B)의 한 쌍의 부착 구멍(41)에 대응하여 제2 부재(D)의 측부(D1)에 형성되는 부착 구멍(42)보다도 큰 평면을 갖는 부착 플레이트(21)와, 부착 플레이트(21)의 평면의 전체 주연부를 플랜지부(211)로서 남기고, 이 평면으로부터 제2 부재(D)의 부착 구멍(42)에 끼워 장착 가능한 블록 형상으로 돌출되고,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 및 이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와 평행한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를 갖는 부착 블록(22)과, 고정 핀 삽입 통과부(212)에 삽입 통과되어, 제2 부재(D)의 부착 구멍(42)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고정 핀(23)(도 9 참조)을 구비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힌지 날개(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아연 다이 캐스트 외에 그 밖의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부착 플레이트(21)는 직각을 이루어 접합되는 2개의 세로로 긴 장방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부착 블록(22)은 직각을 이루는 부착 플레이트(21)의 2면 내에, 이 2면의 전체 주연부에 일정 폭의 플랜지부(211)를 남기도록 하고, 힌지 본체(1)의 간결부(12)의 길이(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나 약간 낮은 높이로 대략 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다.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는 직각을 이루는 부착 플레이트(21)의 2면 접합부에 근접하는 부착 블록(22)의 코너부를 따라, 부착 블록(22)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는 부착 블록(22)의 반대측의 코너부를 따라 부착 블록(22)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부착 블록(2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측의 반부(半部)가 힌지 본체(1)의 간결부(12)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또한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가 힌지 본체(1)의 상방 및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에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부착 블록(2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측의 코너부에는 소정 각도의 라운드가 부여된다.
또한, 고정 핀(23)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 날개(2)의 고정 핀 삽입 통과 구멍(222)을 관통 가능한 대략 L자형의 금속 봉재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고정 핀(23)은 스테인리스 스틸 외에 그 밖의 금속 봉재(환봉재)로 이루어지고, 굽힘 가공에 의해, 전체가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핀(23)은 부착 블록(22)의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에 관통 가능한 길이를 갖는 장축부(231)와, 이 장축부(231)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구부려져, 장축부(231)보다 짧은 길이인 단축부(232)를 갖는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장축부(231)의 선단은 단축(232)측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된다.
힌지 날개(2)는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한편, 제2 부재(D)의 부착 구멍(42)은 힌지 날개(2)의 부착 블록(22)의 형상에 맞추어, 제2 부재(D)의 측부(D1)의 코너부에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힌지 날개(2)의 부착 블록(22)은 제2 부재(D)의 측부(D1)에 형성되는 부착 구멍(42) 내에, 이 측부(D1)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되고, 이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블록(22)의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에 고정 핀(23)이 통과시켜지고, 그 결과 플랜지부(211)가 제2 부재(D)의 일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42)의 주연부에 맞닿음과 아울러, 고정 핀(23)이 제2 부재(D)의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42)의 주연부에 걸어맞춤어져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힌지 핀(3)은 2개의 핀(3A, 3B)으로 구성되고, 각각, 스테인리스 스틸 외에 그 밖의 금속 봉재(환봉재)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핀(3A, 3B)은 힌지 본체(1)의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 11D)로부터 힌지 날개(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의 절반까지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긴 길이를 갖고, 거의 전체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핀(3A, 3B)의 선단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된다. 각 핀(3A, 3B)의 외주면에는, 힌지 본체(1)의 상방 또는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 11D)의 삽입측의 일단으로부터 간결부(12)측의 타단까지 삽입되었을 때, 상방 및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 11D) 내를 통과하는 힌지 핀 스토퍼(15)에 대응하는 선단측 소정 위치에, 힌지 핀 스토퍼(15)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홈(31)이 걸음 가이드(311)와 함께 설치된다. 각 핀(3A, 3B)의 외주면에는 또한, 상방 또는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 11D)로부터 힌지 날개(3)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의 대략 절반까지 더욱 삽입 통과되었을 때, 상방 또는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 11D) 내를 통과하는 힌지 핀 스토퍼(15)에 대응하는 중간부 소정 위치에, 힌지 핀 스토퍼(15)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홈(32)이 걸음 가이드(321)와 함께 설치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선단측 소정 위치의 걸음 홈(31)은 핀(3A, 3B)을 힌지 본체(1)의 상방 또는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 11D) 내에 대기시키기 위한 것이며, 핀(3A, 3B)의 외주면의 선단측 소정 위치에 있어서, 힌지 핀 스토퍼(15)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도록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이 걸음 홈(31)의 기단측에 인접하는 부분을, 걸음 홈(31)으로부터 점차 직경 확장하는 경사 모양으로 형성하고, 걸음 홈(31)의 기단측에 인접하는 걸음 가이드(311)를 설치한다. 중간부 소정 위치의 걸음 홈(32)은 힌지 본체(1)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와 힌지 날개(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 사이에 통과시켜진 각 핀(3A, 3B)을 로킹하기 위한 것으로, 핀(3A, 3B)의 외주면의 중간부 소정 위치에 있어서, 힌지 핀 스토퍼(15)를 끼워맞춤 가능하게 하도록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이 걸음 홈(32)의 선단측에 인접하는 부분을, 걸음 홈(32)으로부터 점차 직경 확장하는 경사 모양으로 형성하고, 걸음 홈(32)의 선단측에 인접하는 걸음 가이드(321)를 설치한다. 그리고 각 핀(3A, 3B)의 기단측에는, 이 기단보다도 조금 선단측에 소경부, 즉 홈(33)을 형성하여,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힌지 핀(3)을 이루는 각 핀(3A, 3B)을,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부착되는 힌지 본체(1)의 상방 또는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 11D)로부터, 제2 부재(D)의 측부(D1)에 부착되는 힌지 날개(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로 삽입 통과하여, 힌지 본체(1)와 힌지 날개(2)를 연결하고, 따라서 제1 부재(B)에 제2 부재(D)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 이 원터치 부착 힌지(H)의 사용예로서 래크의 하우징에 도어를 부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크(R)는 하우징(B)과 도어(D)로 이루어진다. 하우징(B)의 정면 양측에 홈형(단면 대략 각진 U자형)의 고정 프레임(B1)이 설치되고, 홈형의 바닥부에 해당하는 중간의 판(B11)(제1 부재(B)의 측부(B11))의 상하 양단 소정의 위치에 한 쌍의 부착 구멍(41)이 형성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힌지 본체(1)의 한 쌍의 부착 플랜지(16)의 형상에 맞추어, 중간의 판(B11)에 한 쌍의 부착 구멍(41)을 각각 각형(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어(D)는, 하우징(B)에 대하여 피벗식 지지되는 일방의 측부(D1)가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지고, 이 일방의 측부(D1)의 코너부의 소정 위치에 부착 구멍(42)이 형성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힌지 날개(2)의 부착 블록(22)의 형상에 맞추어, 일방의 측부(D1)의 코너부에 부착 구멍(42)이 각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선, 하우징(B)의 고정 프레임(B1)의 중앙의 판(B11)의 상하에, 힌지 본체(1)를 2개 부착한다(도 12 참조). 여기에서, 힌지 본체(1)의 한 쌍의 부착 플랜지(16)를, 중앙의 판(B11)의 한 쌍의 부착 구멍(41)에, 상호의 형상 및 방향을 맞추어, 이 중앙의 판(B11)의 외측을 향한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한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넣는다. 이어서, 이 타방의 면측에 통과시켜진 제1 및 제2 부착 플랜지(16)의 오목홈(160)에, 클립(17)의 대략 U자형의 양단을 각각 걸고, 양쪽 부착 플랜지(16) 사이에 클립(17)을 걸친다. 이것에 의해, 부착 플랜지(16)가 고정 프레임(B1)의 중앙의 판(B11)에 클립(17)을 통하여 고정되고, 힌지 본체(1)가 고정 프레임(B1)에 부착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힌지 본체(1)를 하우징(B)에 원터치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어(D)의 일방의 측부(D1)의 코너부의 상하에, 힌지 날개(2)를 2개 부착한다(도 13 참조). 여기에서, 힌지 날개(2)의 부착 블록(22)을, 일방의 측부(D1)의 코너부의 부착 구멍(42)에, 상호의 형상 및 방향을 맞추어, 이 측부(D1)의 외측을 향한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한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넣는다. 이어서, 이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블록(22)의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에 고정 핀(23)을 통과시킨다. 이렇게 하면, 힌지 날개(2)의 플랜지부(211)가 측부(D1)의 일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42)의 주연부에 맞닿음과 아울러, 고정 핀(23)이 측부(D1)의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42)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져, 힌지 날개(2)가 일방의 측부(D1)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힌지 날개(2)를 도어(D)에 원터치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B)의 힌지 본체(1)와 도어(D)의 힌지 날개(2)를 힌지 핀(3)을 통하여 연결하고, 하우징(B)에 도어(D)를 부착한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힌지 본체(1)의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에 힌지 핀(3)을 이루는 각 핀(3A, 3B)을 삽입하고, 각 핀(3A, 3B)의 선단측 소정 위치의 걸음 홈(31)(도 10 참조)과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 내의 힌지 핀 스토퍼(15)를 걸어맞추어지게 하여, 각 핀(3A, 3B)을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 내에 유지하고 대기시킨다. 계속해서, 하우징(B)측의 힌지 본체(1)의 상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U)와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D) 사이의 간결부(12)에, 도어(D)측의 힌지 날개(2)의 부착 블록(2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측의 반부를 끼워 넣고, 상호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과 221)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힌지 본체(1)의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 내에 유지되어 대기 중인 각 핀(3A, 3B)을 밀어 넣고, 각 핀(3A, 3B)의 선단측 소정 위치의 걸음 홈(31)과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 내의 힌지 핀 스토퍼(15)와의 걸어맞춤을 걸음 가이드(311)(도 10 참조)에 의해 해제하고, 각 핀(3A, 3B)의 외주면에서 힌지 핀 스토퍼(15)를 밀어내면서, 각 핀(3A, 3B)을 각 힌지 핀 삽입 통과부(11)로부터 힌지 날개(2)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221)(의 대략 절반)까지 더욱 삽입 통과시킨다. 그러면, 걸음 가이드(321)(도 10 참조)의 안내에 의해, 각 핀(3A, 3B)의 외주면의 중간부 소정 위치의 걸음 홈(32)에 힌지 핀 스토퍼(15)가 걸어지고, 각 핀(3A, 3B)이 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힌지 본체(1)와 힌지 날개(2)가 힌지 핀(3)에 의해 연결되어, 하우징(B)에 도어(D)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원터치 부착 힌지(H)에 의하면, 힌지 본체(1)는, 전술의 구성에 의해, 한 쌍의 부착 플랜지(16)를,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형성되는 한 쌍의 부착 구멍(41) 내에, 이 측부(B11)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하고, 이 타방의 면측에서 양쪽 부착 플랜지(16) 사이에 클립(17)을 걸쳐서 고정한다. 한편 힌지 날개(2)는, 전술의 구성에 의해, 부착 블록(22)을, 제2 부재(D)의 측부(D1)에 형성되는 부착 구멍(42) 내에, 이 측부(D1)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하고, 이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블록(22)의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에 고정 핀(23)을 통과시켜, 플랜지부(211)를 제2 부재(D)의 일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42)의 주연부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고정 핀(23)을 제2 부재(D)의 타방의 면측에서 부착 구멍(42)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하우징과 도어 사이 등, 결합해야 할 2 부재 사이에, 용접이나 부착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힌지(H)를 원터치로 간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용접이나 부착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힌지(H)의 부착에 요하는 부품수를 대폭 삭감하여, 비용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힌지(H)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더 갖는다.
(1) 힌지 본체(1)가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며, 제1 부재(B)에 부착하기 쉽다.
(2) 힌지 본체(1)의 각 부착 플랜지(16)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각 부착 플랜지(16)의 전체 주연부에 오목홈(160)이 형성되므로, 각 부착 플랜지(16)를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힌지 본체(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제1 부재(B)에 부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3) 제1 부재(B)의 각 부착 구멍(41)은 힌지 본체(1)의 각 부착 플랜지(16)의 형상에 맞추어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각형으로 형성되므로, 부착 구멍(41)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제1 부재(B)에 있어서의 부착 구멍(41)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4) 클립(17)은 금속의 선재로 이루어지므로, 그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클립(17)은 전체가 대략 S자형 또는 대략 S자형이며 또한 중간부가 파형인 복합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한 쌍의 부착 플랜지(16) 사이에 부착하기 쉽고 빠지기 어려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6) 힌지 날개(2)는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며, 제2 부재(D)에 부착하기 쉽다.
(7) 힌지 날개(2)는 부착 플레이트(21)가 직각을 이루어 접합되는 2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부착 블록(22)이 직각을 이루는 부착 플레이트의 2면 내에 대략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 핀 삽입 통과부(222)가 직각을 이루는 부착 플레이트(21)의 2면 접합부에 근접하여 부착 블록(22)에 형성되므로, 힌지 날개(2)의 단순한 형상에 의해, 부착 구멍(42)을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힌지 날개(2)를 부착 구멍(42)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8) 제2 부재(D)의 부착 구멍(42)은 힌지 날개(2)의 부착 블록(22)의 형상에 맞추어, 제2 부재(D)의 측부(D1)의 코너부에 형성되므로, 부착 구멍(42)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제2 부재(D)에 있어서의 부착 구멍(42)의 가공을 쉽게 할 수 있다.
(9) 고정 핀(23)은 힌지 날개(2)의 고정 핀 삽입 통과 구멍(222)을 관통 가능한 대략 L자형의 금속 봉재로 이루어지므로, 그 단순한 형상에 의해, 제조가 용이하며, 힌지 날개(2)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본체(1)의 각 부착 플랜지(16)를 각형으로 형성하고, 제1 부재(B)의 각 부착 구멍(41)을, 힌지 본체(1)의 각 부착 플랜지(16)의 형상에 맞추어,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힌지 본체의 각 부착 플랜지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제1 부재(B)의 각 부착 구멍(41)을, 힌지 본체의 각 부착 플랜지의 형상에 맞추어, 제1 부재(B)의 측부(B11)에 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H 원터치 부착 힌지
1 힌지 본체
101 고정면
11(11U, 11D) 힌지 핀 삽입 통과부(상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 하방 힌지 핀 삽입 통과부)
12 간결부
13 홈
131, 132 홈 부분
14 돌출편
15 힌지 핀 스토퍼
16 부착 플랜지
160 오목홈
17(17A, 17B) 클립
2 힌지 날개
21 부착 플레이트
211 플랜지부
22 부착 블록
221 힌지 핀 삽입 통과부
222 고정 핀 삽입 통과부
23 고정 핀
231 장축부
232 단축부
3 힌지 핀
3A, 3B 핀
31 걸음 홈
311 걸음 가이드
32 걸음 홈
321 걸음 가이드
33 홈
R 래크
B 하우징
B1 고정 프레임
B11 중간의 판(일방의 측부)
D 도어
D1 일방의 측부
41, 42 부착 구멍

Claims (10)

  1. 결합해야 할 2 부재 중 제1 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통 형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를 갖는 힌지 본체와, 결합해야 할 2 부재 중 제2 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통 형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를 갖는 힌지 날개와, 상기 힌지 본체와 상기 힌지 날개의 각각의 힌지 핀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되어, 힌지 본체와 힌지 날개를 연결하는 힌지 핀을 구비하고, 제1 부재에 제2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로서,
    상기 힌지 본체는,
    상기 제1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부착 구멍에 끼워 장착 가능하게, 상기 제1 부재의 이 측부에 대향하는 고정면의 양단측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당해 볼록 형상의 적어도 상기 고정면의 양단에 근접하는 가장자리부에 각각 오목홈을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부착 플랜지와,
    제1 단과 제2 단을 갖고, 상기 제1 단이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의 상기 오목홈에 걸어지고,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각진 U자형을 이룸과 아울러, 상기 제2 단이 상기 제1 단과는 반전된 방향에서, 상기 제2 부착 플랜지의 상기 오목홈에 걸어지고, 상기 제2 부착 플랜지의 주위에 외접 가능하게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각진 U자형을 이루고,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와 상기 제2 부착 플랜지 사이에 걸쳐지는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본체의 상기 각 부착 플랜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상기 각 부착 구멍 내에, 당해 측부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되고, 이 타방의 면측에서 상기 제1 부착 플랜지와 제2 부착 플랜지 사이에 상기 클립이 걸쳐져 고정되고,
    상기 힌지 날개는,
    상기 제2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부착 구멍보다도 큰 평면을 갖는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평면의 전체 주연부를 플랜지부로서 남기고,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부착 구멍에 끼워 장착 가능한 블록 모양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 핀 삽입 통과부 및 상기 힌지 핀 삽입 통과부와 평행한 고정 핀 삽입 통과부를 갖는 부착 블록과,
    상기 고정 핀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고정 핀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날개의 상기 부착 블록은, 상기 제2 부재의 측부에 형성되는 상기 부착 구멍 내에, 당해 측부의 일방의 면측으로부터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끼워 장착되고, 이 타방의 면측에서 상기 부착 블록의 상기 고정 핀 삽입 통과부에 상기 고정 핀이 통과시켜져,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2 부재의 일방의 면측에서 당해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맞닿아짐과 아울러, 상기 고정 핀이 상기 제2 부재의 타방의 면측에서 상기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걸어맞추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본체는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본체의 각 부착 플랜지는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부착 플랜지의 전체 주연부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각 부착 구멍은 힌지 본체의 각 부착 플랜지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제1 부재의 측부에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금속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전체가 대략 S자형 또는 대략 S자형이며 또한 중간부가 파형인 복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날개는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날개는 부착 플레이트가 직각을 이루어 접합되는 2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부착 블록이 직각을 이루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2면 내에 대략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 핀 삽입 통과부가 직각을 이루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2면 접합부에 근접하여 상기 부착 블록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부착 구멍은, 힌지 날개의 부착 블록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제2 부재의 측부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은 힌지 날개의 고정 핀 삽입 통과 구멍을 관통 가능한 대략 L자형의 금속 봉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 힌지.
KR1020190105591A 2018-08-30 2019-08-28 원터치 부착 힌지 KR102651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1158 2018-08-30
JP2018161158A JP7083729B2 (ja) 2018-08-30 2018-08-30 ワンタッチ取付ヒ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105A true KR20200026105A (ko) 2020-03-10
KR102651450B1 KR102651450B1 (ko) 2024-03-27

Family

ID=6966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591A KR102651450B1 (ko) 2018-08-30 2019-08-28 원터치 부착 힌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83729B2 (ko)
KR (1) KR102651450B1 (ko)
CN (1) CN110872923B (ko)
TW (1) TWI8006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2367B (zh) * 2021-11-29 2023-04-28 东莞怡合达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快装式的紧固组件、铰链、拉手和门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41B1 (ko) * 2013-07-05 2013-12-13 주식회사 하이웰 힌지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1259U (ko) * 1971-06-22 1973-02-08
JPS52101522U (ko) * 1976-01-27 1977-08-02
JPH059417Y2 (ko) * 1987-04-08 1993-03-09
JPS6410184U (ko) * 1987-07-07 1989-01-19
US5259091A (en) * 1992-08-13 1993-11-09 Federal-Hoffman, Inc. Hinge system for electrical enclosures
US5704665A (en) * 1996-04-25 1998-01-06 Budolfson; Robert A. Portable door securing device
CN2432311Y (zh) * 2000-06-30 2001-05-30 广东省顺德开关厂有限公司 低压配电柜平门铰链
US20040216271A1 (en) * 2003-02-03 2004-11-04 Schott Robert E. Hinge system
JP4811259B2 (ja) 2006-12-11 2011-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視線方向推定装置及び視線方向推定方法
CN201083064Y (zh) * 2007-08-29 2008-07-09 陈安民 嵌槽安装式铰链和与其配合的带槽型材
TW200920957A (en) * 2007-11-02 2009-05-16 Jarllytec Co Ltd Cover-type rotation joint device capable of easily calibrating spindle
JP2010150845A (ja) * 2008-12-26 2010-07-08 Kawamura Electric Inc 蝶番
JP2010185232A (ja) * 2009-02-13 2010-08-26 Takigen Mfg Co Ltd ヒンジ装置
CA2865345A1 (fr) * 2014-09-26 2016-03-26 Rousseau Metal Inc. Systeme de penture, objet pourvu d'un tel systeme, kit pour l'assembler, et methodes d'assemblage et d'operation correspondantes
JP6410184B2 (ja) 2015-05-07 2018-10-24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多層熱回復物品及び接続構造
FI11378U1 (fi) * 2016-06-30 2016-09-16 Rivex Finland Oy Nostosarana
CN206722612U (zh) * 2017-01-13 2017-12-08 苏州珈玛自动化科技有限公司 铰链装置
CN107916853A (zh) * 2017-12-21 2018-04-17 重庆金华电器成套有限公司 一种配电箱体及其铰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41B1 (ko) * 2013-07-05 2013-12-13 주식회사 하이웰 힌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450B1 (ko) 2024-03-27
JP2020033759A (ja) 2020-03-05
TWI800678B (zh) 2023-05-01
CN110872923B (zh) 2022-06-03
CN110872923A (zh) 2020-03-10
JP7083729B2 (ja) 2022-06-13
TW202024461A (zh)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105A (ko) 원터치 부착 힌지
KR20180055937A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RU2713234C1 (ru) Шарнирный узел д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шкафа
CN213521170U (zh) 线缆夹具组件
KR20180086171A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JP5170738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蝶番構造
EP3450666A1 (en) Slide hinge and cabinet
KR101160515B1 (ko) 힌지 장치
JP2008272354A (ja) 物干装置
JP7253962B2 (ja) ワンタッチ取付ヒンジ
CN210399432U (zh) 空调装配组件
KR20060085801A (ko) 세탁기의 파워코드 고정장치
KR20020000929A (ko) 정류자모터의 브러시 조립체
JP2002106240A (ja) 蝶 番
CN220869117U (zh) 铰链结构及冰箱
CN216776698U (zh) 一种蒸烤箱门组件的装配结构及蒸烤箱
KR20190000592U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팅 부재
KR200313891Y1 (ko) 경첩
JP5041953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蝶番構造
KR20040070991A (ko) 경첩
KR20170071754A (ko) 사물함 도어용 힌지장치
KR200316136Y1 (ko) 상부개폐 도어의 힌지구조
KR101603591B1 (ko)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JPH0743409Y2 (ja) 丁 番
JPH0578868U (ja) ドア用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